KR20010080075A -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075A
KR20010080075A KR1020017004499A KR20017004499A KR20010080075A KR 20010080075 A KR20010080075 A KR 20010080075A KR 1020017004499 A KR1020017004499 A KR 1020017004499A KR 20017004499 A KR20017004499 A KR 20017004499A KR 20010080075 A KR20010080075 A KR 2001008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dio station
increment
station
t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745B1 (ko
Inventor
미하엘 벤츠
안자 클라인
아민 시테
토마스 울리히
볼케르 좀머
라인하르트 켄
요른 크라우제
진-미헬 트레이나르트
마이크 코트캄프
미하엘 훼르베르
슈테판 외스트리히
세바스티안 오베르만스
홀거 란덴버거
프란츠 골드호퍼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840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8007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8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speed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무선국의 전송은 제2 무선국의 전송 전력에 대한 동작 지시가 결정되는 제1 무선국에서 수신된다. 상기 동작 지시는 제1 무선국의 다음 전송 기간동안 제2 무선국으로 전송되고, 제2 무선국은 다음 전송 기간동안 전력 조정에 대한 상기 동작 지시를 고려한다. 선행 기술과는 달리, 고정된 단계 크기 또는 시불변이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전송 전력 조정에서 가변 단계 크기와 관련된 동작 지시가 사용된다. 상기 가변 단계 크기는 무선국들에 의해서 가입자 의존 및 시간 의존적으로 조정된다.

Description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REGULATING POWER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SUBSCRIBER STA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예를 들면, 목소리, 그림정보 또는 기타의 데이타)들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기지국과 가입자국들 사이에서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여기서 가입자국은 이동국 또는 고정된 무선국일 수도 있다. 전자기파는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서 제공된 주파수 밴드에 있는 반송 주파수에서 방사된다. 미래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또는 다른 제3세대 시스템등, 에 대해서 주파수는 대략 2000MHz의 영역에 있다.
제3세대 이동 무선에 있어서, 다른 접속 채널 사이에서 식별하기 위해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전송 방법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인터페이스(B=5MHz)가 제공된다. CDMA 전송 방법은 일반적으로 폐 제어 루프의 형태로 양 방향으로 전송을수행하는 연속적인 전송 전력 제어를 요구한다. 업 링크(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무선 전송)에 있어서, 기지국은 이동국의 전송 품질의 관점에서 이동국의 전송을 판단하고, 가입자국에서 뒤이은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수정 지시를 가입자국에 재 전송한다.
ETSI STC SMG2 UMTS-L1,1998.8.25자 Tdoc SMG2 UMTS-L1 221/98 페이지 29-30에서, 전송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고정된 증분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증분은 단지 무선셀에 따라서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송 전력 수정 증분은 정적인 파라미터이다. 그러나 상기 증분을 정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 수행의 동적인 특성들을 무시하는 것이 되고, 이는 때때로 전송 전력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간섭을 야기시키고, 전송 전력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낮은 전송 품질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1항에 따른 방법과 제16항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적인 장점들은 종속항에서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광대역 전송 채널에서 CDMA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도2는 "슬롯된 모드"에서의 증분 결정을 보여준다.
도3은 비 대칭성의 다른 조건의 경우에 증분 결정을 보여준다.
도4는 이동국의 속도가 상이한 경우에 증분 결정을 보여준다.
도5는 다이버시티 수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증분 결정을 보여준다.
도6은 이동국의 "소프트 핸드오버"의 경우에 증분 결정을 보여준다.
