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498A -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498A
KR20010077498A KR1020000005320A KR20000005320A KR20010077498A KR 20010077498 A KR20010077498 A KR 20010077498A KR 1020000005320 A KR1020000005320 A KR 1020000005320A KR 20000005320 A KR20000005320 A KR 20000005320A KR 20010077498 A KR20010077498 A KR 2001007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plate
pillars
cor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수갑
Original Assignee
장수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갑 filed Critical 장수갑
Priority to KR102000000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7498A/en
Publication of KR2001007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498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PURPOSE: A cinerary unit and a cinerary tow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anufacture the cinerary tower with small stone materials and reduce the number of processes. CONSTITUTION: A cinerary tower includes: a ground stone(16); at least one or more cinerary units(1) for laying ashes each including a lattice body(5) assembled with long partition plates(3) and short partition plates(4), many pillars(7)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hort partition plates, corner plates standing at both free ends of the long partition plates, door members(8) inser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pillars adjacent to each other to open and shut the spaces between the pillars, and many isolated rooms(2) install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s for laying ashes; and at least one or more covers(17) put on the top of the cinerary units, wherein the cinerary units and the covers are put in an accumulation method.

Description

납골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납골탑{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Ossuary unit and ossuary tower using the same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납골유니트와 이것을 이용한 납골탑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납골분실을 갖는 납골유니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납골유니트를 적층식으로 쌓아 납골탑을 형성하여 납골탑의 제작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ssuary unit and an ossuary tower using the same, and to construct an ossuary unit having a plurality of ossuary losses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to accumulate the ossuary units configured in such a way to form an ossuary tower to reduce the production maneuver of the ossuary tower to increase productivity. To ensure that

전통적으로 우리 나라의 장례문화는 봉분형태의 분묘에 조상들을 모시고 있다.Traditionally, our country's funeral cultures have ancestors in the form of bonbons.

이를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한 공원묘지에 조상들의 분묘를 조성하고, 농촌에서는 야산이나 밭에 분묘를 조성하게 되며, 일부의 후손들은 가문과 조상의 업적을 과시하기 위해 명당자리를 찾아 그 곳에 호화롭게 분묘를 조성하고 있다.To this end, graves of ancestors will be planted in park cemeteries designat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nd graves will be planted in hills and fields in rural areas, and some descendants will go to Myeongdang for their families and ancestors. We build graveyard luxuriously.

이러한 장례문화는 봉분형상의 분묘가 많은 면적을 차지함으로 인해 공원묘지는 이미 포화상태가 되어 최근에는 묘지를 선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상기와 같이 봉분형태의 분묘는 해마다 산과 들 또는 밭을 잠식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아도 좁은 우리 나라의 국토를 점점 황폐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분묘가 밭에 조성될 경우 식량생산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funeral culture occupies a large area of bonsai-shaped tombs, the park cemetery has already become saturated, and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a social problem because it has a lot of difficulties in selecting a cemetery. Even if they do not encroach on the fields or fields, they are gradually devastating the country's narrow territory, and in particular, when the tombs are formed in the fields, there is a problem that food production is reduced.

그리고 전국 각지의 야산과 밭에는 많은 분묘들이 무질서하게 조성되어 있어 아름다운 야산의 풍경을 해치게 되고, 대단위 면적에 호화롭게 조성된 분묘는 국토를 잠식하는 주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후손들의 위화감을 조성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addition, many tombs are scattered in the mountains and fields all over the country in order to harm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mountains, and the tombs that are luxuriously built on a large area are not only the main cause of encroaching the land, but also create the discomfort of descendants. Sometimes.

따라서 이러한 장례문화의 폐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화장된 유골을 일정한 납골장소에 보관하는 화장문화가 점차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공원묘지에 기 안장된 분묘(기독교, 천주교, 일반)는 15년씩 2회 연장하여 납골당에 봉안토록 묘지법으로 개정되어가고 있어 장차 화장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예측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the funeral culture, the cremation culture that keeps cremated remains in a certain ossuary place is gradually forming consensus. In particular, graveyards (Christianity, Catholicism, and General) that have been laid in the park cemetery have been extended twice a year for 15 years and are being amended by the graveyard law in the Ossuary.

