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494A -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494A
KR20010078494A KR1019990056226A KR19990056226A KR20010078494A KR 20010078494 A KR20010078494 A KR 20010078494A KR 1019990056226 A KR1019990056226 A KR 1019990056226A KR 19990056226 A KR19990056226 A KR 19990056226A KR 20010078494 A KR20010078494 A KR 20010078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wa
board
slc
redundancy
inm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주현
차정훈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5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494A/ko
Publication of KR2001007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75Fault management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7Redundant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은 운용자 및 개발자들이 MMC명령어를 사용하여 SSWA보드의 이중화상태를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쉽고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고, 또한 SSWA보드에 공급되는 NES 클럭이 비정상시에도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MMC명령어를 사용하여 그에 대한 대처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어 교환기의 신뢰성 향상 및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의 입력양식이나 파라메타 등을 검사하여 정상적 입력인가를 확인하고 장상적인 입력일 경우 SLC로 전송하는 명령어 입력단계와; 상기 SSWA보드의 레지스터를 운용자가 입력한 파라메타에 따라 변경하고, 그 결과를 INMH블록으로 전송하는 명령어 처리단계와; 상기 SLC블록으로 부터 얻은 결과정보를 상기 운용자 터미날로 출력하는 명령어 출력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Method for modifying duplication state of space switch board in a exchange}
본 발명은 소용량 유선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용량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보드(Space Switch Board Assembly : 이하 SSWA)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소용량 유선교환기의 16 ×16매트릭스의 공간 분할 교환접점을 제어하며 중앙 링크 인터페이스 보드(Central Link Interface Board Assembly: 이하 CLIA라 칭함)로부터 수신한 PCM(Pulse Code Modulation)하이웨이 데이타를 공간 분할 교환시켜주는 SSWA의 레지스터 상태값을 MMC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함으로써,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및 NES클럭의 수신상태를 변경하여 통화로상의 이중화 시험시와 NES 수신클럭의 정상 수신유무를 점검,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교환기는 자국에 위치한 가입자와 타망 혹은 타국에 위치해 있는 가입자간의 호처리를 제공하기 위해 타망 또는 타국에 중계선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중계선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소용량 유선교환기 또한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사이에서 통화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개별 회선 신호방식(Channel Associsted Signalling :CAS)과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el Signalling: CCS)이 있다. 개별 신호 방식이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Loop Decadic이나 R2신호 방식에서와 같이 통화회선을 통하여 매호 관련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하며, 공통선 신호방식 No.7신호방식에서와 같이 통화회선과 신호회선이 분리 운용되어 신호회선을 통하여 호에 대한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교환기에서는 자국의 가입자와 타국의 가입자간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타국과의 정보교환시에 위의 R2 또는 No.7신호 방식중 하나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교환기에서는 유지보수 기능 중 하나로써 운용자가 요구, 등록시에 자국의 운용자가 지정한 특정 중계호 자원을 점융하여 발생하는 국간 중계호에 대해서 사용하는 신호 방식별로 타국과 자국 교환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중계 신호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이하, 일반적인 소용량 유선교환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용량 유선교환기의 블록구성을 개략적으로나타낸 도면으로서, 소용량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인 TCS(Telephony Control Subsystem)(50)와,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인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60)와, 집중화된 운용 및 보전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시스템인 CCS(Central Control Subsystem)(70)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TCS(50)는 호 흐름 제어, 통계측정, 수집 및 보고, 과금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제어부인 TCP(Telephony Control Processor)(51)를 구비한다.
상기 CCS(70)는 시스템 전반에 걸친 유지보수, 망관리, 과금, 통계, 데이타 베이스 관리를 위한 제어부인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71)와, 운용자 터미날 관리를 위한 제어부인 HMP(Human Machine Processor)(72)를 구비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유선교환기에서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해 보기로 하자,
기존의 유선교환기에서 SSWA보드 시험시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SSWA보드의 탈실장으로 장애를 발생시키거나 이중화 관계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임의로 장애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그 장애에 대한 모니터링하는 부분으로 시험이 나누어져 있어서 이중화 시험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SSWA보드 이중화에 관계된 MMC명령어 기능을 가지지 못하였다.
