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85Y1 - Circle type charnel house - Google Patents

Circle type charnel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85Y1
KR200201585Y1 KR2020000016169U KR20000016169U KR200201585Y1 KR 200201585 Y1 KR200201585 Y1 KR 200201585Y1 KR 2020000016169 U KR2020000016169 U KR 2020000016169U KR 20000016169 U KR20000016169 U KR 20000016169U KR 200201585 Y1 KR200201585 Y1 KR 200201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ossuary
ashes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1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창옥
Original Assignee
전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옥 filed Critical 전창옥
Priority to KR2020000016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85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 납골묘이다. 그 구성은,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어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초석(50)과, 상기 기초석(50) 내측에, 이 기초석(50)과 대응하여 순서대로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외벽체(60)와 다수개의 유골함(40)과, 상기 외벽체(60)와 유골함(40) 사이는 일정한 공간(62)을 가지며, 상기 유골함(40)은 유골단지를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구멍(4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lar ossuary.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ic stones 50 whose outer surfaces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arranged in a circle, and a plurality of outer wall bodies 60 arranged in a circular or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sic stones 50 inside the basic stones 50. And a plurality of ashes 40, and between the outer wall 60 and the ashes 40 has a predetermined space 62, the ashes 40 has a plurality of settled holes 42 so as to place the ashes complex Formed and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에 의하면,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원형 납골묘이기 때문에 전통묘의 묘미를 충분히 살린 원형 납골묘가 제공되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으며 반영구적이고, 유골함 자체를 내부 벽체로 구성하고 이 내부 벽체와 일정 간격을 두고 외부 벽체로 구분하여 이중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풍이 양호하고 결로현상이 배제되며 누수된 물은 배수구멍 및 배수홈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 배출이 되어, 유골함 내부에 곰팡이가 슬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연보호에도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According to the 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since it is a circular ossuary which can store the ashes using the gemstones, it is provided with a circular ossuary which fully utilizes the goodness of the traditional tombs. Because it is composed of double walls separated by external walls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internal walls, it is well ventilated, condensation is eliminated, and the leaked water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drain holes and drain grooves.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is not moldy and effective for nature conservation.

Description

원형 납골묘{Circle Type Charnel House}Circular Type Charnel House {Circle Type Charnel House}

본 고안은 원형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원형으로 구성되는원석 벽체에 유골 안치를 홈을 형성하고 이중벽을 형성하여 통풍에 만전을 기하며 납골묘 내부에 스며드는 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원형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ossuary,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groove in the stone wall consisting of a circular recess, and to form a double wall to ensure ventilation and to smoothly discharge the water permeated inside the ossuary. It is about a circular ossuary.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에는 각 민족의 문화나 풍속에 따라 전통 장례의식을 치루게 되고, 각 나라의 지리적 여건에 따라 매장을 하거나 화장을 하여 납골묘에 유골을 안치하거나 중동지방의 유태의 경우와 같이 암벽에 석굴을 만들어 시신을 보관하거나 옛날 이집트의 경우와 같이 미이라를 만들어 안치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person dies, traditional funeral ceremonies are held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customs of each nation, and burial or cremation are buri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 conditions of each country, and the remains are placed in the ossuary graves, or as in the case of Jews in the Middle East. The caves are made in the cave to store the bodies, or mummies are made and enshrined as in ancient Egypt.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선산이나 산소를 미리 선정하여 놓고 시신을 관에 넣어 지중에 매장하고 의례에 의하여 년중 수시로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는 조상을 잘 모셔야 한다는 유교적 관습에 기초한 것으로 개인묘, 종중묘, 공동묘 등의 형태가 있다.In Korea, traditionally, sunsan or oxygen are selected in advance, bodies are buried in the casket, and ceremonies are often held during the year. It is based on the Confucian custom of taking good care of ancestors. There are forms of personal graves, graves, and cemeteries.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토는 한정되어 있고 묘의 기수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어 묘에 의하여 잠식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즉, 시신 매장은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세대가 흐를수록 많은 묘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국토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매장의 풍습에 따라 시신을 처리할 경우에는 묘지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전체 토지에 대한 묘역의 비율은 약 6%에 육박할 정도이다.However, in Korea, the national territory is limited, and the head of the tomb is increasing every year. As the area encroached by the grave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use the national territory efficiently. That is, the burial of the body occupies a certain area, and as the generation passes, more grave space is required. In Korea, where the land area is small,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cemetery when the body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customs of the store, and it is an obstacle to the efficient use of the country. In fact, the ratio of graveyards to the total land in Korea is about 6%.

