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581A -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581A
KR20010078581A KR1020000005950A KR20000005950A KR20010078581A KR 20010078581 A KR20010078581 A KR 20010078581A KR 1020000005950 A KR1020000005950 A KR 1020000005950A KR 20000005950 A KR20000005950 A KR 20000005950A KR 20010078581 A KR20010078581 A KR 20010078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car audio
signal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군
유인식
Original Assignee
윤장진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진,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윤장진
Priority to KR102000000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581A/ko
Publication of KR2001007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5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를 장착한 카오디오, 특히, 카오디오에 MP3 플레이어를 장착하여 카오디오 본체에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운전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녹음 및 재생 할 수 있도록 한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에 의하면, 카오디오에 MP3를 장착하여 차량용 오디오에서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쉽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한편, 진보된 차량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DEVICE FOR RECORDING/PLAYING OF CAR AUDIO USING MP3}
본 발명은 MP(MPEG Layer)3를 장착한 카오디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오디오에 MP3 플레이어를 장착하여 카오디오 본체에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운전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녹음 및 재생 할 수 있도록 한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오디오는 운전자의 음성 또는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라디오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없으므로, 운전자가 필요로하는 음성 및 음악 등을 저장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녹음용 헤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비용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오디오에 MP3 플레이어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음성 및 카오디오에서 출력되는 음악 등을 녹음 및 재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음성 또는 음악 등을 녹음 및 재생하기 위해 드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는, 라디오,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 테이프 및 라디오 등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음성 신호를입력받아 일정레벨 이상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 카오디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외부에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와 음성 출력부에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키신호에 의해 상기 A/D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ADPCM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와 음성 출력부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ADPCM 데이터로 변환하는 한편, ADPCM 데이터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상기 마이컴에서 ADPCM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디코더에서 AD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카오디오의 증폭기로 출력하는 D/A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오디오 110 : 음성 출력부
120 : 증폭기 130 : 스피커
200 : 키입력부 300 : 마이크
400 : A/D 변환부 500 : 마이컴
600 : 디코더 700 : 저장부
800 : D/A 변환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오디오(100), 키입력부(200), 마이크(300), A/D 변환부(400), 마이컴(500), 디코더(600), 저장부(700) 및 D/A변환부(800)로 구성되며, 상기 카오디오(100)는 음성 출력부(110), 증폭기(120) 및 스피커(130)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카오디오(100)의 음성 출력부(110)는 라디오,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 테이프 및 라디오 등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증폭기(120)는 상기 음성 출력부(110)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레벨 이상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증폭된 음성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키입력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마이크(300)는 외부에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A/D 변환부(400)는 상기 마이크(300)와 음성 출력부(110)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마이컴(500)은 상기 키입력부(200)의 키신호에 의해 상기 A/D 변환부(4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디코더(600)는 상기 마이컴(50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300)와 음성 출력부(11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ADPCM 데이터로 변환하는 한편, ADPCM 데이터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저장부(700)는 상기 마이컴(500)으로부터 ADPCM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D/A 변환부(800)는 상기 디코더(600)로부터 AD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카오디오(100)의 증폭기(1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오디오(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중 또는 정차중일 때 차량의 카오디오(100)를 이용하여 자신의 음성이나, 상기 카오디오(100)의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 테이프 및 라디오에서 전송되는 음성이 스피커(130)를 통해 외부로 출력 될 때 상기 음성을 상기 카오디오(100)에 녹음하고자 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200)에 장착된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버튼을 입력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카오디오(10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버튼을 입력하면, 상기 키입력부(200)에서 이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A/D 변환부(400)에서 상기 카오디오(100)의 음성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컴(500)에서 상기 키입력부(200)로부터 전송된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A/D 변환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더(600)에서 상기 마이컴(500)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ADPCM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마이컴(500)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마이컴(500)에서 