또한, NES로부터의 수신 클럭 변경 기능의 경우 수신 클럭상태 츨력 기능은 있었으나, MMC명령어를 이용한 수신 클럭 변경 기능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용량 유선교환기의 16 ×16매트릭스의 공간 분할 교환접점을 제어하며 중앙 링크 인터페이스 보드(Central Link Interface Board Assembly: 이하 CLIA라 칭함)로부터 수신한 PCM(Pulse Code Modulation)하이웨이 데이타를 공간 분할 교환시켜주는 SSWA의 레지스터 상태값을 MMC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함으로써,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및 NES클럭의 수신상태를 변경하여 통화로상의 이중화 시험시와 NES 수신클럭의 정상 수신유무를 점검,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공간 스위치 관련 SSWA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하여 MMC명령어를 이용하여 SSWA보드의 레지스터 값을 변경함으로써, S/W에 의한 이중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음에 있다.
또한, MMC명령어를 이용하여 NES로 부터 수신하는 클럭을 A/B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이중화상태 및 NES 클럭 수신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운용자가 편리하게 공간 스위칭 관련 SSWA보드를 유지보수할 수 있음에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의 특징은 SSWA보드, SLC, INMH 및 운용자 터미날을 이용한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의 입력양식이나 파라메타 등을 검사하여 정상적 입력인가를 확인하고 장상적인 입력일 경우 SLC로 전송하는 명령어 입력단계와; 상기 CLIA보드의 레지스터를 운용자가 입력한 파라메타에 따라 변경하고, 그 결과를 INMH블록으로 전송하는 명령어 처리단계와; 상기 SLC블록으로 부터 얻은 결과정보를 상기 운용자 터미날로 출력하는 명령어 출력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명령어 입력단계는 운용자로부터 다바이스 넘버, 디바이스 타입, 링크 넘버 및 체인지 타입등의 파리메타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다바이스 타입이 SSWA보드이고, 다바이스 넘버가 0 - 2사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입력된 디바이스 넘버가 0보다 작고 3보다 클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디바이스 넘버가 0 - 2사이인 경우 해당 SLCP를 지정하는 단계와; 디스크에 저장된 SSWA구성정보 데이타 베이스를 참고하여 실제 SSWA보드와 SLCP가 실장되었는지, SSWA보드의 전원이 들어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SSWA보드와 SLCP보드가 실장되고, SSWA보드에 전원이 들어온 경우 링크 넘버의 입력여부 및 체인지 타입의 입력 파라메타값에 따라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SSWA 이중화 변경요구인 경우에는 SLC로 CLI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요구신호를 제공하고, SSWA보드 클럭 수신상태 변경요구인 경우 SLC로 CLIA 보드 클럭 수신상태 변경요구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명령어 처리단계는 상기 INMH블록으로 부터 SSWA 이중화 상태 변경이나 SSWA보드 수신 클럭 변경요구 명령을 받으면, 상기 SLC가 액티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 명령을 수신하고 SLC가 액티브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 SLC가 액티브인 경우에는 SSWA 레지스터값을 읽어 운용자가 요구한 SSWA보드 이중화 상태가 액티브인지 SSWA보드와 연결된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TD버스의 억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SSWA보드의 이중화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INMH보 그 결과값을 전송한 후, SSWA 상태 레지스터에 절체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절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에 대한 메세지를 INMH로 출력하고, 정상적으로 절체가 이루어진 경우 정상 절체 결과를 INMH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명령어 출력단계는 상기 SLC로 부터 기 설정된 시간내에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및 SSWA수신 클럭 변경요구 결과 시그널 메세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메세지가 SSWA 이중화 변경보고 메세지인지 아니면 SSWA클럭 변경보고 메세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수신한 