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333A -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333A
KR20010079333A KR1020010040599A KR20010040599A KR20010079333A KR 20010079333 A KR20010079333 A KR 20010079333A KR 1020010040599 A KR1020010040599 A KR 1020010040599A KR 20010040599 A KR20010040599 A KR 20010040599A KR 20010079333 A KR20010079333 A KR 2001007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eeth
latch
fastened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384B1 (ko
Inventor
형 정
Original Assignee
형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 정 filed Critical 형 정
Priority to KR10-2001-004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원 제 2001-29018호와 관련된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선 출원 발명은 작동체의 작동간과 연결된 회동반이 90°범위로 정역 회전되면서 회전 자석의 NS극성을 변환시켜 흡착자력을 ON, OFF되게 함에 있어 전기한 래치트식 작동반의 회전각을 90°로 하여 1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흡착 준비 단계이고, 2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흡착(ON) 단계이며, 3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OFF) 준비 단계이고, 4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OFF) 단계로 되게 하고 있어 이는 조작상 불편한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조작 장치는 몸체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품성이 저조함은 물론 타 물체와 접촉 시는 쉬이 손상되어 오작동 되는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흡착 자력의 자동 개폐 구동 장치를 몸체(1)의 내부에 설치하여 타 물체와의 접촉 손상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 작동체의 작동 범위를 90°로 하고, 회전 자석의 회전 범위는 180°로 되게 함으로서 크레인에 의해 인장 및 해지될 때 1차 인장 시는 흡착 자력의 흡착(ON) 단계이고, 크레인의 인장 장력의 2차 인장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OFF) 단계가 되게 함으로서 조작상 간편성과 안전도를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A magnetic adsorber's automatic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원 제 2001-29018호와 관련된 철판 등의 철강재를 자력으로 흡착하여 이를 공중으로 이동시키는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선 출원 발명은 작동체의 작동간과 연결된 래치트식 회동반이 90°범위로 정역 회전되면서 회전 자석의 N, S 극성을 변환시켜 흡착자력을 ON, OFF되게 함에 있어 90°회전 각도인 전기한 래치트(ratchet)식 작동반이 1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흡착 준비 단계이고, 2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흡착 단계이며, 3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 준비 단계이고, 4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 단계를 되게 하고 있어 이는 조작상 불편한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조작 장치가 몸체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품성이 저조함은 물론 타 물체와 접촉 시는 쉬이 손상되어 오작동되는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흡착 자력의 개폐 작동 장치를 몸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타 물체와의 접촉 손상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 작동체의 작동 범위를 90°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되게 하되, 작동체의 90°회전 운동 시는 회전 자석은 180° 회전하면서 흡착 자력을 ON, OFF할 수 있게 이의 주동 및 연동 기어 이빨은 동일한 수를 갖게 하고, 연동 기어와 회전 자석을 회동시키는 종동 기어의 이빨은 2 : 1비로 함으로서 작동체가 1차 90°시계 방향 회전 시는 흡착 자력의 흡착 단계로 하고, 2차 90°시계 방향 회전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 단계가 되게 하여 조작상 간편성과 안전도를 증진시킬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A"부분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 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 표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작용 표시도로서
