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903A - 부저 - Google Patents

부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903A
KR20010076903A KR1020000004325A KR20000004325A KR20010076903A KR 20010076903 A KR20010076903 A KR 20010076903A KR 1020000004325 A KR1020000004325 A KR 1020000004325A KR 20000004325 A KR20000004325 A KR 20000004325A KR 20010076903 A KR20010076903 A KR 2001007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il
buzzer
yok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성일
Original Assignee
신건영
(주) 경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건영, (주) 경도전자 filed Critical 신건영
Priority to KR102000000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6903A/ko
Publication of KR2001007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9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음을 내는 신호 기구인 부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착 방법에 의해 프레스 압착시 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치수 변동의 오차로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없는 부저의 폴을 미세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폴의 상단부와 진동판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부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저는 폴에 요크와 PCB를 삽입한 후 폴의 일측을 리벳팅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길어짐은 물론이고, 리벳팅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PCB 및 핀이 휘는 등의 결점이 있으며, 리벳팅을 위해 프레스 압착시 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치수 변동의 오차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이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마그네트와, 이 코일과 마그네트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여 신호음을 발음하는 진동판 등으로 이루어진 부저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보빈의 중앙에 삽입되는 폴을 나사 형태의 스크류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나사부가 형성된 요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저의 폴을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프레스 압착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폴의 상단부와 진동판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저{BUZZER}
본 발명은 진동음을 내는 신호 기구인 부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압착 방법에 의해 프레스 압착시 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치수 변동의 오차로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없는 부저의 폴을 미세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폴의 상단부와 진동판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부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저(Buzzer)란 진동음을 내는 신호 기구의 일종으로서 보통 전자석을 이용하여 가동 철편을 진동시킨다.
직류용에서는 가동 철편에 접점을 조합, 전자석의 흡인에 의해 접점이 끊기며 전령과 같이 단속 진동한다.
교류용에서는 전자석에 가동 철편을 근접시켜 교류의 변화에 따라 전원 주파수의 2배(50에서는 100Hz, 60에서는 120Hz)에서 철편이 진동한다.
직류용, 교류용, 또는 직류·교류 양용의 각종 전압의 것이 있으며, 벨이나 경보기 등 신호용으로 이용된다.
또, 트랜지스터를 내장한 무접점식의 특수한 부저도 있다.
이러한 부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직류 부저는 핀(Pin)(1)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 라 칭함)(2)에 압착하고, 요크(3)의 중심과 상기 핀(1)이 결합된 PCB(2)의 중심을 일치시켜 폴(Pole)(4)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하며, 상기 폴(4)에 권선하거나 미리 권선된 코일(6)을 삽입하고, 상기 코일(6)의 양 선단을 인출하여 상기 PCB(2)의 +전극 또는 -전극에 각각 납땜 등으로 연결하며, 상기 요크(3)의 상부에는 상기 코일(6)을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태로 원통형상의 진동판 지지구용 마그네트(7)를 안착시키고, 상기 마그네트(7)의 상부에 진동판(8)을 설치하며, 그 외부에 외장 케이스(9)를 씌운 다음 상기 외장 케이스(9)와 상기 PCB(2) 사이를 에폭시(10)로 밀폐시킴으로서, 일련의 부저를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 (5)는 상기 코일(6)을 상기 폴(4)에 권선시 상기 코일(6)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빈이다.
이러한 종래의 부저는 상기한 진동판(8)을 떨게 함으로서 발생하는 진동음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마그네트(7)에서 발생하는 자장을 금속재인 요크(3)가 상기 마그네트(7)의 자장을 흡수하여 폴(4)에 전달하게 함으로서, 이 자장에 의해 진동판(8)은 항상 일정하게 휘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류를 핀(1)을 통해서 상기 PCB(2)를 통해 통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코일(6)에서 발생되는 자장이 상기 폴(4)을 통해 인가되면서 상기한 진동판(8)을 더 휘어지게 하고, 다시 전류를 차단하게 되면 상기 폴(4)에 자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휘어진 진동판(8)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발생하는 떨림 현상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저는, 상기 폴(4)의 상단부와 진동판(8)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간극에 미세한 차이라도 발생하게 되면 주파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진동판(8)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저는 상기와 같이 폴에 요크와 PCB를 삽입한 후 폴의 일측을 리벳팅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길어짐은 물론이고, 리벳팅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PCB 및 핀이 휘는 등의 결점이 있으며, 리벳팅을 위해 프레스 압착시 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치수 변동의 오차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이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압착 방법에 의해 프레스 압착시 힘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치수 변동의 오차로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없는 부저의 폴을 미세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폴의 상단부와 진동판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부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마그네트와, 이 코일과 마그네트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여 신호음을 발음하는 진동판 등으로 이루어진 부저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보빈의 중앙에 삽입되는 폴을 나사 형태의 스크류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나사부가 형성된 요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부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나사부가 형성된 요크에 스크류가 나사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Pin) 2 : PCB
3 : 요크 4 : 폴(Pole)
5 : 보빈 6 : 코일(Coil)
7 : 마그네트 8 : 진동판
9 : 외장 케이스 10 : 에폭시
30 : 나사부가 형성된 요크 35 : 나사부
40 : 스크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저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6)과, 이 코일(6)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마그네트(7)와, 이 코일(6)과 마그네트(7)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여 신호음을 발음하는 진동판(8) 등으로 이루어진 부저에 있어서,
상기 코일(6)을 권선하기 위한 보빈(5)의 중앙에 삽입되는 폴을 나사 형태의 스크류(40)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나사부(35)가 형성된 요크(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부저의 결합 상태를 도 3 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핀(1)을 PCB(2)에 압착한 후, 중앙에 나사부(35)가 형성된 요크(30)의 중심과 상기 핀(1)이 결합된 PCB(2)의 중심을 일치시켜 연결하고, 상기 나사부(35)가 형성된 요크(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35)에 스크류(40)를 관통하는 형태로 나사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40)는 부저의 사양에 따라 높이를 미세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리벳팅시 발생되는 공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저의 사양에 따라 높이가 미세 조절된 스크류(40)에 코일(6)을 권선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6)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빈(5)을 삽입한 후, 상기 스크류(40)에 코일(6)을 권선하거나 미리 코일(6)이 권선된 보빈(5)을 삽입하고, 상기 코일(6)의 양 선단을 인출하여 상기 PCB(2)의 +전극 또는 -전극에 각각 납땜 등으로 연결한다.
상기 나사부(35)가 형성된 요크(30)의 상부에는 상기 보빈(5)을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태로 원통형상의 진동판 지지구용 마그네트(7)를 안착시키고, 상기 마그네트(7)의 상부에 진동판(8)을 설치하며, 그 외부에 외장 케이스(9)를 씌운 다음 상기 외장 케이스(9)와 상기 PCB(2) 사이를 에폭시(10)로 밀폐시킴으로서, 일련의 부저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부저는, 외부로부터 핀(1)을 통해 코일(6)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코일(6)에 흐르면서 스크류(40)에 권선된 코일(6)에 여자(勵磁)되어 스크류(40)로부터 전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40)로부터 전자력이 발생되는 순간, 마그네트(7)에 안착된 진동판(8)의 중앙이 전자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스크류(4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코일(6)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면 스크류(40)가 전자력을 잃으면서 진동판(8)은 자체 탄성에 의해 스크류(40)의 상부로부터 떨어져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코일(6)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이 반복적으로 공급/차단되면 진동판(8)은 구동전원이 공급/차단되는 속도에 대응되게 상하로 진동하면서 신호음을 발생하고, 발생된 신호음은 외장 케이스(9)에 형성된 신호음 출력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저는, 부저의 폴을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프레스 압착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폴의 상단부와 진동판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6)과, 이 코일(6)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마그네트(7)와, 이 코일(6)과 마그네트(7)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여 신호음을 발음하는 진동판(8) 등으로 이루어진 부저에 있어서,
    상기 코일(6)을 권선하기 위한 보빈(5)의 중앙에 삽입되는 폴을 나사 형태의 스크류(40)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류(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나사부(35)가 형성된 요크(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40)는,
    부저의 사양에 따라 높이를 미세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리벳팅시 발생되는 공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저.
KR1020000004325A 2000-01-28 2000-01-28 부저 KR20010076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25A KR20010076903A (ko) 2000-01-28 2000-01-28 부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325A KR20010076903A (ko) 2000-01-28 2000-01-28 부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03A true KR20010076903A (ko) 2001-08-17