메세지가 SSWA링크 이중화 변경보고 메세지인 경우 해당 SSWA 이중화 상태변경 결과값을 INMH로 출력하고, 수신한 메세지가 SSWA 수신 클럭 변경결과 보고 메세지인 경우 해당 SSWA 수신클럭 변경 결과값을 INMH로 출력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용량 유선교환기의 블록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적용되는 유선교환기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있어서, 공간 스위치 보드 변경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있어서, 공간 스위치 보드 클럭 수신모드 변경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명령어 입력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이고, 도 5b는 입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c는 처리된 명령어 출력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용자 터미날 110 : HMP
111 : EC 120 : INP
121 : INMH 130 : SLCP
131 : SLC 140 : 공간 스위치 디바이스
141 : CLIA 142 : SSW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적용되는 유선교환기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있어서, 공간 스위치 보드 변경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있어서, 공간 스위치 보드 클럭 수신모드 변경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은 MMC명령어를 입력하는 운용자 터미날(100)과, 운용자 터미날(100)에서 입력한 MMC명령어를 명령어 수행 제어블럭인 EC(Execution Control Block)(111)을 갖는 HMP(Human Machine Processor)(110)와, 내부 네트워크 유지보수 블록인 INMH(Interconnection Network Maintenance Handling Block)(121)를 갖는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120)와, 공간스위치 및 링크를 제어하기 위한 블록인 SLC(Space Switch and Link Control Block)(131)를 갖는 공간 스위치와 링크 제어 프로세서인 SLCP(Space Switch and Link Control Processor)(130)와, 이중화된 복수개의 공간스위치보드(SSWA:Space Switch Board Assembly)(142)와 CLIA(141)및 파워보드를 구비한 공간 스위치 디바이스(14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은 공간 스위치 관련 SSWA보드(142)의 이중화 상태 변경 또는 NES로 공급되는 운용자 터미날(100)을 통해 CLIA보드(141)이중화상태 변경 또는 NES 클럭 수신모드 변경을 운용자로 부터 MMC명령어로 입력받아, 하위 프로세서인SLCP(130)에 실장된 SLC(131)블럭으로 처리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아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상위 프로세서인 INP(120)에 실장된 INMH(121)에서 처리하는 부분과, INMH(121) 블록으로 부터 SSWA(141)보드의 이중화 및 클럭 이중화상태 변경요구를 받아 실제 디바이스(140)의 레지스터값을 변경하고, 그 처리결과를 INMH(121)로 전송하는 PP블록인 SLC(131)에서 처리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즉,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단계로 이루어지며, 제 1 단계는 명령어 입력단계로 운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의 입력양식이나 파라메타 등을 검사하여 정성적 입력인가를 확인하고 정상적인 입력일 경우 하위 프로세서인 PP에 실장된 SLC(131)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 2 단계는 명령어 처리단계로서, SSWA(142)보드의 레지스터를 운용자가 입력한 파라메타에 따라 변경하고, 그 결과를 상위 프로세서인 MP에 실장되는 INMH(121)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게이다.
이어, 제 3 단계는 명령어 출력단계로 PP에 실장되는 SLC(131)블록으로 부터 얻은 결과정보를 운용자 터미날(100)로 출력하는 단게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WA(142)보드 이중화 모드 변경시에 대한 플로우를 보면, 먼저 운용자가 운용자 터미날(100)을 이용하여 SSWA보드(142) 이중화 상태 변경요구 MMC명령어(MMCChgcslmodesig)를 EC(111)를 통해 INMH(121)로 입력한다.
이어, INMH(121)는 운용터미날(100)로 부터 입력된 MMC명령어에 상응하는 파라메타값 즉, SSWA보드(142) 번호 및 액티브 사이드(ACT Side) 등을 세팅하여 SLC(131)로 전송한다. 즉, INMH(121)은 SSWA(142)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을 SLC(131)로 요구하는 것이다.