5a는 흡착자력이 OFF된 상태
5b는 흡착자력이 ON된 상태
도 6a,6b는 본 발명의 작용 표시도로서
6a는 흡착자력이 ON된 상태
6b는 흡착자력이 OFF된 상태
도 7은 도3의 별도 실시예의 정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1-1. 뚜껑판 1-2. 부시
1-3. 체결볼트 1-4. 비자성체 2. 자극부재
2-1. 비자성체 3. 간격 유지체 4. 지지판
4-1,4-2. 축공 4-3. 체결공 4-4. 체결볼트
5a. 고정자석 5. 회전자석 5-1. 회전자석 케이스
5-2. 축공 5-3. 극성 분리부 6. 지지대
6-1. 축 설치부 6-2. 커버 6-3. 체결볼트
7. 좌측 플렌지 7-1. 체결공 7-2. 체결볼트
8. 우측 플렌지 8-1. 체결공 8-2. 체결볼트
8-3. 플레이트 9. 래치 보스 9-1. 플레이트
10. 래치 10-1. 체결볼트 11,11-1,11-2. 기어
12,12-1,12-2. 샤프트 12a. 키 12b. 키홈
13. 작동체 13-1. 작동간 13-2. 지지간
111,111-1,111-2. 기어 112,112-1,112-2. 샤프트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좌우측에 설치된 자극 부재(2) 사이에는 회전자석(5)이 장입된 회전 자석 케이스(5-1)를 개재한 좌우 지지판(4)을 설치하여 비자성체(1-4) 및 뚜껑판(1-1)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좌우 지지판(4)의 상하에 뚫린 축공(4-1)(4-2)에는 연동 기어(11-1)의 샤프트(12-1) 및 종동 기어(11-2)의 샤프트(12-2)가 끼움 설치되어 있으되, 연동 기어(11-1)의 이빨 수는 후기하는 주동 기어(11)의 이빨 수와 동일하게 하고, 종동 기어(11-2)의 이빨 수는 주동기어(11) 또는 연동 기어(11-1) 이빨 수의 1/2로 되게 하며, 전기한 연동 기어(11-1)가 끼움된 샤프트(12-1)는 지지판(4)에 뚫린 체결공(4-3)에 끼움된 체결볼트(4-4)에 의해 고정됨으로서 연동 기어(11-1)는 샤프트(12-1)에서 공 회전되게 하고, 종동 기어(11-2)가 끼움된 샤프트(12-2)의 좌우 외측에는 회전 자석(5)의 케이스(5-1)의 다각 축공(5-2)이 끼움 걸림되게 하고, 몸체(1)의 상부에 체결된 뚜껑판(1-1)의 상면에는 지지대(6)가 체결볼트(6-3)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되, 이 지지대(6)의 좌우측에 형성된 축 설치부(6-1)에는 샤프트(12)가 끼움되어 있으되, 이의 좌우단에는 작동체(13)의 좌우 작동간(13-1)이 끼움 설치되고, 좌우 축 설치부(6-1)의 내측에는 주동 기어(11)가 샤프트(12)에 의해 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되, 주동 기어(11)의 좌우측에는 래치(10)가 체결볼트(10-1)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있고, 좌측 래치(10)의 외측에는 키(12a)에 의해 샤프트(12)에 고정된 래치 보스(9)가 설치되어 있으되,이 래치 보스(9)에 체결된 플레이트(9-1)는 작동체(13)가 시계 방향 회전 시는 래치(10)에 걸림되어 주동기어(11)가 샤프트(12)와 동시 회전되고, 반 시계 방향 회전 시는 좌측 래치(10)에서 미끄럼 되게 하며, 전기한 우측 래치(10)에는 샤프트(12)에 공 회전되게 끼움된 우측 플렌지(8)가 대접되어 있으되, 이 우측 플렌지(8)는 체결볼트(8-2)에 의해 지지대(6)의 축 설치부(6-1)에 체결되고, 우측 플렌지(8) 내측에 체결된 플레이트(8-3)는 전기한 작동체(13)가 반 시계 방향 회전 시는 우측 래치(10)에 걸림되고, 시계 방향 회전 시는 우측 래치(10)에서 미끄럼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도3의 별도 실시 예로서 샤프트(112)(112-2)에 끼움된 주동기어(111)와 종동 기어(111-2)는 동일한 이빨 수로하고, 샤프트(112-1)에 공회전되게 끼움된 연동기어(111-1)는 이의 이빨 수가 전기한 주동 및 종동 기어(111)(111-2)의 1/2로 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인 바 이를 실시할 시는 운반하고자 하는 철판 등의 물체 위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흡착기 몸체(1)를 안치한 다음 크레인의 장력을 해지시키면 작동체(13)는 자기 무게에 의해 도 5a에 표시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되어 이의 작동간(13-1)은 수평 상태로 되고, 이때 크레인을 이용하여 도 5b 표시와 같이 작동체(13)를 인장시켜 상향 직립되게 하면 샤프트(12)에 체결된 래치 보스(9)의 플레이트(9-1)는 주동 기어(11)의 좌측에 체결된 래치(10)에 걸림되어 주동 기어(11)를 시계 방향으로 90°회동시킴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연동 기어(11-1)는 공 회전되면서 회전 자석 케이스(5-1)를 회동시키는 종동 기어(11-2)를 180°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이빨을 가진 주동 기어(11) 및 연동 기어(11-1)가 90°회전됨에 따라 연동 기어(11-1)와 연동되는 1/2의 이빨 수를 가진 종동 기어(11-2)는 180°로 회전하면서 고정 자석(5a)과 회전 자석(5)의 극성은 NN, SS가 됨에 따라 흡착 자력은 ON이 된다. 