따라서 정부에서는 오래 전부터 장례문화를 개선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최근에는 묘의 면적을 제한하는 법령이 제정되기에 이르렀고(1기당 4평 이하), 그 대안으로서 시신을 화장하여 남은 유골분만을 보관하는 '납골묘' 형태의 유골안치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Therefore, the government has long studied to improve the funeral culture, and recently, a law was established to limit the area of graves (less than 4 pyeong per uni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ashes be placed.

이러한 납골묘 방식은 각국에서 자국의 실정에 따라 운용되고 있으며 그 납골묘의 건축형태도 각 나라의 전통 건축양식이나 풍습에 맞게 다양하게 건축되고 있다.The ossuary method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in each country, and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ossuary is variously built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customs of each country.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납골묘 내부의 유골함(40)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0은 장방형 석벽(20)으로 구성되는 납골묘이며, 이 납골묘(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골함(40)을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선반(30)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내부로 사람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문(1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32는 상기 납골묘(10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된 선반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ryp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h box 40 is accumulated in the conventional crypt. In thes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crypt, which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stone wall 20, and a plurality of shelves 30 are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rypt to have a plurality of ashes 40 placed therein. The door 10 is installed to allow a person to enter the room. Reference numeral 32 is a shelf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ossuary grave 100.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납골묘에 시신을 안치하고자 하면, 먼저 화장 후 유골분이 담긴 유골함(40)을 들고 상기 납골묘(100) 정면에 설치된 출입문(10)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선반(30) 상에 정렬하여 적치한다.When the body is to be placed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ossuary, first, after the cremation, the ashes 40 containing the ashes and the ashes are opened, and the door 1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ossuary 100 is opened and enters into the shelf 30 so as to be stacked. do.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납골묘에서는 좌우 석벽(20)의 선반(30)과 중앙 선반(32)에 유골함(40)을 차례대로 안치하여 종중이나 가족형으로 사용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ossuary grave of such a structure, the ashes 40 are sequentially placed on the shelves 30 and the central shelves 32 of the left and right stone walls 20 to be used in the middle or family type.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납골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주로 목재인 상기 선반(30),(32)이나 유골함(40)이 심하게 훼손되거나 곰팡이 냄새가 심하며, 천장이나 벽 등에서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 즉 내부와 외부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로현상은 내부가 어둡고 습기가 많아 음산하고 침침한 분위기와 함께 무서운 기분을 느끼게 하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어서 후손들이 자주 찾아가지 않는 계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납골묘(100)의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하는데, 다습하고 냄새가 심하여 내부시설 관리 내지 청소가 매우 까다로웠고,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질 때에 단일벽의 경우 쉽게 붕괴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rypts formed in this way is condensation phenomenon occurs mainly the wood shelves (30), 32 or ashes 40 is severely damaged or a bad smell of mold, dew condensation that forms on the ceiling or wall, that is, Condensation occurred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differences. This condensation is dark and humid inside, creating a mood that makes you feel scary with a dreary and sullen atmosphere. And the interior of the gravel grave 100 should be cleaned regularly, humid and odor was very difficult to clean the internal facilities or cleaning, and when a strong external shock is applied, the single wall easily collapsed.

한편, 하절기 우기에는 납골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고 이 빗물이 정체되어 고이게 됨에 따라 각종 문제가 빈번하였으며,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묘는 원형인 점에 기인하여 납골묘 자체도 원형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ainy season in summer, various problems were frequently caused by rainwater penetrating into the ossuary and stagnant rainwater, and traditionally, there was a demand to construct the ossuary itself in a circle due to its circular shape.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원형으로 구성되는원석 벽체에 유골 안치를 홈을 형성하고 이중벽을 형성하여 통풍에 만전을 기하며 납골묘 내부에 스며드는 물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원형 납골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form a groove in the stone wall is composed of a circular groove formed a double wall to ensure ventilation and smoothly penetrate the water inside the ossuary gravel to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lar crypt that allows for discharge.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납골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ypical representative ossuary

도 2는 종래의 납골묘 내부의 유골함이 적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hes in the conventional ossuary piled up

도 3은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주요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circular ossuary grav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봉분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state without installing the rod powder of the circular crypt

도 5는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circular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배수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유골함 42 : 안치구멍40: ashes 42: settle hole

50 : 기초석 52 : 배수홈50: foundation stone 52: drain groove

60 : 외벽체 62 : 공간60: outer wall 62: space

64a : 사각기둥 64b : 장식편64a: square pillar 64b: decorative piece

64 : 연결체 70 : 내부 공간64: connector 70: internal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는,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어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초석과,A plurality of basic stone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with an outer surface,