이어, SLC(131)는 INMH(121)가 요구한 SSWA보드(142) 변경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레지스터값을 변경하고, 그 결과를 INMH(131)로 전송한다. 즉, SLC(131)는 SSWA보드(142) 이중화상태 변경 결과값을 chgcslModeRP메세지를 통해 INMH(121)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어, INMH(121)는 수신된 SSWA보드(142) 이중화 상태 변경결과값을 운용자 터미날(100)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SSWA 클럭 수신모드 변경시의 플로우를 보면, 먼저 운용자가 운용자 터미날(100)을 이용하여 SSWA보드(142) 클럭 수신모드 변경요구 MMC명령어(MMCChgcslmodesog)를 EC(111)를 통해 INMH(121)로 입력한다.
이어, INMH(121)는 운용터미날(100)로 부터 입력된 MMC명령어에 상응하는 파라메타값 즉, SSWA보드번호, SSWA보드 사이드(CLIA Board Side) 및 액티브 클럭(ACT Clock)을 세팅하여 SLC(131)로 전송한다. 즉, INMH(121)은 SSWA보드(142) 클럭 수신상태 변경을 SLC(131)로 요구하는 것이다.
이어, SLC(131)는 INMH(121)가 요구한 SSWA보드(142) 클럭 수신상태 변경 요구정보로 레지스터값을 변경하고, 그 결과를 INMH(131)로 전송한다. 즉, SLC(131)는 SSWA보드(142) 클럭 수신상태 변경 결과값을 chgcliaclkModeRP메세지를 통해 INMH(121)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어, INMH(121)는 수신된 SSWA보드(142) 이중화 상태 변경 결과값을 MMSPutMsg와, MMSCloseMsg를 통해 운용자 터미날(100)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상태 변경 및 SSWA보드 클럭 수신상태 변경방법을 첨부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고도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레지스터 상태 변경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명령어 입력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이고, 도 5b는 입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c는 처리된 명령어 출력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여 명령어 입력단계인 제 1 단계에 대한 상세 방법을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운용자로 부터 MMC명령어를 입력받는다(S101). 즉, 이 기능은 운용자가 CHG_CSL_MODE라는 MMC명령어를 입력함으로써, 동작이 시작된다,
운용자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다바이스명과 디바이스 번호, 디바이스 사이드, 링크 번호 및 변경한 타입등을 입력한다. 여기서, 옵션은 2가지로 링크 번호인 경우 디바이스가 SSWA인 경우에만 유효하고, 변경 타입(CHG_TYPE)의 경우는 CHG-TYPE을 운용자가 입력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 이중화 상태 변경요구인지 NES클럭 수신 변경요구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운용자 로부터 MMC명령어가 입력되면, 변경 타입 즉, CHG-TYPE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02) CHG-TYPE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기 세팅된 CHG-TYPE으로 지정하고(S103), CHG-TYPE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입력된 CHG-TYPE으로 지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S104).
이어, 디바이스 타입이 SSWA보드인지를 판단하고(S105), 판단결과 디바이스 타입이 SSWA가 아닌 경우에는 CLIA보드 처리루틴으로 전환되고(S106), 디바이스 타입이 SSWA인 경우에는 다비이스 번호가 0보다 크고 2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게 된다(S107). 여기서, 다바이스 타입은 CLIA보드인지 아니면 SSWA보드인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디바이스 넘버는 SSWA 보드의 번호이다.
상기 S107단계에서 판단결과, 디바이스 넘버가 0보다 작거나 3보다 크면, 오류를 출력하고 종료하며, 다바이스 넘버가 0-1사이의 값이면, SSWA보드를 제어하는 PP를 SLCP(130) 0번으로 지정하고(S108),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LCP(130)를 1번으로 지정한다(S109).
디스크에 저장된 SSWA 구성정보 데이타 베이스를 참고하여 실제 SSWA(142) 및 SLCP(130)가 실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 S111).