다음으로 크레인의 장력을 해지시키면 작동체(13)는 도 6a 표시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로 회전되어 수평상으로 되나, 이때에는 지지대(6)에 체결된 우측 플렌지(8)에 부착된 플레이트(8-3)가 주동 기어(11)에 체결된 우측 래치(10)에 걸림되어 주동 기어(11)의 역회전을 방지함과 동시 그 반대측에 체결된 좌측 래치(10)는 래치 보스(9)의 플레이트(9-1)에서 미끄럼 되어지기 때문에 흡착 자력은 ON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철판 등의 피 흡착 물체의 흡착 상태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운반이 끝난 후 흡착 자력을 해지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을 다시 한번 들어올리면, 이때에는 도 6b와 같이 작동체(13)가 상향 회동되어 수직상으로 됨에 따라 회전 자석(5)은 180°회전되면서 고정 자석(5a)과 회전 자석(5)의 극성이 NS, NS로 되게 바꾸어 줌에 따라 자로는 자극부재(2)의 하방으로는 미치지 않기 때문에 흡착 자력은 OFF 상태가 된다. 따라서, 크레인의 1차 장력 인장 시는 흡착 자력이 ON되고, 2차 장력 인장 시는 흡착 자력이 OFF 상태가 된다. 그리고 흡착 자력의 ON시나 OFF시는 회전 자석 케이스(5-1)의 극성 분리부(5-3)는 자극부재(2)의 비자성체(2-1)와는 흡인 자력의 작용 방향으로 약간(5∼7°범위) 경사되어 있어 회전 자석(5)이 역회전되는 일이 없어 안전성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주동 기어(111)와 종동 기어(111-2)의 이빨 수를 동일하게하고, 공회전되는 연동기어(111-1)의 이빨 수를 1/2로 하게 설치하면 작동체(13)가 90°로 1차 작동 시(크레인의 장력이 1차로 해지될 시)는 흡착 자력의 준비 단계이고, 작동체(13)가 2차 작동 시(크레인의 장력이 1차로 작용할 시)는 흡착 자력이 ON 상태이고, 작동체(13)가 3차 작동 시(크레인의 장력이 2차로 해지될 시)는 흡착 자력의 해지 준비 단계이고, 작동간(13-1)이 4차로 작동 시(크레인의 장력이 2차로 작용할 시)는 흡착 자력이 OFF(해지) 단계가 된다. 따라서, 주동 기어(111)와 종동 기어(111-2)를 같은 이빨 수로하고 공회전되는 연동 기어(111-1)의 이빨 수를 달리하여도 앞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흡착 자력을 자동으로 ON, OFF시키는 개폐장치가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작동체(13)에 가해지는 크레인의 장력이 1차로 인장될 시는 회전 자석 케이스(5-1)가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되면서 흡착 자력이 ON 상태가 되어, 철판 등의 물체를 공중으로 운반할 수 있고, 운반한 후 크레인의 장력이 2차로 인장될 시는 회전 자석(5)이 시계 방향으로 계속하여 180°회전되면서 흡착 자력을 OFF 상태로 되게 하였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동체(13)는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타 물체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아 개폐 장치의 오작동이 생길 염려가 전혀 없는 등 안전 사고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좌우 자극 부재(2) 사이에는 회전 자석 케이스(5-1)를 개재한 축공(4-1)(4-2)이 있는 좌우 지지판(4)이 설치되고,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6)의 좌우 축설치부(6-1)의 축공(4-1) 및 전기한 좌우 지지판(4)의 축공(4-1)(4-2)에는 샤프트(12)(12-1)(12-2)가 각각 끼움 설치되어 있으되, 샤프트(12)(12-1)에는 동일한 이빨을 가진 주동 기어(11) 및 연동 기어(11-1)가 끼움 설치되고, 샤프트(12-2)에 끼움된 종동 기어(11-2)는 전기한 주동기어(11) 이빨의 1/2의 이빨 수가 되게 하여 작동체(13)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될 시 회전자석(5)은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대(6)의 상면 좌우측에 형성된 축 설치부(6-1) 사이에는 좌우측에 래치(10)가 체결볼트(10-1)에 의해 체결된 주동 기어(11)와 좌측 래치(10)에 걸림 및 미끄럼되는 플레이트(9-1)가 있는 래치 보스(9)를 키(12a)로 고정한 샤프트(12)가 끼움되어 좌우 축 설치부(6-1)에 체결된 플렌지(7)(8)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전기한 래치 보스(9)에 체결된 플레이트(9-1)는 샤프트(12)가 시계 방향 회전 시는 샤프트(12)에 공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래치(10)에 걸림되게 하고, 전기한 우측 플렌지(8)에 체결된 플레이트(8-3)는 샤프트(12)가 반 시계 방향 회전 시는 우측 래치(10)에 걸림되고, 시계 방향 회전 시는 우측 래치(10)에서 미끄럼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샤프트(112)에 끼움된 주동기어(111)의 이빨 수는 샤프트(112-2)에 끼움된 주동기어(111-2)의 이빨 수를 동일하게하고, 샤프트(112-1)에 끼움되어 공회전되게 한 연동 기어(111-1)의 이빨 수는 전기한 주동 기어(111) 및 종동 기어(111-2)의 1/2 이빨 수로 하여 작동체(13)가 90°각으로 1차 작동 시는 흡착 자력의 준비 단계가 되고, 2차 작동 시는 흡착 단계이고, 3차 작동 시는 해지 준비 단계이고, 4차 작동 시는 해지 단계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장치.