상기 디코더(600)로부터 ADPCM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면, 저장부(700)에서 상기 마이컴(500)으로부터 전송된 AD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 즉,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300)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A/D 변환부(400)에서 상기 마이크(300)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상기 마이컴(500), 디코더(600)를 통해 상기 저장부(700)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7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키입력부(200)를 통해 키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마이컴(500)에서 상기 키입력부(200)로부터 전송된 키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저장부(700)에서 저장하고 있는 ADPCM 데이터를 상기 마이컴(500)으로 출력하고, 상기 마이컴(500)에서 상기 저장부(700)로부터 전송된 AD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디코더(600)에서 상기 마이컴(500)으로부터 전송된 AD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D/A 변환부(800)에서 상기 디코더로(600)부터 전송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카오디오(100)의 증폭기(120)에서 상기 D/A 변환부(800)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레벨 증폭한 후 출력하면, 상기 스피커(130)에서 상기 증폭기(12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의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는, 카오디오에 MP3를 장착하여 차량용 오디오에서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쉽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한편, 진보된 차량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라디오,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 테이프 및 라디오 등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레벨 이상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음성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 카오디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외부에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와 음성 출력부에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키신호에 의해 상기 A/D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ADPCM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마이크와 음성 출력부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ADPCM 데이터로 변환하는 한편, ADPCM 데이터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상기 마이컴에서 ADPCM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디코더에서 AD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카오디오의 증폭기로 출력하는 D/A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KR1020000005950A 2000-02-09 2000-02-09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KR20010078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950A KR20010078581A (ko) 2000-02-09 2000-02-09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950A KR20010078581A (ko) 2000-02-09 2000-02-09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581A true KR20010078581A (ko) 2001-08-21

Family

ID=1964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950A KR20010078581A (ko) 2000-02-09 2000-02-09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5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14A (ko) * 2002-07-04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메모리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1595A (ko) * 1996-04-30 1997-11-07 배순훈 라디오 방송 데이타 저장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1317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환 음악 녹음 시스템
KR19990068957A (ko) * 1998-02-03 1999-09-06 신동영 카 오디오 시스템
KR20000001637A (ko) * 1998-06-12 2000-01-15 김영환 엠팩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시스템
KR20000001465U (ko) * 1998-06-25 2000-01-25 홍종만 멀티 기능형 카 오디오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1595A (ko) * 1996-04-30 1997-11-07 배순훈 라디오 방송 데이타 저장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51317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환 음악 녹음 시스템
KR19990068957A (ko) * 1998-02-03 1999-09-06 신동영 카 오디오 시스템
KR20000001637A (ko) * 1998-06-12 2000-01-15 김영환 엠팩 오디오 파일 재생 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시스템
KR20000001465U (ko) * 1998-06-25 2000-01-25 홍종만 멀티 기능형 카 오디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14A (ko) * 2002-07-04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메모리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2071A1 (en) Portable data recording and/or data playback device
KR20010078581A (ko) Mp3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녹음/재생 장치
KR200210782Y1 (ko) 녹음기능을 가진 차량용 키홀더
KR100476750B1 (ko) 외부음향신호처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KR200167119Y1 (ko) 디지털오디오데이터가저장된플래쉬메모리를사용하는카오디오장치
KR200178039Y1 (ko) 음성 및 신호의 녹음/재생 및 소거기능을 갖는디지털/아날로그 알람시계
KR102051319B1 (ko) 차량의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이용한 음성메모장치
KR200301011Y1 (ko) 정보메모 기능을 갖는 자동차 원격시동장치
KR100580039B1 (ko) 차량의 멀티형 오디오 시스템
KR200166496Y1 (ko) 음성기록장치가구비된차량도난경보기리모콘
KR015165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드의 음성출력회로
KR19980051317A (ko) 음악 녹음 시스템
JPH06324691A (ja) マイクロホン付音響機器
KR20010063363A (ko) 엠피쓰리용 컴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KR200340280Y1 (ko) 원격 시동 기능이 있는 엠피3 플레이어
KR19990012715U (ko) 자동 음량 조절 장치
KR20060109723A (ko) 오디오 재생 장치
KR19990068957A (ko) 카 오디오 시스템
JPH0627977A (ja) カラオケ装置
US20040264334A1 (en) Digital recorder with amplifier
KR19980084618A (ko) 차량의 음성메모기록기
KR20000000480A (ko) 카세트 레코더에서 작동하는 카세트타입 메모리저장매체
JPH06251571A (ja) 音声式電子ブック
JPH04238136A (ja) オーディオカセット再生装置
KR20020063977A (ko) 차량용 원격제어송신기를 이용한 음성 메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