이와 같이 화장된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장소의 한 방법으로 납골탑이 사용되고 있는 데, 상기 납골탑은 주로 석재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다수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납골분실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ossuary pagoda is used as a method of the ossuary place for storing the cremated ashes as described above. The ossuary pagoda is mainly composed of stone, and the ossuary chambers are formed to store a plurality of ashes therein.

그런데 종래 석재로 이루어진 납골탑은 단일체로 구성된 석재를 수작업으로 가공하여 그 내부에 다수의 납골분실을 가공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ossuary tower made of conventional stone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because the crypts have to be processed by hand to process the stone composed of the unit by hand.

또한, 종래 납골탑은 단일 석재 내부에 다수의 납골분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대형 석재가 사용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대형 석재는 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반이 까다로운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ssuary pagoda should be used to form a large number of ossuary loss inside a single stone, the large stone is used, such a large stone is difficult to obtain as well as difficult to carry.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납골탑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납골분실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소형석재로도 제작이 가능하고 제조공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납골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ossuary pagoda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provide a ossuary unit that can be manufactured as a small stone by making a large number of ossuary chambers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labor Is 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납골유니트를 조립식으로 적층되게 쌓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수를 줄이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납골탑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ssuary tower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man-hours by forming the crypts to be stacked in a prefabricated stack,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상기 납골유니트는 장격판 및 단격판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조립되는 격자체와; 상기 각 격자체의 상기 단격판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둥들과; 상기 격자체의 상기 장격판 양 자유단에 세워지는 모서리판과;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사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양측면 사이에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각 격판들 사이에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분실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이다.The ossuary unit is a lattice body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by a long plate and a single plate; A plurality of pillars connected to ends of each of the end plates of the lattice; An edge plate erected at both free ends of the barrier plate of the grid; Including the door member is fitted between the adjacent sides of the adjacent pillars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between the adjacent pillars, that the ossuary chambers for storing the ashes between each of the partitions are formed It is characteristic.

그리고 상기 납골탑은 지반석과; 장격판 및 단격판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조립되는 격자체와, 상기 각 격자체의 상기 단격판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둥들과, 상기 격자체의 상기 장격판 양 자유단에 세워지는 모서리판과,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사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양측면 사이에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각 격판들 사이에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분실들이 형성되는 납골유니트와; 상기 납골유니트 상부에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옥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납골유니트와 상기 옥개는 적층식으로 놓여져 다층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이고, 상기 탑의 상부에는 노반과 상기 노반의 상부에 납골탑의 최상부를 형성하는 상륜이 선택적으로 더 조립된다.And the ossuary tower is ground stone; A lattice structu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by a barrier plate and a single plate plate, a plurality of pillars connected to ends of each of the single plate plates of the grid plate, and a free end of the grid plate at both free ends. An ossuary chamber for storing ashes between each of the diaphragms, including a door member that is fitly connec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adjacent pillars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between the adjacent pillars. Ossuary unit is formed; At least one roof is placed on top of the ossuary unit, wherein the ossuary unit and the roof is placed in a stacked form having a multi-layered shape, the top of the tower and the top of the ossuary top of the bed The upper wheel forming the top is optionally further assembled.

도 1 은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ssua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 일 실시예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ossua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 다른 실시예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ssua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은 본 발명의 납골탑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ossuary pagod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납골탑 분해 정면도,5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the ossuary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납골탑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of the ossuary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납골유니트 2 : 납골분실1: ossuary unit 2: ossuary loss