Family

ID=1964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325A KR20010076903A (ko) 2000-01-28 2000-01-28 부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69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3793A1 (en) * 2005-04-20 2008-0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 device for ele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3793A1 (en) * 2005-04-20 2008-0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 device for elevator
EP1873793A4 (en) * 2005-04-20 2010-11-0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MAGNETIC EQUIPMENT FOR ONE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617B2 (en)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RE36327E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40084363A (ko) 진동 및 음향 겸용 스피커
CN110267170B (zh) 屏幕发声装置
KR10043958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KR20010076903A (ko) 부저
KR101052825B1 (ko) 초슬림형 스피커
KR101351892B1 (ko) 음향변환장치
EP3893519B1 (en) Receiver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CN211089954U (zh) 一种激励器和电子产品
KR19990041872A (ko) 이중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스피커 구조
CN111372174A (zh) 一种受话器
CN108347680B (zh) 一种发声器
CN209497588U (zh) 一种受话器
US11943597B2 (en) Receiver
CN209823955U (zh) 一种受话器
KR200190916Y1 (ko) 부저
JP2003219495A (ja) スピーカ装置
CN210694295U (zh) 振膜及采用该振膜的受话器
KR102146285B1 (ko) 스피커
CN111372171A (zh) 一种受话器
KR200196144Y1 (ko) 플렉시블 피씨비 스피크
CN116389998A (zh) 发声装置和终端设备
CN111372175A (zh) 一种受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