판단결과, SSWA보드(142) 또는 SLCP(130)가 탈장되어 있으면,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S115), SSWA보드(142) 및 SLCP(130)가 실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SSWA보드(142)에 전원이 들어왔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S112).
판단결과, SSWA보드(142)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 또한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S115), SSWA보드(142)에 전원이 들어왔을 경우에는 SSWA보드(142)의 링크 넘버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113).
판단결과, 링크넘버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S115), 반대로 링크넘버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SSWA(142)디바이스 이중화 변경요구인지를 판단한다(S114).
판단결과, SSWA(142)보드 이중화 변경요구인 경우 SLC(131)로 SSWA(142)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 시그널(ChgSswaModeRQ)을 전달하고(S117), SSWA(142) 보드 클럭 변경 요청인 경우에는 SLC(131)로 SSWA(142)클럭 변경 요구 시그널 (ChgSswaClkModeRQ)을 전달하는 것이다(S116).
즉, 디스크에 저장된 SSWA(142) 구성정보 데이타 베이스를 참고하여 실제 SSWA보드(142) 및 SLCP(131)가 실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다시 디스크에 저장된 PP상태 관련 데이타 베이스를 참고하여 현재 SLCP(131)상태가 장상적으로 동작(현재 SLCP가 이중화 또는 단독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SLCP(131)가 정상적으로 동작중이 아닌 경우 오류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운용자가 CHG_TYPE을 입력한 경우는 SSWA(142)수신 클럭 변경 명령어 입력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SSWA(142) 이중화 상태 변경으로 판단한다.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의 형식에 이상이 없는 경우, 하위 프로세서에 실장되는 PP블럭인 SLC(131)로 SSWA(142)보드 클럭 수신 변경요청인 경우 SSWA(142) 클럭 변경 요구 시그널(ChgSswaClkModeRQ)을 전달하게 되고,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인 경우 SSWA(142)이중화 상태 변경요구 시그널(ChgSswaModeRQ)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명령어 입력단계가 완료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하, 입력된 명령어의 처리과정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하위 프로세서인 SLCP(130)에 실장되는 PP블록인 SLC(131)는 INMH(121)블록으로 부터 SSWA(142)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이나, SSWA(142)보드 수신 클럭 변경요구를 받으면, 먼저 현재 SLCP(130)가 액티브(Active)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1). 판단결과, 현재 SLC(131)상태가 액티브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탠바이 상태이기 때문에 아무일도 하지 않고 종료하고, SLCP(130)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에는 SSWA(142)보드의 A사이드를 변경할 것인지 B사이드를 변경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202) 변경하기 위한 파라메타를 세팅한다(S203, S204).
이어, 운용자가 지정한 SSWA(142)보드 넘버가 "0"번인지를 판단하여(S205), SSWA(142)보드 넘버가 "0"인 경우 SSWA(142) "0"번 보드를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세팅하고(S207), SSWA(142)보드가 "1"번으로 지정된 경우에는 SSWA(142)보드 "1"번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세팅하게 된다(S206).
이어, SSWA(142)보드의 상태 레지스터값을 읽어(S208) SLC(131)와 SSWA(142)와 연결된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09).
판단결과,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지않을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S210), 반대로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 되는 경우에는 이중화 변경 데이타를 SSWA(142)의 상태 레지스터에 라이트한다(S211).
이어, 상기 레지스터에 라이트한 결과가 정상인지여부를 판단하여(S212), 정적으로 데이타가 레지스터에 라이트되지 않았을 경우는 에러메세지를출력하고(S210), 반대로 정상적으로 데이타가 레지스터에 정상적으로 라이트된 경우에는 그 결과값을 ChgCslModeRP메세지에 실어 INMH(121)로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S213).
즉, 운용자가 SSWA(142)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을 요청한 경우 SSWA(142) 상태 레지스터값을 읽어 운용자가 변경 요구한 이중화 상태가 액티브인지와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TD버스의 억세스가 비정상적인 경우 INMH(121)로 에러 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이중화 변경요구한 SSWA(142) 상태가 현재 액티브이라면, INMH(121)로 현재 SSWA(142) 이중화상태가 액티브라는 결과를 전송한다.