3 : 장겨판 4 : 단격판3: chopped board 4: single plate

5 : 격자체 6 : 모서리판5 grid 6: edge plate

7 : 기둥 8 : 도어부재7: pillar 8: door member

9 : 모서리기둥 15 : 납골탑9: corner pillar 15: ossuary tower

16 : 지반석 17 : 옥개16: ground stone 17: roof

18 : 노반 19 : 상륜18: roadbed 19: the upper wheel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 각 실시예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납골탑 정면도 및 분해 정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유니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num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3 is a plan view of each embodiment of the sternum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5 is a front view and exploded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num unit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1)는 도 1 과 같이 내부에 다수의 납골분실(2)을 갖출 수 있도록 장격판(3)에 복수 개의 단격판(4)들이 일정간격으로 서로 교차되게 조립되어 격자체(5)가 형성되고, 상각 장격판(3) 각 양단부에는 모서리판(6)이 밀착되게 조립되고, 상기 각각의 단격판(4)들에는 일대일 대응되게 기둥(7)들이 연결되며, 상기 인접된 각 기둥(7)들 사이의 입구에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도어부재(8)가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상기 입구를 밀폐시켜, 상기 격자체(5)에 다수의 납골분실(2)이 형성된다.The ossuary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single diaphragms 4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attice plate 3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ossuary chambers 2 therein as shown in FIG. (5) is formed, the edge plate (6) is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end of each of the depreciation plate (3), the column (7)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ingle plate 4 to one-to-one correspondence, the adjacent The door member 8 is assembled to fit the door member 8 so as to store the ashes at the inlets between the respective pillars 7, thereby sealing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ossuary chambers 2 are formed in the lattice 5. .

그리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판(6) 양측 자유단 각각에는 모서리기둥(9)이 더 조립되어 이 모서리기둥(9)과 그와 인접된 기둥(7) 사이에 도어부재(8)가 조립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corner pillars 9 may be further assembled at each of the free ends of each of the corner plates 6 so that the door member 8 may be assembled between the corner pillars 9 and the adjacent pillars 7. It may b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납골유니트(1)는 여러 가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유골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고 야산과 들 또는 가정의 정원에 설치되므로 자연친화적인 면을 감안하여 석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ssuary unit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e that stone is used in consideration of nature-friendly aspects because the ashes are safely stored for a long time and are installed in wild gardens and fields or home gardens.

여기서, 상기 장격판(3)과 단격판(4)들을 조립하는 조립수단은 폭시나 실리콘과 같은 공업용 접착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서 상기 접착부 중 어느 일측에 끼움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접착부를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assembling means for assembling the barrier plate 3 and the end plate 4 is preferably an industrial adhesive such as foxy or silicon, in addition to forming a fitting groove (not shown) on any one side of the adhesive portion The adhesive may be assembled to fit.

또한, 상기 격자체(5)는 상기 장격판(3)이 복수열로 더 배치되고 그에 대응되게 단격판(4)들이 조립되면 납골분실(2)이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attice body 5 may have more crypts 2 when the barrier plates 3 are further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the single barrier plates 4 are assembled to correspond thereto.

상기 장격판(3)은 복수 개의 단격판(4)들이 이격되게 조립될 수 있게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진 장방형상으로 구성되고, 수납분실(2)의 수량에 따라 2개 이상이 더 사용될 수 있다.The barrier plate 3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so that the plurality of single barrier plates 4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wo or more barrier plates 3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storage compartment 2.

상기 단격판(4)은 2개가 상기 장격판(3)의 양측면에 일직선상으로 조립되어 1열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각 열들이 일정각격 이격되게 복수열 형성된다. 상기 단격판(4)들은 동일규격의 크기로 구성되며 그 높이는 상기 장격판(3)과 같은 높이를 가진다.Two single partition plates 4 are assembled in a straight line on both sides of the long partition plate 3 to form a single row, and each row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single partition plates 4 are of the same size and have the same height as the barrier plate 3.

상기 기둥(7)들은 상기 각각의 단격판(4)의 자유단부에 조립되어 상기 각 단격판(4)을 지지하게 되고, 인접된 기둥(7)들 사이의 입구에 상기 도어부재(8)가 밀폐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The pillars 7 are assembled to the free end of each end plate 4 to support each end plate 4, and the door member 8 is provided at an inlet between adjacent pillars 7. Make sure that they can be sealed.

이러한 기둥(7)은 상기 격자체(5)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 단격판(4)이 밀착되는 면은 상기 각 단격판(4)이 넓은 면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평면형태로 가공되고, 몸체의 양측면은 상기 각 도어부재(8)가 밀폐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도어부재(8)의 외측면과 동일 형상으로 구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상의 도어부재(8)가 밀폐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양측면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몸체 양측면 후방부근에 상기 도어부재(8)가 삽입되어 조립될 때 걸림정지될 수 있도록 걸림턱(9)이 돌출된다.The pillar 7 preferably has the same height as the lattice 5,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single plate 4 is in close contact is planar so that the single plate 4 can be attached to a large area.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is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member 8 so that each door member 8 can be assembled to be sealed, preferably the rectangular door member 8 is sealed It is preferable that both outer side surfaces are formed in parallel so as to be fixed, and the locking jaw 9 protrudes so that the door member 8 can be stopped when assembled when the door member 8 is inserted into both rear sides of the body.