상기 기초석 내측에, 이 기초석과 대응하여 순서대로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외벽체 및 다수개의 유골함과,Inside the foundation stone, a plurality of outer walls and a plurality of ashes arranged in a circular or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oundation stone,

상기 외벽체와 유골함 사이는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배치되며,The outer wall and the ashes are arranged to have a certain space,

상기 유골함은 유골단지를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The ashe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tled holes are formed to settle the ash complex.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의 중간부에는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구멍의 저부에 배수를 위하여 외부와 통하도록 작은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배수홈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is configuration, a drainage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oundation stone, and a small drainage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h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or drainage, and the drainage hole corresponds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drainage groove. Preferably arranged to

또 상기 다수개의 외벽체는, 외벽체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인접한 다른 외벽체 사이에, 사각기둥과 외벽체 끝단을 감싸도록 상기 사각기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장식편으로 구성되는 연결체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connecting member consisting of a decorative piece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quare pillar to surround the square pillar and the end of the outer wall between adjacent adjacent outer wall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It is good.

따라서,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원형 납골묘이기 때문에 전통묘의 묘미를 충분히 살린 원형 납골묘가 제공되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으며 반영구적이고, 유골함 자체를 내부 벽체로 구성하고 이 내부 벽체와 일정 간격을 두고 외부 벽체로 구분하여 이중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풍이 양호하고 결로현상이 배제되며 누수된 물은 배수구멍 및 배수홈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 배출이 되어, 유골함 내부에 곰팡이가 슬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연보호에도 효과가 있다.Therefore, because it is a circular ossuary that can store the ashes using the gemstones, a round ossuary is provided which makes full use of the goodness of the traditional tombs.It is luxurious, abominationless and semi-permanent. Because it is divided into external walls and composed of double walls, it is well ventilated and condensation is eliminated. The leak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drain holes and drain grooves. It is also effective for nature conserva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cry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주요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봉분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의 배수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state without installing the rod of the 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t is a partial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devoid circular ossuary.

종래 설명과 같은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고자 하며, 본 고안에서는 물품 특성 상 일부부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석재를 사용하고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the conventional description, an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the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most all of the stones are used except for some par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

도 3을 참조하면, 부호 50은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초석이다. 이 기초석(50)의 외면은 호(弧) 형상을 이루고 내부는 육각형을 이루며, 기초석(50)의 중간부에는 배수홈(52)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 plurality of basic stones arranged in a circle. The out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one 50 forms an arc shape, the inside forms a hexagon, and the drain groove 5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oundation stone 50.

상기 기초석(50) 내측에는, 이 기초석(50)과 대응하여 순서대로 다수개의 외벽체(60)와 다수개의 유골함(40)이 배치되는데, 상기 외벽체(60)와 유골함(40) 사이는 일정한 공간(62)을 두고 원형의 기초석(50) 형상에 대응하여 기초석(50) 둘레를 따라서 설치된다.Inside the foundation stone 50, a plurality of outer wall 60 and a plurality of ashes 40 are arranged in or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oundation stone 50, and a constan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60 and the ashes 40. 62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undation stone 50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foundation stone 50 shape.

상기 유골함(40)은 도시한 도면에 있어서는, 유골단지 2기를 안치할 수 있도록 원형의 안치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3개 등으로 그 개수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figure 40, the ash box 40 has a circular settling hole 42 is formed so that two ashes complex can be settl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number, and the number is one or three. Of course, it can be variable.

상기 안치구멍(42)의 저부에는 배수를 위하여 외부와 통하도록 작은 배수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A small drain hole 4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hole 4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or drainage.

이 배수구멍(44)은 상기 기초석(50) 상에 단면으로 보아 반원 형상으로 된 배수홈(5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안치구멍(42)에 고이는 물은 상기 배수홈(52)을 통하여 배수구멍(44)으로 유입되고 배수홈(52)을 통하여 땅 속으로 스며들도록 구성되거나, 원형 납골묘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The drain hole 44 is disposed on the base stone 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drain groove 52 that is semicircular in cross section. Therefore, water that accumulates in the settling hole 42 is configured to flow into the drain hole 44 through the drain groove 52 and permeate into the ground through the drain groove 52 or to be drained out of the circular ossuary grave. (See FIG. 6).

