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439A -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439A
KR20010079439A KR1020010043284A KR20010043284A KR20010079439A KR 20010079439 A KR20010079439 A KR 20010079439A KR 1020010043284 A KR1020010043284 A KR 1020010043284A KR 20010043284 A KR20010043284 A KR 20010043284A KR 20010079439 A KR20010079439 A KR 20010079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click
pen
shaf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식
조인형
Original Assignee
서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식 filed Critical 서종식
Priority to KR102001004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9439A/ko
Publication of KR2001007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4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입력 수단인 펜형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펜형 몸체의 펜 끝단에 위치추적센서와 압력감지 센서가 부착되어있다. 위치추적센서는 펜형 마우스의 이동에 따른 위치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며 압력감지 센서는 펜형 마우스를 바닥이나 패드에 접지했을때의 압력을 이용해 클릭의 역할을 수행한다.
펜형 마우스를 오른손으로 잡을 때 검지손가락의 이동가능 범위에 스크롤러과 클릭커를 장착해 스크롤과 클릭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펜형 마우스를 사용하여 소정의 입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체의 피로를 덜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입력 동작과 마우스를 사용한 필기 인식이 훨씬 간결해진다.

Description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Pen type mouse using method with fan type click system }
본 발명은 컴퓨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장치의 간결함을 위하여 펜모양의 형태와 독특한 클릭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입력 장치의 하나로 사용되는 마우스를 사용할 때에는 손안에 쥐고 마우스 패드나 이와 유사한 받침대위에서 움직임으로서 마우스의 위치 정보를 컴퓨터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마우스는 사람의 팔과 손, 손목의 이동량이 많아 장시간 사용할 때 그에 따른 팔, 손, 손목의 피로도가 높고 오른팔의 팔목과 손목이 비틀어짐으로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아픔을 수반한다. 또한 도형이나 그림, 필체등을 입력하는 작업을 할 경우 종래의 마우스로는 원하는 정확한 입력을 하기가 매우 어렵고 클릭을 누르는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해야 하므로 불편을 수반한다. 또한 종래의 일반마우스나 펜형 마우스의 경우 버튼을 투르는 등의 클릭을 하는 순간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타점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종래의 스크롤휠의 경우 스크롤하는 범위가 커지면 많은 횟수의 손동작을 요구하거나 스크롤의 속도조절이 힘들어 불편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손에 펜을 쥐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오른쪽 클릭과 왼쪽 클릭이 조합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며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스크롤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필기인식이나 그림작업시 클릭을 누르면서 마우스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끔 한 펜 형태의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선출원에 따른 펜형 마우스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릭장치(3)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릭장치(3)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크롤장치(4)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력감지센서 2 ...위치추적센서
3 ...클릭장치 4 ...스크롤장치
5 ...몸체 6 ...주기판
31...클릭커 41...스크롤러
36...클릭커장치몸체 46...스크롤러장치몸체
32, 42...축 33, 43...스프링
37, 47...베어링 38, 48...스프링 고정대
34, 35...접지장치 39...전선
44...각도판별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펜형 마우스의 아랫부분에 장치되어 있는 위치추적센서(2)가 펜의 상하좌우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동작을 위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펜의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압력감지센서(1)는 펜형 마우스를 바닥이나 패드에 접지시키고 있는 동안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동안) 위치추적센서(2)의 신호를 받아들여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되게 하고 만약 펜형 마우스를 바닥, 또는 패드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off 되어있는 상태) 에서는 위치추적센서(2)의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일반적인 마우스의 클릭타이밍으로 on-off-on 이 반복되면 (펜형 마우스가 바닥에 붙어있는 상태에서 한번 떨어트렸다가 붙이는 행위) 이것을 일반 마우스의 왼쪽 원클릭으로 인식하고 on-off-on-off-on (펜형 마우스를 두 번 바닥에서 떨어뜨렸다가 붙이는 행위)이 반복되면 이것을 일반 마우스의 왼쪽 더블클릭으로 인식한다. 스크롤러(41)는 일반마우스의 스크롤휠을 개선시켜놓은 형태로 오른손의 검지부로 당겨주면 아랫쪽으로 스크롤되고 반대로 밀어주면 윗쪽으로 스크롤된다. 또한 당기거나 밀어주는 크기에 따라 스크롤의 속도가 변화한다. 다시말하면 많이 당겨주면 높은 속도로 스크롤되고 적게 당겨주면 낮은 속도로 스크롤된다.
클릭커(31)의 동작은 압력감지센서(1)를 사용한 클릭과는 별개로 오른손의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한번 당겼다가 놓아주면 일반마우스의 왼쪽클릭으로 인식하고 두 번 당겼다가 놓아주면 더블클릭으로 인식한다. 또한 반대로 클릭커(31)을 밀어주면 일반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으로 인식한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를 텍스트 박스나 그림창으로 이동해 클릭하여 입력가능상태가 되면 펜형 마우스를 바닥이나 패드에서 떨어뜨려 놓은 상태 (압력감지센서 (1)의 신호가 off 되어있는 상태)에서도 위치추적센서(2)의 신호를 받아들여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펜형 마우스를 바닥이나 패드에 붙여놓고 이동시키면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on 인 상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이 동시에 필기인식이나 그림의 도형등을 그릴수 있게 한다. 다시말하면 일반적인 마우스를 클릭하면서 마우스를 이동하는 것과 같은 역활을 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제3도는 클릭장치(3)의 구성을 보여준다. 제2도는 클릭장치(3)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제3도는 클릭장치(3)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클릭커(31)를 오른손의 검지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겨주었다가 놓으면 축(32)에 연결된 스프링(33)에 의하여 제자리로 돌아온다.축(32)은 클릭커장치몸체(36)에 베어링(37)을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33)은 스프링고정대(38)에 고정되어있다.접지장치(34)는 축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며 클릭커(31)를 밀거나 당겨주었을때 접지장치(34,35)가 몸체(5)의 뒷쪽으로 붙으면 왼쪽클릭으로 몸체(5)의 앞쪽으로 붙으면 오른쪽 클릭으로 인식한다.
제4도는 스크롤장치(4)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스크롤러(41)를 밀거나 당겨주는 크기에 따라 각도판별기(44)가 축(42)의 회전의 각도를 판별하여 스크롤의 크기를 조절한다. 스크롤장치(4)도 클릭장치(3)와 마찬가지로 스크롤러(41)를 밀거나 당겨주었다가 놓으면 스프링(43)에 의하여 제자리로 돌아온다. 축(42)은 스크롤러장치몸체 (46)와 각도판별기(44)에 베어링(47)을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43)은 스프링고정대(48)에 고정되어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펜 모양의 마우스를 사용하여 소정의 입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체의 피로를 덜 수 있고, 모든 경우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간결한 입력 동작이 이뤄질 수 있다.