상기 격자체(5)의 양측면에 조립되는 모서리판(6) 각각은 상기 격자체(5)의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하며, 몸체의 양단부 내측에는 도어부재(8)가 조립될 때 걸림정지될 수 있게 걸림턱(6a)이 형성된다.Each of the edge plates 6 assembled to both sides of the grid 5 has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grid 5 and has a sufficient thickness to withstand physical forces applied from the outside. On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jaw (6a) can be stopped when assembled.

상기 도어부재(8)는 상기와 같이 각 납골분실(2)을 밀폐시킬 때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파지부(11)가 돌출된다. 상기 파지부(11)는 각종 문자를 새길 수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The door member 8 has a grip portion 11 protrudes to function as a handle when closing the crypts 2 as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portion 11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flat shape so as to engrave a variety of characte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모서리판(6) 양측 자유단부에는 상기와 같이 모서리기둥(9)이 더 설치되는 데, 상기 모서리기둥(9)은 후술할 납골탑에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납골유니트들과 옥개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모서리기둥(9)들은 단면이 정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하중들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기둥(7)들 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 plate 9 is further provided with corner pillars 9 as described above on both free ends of the edge plate 6, wherein the corner pillars 9 are a plurality of crypt structures united in the ossuary tower to be described later. It is intended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and the roofs. These corner posts 9 preferably have a square cross section, and preferably have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pillars 7 so as to withstand the loads sufficiently.

이러한 모서리기둥(9)은 상기 모서리판(6)과 같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도어부재(8)와 상기 모서리판(6)이 조립될 때 걸림정지 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재(8)와 모서리판(6)과 대향되는 면 각각에 걸림턱(12)이 형성된다.The corner pillar 9 has the same height as the corner plate 6, and the door member 8 and the corner plate so that the door member 8 and the corner plate 6 can be stopped when assembled. A locking jaw 12 is formed on each of the surfaces facing the 6.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1)는 도면에서와 같이 장격판(3)에 복수 개의 단격판(4)이 접착제 의해 조립되므로써 격자체(5)가 형성되고, 상기 격자체(5)의 양측에 모서리판(6)이 역시 접착제로 조립되고, 또한 상기 격자체(5)의 모서리에 선택적으로 모서리기둥(9)이 더 설치되어 그 내부에 다수의 납골분실(2)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납골분실(2)에 유골이 수납된 후에는 상기각 납골분실(2)의 입구에 도어부재(8)가 밀봉된다.In the crypt structure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ingle plate plates 4 are assembled by an adhesive to the long plate 3 so that a lattice 5 is formed, and the lattice 5 On both sides of the edge plate 6 is also assembled with an adhesive, and also a corner pillar 9 is optionally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grid 5, a plurality of ossuary chambers 2 are formed therein. After the ashes are received in each ossuary chamber 2, the door member 8 is sealed at the inlet of each ossuary chamber 2.

따라서 상기 납골유니트(1)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석재로 구성될 경우 소형의 석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 구입이 용이하고, 각각의 부품 요소를 별도가공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refore, the ossuary unit (1) i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it is easy to purchase the material because it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 small stone when it is composed of ston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because each component element is processed separately and assemble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roductivity.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납골유니트(1)를 이용한 본 발명의 납골탑(15)을 설명한다.Next, the ossuary tower 15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ssuary uni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상기 납골탑(15)은 도면에서와 같이 맨 하부에 지반석(16)이 놓이고, 상기 지반석(16)상부에 조립식으로 구성된 상기 납골유니트(1)가 놓이게 되고, 상기 납골유니트(1) 상부에는 상기 납골유니트(1)를 덮는 옥개(17)가 놓이게 되며, 상기 옥개(17)의 상부에는 또 다른 납골유니트(1a)들과 옥개(17a)들이 교대로 적층식으로 놓여 탑형태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최상부옥개(17a)의 상부에는 노반(18)이 놓이고 상기 노반(18)의 상부에는 상륜(15)이 놓이게 된다.The ossuary tower 15 is the ground stone (16) is placed at the bottom as shown in the figure, the ossuary unit (1) consisting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is placed on the ground stone (16), the ossuary unit (1) In the roof 17 to cover the ossuary unit (1) is placed, and the upper oscillation unit 17 and the other ossuary unit (1a) and the roof (17a) are alternately stacked to form a tower shape. And, the upper part of the top door (17a) is placed a roadbed 18, the upper part of the roadbed 18, the upper wheel 15 is placed.