상기 유골함(40)의 외면 및 외벽체(60) 전체는 호(弧) 형상을 이루어 기초석(5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외벽체(60)와, 이 외벽체(60)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인접한 다른 외벽체(60) 사이에는 연결체(64)를 이용하여 설치강도를 높이고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ash box 40 and the entire outer wall 60 is formed on the base stone 50 to form an arc (弧) shape. The installation strength is increased by using the connecting body 64 between the outer wall body 60 and another adjacent outer wall body 60 which is installed next to the outer wall body 60.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64)는 내측이 유골함(40)의 외면과 맞닿도록 사각기둥(64a)으로 되며 외측은 인접하는 2개의 외벽체(60) 끝단을 감싸도록 상기 사각기둥(64a)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날개 형상의 장식편(64b)으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connecting body 64 is a square pillar (64a) so that the inn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sh box 40, the outer side to surround the end of the two adjacent outer wall body (60) It consists of the wing-shaped decoration piece 64b which has the width larg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pillar 64a.

따라서 2개의 외벽체(60)를 사각기둥(64a)이 삽입될만한 간격을 두고 미리 배치한 후 연결체(64)를 조립하면 2개의 외벽체(60)가 강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보아 장식편(64b)이 매우 미려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wo outer walls 60 are arranged in advance at intervals where the square pillars 64a can be inserted, and then the assembling member 64 is assembled, the two outer walls 60 are not only firmly coupled, but also viewed from the outside. 64b creates a very beautiful atmosphere.

한편, 다수개의 유골함(40)이 원형으로 배치되고 내측에는 육각형으로 구획정리되며, 이들 다수개의 유골함(40)이 배치됨으로써 자연 형성되는 내부 공간(70)에는 봉분이 되는 기초 토사가 매립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ashes 40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partitioned in a hexagon inside, and the plurality of ashes 40 is disposed by embedding the foundation soil to be a seal in the internal space 70 formed naturally.

그리고, 기초석(50) 하부에는 통상의 기초 콘크리트층이 타설되어 원형 납골묘 내부에서 자연발생하는 물을 원형 납골묘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게 하며, 다수개의 자갈을 채워 넣은 자갈층으로 구성되는 여과조를 부가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under the foundation stone 50, a common foundation concrete layer is poured to enable the natural water generated inside the circular crypt to be smoothly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ircular crypt, and a filter tank including a gravel layer filled with a plurality of gravel is added. Of course it can be installed.

이러한 구성은 원형 납골묘 시공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기초 콘크리트 층 및 여과조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0-14158호 명세서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a general matt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circular ossuary,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For specific details of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and the filtration tank,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specif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14158, which is an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실시예에서는 기초석(50)의 내측단을 육각형으로 하고 있고 외벽체(60)의 연결을 연결체(64)를 이용하여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단을 팔각형으로 하거나, 외면과 같이 그대로 원형으로 변경구성이 가능하며 연결체(64)를 이용하지 않고 곧바로 외벽체(60)끼리 맞대어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end of the foundation stone 50 is hexagonal, and the connection of the outer wall 60 is made using the connecting body 64. However, the inner end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inner end is octagonal or the ou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figuration as it is, as it is, and can be installed to face the outer wall 60 directly without using the connecting body (64).

어디까지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유골함(40)을 보관하고 원형 납골묘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 또는 그 용도로 설계된 구조라면 얼마든지 응용 가능하다 하겠다.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any purpose of storing the ashes 40 and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circular ossuary, or any structure designed for the purpose.

도 5에서 부호 66은 다수개로 배치되는 외벽체(60) 및 유골함(40) 상부에 얹혀지는 가사이다.In FIG. 5, reference numeral 66 denotes a housework mounted on the outer wall 60 and the ash box 40 disposed in plural.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는, 상기 다수개의 안치구멍(42) 내에 별도로 준비되는 유골상자 또는 유골단지를 넣거나 유골만을 안치하게 된다. 이러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분(80)을 씌워서 납골묘를 마무리하게 된다.Circular ossuary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shes box or ashes complex prepared separately in the plurality of settled holes 42 or only the ashes are plac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5, the bonnet seedlings are finished by covering the rod powder 80.

따라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석(50)이 원형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다수개의 외벽체(60) 및 유골함(40)이 기초석(50)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어, 안정성과 더불어 전통묘의 맛을 충분히 살리고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base stone 50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outer walls 60 and ashes 40 are installed along the base stone 50 around, the stability of the traditional grave I make full use of taste.