도7은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루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무선국의 전송은 제1 무선국에서 수신되고 제2 이동국의 전송 전력에 대한 전송 전력 수정 지시가 결정된다. 상기 전송 전력 수정 지시는 제1 무선국의 뒤이은 전송기간동안 제2이동국으로 전송되고 제2 이동국은 상기 전송 전력 수정 지시를 고려하여 뒤이은 전송기간 동안 전송전력을 조정한다.기존의 광대역 CDMA 전송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시불변이 아니고 전송 전력을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된 증분이 아닌 전송 전력 조절의 가변 증분과 관련된 전송 전력 수정 지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변 증분은 가입자 의존 및 시간 의존 방식으로 무선국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증분이 클수록, 더 빨리 전송 전력 조정이 가능하나 제어가 부정확해지고, 상기 증분이 작으면 제어는 정확해지나 큰 편차가 수정될 때까지 지연이 커지게 된다. 가변 증분에 기인하여, 상기 제어는 가입자 의존 및 시간 의존 방식으로 모든 전송 조건에서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어는 개선된다. 상기 개선된 제어는 간섭을 줄이고 모든 연결에 보장된 전송 품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을 살펴보면, 연결을 위한 전송 조건은 무선국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으로 평가되고 전송 조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증분은 증가 또는 감소된다. 상기 전송 조건은 전송 전력 조정을 위한 제어 루프에서의 변화를 야기하는 다음 파라미터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이다.
-연속적인 전송 모드에서 측정 목적을 위한 중단(슬롯된 모드)
-TDD모드에서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무선 자원 이용의 비대칭성에서의 변화
-가입자국의 운동 속도
-수신기 끝에서 신호평가의 평균적인 시간 길이
-신호 탐지 기간동안 사용되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
-매크로 다이버시티 전송 방법에서 가입자국과 무선 접촉하는 기지국의 수
이러한 전송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 루프가 일정 시간동안 중단되거나, 중단 시간이 각각 변화하거나, 전송된 정보의 탐지 품질이 갑자기 변화한다. 이러한 조건들은 가변 증분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특히 광대역 전송 채널 상에서 CDMA 가입자 분리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적합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루프를 변화시키는 다수의 전송 조건들이 가능해진다. 전형적인 적용은 제3세대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의 FDD(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와 TDD(시분할 듀플렉스)이다. 상기 제어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에 적용되어 제1 무선국이 기지국이거나 또는 가입자국이 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증분은 전송된 전력 수정 지시 내에서 함축적으로 코드화된 신호들로부터 획득되거나, 통신 테이블 또는 다른 전송 조건들을 사용되는 증분과 링크시키는 계산 룰에 따라 획득된다. 이러한 방법들의 결합도 역시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는 전송 조건의 변화에 대해 어떤 구현이 유리한지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1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로써 보여진 이동 무선 시스템은 함께 네트워크 되어 지고 그 각각은 랜드라인 네트워크(PSTN)에 접속하는 복수의 이동 스위칭 센터(MSC)들로 구성된다. 이런 이동 스위칭 센터(MSC)들은 각각 적어도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는 하나의 설비(RNM)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RNM)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S)에 접속된다.
상기 기지국(BS)은 가입자국,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동국(MS) 또는 다른 이동 및 정지 터미날, 에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 이동국(BS)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셀을 형성한다. 도1은 기지국(BS)과 이동국(MS) 사이에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연결을 보여준다. 이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무선 링크의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이후에 설명되고, 단지 이동국(MS)의 전송 전력 조정만이 여기서 제시된다. 동일한 조치들이 역방향 전송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운영 및 유지 센터(OMC)는 무선 이동 시스템 및 그 부분들을 제어하거나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구조의 기능들은 특히 무선 가입자 접속을 가지는 가입자 접속 네트워크를 위해 본 발명이 사용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전송 전력 제어는 업 링크(UL)에서 무선 전송을 위해 제시된다. 이동국(MS)의 전송 수단(TX)은 업 링크(UL)에서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가 고려된다. 이런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는 기지국(BS)에서 이동국(MS)의 전송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RX)과 다운 링크(DL)에서 이동국(MS)에 전송된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MPC)에 의해 생성된다.