만일 변경하고자 하는 SSWA(142)상태가 페일(Fail) 또는 파워 오프와 같은 비정상적인 경우 에러결과를 INMH(121)로 전송한다.
또한, SSWA(142)가 정상적으로 이중화되어 있는 경우는 SSWA(142)상태 레지스터에 절체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이중화 절체가 되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INMH(121)로 정상 절체 결과를 전송하고, 비정상적인 경우 그 이유에 따라 절체 실패결과를 ChgCslModeRP에 실어 INMH(121)로 전송한다.
한편, 운용자가 SSWA(142) 클럭 수신 변경을 요청한 경우 SSWA(142) 상태 레지스터값을 읽어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 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TD버스의 억세스가 되지 않으면, INMH(121)로 에러결과를 전송한다. 운용자가 변경요구한 SSWA(142)에 공급되는 클럭 수신상태를 검사하여 현재 액티브라면 INMH(121)로 현재 공급되는 클럭상태가 액티브라는 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SSWA(142)가 정상적으로 이중화되어 있는 경우는 SSWA(142) 상태 레지스터에 클럭 절체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공급되는 클럭이 절체되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INMH(121)로 정상 절체 결과를 전송하고 비정상적인 경우 그 이유에 따라 클럭 절체 실패 결과를 ChgCslclkRP에 실어 INMH(12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명령어 처리과정이 완료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출력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SLC(131)로 부터 기 설정된 시간내에 ChgCslModeRP 또는 ChgCslclkRP신호를 받았는지를 판단한다(S301).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내에 명령어 처리결과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타임 아웃(Time Out)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S302), 반대로 기 설정된 시간내에 명령어 처리결과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SSWA(142) 이중화 변경보고 인지 아니면 SSWA(142) 수신 클럭 변경보고인지를 판단한다(S303).
판단결과, SSWA(142) 이중화 변경보고인 경우 SSWA(142) 이중화 변경결과를 INMH(121)로 출력한다(S305). 한편, S303단계에서 SSWA(142) 수신 클럭 변경 결과 보고인 경우 SSWA(142) 수신 클럭 변경 결과를 INMH(121)로 출력하는 것이다(S304).
즉, INMH(121)블럭은 하위 프로세서에 실장된 SLC(131)블록으로 부터 스페이스 스위치 이중화 상태 변경 및 수신 클럭 변경요구 결과 메세지인 ChgCslModeRP를 받아 그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결과값에 대한 파라메타값의 예를 살펴보자.
첫 째, MMC정상 수행이면서 SSWA(142) 이중화 액티브 변경이 OK인 경우,
DEVICE = cd
RESULT = OK CUR_ACT_SIDE = e
둘 째, SSWA ACT 변경이 비정상적인 경우,
DEVICE = cd
RESULT = NOK
REASON = r
세 째, MMC정상 수행이면서 SSWA 클럭 변경이 OK인 경우,
DEVICE = cd
RESULT = OK CUR_ACT_CLK = f
네 째, SSWA 클럭 변경이 비정상적인 경우,
DEVICE = cd
RESULT = NOK
REASON = r
다섯 째, MMC 비정상 수행인 경우,
RESULT = NOK
REASON = r
여기서, 상기 파라메타중 a는 SSWA보드 번호, b는 SSWA링크 번호, c는 디바이스 타입(CLIA, SSWA), d는 디바이스 번호, e는 액티브 사이드(A/B), f는 수신클럭(A_CLK, B_CLK), r은 명령을 수신할 수 없는 이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은 운용자 및 개발자들이 MMC명령어를 사용하여 SSWA보드의 이중화상태를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쉽고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고, 또한 SSWA보드에 공급되는 NES 클럭이 비정상시에도 전원에 의한 절체없이 MMC명령어를 사용하여 그에 대한 대처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어 교환기의 신뢰성 향상 및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SSWA보드, SLC, INMH 및 운용자 터미날을 이용한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 MMC 명령어를 입력받아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의 입력양식이나 파라메타 등을 검사하여 정상적 입력인가를 확인하고 장상적인 입력일 경우 SLC로 전송하는 명령어 입력단계와;
    상기 SSWA보드의 레지스터를 운용자가 입력한 파라메타에 따라 변경하고, 그 결과를 INMH블록으로 전송하는 명령어 처리단계와;