KR10-2001-0040599A 2001-07-07 2001-07-07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KR10039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599A KR100396384B1 (ko) 2001-07-07 2001-07-07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599A KR100396384B1 (ko) 2001-07-07 2001-07-07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333A true KR20010079333A (ko) 2001-08-22
KR100396384B1 KR100396384B1 (ko) 2003-09-02

Family

ID=1971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599A KR100396384B1 (ko) 2001-07-07 2001-07-07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49B1 (ko) * 2002-04-18 2004-03-11 예해금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스위치장치
KR100703934B1 (ko) * 2006-06-14 2007-04-04 서동우 자석을 이용한 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045B1 (ko) 2013-08-14 2014-02-04 정진권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6181U (ko) * 1977-03-11 1978-10-06
KR920007923Y1 (ko) * 1990-07-24 1992-10-22 김용원 리볼버 권총형 가스라이터
KR20010070589A (ko) * 2001-05-25 2001-07-27 형 정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49B1 (ko) * 2002-04-18 2004-03-11 예해금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스위치장치
KR100703934B1 (ko) * 2006-06-14 2007-04-04 서동우 자석을 이용한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384B1 (ko)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9693B2 (ja) 磁力吸着器の吸着磁力自動開閉装置
US10012274B2 (en) Pin clutch connection structure of anti-panic gear box
US7363786B2 (en) Locking assembly for a truck cargo bed closure
US20140245666A1 (en) Door-opening/closing device for use in vehicle
KR20030086562A (ko)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스위치장치
GB2453514A (en) Latch with lock link and first and second control members
KR100396384B1 (ko)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CN1132303A (zh) 汽车行李箱盖的锁和操纵机构
WO2006088775A3 (en) Magnetic latch mechanism
WO2006076779A1 (en) Locking arrangement
EP3768583B1 (en) Locking system for a bicycle
US4991887A (en) Device for locking a sliding door of a showcase having a frame construction
US20090183704A1 (en) Phase varying apparatus for engine
CN109025489B (zh) 用于锁的按钮链轮装置
CN209880425U (zh) 智能开关
US20050285409A1 (en) Hinged assembly locking system
CN201007133Y (zh) 防盗锁传动机构
KR20010070589A (ko)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
JPH0527534Y2 (ko)
GB2485984A (en) Valve actuating device
CN202882611U (zh) 锁定装置和具有该锁定装置的机动车辆
KR100288137B1 (ko) 자력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개폐장치
KR200175425Y1 (ko) 자력 흡착기
JPH0138220Y2 (ko)
JPH03208529A (ja) ねじ部品の締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