Claims (6)

  1. 펜형 마우스 몸체의 끝단에 압력감지센서(1)와 위치추적센서(2)가 따로 장착
    되어있으며 압력감지센서(1)는 바닥이나 마우스패드와 직접적인 접촉을 갖는 장치.
  2.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펜형 마우스에 있어서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on 인 상태(접지상태)에서는 위치추적센서(2)의 신호를 받아들여 마우스포인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off 인 상태(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위치추적센서(2)의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아 마우스포인터가 이동되지 않는 수단
  3.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펜형 마우스에 있어서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종래의 일반적인 마우스의 클릭타이밍으로 on-off-on(접지-미접지-접지)이 되면 이것을 펜형 마우스의 왼쪽 원클릭으로 0n-off-on-off-on(접지-미접지-접지-미접지-접지)이 되면 왼쪽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는 클릭 수단.
  4.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펜형 마우스에 있어서 마우스포인터를 텍스트박스나
    그림창으로 이동해 클릭하여 입력가능상태가 되면 압력감지센서(1)가 off 되어있는 상태에서도 위치추적센서(2)의 신호를 받아들여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압력감지센서(1)의 신호가 on 이 되면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글씨가 써지거나 그림이 그려지는 수단
  5. 스크롤장치(4)의 구조로서 사용자가 스크롤러(41)를 밀거나 당기는 크기에
    따라 축(42)에 의해서 스크롤러(41)와 연결된 각도판별기(44)가 축(42)의 각도를 판별하여 스크롤속도의 가감속을 조정하며 스크롤러(41)는 축(42)에 연결된 스프링
    (43)에 의하여 중앙의 원상태로 돌아오는 수단
  6. 클릭장치(3)의 구조로서 사용자가 클릭커(31)를 밀거나 당겼을때 클릭커(31)
    와 연결된 축(32)에 붙어있는 접지장치(34,35)가 몸체(5)의 뒷쪽으로 붙으면 왼쪽클릭으로 몸체(5)의 앞쪽으로 붙으면 오른쪽 클릭으로 인식하는 장치로서 클릭커(31)는 축(32)에 연결된 스프링(33)에 의하여 중앙의 원상태로 돌아오는 수단
KR1020010043284A 2001-07-19 2001-07-19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KR20010079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284A KR20010079439A (ko) 2001-07-19 2001-07-19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284A KR20010079439A (ko) 2001-07-19 2001-07-19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439A true KR20010079439A (ko) 2001-08-22

Family

ID=1971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284A KR20010079439A (ko) 2001-07-19 2001-07-19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94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950A (ko) * 2017-05-12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펜형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US9946372B2 (en) 2009-07-07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n typ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and mouse func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6372B2 (en) 2009-07-07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n typ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and mouse functions
KR20170055950A (ko) * 2017-05-12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펜형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8374B2 (en) An input device for a computer
JP2000132331A (ja) ロ―ラ―スライド式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20040041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pointing device used with a data processing system
US20060028457A1 (en) Stylus-Based Computer Input System
US8810514B2 (en) Sensor-based pointing device for natural input and interaction
US5291213A (en) Pen-type computer input device with multiple spheres
WO200600498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entry with light based touch screen displays
EP1457870A3 (en) System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between pointers used to contact touch surface
EP1917572A1 (en) Free-space pointing and handwriting
US7298362B2 (en) Pointing device with finger-contact control
JP2003050668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WO2019075895A1 (zh) 一种智能笔、智能笔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1236174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手書き文字認識方法
US6169537B1 (en) Input device with handle
US20040004601A1 (en) Virtual position movement capturing apparatus
US20230418397A1 (en) Mouse input function for pen-shaped writing, reading or pointing devices
KR20010079439A (ko) 부채꼴 형태의 클릭장치를 구비한 펜형 마우스의 작동방법
US8026897B2 (en) Cursor motion control of a pointing device
TWI402722B (zh) 光學筆及其操作方法
EP2469378A2 (fr) Système de saisie d'éléments graphiques
US20080198133A1 (en) Pen-Type Optical Input Device
JP2728005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201663Y1 (ko) 펜형 볼 마우스
KR200198056Y1 (ko) 원터치 화면 이동 마우스
JP2005522749A (ja) 電子ペン方式入力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