여기서, 상기 납골유니트들(1)(1a)과 상기 옥개(17)(17a)는 교대로 소정층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ossuary units (1) 1a and the roofs 17 and 17a alternately form a predetermined layer, which may selectively form a layer according to a consumer's request.

상기 지반석(16)은 상기 납골탑(15)의 맨 하부여 놓여지는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반석(16)은 그 상부에 놓여지는 납골유니트(1)의 조립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상부 중심부에 안내부(20)가 더 형성된다.The ground stone 16 serves as a foundation on which the bottom of the ossuary tower 15 is placed. The ground stone 16 is further formed with a guide portion 20 in the upper center in order to selec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ossuary unit (1) placed on the top.

상기 안내부(20)는 상기와 같이 지반석(16) 상부에 놓여지는 납골유니트(1)위치선정을 할 수 있음과 함께 외관의 단조로움을 탈피할 목적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20)는 다단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The guide portion 20 is capable of selecting the ossuary unit 1 placed above the ground stone 16 as described above, and also has the purpose of avoiding the monotony of the appearance. Therefore, the guide portion 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ulti-stage.

또한, 상기 지반석(16)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외주면이 상기 납골유니트(1)와 동일한 형상으로 장방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ground stone 16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shap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same shape as the ossuary unit (1).

상기 지반석(16)상에 놓여지는 상기 납골유니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납골분실(2)을 갖출 수 있도록 장격판(3)에 복수 개의 단격판(4)들이 일정간격으로 서로 교차되게 조립되어 격자체(5)가 형성되고, 상각 장격판(3) 각 양단부에는 모서리판(6)이 밀착되게 조립되고, 상기 각각의 단격판(4)들에는 일대일 대응되게 기둥(7)들이 연결되며, 상기 인접된 각 기둥(7)들 사이의 입구에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도어부재(8)가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어 상기 입구를 밀폐시켜, 상기 격자체(5)에 다수의 납골분실(2)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ssuary unit 1 placed on the ground stone 1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ingle diaphragms 4 on the barrier plate 3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ossuary chambers 2 therein. The grids 5 are assembled to cross each other at intervals, and the edge plates 6 are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end of each of the upper-strength plates 3, and the columns are one-to-one corresponded to the respective plates. (7) are connected, the door member (8) is assembled to fit the door member 8 so as to keep the remains at the inlet between each adjacent pillar (7) to seal the inlet, a large number of the grid body (5) Ossuary chambers 2 are formed.

따라서 상기 납골유니트(1)의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ossuary unit 1 is omitted.

상기 납골유니트(1)(1a) 상부에 놓여지는 옥개(17)(17a)는 납골분실(2)의 덮개의 기능을 하면서 납골탑(15)의 각 층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roof (17) (17a) placed on top of the ossuary unit (1) (1a) serves as a cover of the ossuary chamber (2) and serves to distinguish each layer of the ossuary tower (15).

이러한 옥개(17)는 몸체는 하부가 상기 납골유니트(1)(1a) 상부에 놓여지고 상부에 다른 납골유니트(1a)가 놓여질 수 있도록 상하 양측면이 수평면으로 구성된다.The roof 17 has a low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ssuary unit (1) (1a) and the other ossuary unit (1a)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ne.