    상기 SLC블록으로 부터 얻은 결과정보를 상기 운용자 터미날로 출력하는 명령어 출력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입력단계는 운용자로부터 다바이스 넘버, 디바이스 타입, 링크 넘버 및 체인지 타입등의 파리메타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다바이스 타입이 SSWA보드이고, 다바이스 넘버가 0 - 2사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입력된 디바이스 넘버가 0보다 작고 2보다 클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 입력된 디바이스 넘버가 1 - 2사이인 경우 해당 SLCP를 지정하는 단계와;
    디스크에 저장된 SSWA구성정보 데이타 베이스를 참고하여 실제 SSWA보드와 SLCP가 실장되었는지, SSWA보드의 전원이 들어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SSWA보드와 SLCP보드가 실장되고, SSWA보드에 전원이 들어온 경우 링크 넘버의 입력여부 및 체인지 타입의 입력 파라메타값에 따라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SSWA 이중화 변경요구인 경우에는 SLC로 CLI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요구신호를 제공하고, SSWA보드 클럭 수신상태 변경요구인 경우 SLC로 CLIA 보드 클럭 수신상태 변경요구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SSWA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명령어가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요구 또는 SSWA보드 클럭 수신상태 변경요구인지는 체인지 타입의 파라메타값(CHG_TYPE)의 입력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체인지 타입의 파라메타값이 "0"인 경우 SSWA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로 판단하고, 체인지 타입의 입력 파라메타값이 "1'"인 경우 SSWA보드 수신 클럭 변경요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SSWA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처리단계는 상기 INMH블록으로 부터 SSWA 이중화 상태 변경이나 SSWA보드 수신 클럭 변경요구 명령을 받으면, 상기 SLC가 액티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요구 명령을 수신하고 SLC가 액티브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하고, SLC가 액티브인 경우에는 SSWA 레지스터값을 읽어 운용자가 요구한 SSWA보드 이중화 상태가 액티브인지 SSWA보드와 연결된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TD버스의 억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SSWA보드의 이중화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INMH보 그 결과값을 전송한 후, SSWA 상태 레지스터에 절체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절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에 대한 메세지를 INMH로 출력하고, 정상적으로 절체가 이루어진 경우 정상 절체 결과를 INMH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처리단계에서 INMH로 부터 수신된 명령이 SSWA클럭 수신 변경 요구명령인 경우 SSWA 상태 레지스터값을 읽어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TD버스가 정상적으로 억세스되는 경우 운용자가 변경요구한 SSWA에 공급되는 클럭 수신상태를 검사하여 현재 수신상태가 액티브일 경우 INMH로 현재 공급되는 클럭상태가 액티브라는 결과를 전송함과 동시에 SSWA상태 레지스터에 클럭 절체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공급되는 클럭이 절체되도록 한 후, 절체 결과를 상기 INMH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SSWA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출력단계는 상기 SLC로 부터 기 설정된 시간내에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및 SSWA수신 클럭 변경요구 결과 시그널 메세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메세지가 SSWA 이중화 변경보고메세지인지 아니면 SSWA클럭 변경보고 메세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수신한 메세지가 SSWA링크 이중화 변경보고 메세지인 경우 해당 SSWA 이중화 상태변경 결과값을 INMH로 출력하고, 수신한 메세지가 SSWA 수신 클럭 변경결과 보고 메세지인 경우 해당 SSWA 수신클럭 변경 결과값을 INMH로 출력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SSWA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내에 SSWA 이중화 상태 변경 및 SSWA 수신 클럭 변경요구 결과 시그널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타임 아웃 에러메세지를 INMH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교환기의 CLIA 레지스터 상태 변경방법.