이동국(MS)의 전송 전력은 임의적으로 변하지 않고 증분(increment)적으로 변화한다. 만약 이동국(MS)이 이전에 전송 전력(Px)을 송신하고 있었다면, 전송 전력 제어는 뒤이은 전송에서 상기 전송 전력을 증가 내지는 감소시킨다. 만약 전송 에러가 발생하면, 전송 전력은 유지된다. 기지국(BS)에서 이동국(MS)으로 전송 전력 수정 지시를 신호화하는 것은 세 가지 경우중 하나가 적용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증가와 감소는 임의적이지 않고 미리 결정된 증분(△TPC) 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증분(△TPC)은 가입자 의존적이고 시간 의존적이다.
세 가지 방법이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 및 이전의 전송 전력과 함께 전송 젼력을 조정하는 분명한 원칙을 제공하는 증분(△TPC)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법1:
사용되는 증분(△TPC) 역시 신호화된다. 상기 증분(△TPC)이 변화하지 않으면, 현재 증분(△TPC)은 유지된다. 따라서 증분(△TPC)이 새롭게 설정될 수 있는 속도는 신호 역량에 의존한다.
방법2:
현재 사용되는 증분(△TPC)은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에서 적절한 코딩을 통해 함축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ETSI STC SMG2 UMTS-L1,1998.8.25자 Tdoc SMG2 UMTS-L1 221/98 페이지 29-30에서 보여지듯이, 단지 하나의 비트(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가 필요한 전송 전력 수정 지시는 선행기술에 따라 2개의 비트로 코딩된다. 추가적인 증분(△TPC)의 신호화는 신호화를 위한 2개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거나, 신호화에서 여분을 줄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방법3:
사용되는 증분(△TPC)은 견고하게 어떤 사건들이나 다음 텍스트에서 전송 조건들이라 불려지는 전송 모드들과 연관되어져 있다. 전송 조건과 증분(△TPC) 사이의 링크는 무선국들(MS,BS)과 연관된 할당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 텍스트에서, 상기 증분(△TPC)의 결정은 이전에 전송 전력에 대한 불만족스러운 제어 특성들을 양산한 전송 조건들에 따라 설명된다.
"슬롯된 모드"
FDD모드에서 소위 "슬롯된 모드", ETSI STC SMG2 UMTS-L1,1998.8.25자 Tdoc SMG2 UMTS-L1 221/98 페이지 33-44에서 볼 수 있듯이, 는 예를 들면 다른 기지국(BS)으로 이동국(MS)을 핸드 오버하는 것을 준비할 목적으로 연속적인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중단은 업 링크 또는 다운 링크에서 발생할 수 있다. 중단 기간동안 제어 루프는 실효성이 없고, 따라서 전송이 재개되면 이전에 설정된 전송 전력은 최적 상태로 부터 많이 벗어나게 된다. 전송 전력의 빠른 수정을 위해서, 증분(△TPC)은 중단이 있은 후 일시적으로 증가된다. 상기 중단이오래 지속되면, 상기 증가는 커진다.
도2a에 따르면, 정상적으로 0.5dB의 증분(△TPC)이 적용되고, 5ms의 중단이 있으면 3개의 타임 슬롯동안 1.5dB로 증분(△TPC)이 증가되며, 10ms의 중단이 있으면 3개의 타임 슬롯동안 2.0dB로 증가되고, 그 후는 다시 0.5dB의 증분이 인가된다. 이는 방법1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이고, 따라서 이동국(MS) 및 기지국(BS)에 알려져 있다.