또 외벽체(60)의 외면에는 각종 문양을 조각할 수도 있으며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라 우아하면서도 장중하게 얼마든지 응용 설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60) can be sculpted in a variety of patterns and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it is possible to design an application as much as possible elegan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형 납골묘에 의하면, 원석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원형 납골묘이기 때문에 전통묘의 묘미를 충분히 살린 원형 납골묘가 제공되며, 고급스럽고 혐오감이 없으며 반영구적이고, 유골함 자체를 내부 벽체로 구성하고 이 내부 벽체와 일정 간격을 두고 외부 벽체로 구분하여 이중벽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통풍이 양호하고 결로현상이 배제되며 누수된 물은 배수구멍 및 배수홈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 배출이 되어, 유골함 내부에 곰팡이가 슬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연보호에도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ircular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 circular ossuary which can store the ashes using gemstones, a circular ossuary is provided which fully utilizes the goodness of the traditional tombs. Because it is composed of double wall by dividing it into outer wall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inner wall, it is well ventilated, condensation is eliminated, and the leak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drain hole and drain groove.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does not have mildew inside and is effective for nature conservation.

Claims (3)

외면이 호 형상을 이루어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초석(50)과,A plurality of basic stones 50 and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상기 기초석(50) 내측에, 이 기초석(50)과 대응하여 순서대로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외벽체(60)와 다수개의 유골함(40)과,Inside the foundation stone 50, a plurality of outer wall body 60 and a plurality of ashes 40 are arranged in a circular or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oundation stone 50, 상기 외벽체(60)와 유골함(40) 사이는 일정한 공간(62)을 가지도록 배치되며,Between the outer wall 60 and the ash box 40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62, 상기 유골함(40)은 유골단지를 안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안치구멍(42)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납골묘.The ossuary 40 is a circular ossuar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ttled holes 42 are formed so as to place the ashes complex.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50)의 중간부에는 배수홈(52)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구멍(42)의 저부에 배수를 위하여 외부와 통하도록 작은 배수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멍(44)은 상기 배수홈(52)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납골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ainage groove 52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ase stone 50, the small drain hole 44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ettling hole 42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or drainage And the drain hole 44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drain groove 52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외벽체(60)는, 외벽체(60)에 연이어서 설치되는 인접한 다른 외벽체(60) 사이에, 사각기둥(64a)과 외벽체(60) 끝단을 감싸도록 상기 사각기둥(64a)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장식편(64b)으로 구성되는 연결체(64)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납골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outer wall 60, between the other adjacent outer wall 60, which is installed in succession to the outer wall 60, the square pillar 64a and the end of the outer wall 60 to surround the square pillar A circular cryp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installed using a connecting member 64 composed of a decorative piece (64b)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64a).
KR2020000016169U 2000-06-08 2000-06-08 Circle type charnel house KR2002015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69U KR200201585Y1 (en) 2000-06-08 2000-06-08 Circle type charnel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69U KR200201585Y1 (en) 2000-06-08 2000-06-08 Circle type charnel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85Y1 true KR200201585Y1 (en) 2000-11-01

Family

ID=1965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169U KR200201585Y1 (en) 2000-06-08 2000-06-08 Circle type charnel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8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585Y1 (en) Circle type charnel house
JP2009235697A (en) Joint grave
KR200200935Y1 (en) Charnel house
CN202645115U (en) Building, tower and tombstone universal cemetery
KR200335516Y1 (en) A charnel house
KR200216704Y1 (en) Prefabricated charnel house
KR200179369Y1 (en) Building structure for charnel house
KR200298973Y1 (en) Chanel house
Kleiss Safavid palaces
CN219387430U (en) Green ecological underground public cemetery
Shdaifat et al. Shuqayra Al-Gharbiyya: A New Early Islamic Compound in Central Jordan
CN210264133U (en) Underground cemetery
KR200245087Y1 (en) Burial grave and charnel house mixing graveyard
KR20090085397A (en) The charnel tomb
KR200227287Y1 (en) A prefabricated stone charnel house
KR200475777Y1 (en) Charnel Tomb having Ventilating Structure and Plural Deposit Room
KR100425011B1 (en) Family laying grave
KR200267616Y1 (en) A Charnel House
Roeten The symbolism of the number three in various forms of material culture in funerary architecture during the Old Kingdom
KR200264411Y1 (en) Family laying grave
KR200287348Y1 (en) Family charnel
JP2023118419A (en) Cinerary urn type graveyard structure
KR200193196Y1 (en) Family charnel burial ground
KR200224082Y1 (en) Traditional Cemetery and Ossuary
AU715396B2 (en) Above ground interment memo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