그리고 상기 최상부옥개(17a)는 하면이 상기 납골유니트(1)상에 놓여지게 되므로 수평상태로 구성되고, 상부면도 노반(18)이 놓여질 수 있게 수평상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most door 17a is configured to be in a horizontal state because the lower surface is placed on the ossuary unit 1, and the upper surface is also configured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roadbed 18 can be placed.

여기서, 상기 최상부옥개(17a)는 그 상면이 상기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비나 눈이 왔을 때 흘러내리도록 중앙부분이 높고 테두리부분이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Here,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illar 17a may be formed horizontally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high and the edge portion may be lowered so as to flow when rain or snow falls.

상기 각각의 옥개(17)(17a)는 몸체의 외주면에 디자인을 강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모양이 새겨지는데, 상기 모양은 주로 종교를 암시하는 내용들이 새겨지게 된다.Each of the roofs 17 and 17a is engraved with various shapes to emphasize the desig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which is mainly engraved with religious implications.

상기 최상부옥개(17a)의 상부에 놓여지는 노반(18)은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상기 상륜(19)이 삽입된다. 상기 노반(18)은 상기와 같이 상기 상륜(19)이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수용홈(21)이 형성된다.The roadbed 18 placed on the uppermost top 17a is divided into two sides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upper wheel 19 is inserted therebetween. The roadbed 18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21 on one side so that the upper wheel 19 can be assembled in a fitting manner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노반(18)은 몸체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 몸체위에 상기 상륜(19)이 놓일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roadbed 18 may be composed of a body integrally and the upper wheel 19 may be placed on the body.

상기 노반(18)의 수용홈(21)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상륜(19)은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그 일 실시예로써 대략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디자인을 강조하기 위해 그 상부가 곡선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륜(19)이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그 판상에 각종 문자나 모양을 조각할 수 있을 것이다.The upper wheel 19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 of the roadbed 18 may have various shapes. 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wheel 19 has an approximately plate-shaped shap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to emphasize the design. Consists of a curved shape. Since the upper wheel 19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will be able to engrave various letters or shapes on the plate.

상기 납골탑(15)의 각 층을 형성하는 상기 납골유니트(1)(1a)들과 상기 옥개(17)(17a)들은 복수 개가 서로 교대로 적층식으로 놓여지는 데, 이를 도 3 과 같이 3 층으로 구성된 납골탑(15)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반석(16)에서부터 상부로 제 1 납골유니트(1), 상기 제 1 납골유니트(1a) 상부에 제 1 옥개(17), 상기 제1 옥개(17) 상부에 제 2 납골유니트(1a), 상기 제 2 납골유니트(1a) 상부에 제 2 옥개(17a), 상기 제 2 옥개(17a)가 순차적으로 놓이게 되는 데, 여기서 상기 제 2 옥개(17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상부의 옥개(17a)가 된다.The ossuary units (1) (1a) and the roofs (17) (17a) forming each layer of the ossuary pagoda (15) are placed in a plurality of alternately stacked,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ossuary tower 15 constituted of the first oscillation unit 1 from the ground stone 16, the first roof 17, the first roof 17 above the first ossuary unit 1a 17, the second ossuary unit 1a on the upper side, the second roof 17a, the second roof 17a on the second ossuary unit 1a are sequentially placed, wherein the second roof ( As described above, the top portion 17a is the top opening 17a.

여기서, 상기 최상부 옥개(17a)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노반(18)이 놓여지고, 상기 노반(18)의 상부에는 상기 상륜(19)이 조립된다.Here, the roadbed 18 is selectively placed on the uppermost roof 17a, and the upper wheel 19 is assembled to the top of the roadbed 18.

따라 상기 노반(18)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몸체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데, 통상적으로 근조의 뜻을 나타내는 국화꽃 형상이 주로 사용될 것이고, 소비자가 불교신자일 경우에는 연꽃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수의 형상들로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the roadbed 18 may produce various shapes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consumer's preference. Usually, a chrysanthemum flower shape representing a root mean will be mainly used, and if the consumer is a Buddhist, it may be produced in a lotus shape.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manufacture a number of shapes.