이와는 달리, 뒤이어 사용되는 증분(△TPC)은 도2b에 따라 "슬롯된 모드"를 공표하는 신호에서 역시 신호화 될 수 있다. 상기 증분은 중단 기간에 의존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변경된 증분(△TPC)의 유효기간은 미리 결정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시간 슬롯들, 상기 신호 내에 포함되어 질 수도 있다. 추가적인 가능성은 도2c에서 제시되어 있고, 여기서 확장된 TPC 코딩, 즉 전송 전력 수정 지시 TPC와 함께 증분(△TPC)의 함축된 전송이 3개의 시간 슬롯 또는 나머지 프레임 기간동안 더 큰 전송 전력 수정 단계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대칭성을 갖는 TDD
무선 통신 시스템의 TDD(시 분할 듀플렉스)는 주파수대에서 프레임의 시간 슬롯을 선택적으로 업 링크와 다운 링크에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용량은 요구 조건에 따라 업 링크 또는 다운 링크로 분포되어 질 수 있고, 그 결과 비대칭성 서비스들이 최적의 자원 이용을 가지고 잘 지원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래픽의 비대칭성은 전송 전력 제어 루프에 영향을 미친다. FDD모드와는 대조적으로 업 링크와 다운 링크에 대한 공통 주파수 밴드에 기인해서 전송 전력 수정 지시 신호의예상 가능한 지연을 계획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비대칭성이 증가하면 할수록, 전송 조건에서 빠른 변화를 따르는 제어 루프의 역량이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증분(△TPC)은 상기 비대칭성에 따라 결정된다. 큰 비대칭성에 있어서, 적은 비대칭성보다 큰 증분(△TPC)이 도3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가속하는데 적용된다. 비대칭성이 작으면, 증분(△TPC)은 제어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작아진다. 도3에 따르면, 방법3이 선호된다. 그러나 방법1에 따른 신호화는 비대칭성이 상대적으로 큰 시간 간격을 가지고 변하기 때문에 가능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신호화가 존재한다.
이동국의 속도
소위 "고속 페이딩"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의 변화를 기술하고, 그 속도는 이동국(MS)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고속 전송 전력 제어는 일시적으로 고정된 증분(△TPC)을 가지고 동작하기 때문에, 큰 증분(△TPC)의 효율은 이동국(MS)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다시 감소한다. 도4에 따르면, 이는 예를 들어 0.5dB와 같이 작은 증분(△TPC)이 저속 및 고속에 적용되고, 예를 들어 1dB와 같이 큰 증분(△TPC)은 중속에서 선호되어지는 이유가 된다. 저속에서 전송 전력 제어의 정확성은 양호하고, 중속에서 상기 페이딩을 보상하기 위한 전송 전력의 고속 트랙킹이 탁월하다. 증분(△TPC)을 설정하기 위해 방법1, 즉 기지국(BS)에 의해서 이동국(MS)에 증분(△TPC)을 신호화하는 것이 선호되는데 이는 이동국(MS)의 속도가 기지국(BS)에서 평가되기 때문이다.
다이버시티 이득/페이딩 변수
고속 페이딩에 의해 생산된 수신 전력에서의 강하(dip)는 각 다이버시티 이득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각 다이버시티 이득은 전송 전력에서 변동을 줄인다. 다이버시티 이득이 클수록, 증분(△TPC)은 더 많이 줄어든다. 다이버시티 이득은
-채널 임펄스 응답에서 사용되는 에코(echo)들 수의 증가
-독립적인 송.수신 안테나의 수 증가
-스프레딩(spreading) 또는 인터리빙(interleaving)에 의한 시평균 길이의 증가 등에 의해 증가한다.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의 전송과 비교하여, 이러한 조치들은 드물게 적용되고, 그 결과 방법1(신호화)이 선호된다. 도5는 상이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예시를 구현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사용되면, 수신 안테나 다이버시티가 존재한다. 수신 끝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면, 더 작은 증분(△TPC)이 송신 끝에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증분(△TPC)은 예를 들면 매 신호화당 0.25dB 줄어든다.
"소프트 핸드오버"
소위 "소프트 핸드오버"는 이동국(MS)이 하나의 기지국(BS)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시적으로 다른 기지국(BS)과 무선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전송 조건을 기술한다. 소프트 핸드오버 기간동안, 이동국(MS)의 정보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BS)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상에서 송신된다. 이동국(MS)을 책임지고 있는 기지국(BS)은 활성셋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기지국이 활성셋에서 수용되거나 활성셋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때마다, 업 링크 및 다운 링크에서의 매크로 다이버시티 이득의 돌발적 변화가 발생하고, 또한 다운 링크 상에서 총 전송 전력의 돌발적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송 전력 조정은 가능한 빨리 이것을 따를 수 있어야 한다.