KR1019990056226A 1999-12-09 1999-12-09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KR20010078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26A KR20010078494A (ko) 1999-12-09 1999-12-09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26A KR20010078494A (ko) 1999-12-09 1999-12-09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494A true KR20010078494A (ko) 2001-08-21

Family

ID=1962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226A KR20010078494A (ko) 1999-12-09 1999-12-09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822B1 (ko) * 2004-02-20 2006-05-23 주식회사 화인 업소용 국솥의 차열구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629A (ko) * 1995-12-11 1997-07-31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 방송 보드 시험 방법
KR19980041304A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Atm교환기에 있어서 운용명령에 따라 택스트 처리방법
KR19990002727A (ko) * 1997-06-23 1999-01-15 유기범 전자 교환기에서 공간 스위치 및 링크부 시험 방법
KR19990085402A (ko) * 1998-05-18 1999-12-06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재시동방법
KR20000066432A (ko)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중앙 링크 정합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20000066429A (ko)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공간 스위치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100273200B1 (ko) * 1998-08-21 2000-12-15 김영환 이동통신 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채널 데이터 감시방법
KR20010054074A (ko) * 1999-12-03 2001-07-02 윤종용 교환시스템에서 우선가입자인터페이스회로 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629A (ko) * 1995-12-11 1997-07-31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 방송 보드 시험 방법
KR19980041304A (ko) * 1996-11-30 1998-08-17 유기범 Atm교환기에 있어서 운용명령에 따라 택스트 처리방법
KR19990002727A (ko) * 1997-06-23 1999-01-15 유기범 전자 교환기에서 공간 스위치 및 링크부 시험 방법
KR19990085402A (ko) * 1998-05-18 1999-12-06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재시동방법
KR100273200B1 (ko) * 1998-08-21 2000-12-15 김영환 이동통신 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채널 데이터 감시방법
KR20000066432A (ko)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중앙 링크 정합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20000066429A (ko) * 1999-04-16 2000-11-15 김영환 공간 스위치 보드 상태 점검 방법
KR20010054074A (ko) * 1999-12-03 2001-07-02 윤종용 교환시스템에서 우선가입자인터페이스회로 시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822B1 (ko) * 2004-02-20 2006-05-23 주식회사 화인 업소용 국솥의 차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494A (ko) 유선교환기의 공간 스위치 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20010078495A (ko) 유선교환기의 중앙링크 정합보드 이중화 상태 변경방법
KR100295236B1 (ko) 원격교환모듈접속 데이터링크의 자기진단방법
JP3065051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330440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assigning signaling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37452B1 (ko) 기억장치를 이용한 nms와 교환기간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교환기 관리 장치
KR100328182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원격 경보 구동 패널 유닛의 링크경보 검출방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279827B1 (ko) 원격접속 스위치 모듈의 독립운용 제어 방법
KR970008966B1 (ko) 서비스교환기에서의 공통 서비스 유니트(지에스유) 다중화 방법
KR1003142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제어국의 링크 진단방법
KR100249859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
KR200306297Y1 (ko)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KR960002832B1 (ko)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 경로 제공방법
JP2953183B2 (ja) 保守運用モジュール監視方法
KR100357704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장비 에러 자동 검출방법
KR10025826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메모리 감시 방법
KR20000028319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시뮬레이션 방법
KR20010111718A (ko) 유선교환기의 광링크 감시방법
JPH05260162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2000006023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 링크 진단 방법
KR2001010892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진단을 위한 루프백 모듈 제어방법
KR20010026527A (ko) 전자교환기의 폴트 메세지 페이징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51748A (ko) 공용 데이터베이스 사용을 통한 개인휴대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