이와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납골탑(15)은 지반석(16) 상부에 복수 개의 납골유니트(1)(1a)들과 옥개(17)(17a)들이 적층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최상부옥개(17)에 노반(18)이 놓이고 상기 노반(18)부에 상기 상륜(19)이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납골탑(15)을 구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ssuary pagoda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plurality of ossuary units (1) (1a) and roofs (17) (17a) on top of the ground stone (16). The roadbed 18 is placed at 17, and the upper wheels 19 are assembled to the roadbed 18 to form a generally balanced ossuary pagoda 15.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납골탑(15)은 유골이 발생될 때마다 후손들은 내부가 비어있는 납골분실(2)의 도어부재(8)를 개방하여 그 개방된 납골분실(2) 내부에 유골을 넣고 양측 기둥(7) 사이의 개방된 입구에 상기 도어부재(8)를 삽입하여 접착제로 밀폐시켜 유골을 밀봉되게 보관한다. 이 때 상기 도어부재(8)가 상기 입구에 삽입될 때 상기 도어부재(8)는 상기 기둥(7)들의 걸림턱(9)에 걸림정지 되므로 이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폐시킴으로써 간단히 유골을 밀봉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ossuary pagoda 15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shes inside the open ossuary chamber 2 by opening the door member 8 of the ossuary chamber 2 having an empty interior whenever the ashes are generated. Insert the door member 8 into the open inlet between the two pillars (7) and sealed with an adhesive to keep the ashes sealed. At this time, when the door member 8 is inserted into the inlet, the door member 8 is stopped by the latching jaw 9 of the pillars 7 so that the door member 8 is closed by using an adhesive in the stopped state. It can seal the ashes.

이러한 방법으로 차후에 유골이 발생할 때마다 비어있는 납골분실(2)에 유골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shes can be stored in the empty ossuary chamber 2 whenever the ashes occur later.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납골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납골탑은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석재로 제작될 경우 소형의 석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소재의 구입이 용이하고, 또한 각각의 소재를 별도 가공하여 이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ossua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ossuary tower using the same are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one, so when manufactured as a ston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using a small stone, it is easy to purchase the material, and also to process each material separately Since it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상기 납골탑을 차량을 이용할 수 없는 야산에 설치할 경우에는 각 부분을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ossuary pagoda is installed in a mountain where a vehicle is not availab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because each part can be transported separately.

Claims (10)

장격판 및 단격판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조립되는 격자체와;A lattice body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by a plenum and a plenum; 상기 각 격자체의 상기 단격판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둥들과;A plurality of pillars connected to ends of each of the end plates of the lattice; 상기 격자체의 상기 장격판의 양 자유단에 세워지는 모서리판과;An edge plate that stands at both free ends of the barrier plate of the grid;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사이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양측면 사이에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각 격판들 사이에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분실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유니트.Including a door member that is fit between the adjacent sides of the adjacent pillars to open and close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pillars, that the ossuary chambers for storing the ashes between each of the partitions are formed Characteristic ossuar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체의 상기 장격판과 상기 단격판들, 상기 장격판과 상기 모서리판, 및 사이 기둥들은 서로 접착제로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유니트.2. The ossuary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rrier plate and the single plate plates, the barrier plate and the edge plate, and the pillars between the grids are adhesively fix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서리판 각각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모서리 기둥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모서리판은 대응하는 상기 모서리기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유니트.2. The ossuary uni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orner pillars dispos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corner plates, wherein each of the corner plates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corner pillar. 지반석과;Ground stone; 장격판 및 단격판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조립되는 격자체와, 상기 각 격자체의 상기 단격판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둥들과, 상기 격자체의 상기 장격판 양 자유단에 세워지는 모서리판과,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사이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된 각 기둥들 양측면 사이에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각 격판들 사이에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분실들이 형성되는 납골유니트와;A lattice structu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by a barrier plate and a single plate plate, a plurality of pillars connected to ends of each of the single plate plates of the grid plate, and a free end of the grid plate at both free ends. An ossuary chamber for storing ashes between each of the diaphragms, including a door member that is fitly connec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adjacent pillars so as to open and close a space between the adjacent pillars. Ossuary unit is formed; 상기 납골유니트 상부에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옥개를 포함하며,At least one roof placed on top of the ossuary unit, 여기서, 상기 납골유니트와 상기 옥개는 적층식으로 놓여져 다층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Here, the ossuary unit and the roof is placed in a lamination type, the ossuary t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ultilayered sha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체의 상기 장격판과 상기 단격판들, 상기 장격판과 상기 모서리판, 및 사이 기둥들은 서로 접착제로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유니트.5. The ossuary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arrier plate and the single plate plates, the barrier plate and the corner plate, and the pillars between the grids are adhesively fixed to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둥들은 양측면 후방에 상기 도어부재가 조립될 때 걸림정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유니트.5. The ossuary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each of the pillars further includes a locking jaw formed at both rear sides of the pillars to be stopped when the door member is assembl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모서리판 각각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모서리 기둥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모서리판은 대응하는 상기 모서리기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유니트.5. The ossuary unit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orner pillars disposed at both ends of each corner plate, wherein each corner plate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corner pilla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둥들은 양측면 후방에 상기 도어부재가 조립될 때 걸림정지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5. The ossuary tow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each of the pillars has a protruding jaw to protrude when the door member is assembled at both rear sides there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형상으로 구성된 납골탑의 최상부옥개에 수용홈이 요입된 노반이 놓여지고 상기 노반의 수용홈에 에 꼭대기를 형성하는 상륜이 착탈식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5. The ossuary tow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subgrade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is placed in the uppermost of the multi-layered ossuary pagoda, and an upper wheel which forms a top at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subgrade is detachably plac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석은 상기 납골유니트가 놓여지는 조립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상기 지반석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5. The ossuary tow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round stone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tone in order to select an assembly position at which the ossuary unit is placed.
KR1020000005320A 2000-02-03 2000-02-03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KR200100774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320A KR20010077498A (en) 2000-02-03 2000-02-03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320A KR20010077498A (en) 2000-02-03 2000-02-03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498A true KR20010077498A (en) 2001-08-20