활성셋이 팽창되면, 전송 전력은 시스템이 불필요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가능한 빨리 감소되어야 한다. 활성셋이 감소되면, 충분한 신호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전송 전력은 빨리 증가되어져야 한다.
두 경우 모두, 증분(△TPC)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나서 활성셋이 팽창하는 경우에는 전송 전력이 감소(-TPC)하는 방향으로 상기 증분(△TPC)을 증가시키고, 활성셋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전송 전력이 증가(+TPC)하는 방향으로 상기 증분(△TPC)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총 전송 전력은 다이버시티 이득에 더하여 역시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증분(△TPC)의 변화는 다운 링크에서 더 증대될 수 있다.
도6a, 6b, 6c에 따르면, 증분(△TPC)의 증가는 제한된 기간, 예를 들면 2개의 시간 슬롯 또는 프레임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적용되기 때문에 3가지 방법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작은 증분(△TPC)을 가진 가능한 한 정확한 전송 전력 세팅이 다시 사용되어 져야 한다.
활성셋의 팽창 또는 감소는 기지국(BS)에 의해 신호화되기 때문에, 상기 증분(△TPC)은 도 6a에서 보여지듯이 대응 테이블에 따라 이동국(MS)에서 설정되어 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변화는 도6b에 따라 신호화 될 수도 있고, 또는 도6c에 따라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의 코딩을 변화시킴으로써 전송 전력 조정이개선될 수 있다.
도7에 따르면, 업 링크에서 전송을 위한 전송 전력 제어는 다음과 같이 간소화되어 기술될 수 있다:
연결이 설정된 후, 전송 조건은 기지국(BS)의 제어 수단(MPC)에 의해 결정된다. 업 링크(UL)에서의 전송은 이동국(MS)의 전송 수단(TX)에 발생한다. 이런 전송들은 기지국의 수신 수단(RX)에 의해 수신된다. 게다가, 상기 제어 수단(MPC)은 전송 조건이 그 동안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변화하였다면, 증분(△TPC)은 새롭게 결정되고, 그렇지 않다면, 연결 초기의 증분(△TPC)셋이 유지된다. 게다가, 상기 제어 수단(MPC)은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결정하여, 전송 전력 수정 지시가 기지국의 전송 수단(TX)에 의해 다운 링크(DL)상에서 이동국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동국(MS)은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수신하고, 증분(△TPC)을 동시에 고려하여 전송 전력을 다음 전송에 적합하도록 조정한다. 증분(△TPC)은 방법2에 따라 전송 전력 수정 지시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방법1에 따라 신호화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방법3에 따라 현재의 전송 조건으로부터 이동국(MS)에 의해 재건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제1 그리고 제2 무선국(BS,MS)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여기서 제2 무선국(MS,BS)의 전송은 제1 무선국(BS,MS)에서 수신되고,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가 제2 무선국(MS,BS)의 전송 전력에 대해서 결정되고,
    상기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는 제1 무선국(BS,MS)의 뒤이은 전송 기간동안 제2 무선국(MS,BS)으로 전송되며,
    제2무선국(MS.BS)은 뒤이은 전송 기간 동안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고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는 가입자 의존 및 시간 의존 방식으로 무선국(BS,MS)에 의해 조정된 전송 전력 조정을 위한 가변 증분(△TPC)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국(BS,MS)에서 전송 조건은 제2 무선국(BS,MS)에 대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으로 평가되고 전송 조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증분(△TPC)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전송 조건은 측정 목적을 위한 연속 전송 모드의 중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건은 업 링크(UL)와 다운 링크(DL)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선 자원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비대칭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건은 제1 또는 제2 무선국을 표시하는 가입자국(MS)의 이동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건은 사용되는 송신 및/또는 수신 안테나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건은 수신단 끝에서 신호를 평가한 평균적인 시간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건은 신호 탐지에서 사용되는 채널 임펄스 응답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건은 매크로 다이버시티 전송 방법에서 가입자국(MS)과 무선 접촉하는 기지국(BS)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9항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광대역 전송 채널의 CDMA 전송 방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무선국은 기지국(BS)이고, 제2 무선국은 가입자국(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무선국은 가입자국(MS)이고, 제2 무선국은 기지국(BS)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증분(△TPC)은 신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증분(△TPC)은 전송된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증분(△TPC)은 대응(correspondence) 테이블 또는 상이한 전송 조건들을 사용되는 상기 증분(△TPC)과 링크시키는 계산 룰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6.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제1 무선국(BS,MS)과 제2 무선국(MS,BS),
    제2 무선국(MS,BS)에 할당되어,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고려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TX),
    제1 무선국(BS,MS)에 할당되어, 제2 무선국(MS)의 전송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RX),
