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633A -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 Google Patents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633A
KR20010078633A KR1020000006030A KR20000006030A KR20010078633A KR 20010078633 A KR20010078633 A KR 20010078633A KR 1020000006030 A KR1020000006030 A KR 1020000006030A KR 20000006030 A KR20000006030 A KR 20000006030A KR 20010078633 A KR20010078633 A KR 2001007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attery
see
electrolyte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근
Original Assignee
김영한
한국전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한, 한국전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한
Priority to KR102000000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633A/ko
Publication of KR2001007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6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축전지 제조시 극판을 담는 전조(電槽)에 채워진 전해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에 관한 것으로, 전조의 측면에서 각 셀의 전해액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용 축전지에 있어서 극판과 전해액이 담기는 전조의 일측면 상측으로 빛이 투과되는 투시창을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Lead acid battery container with the eye of battery electrolyte}
본 발명은 차량용 축전지 제조시 극판을 담는 전조(電槽)에 채워진 전해액의 레벨을 감지하는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에 관한 것으로, 전조의 측면에서 각 셀의 전해액 감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축전지(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셀로 나누어진 전조(2)의 내부에 극판을 넣고 전해액을 채운 후 커버(3)를 씌워주게 구성되며, 상기 커버(3)의 일부위에 구멍을 낸 후 상기 구멍에 지시계를 끼워주므로써 지시계를 통하여 전조내부의 전해액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된 지시계를 사용하는 기술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전조(2)를 일체 사출하여 전조(2)가 반투명 상태가 되게 한 후 빛의 반사현상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전조(2)의 재료를 재활용 수지를 사용하여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게 되므로써 상기된 지시계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지시계를 사용하는 방법은 축전지(1)의 전조(2)를 구분하는 6개의 셀 중 하나의 셀만 감지가 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지시계 부착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와 원가상승의 문제가 따르는 것이었다.
특히 한번 사용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전조(2)를 사출제작하게 되므로 원색을 내지 못하고 카본등을 섞어 검은색을 띄게되므로 지시계에서 빛반사되지 못하여 지시계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축전지의 전조측상부에 투시창을 형성시키되 상기 투시창은 각 셀마다 설치하는 한편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하여 전조내부에 담긴 전해액의 레벨감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용 축전지에 있어서 극판과 전해액이 담기는 전조의 일측면 상측으로 빛이 투과되는 투시창을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투시창을 마개로 제조하여 막아주거나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사출 방식을 채택하여 투시창을 형성시킨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축전지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축전지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전지 2 : 전조
3 : 커버 5 : 투시창
본 발명은 차량용 축전지(1)에 있어서, 극판과 전해액이 채워지는 전조(2)의 일측상부에 투시창(5)을 형성시킨 것이다.
여기서 투시창(5)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타원형 또는 원형이 가장 적합하며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투시창(5)의 형성위치는 전해액 레벨감지가 가능하게 전해액 최대수위에서 최소수위를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투시창(5)에서 전해액이 보이지 않을 경우 전해액 부족으로 인식되게 한다.
투시창(5)은 전조(2)의 각셀마다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나 필요에 따라 그 갯수를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투시창(5)형성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전조(2)의 사출시 투시창(5)위치에 구멍을 뚫고 미리 사출한 폴리프로필렌 마개를 상기 구멍에 끼워주면 된다.
이때 마개는 구멍에 끼워질 때 억지 끼워지는 구조를 가지며 마개와 구멍 사이의 누수가 없도록 한다.
둘째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투시창(5)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사출시 전조(2)의 용융온도와 다른 투명아크릴 원판을 준비한 후 상기 아크릴 원판을 전조(2)사출시 투시창(5)형성위치에 인서트 사출시킴으로써 투시창(5)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세번째는 전조(2)와는 다른 투시창(5)형성재질을 다중사출기에서 이중사출시킴으로써 투시창(5)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투시창(5)은 전조(2)와는 다른 투명재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투시창(5)은 투명일 필요는 없으나 내장된 전해액의 레벨을 외부에서 판독할 수 있을 정도의 빛투과 재질이면 된다.
본 발명은 축전지 제조시 전해액 상태파악 및 제품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전조의 각 셀 측상부에 투시창을 형성시킴으로써, 커버의 한 셀에 설치한 지시계 사용시 나타나는 유색전조 사용시 전해액 위치인식 불가문제를 해결하여 전해액 레벨확인이 가능하고 지시계의 사용으로 인한 공수증가와 원가상승 요인을 없앨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용 축전지(1)의 전조(2)에 있어서,
    상기 전조(2)의 측면상측으로 각 셀마다 투명한 투시창(5)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2. 제 1 항에서, 투시창(5)은 전조(2)의 측상부에 구멍을 뚫리게 전조(2)를 사출하고, 상기 전조(2)의 구멍에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투명마개를 억지끼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3. 제 1 항에서, 투시창(5)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투명마개를 전조(2)사출금형의 투시창(5)형성위치에 놓고 전조(2)를 사출하여 투시창(5)을 인서트 사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4. 제 1 항에서, 투시창(5)은 투명재질과 일반전조(2)재질을 다중사출기로 동시 사출하여 전조(2)에 투시창(5)을 이중사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KR1020000006030A 2000-02-09 2000-02-09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KR20010078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30A KR20010078633A (ko) 2000-02-09 2000-02-09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30A KR20010078633A (ko) 2000-02-09 2000-02-09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33A true KR20010078633A (ko) 2001-08-21

Family

ID=1964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030A KR20010078633A (ko) 2000-02-09 2000-02-09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6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9953B2 (en) * 2014-02-24 2019-06-11 Lg Chem, Ltd. Battery cell having h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9953B2 (en) * 2014-02-24 2019-06-11 Lg Chem, Ltd. Battery cell having h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7678A (zh) 液体容纳容器以及液体喷射装置
KR20010078633A (ko) 전해액 감지가 가능한 차량용 축전지 전조
CN203386428U (zh) 感光式发光临时停车牌
KR2004473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
CN206789457U (zh) 防窜光开关
US20060027018A1 (en) Hydrometer/fluid level sensor
EP1120641A2 (en) One-piece battery charge indicator cage
KR100704949B1 (ko) 배기 플러그형 축전지 인디케이터
CN201450068U (zh) 铅酸蓄电池
CN212113943U (zh) 蓄电池工作状态指示器
KR101238644B1 (ko) 축전지용 전해액 지시경
KR200439312Y1 (ko) 시인성이 향상된 축전지 상태 표시기
KR100533074B1 (ko) 표시유닛, 그 제조를 위한 금형 및 표시유닛을 가지는축전지
CN210287351U (zh) 一种全基因组芯片检测试剂盒
KR200406571Y1 (ko) 차량용 축전지의 인디케이터
CN210015644U (zh) 一种带有菲涅尔透镜的显控面板
CN203438953U (zh) 机动车牌照
CN218552005U (zh) 发光酒杯
CN111326809A (zh) 一种蓄电池状态指示器
JPH049740Y2 (ko)
CN213301392U (zh) 容器组件和食物料理机
JPH0461461B2 (ko)
CN212995958U (zh) 一种提醒式报箱
CN215969775U (zh) 一种注塑产品
CN218453260U (zh) 高韧性poe幻彩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