Family

ID=1964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320A KR20010077498A (en) 2000-02-03 2000-02-03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7498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864A (en) * 1996-09-11 1998-04-07 Kazuji Kiyono Tomb
KR19990008089U (en) * 1998-11-19 1999-02-25 이중관 Manual Rotating Ossuary Remains Storage Device
KR200179390Y1 (en) * 1999-12-03 2000-04-15 주식회사불교문화 정토원 Tower of laying ashes to rest
KR200187720Y1 (en) * 2000-02-01 2000-07-15 이화옥 Ashes laying pagod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864A (en) * 1996-09-11 1998-04-07 Kazuji Kiyono Tomb
KR19990008089U (en) * 1998-11-19 1999-02-25 이중관 Manual Rotating Ossuary Remains Storage Device
KR200179390Y1 (en) * 1999-12-03 2000-04-15 주식회사불교문화 정토원 Tower of laying ashes to rest
KR200187720Y1 (en) * 2000-02-01 2000-07-15 이화옥 Ashes laying pagod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776B2 (en) Modular columbarium system
KR20010077498A (en)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CN214498579U (en) Ecological green cemetery of resource utilization type
CN215255061U (en) Stone land-saving coffin chamber
CN210264135U (en) Terrace ring mountain underground cemetery
KR20010077497A (en) Vault unit and vault tower using the same
CN210264133U (en) Underground cemetery
US20080196327A1 (en) Crypt Arrangement
KR200411730Y1 (en) Charnel tombstone
KR200227287Y1 (en) A prefabricated stone charnel house
KR200179369Y1 (en) Building structure for charnel house
CN219387430U (en) Green ecological underground public cemetery
JPH0442441Y2 (en)
KR200184307Y1 (en) Mounded charnel
KR100261763B1 (en) Charnel tomb
KR200201585Y1 (en) Circle type charnel house
KR100337374B1 (en) A charnel grave of tunnel style
KR200216704Y1 (en) Prefabricated charnel house
CN209712495U (en) Military cemetery offers a sacrifice to gods or ancestors pavilion
KR200287348Y1 (en) Family charnel
KR200475777Y1 (en) Charnel Tomb having Ventilating Structure and Plural Deposit Room
JPH085254Y2 (en) Three-dimensional cemetery
CN1226520C (en) Tower type cemetery
KR200356531Y1 (en) A Assembling Multy Charnel Housr for a Married Couple
JP3118331U (en) Small tomb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