    제2 무선국의 전송 전력에 대한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MPC), 그리고
    제1 무선국(BS,MS)의 뒤이은 전송 기간동안 제2 무선국(MS,BS)으로 전송 전력 수정 지시(TPC)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TX)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무선국(BS,MS)의 상기 제어 수단(MPC)은 전송 조건이 제2 무선국(MS,BS)에 대해서 평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전송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분(△TPC)은 전송 전력 조정을 위한 가변 증분(△TPC)에 있어서 가입자 의존 및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17004499A 1998-10-09 1999-10-08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648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6675.7 1998-10-09
DE19846675 1998-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075A true KR20010080075A (ko) 2001-08-22
KR100648745B1 KR100648745B1 (ko) 2006-11-23

Family

ID=788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499A KR100648745B1 (ko) 1998-10-09 1999-10-08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885875B1 (ko)
EP (2) EP1119925B1 (ko)
JP (1) JP4313952B2 (ko)
KR (1) KR100648745B1 (ko)
CN (2) CN1306721C (ko)
AT (1) ATE237200T1 (ko)
AU (1) AU763264B2 (ko)
BR (1) BR9914395B1 (ko)
CA (1) CA2346679C (ko)
DE (2) DE59904989D1 (ko)
ES (1) ES2197712T3 (ko)
PT (1) PT1119925E (ko)
RU (1) RU2235431C2 (ko)
WO (1) WO20000227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967B1 (en) * 1995-03-31 2005-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347616B (en) *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DE10040228A1 (de) 2000-08-17 2002-02-28 Siemens Ag Verfahren zur Regelung der Sendeleistung in einem Funksystem
EP1180854A1 (en) * 2000-08-18 2002-02-20 Lucent Technologies Inc. Power control with smart step size based on channel parameter measurements
CN1157880C (zh) * 2000-09-25 2004-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时隙功率控制方法
US6718180B1 (en) * 2000-10-24 2004-04-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level convergence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199696B2 (en) * 2001-03-29 2012-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33461B2 (en) * 2001-12-14 2006-11-07 Motorola, Inc. Stream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7050759B2 (en) 2002-02-19 2006-05-2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feedback mechanism and method
JP3751265B2 (ja) * 2002-06-20 2006-03-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JP4041733B2 (ja) 2002-12-19 2008-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7756543B2 (en) * 2005-09-09 2010-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gh speed shared radio channel transmit power control
EP1944903A1 (en) * 2007-01-11 2008-07-1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sing terminals of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erminal for a communication network
US7986959B2 (en) 2007-02-14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based uplink power control for LTE
US8145127B2 (en) * 2007-08-14 2012-03-2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JP4494445B2 (ja) * 2007-09-03 2010-06-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JP5422567B2 (ja) 2008-01-07 2014-02-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電力が制限された端末での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
EP2221790B1 (en) 2009-02-24 2020-11-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tool
KR20100100592A (ko) * 2009-03-06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15667B2 (en) 2010-10-21 2015-12-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 power control
CA2834984C (en) * 2011-04-29 2017-07-04 Fujitsu Limited Method for configured maximum output power reporting and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486A (en) * 1989-11-07 1996-01-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SE9200915D0 (sv) * 1992-03-24 1992-03-2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s in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ncation system
JP2980156B2 (ja) 1994-05-12 1999-11-22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該制御方法を用いた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TW347616B (en) *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US5742595A (en) * 1995-06-02 1998-04-21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Processing CDMA signals
JP2762965B2 (ja) * 1995-09-04 199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式
JPH09231713A (ja) * 1995-12-20 1997-09-05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磁気ディスク駆動装置
JP2803626B2 (ja) * 1996-04-05 1998-09-2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の送信電力制御方式
FI104025B1 (fi) * 1996-08-28 1999-10-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Tehonsäätömenetelmä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US5893035A (en) * 1996-09-16 1999-04-06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forward link power control
JP3110333B2 (ja) * 1997-01-23 2000-11-20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Tdma方式無線装置の送信ダイバシチー回路
FI106666B (fi) 1997-01-24 2001-03-15 Nokia Networks Oy Tehonsäätömenetelmä epäjatkuvaan lähetykseen
EP1758266A3 (en) * 1998-03-03 2014-04-23 NE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ellular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69914876T2 (de) * 1999-04-12 2005-01-05 Alcatel Methode zur Verbesserung der Eigenschaften eines mobilen Funkkommunikationssystems unter Verwendung eines Leistungsregelungsalgorithmus
EP1045529B1 (en) * 1999-04-12 2006-11-29 Alcatel A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s of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ower control algorithm
EP1172943B1 (en) * 1999-07-13 2004-08-25 Alcatel Method for improving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performances using a power control algorith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6721C (zh) 2007-03-21
EP1286480A3 (de) 2003-03-05
AU763264B2 (en) 2003-07-17
DE59914201D1 (de) 2007-03-29
KR100648745B1 (ko) 2006-11-23
CN1496024A (zh) 2004-05-12
CA2346679A1 (en) 2000-04-20
EP1119925A4 (en) 2002-01-07
AU1374200A (en) 2000-05-01
WO2000022757A2 (de) 2000-04-20
CN1135734C (zh) 2004-01-21
EP1119925B1 (de) 2003-04-09
PT1119925E (pt) 2003-08-29
WO2000022757A3 (de) 2000-11-09
EP1119925A2 (de) 2001-08-01
RU2235431C2 (ru) 2004-08-27
EP1286480B1 (de) 2007-02-14
ATE237200T1 (de) 2003-04-15
EP1286480A2 (de) 2003-02-26
DE59904989D1 (de) 2003-05-15
US6885875B1 (en) 2005-04-26
ES2197712T3 (es) 2004-01-01
BR9914395B1 (pt) 2013-07-02
JP2002527988A (ja) 2002-08-27
JP4313952B2 (ja) 2009-08-12
CN1324527A (zh) 2001-11-28
CA2346679C (en) 2007-07-03
BR9914395A (pt) 2001-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745B1 (ko) 기지국과 가입자국 사이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417113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EP2204923B1 (en) Adaptively changing between closed-loop and open-loop power control
RU23272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с разомкнутым контуром с помощью tdd
KR10062677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채널 전력 제어
US5345598A (en) Duplex power control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355328B1 (ko) 무선 통신 장치, 전송 레이트 제어 방법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6493541B1 (en) Transmit power control time delay compens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473624B1 (en) Determining a reference power level for diversity handover base stations
US7483404B2 (en) Power control for mobile station in a CDMA-TDD system
CN100459451C (zh) 发射功率控制方法及相应的无线通信系统和电台
US20160007297A1 (en) Uplink power control using a received reference signal
EP0955735A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20020160778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handover control method
EP1048130B1 (e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JP2000232329A (ja) 受信機のための自動利得制御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26442A (ko) 라디오 통신 시스템
EP1209838B1 (en) Asymmetric rate feedback and adjustment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010090748A (ko)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
KR20020075647A (ko) Tdd시스템에서 arq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US20030128559A1 (en) Method for regulating the transmitting power of a master station, and corresponding master station
KR1008748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20074823A (ko) Tdd시스템에서 수신데이터 에러여부에 따른 전력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0809

Effective date: 201408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