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921A -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921A
KR20010075921A KR1020000002869A KR20000002869A KR20010075921A KR 20010075921 A KR20010075921 A KR 20010075921A KR 1020000002869 A KR1020000002869 A KR 1020000002869A KR 20000002869 A KR20000002869 A KR 20000002869A KR 20010075921 A KR20010075921 A KR 20010075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sewage
tank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634B1 (ko
Inventor
방경석
Original Assignee
방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경석 filed Critical 방경석
Priority to KR202000000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957Y1/ko
Priority to KR1020000002869A priority patent/KR1003326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오수 등 하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자동공급하여 수도물의 절수와 수질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오수가 배출되는 하수라인(200)을 필터(20)를 거쳐 유량게이지(31)와 워터펌프(40)가 설치된 집수조(30)에 연결하고, 상기 워터펌프(40)의 출력측은 부레(3)의 승강에 따라 접점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60)가 설치된 변기수조(5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60)와 워터펌프(40)를 리미트 스위치(60)의 접점동작에 의해 신호발생하는 콘트롤러(70)로 연결하여 변기수조(50)내 하수의 자동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Water suppling apparatus for a stool}
본 발명은 수세식변기에 세척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오수 등 하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자동공급하여 수도물의 절수와 수질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변기는 변기에 급수장치를 하여 오물이 물에 씻겨 내려가게 처리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 위에 변기수조(50)가 형성되고, 이 수조(50)내에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부레식 밸브(2)가 형성되면서, 이 밸브(2)에 상수라인(100)이 연결되어 예컨대 수도와 같은 상수가 공급되도록 된 것이다.
즉, 종래의 수세식변기는 수도물과 같은 생활용수의 낭비가 심하고, 오·폐수의 과량배출로 수질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세면대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공급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오수를 재활용하여 수도물을 절수할 수 있고 수질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 종래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 본 발명의 전체구조도
도 3 - 본 발명의 부분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
2 : 부레식 밸브
3 : 부레
10 : 세면기
20 : 필터
30 : 집수조
31 : 유량게이지
40 : 워터펌프
50 : 변기수조
60 : 리미트 스위치
70 : 콘트롤러
100 : 상수라인
110 : 상수밸브
200 : 하수라인
210 : 하수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는, 오수가 배출되는 하수라인(200)을 필터(20)를 거쳐 유량게이지(31)와 워터펌프(40)가 설치된 집수조(30)에 연결하고, 상기 워터펌프(40)의 출력측은 부레(3)의 승강에 따라 접점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60)가 설치된 변기수조(5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60)와 워터펌프(40)를 리미트 스위치(60)의 접점동작에 의해 신호발생하는 콘트롤러(70)로 연결하여 변기수조(50)내 하수의 자동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조도로서, 본 발명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는 세면기(10) 등에서 발생된 생활오수를 변기수조(50)에 공급함과 더불어 변기수조(50)내 수위에 따라 오수의 자동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생활오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는, 세면기(10)나 싱크대 등에서 발생된 오수가 유통되는 하수라인(200)이 필터(20)를 거쳐 집수조(30)에 연결되고 다시 워터펌프(40)를 통해 변기수조(50)에 연결되어 오수가 공급되고, 아울러 이 변기수조(50)에는 리미트 스위치(60)가 장착되면서 콘트롤러(70)에 배선됨과 동시에 다시 상기 워터펌프(40)에 배선되어 변기수조(50)내 수위에 맞춰 워터펌프(40)를 작동하면서 오수의 자동보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 부분상세도로서 도 3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세면기(10) 등에서 유출된 오수는 하수라인(200)을 통해 집수조(30)에 이송된다. 이 집수조(30)에는 도 3a와 같이 상부에 필터판(20)이 형성되고 측면으로 집수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유량게이지(31)가 설치되며 워터펌프(40)가 장착되어 있다. 즉, 하수라인(200)을 통해 이송된 오수는 그 부유물이나 이물질이 필터(20)에 의해 걸러지면서 집수조(30)에 저장되고, 다시 워터펌프(40)를 통해 통상의 변기수조(50)에 공급된다.
상기 워터펌프(40)에서 나온 하수라인(200)은 변기수조(50)에 직접 연계되거나, 또는 변기수조(50)에 도 3b와 같이 통상의 T자관을 사용하여 기존의 수도물이 공급되는 상수라인(100)과 연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상수라인의 밸브(110)를 잠근 상태에서 하수라인의 밸브(210)를 개방하여 상기 집수된 오수가 변기수조(50)에 공급될 수 있으며, 또한 집수조(30)의 오수저장량이 적거나 사용상 필요한 경우에 상기 하수밸브(210)를 폐쇄하고 상수밸브(110)를 열어 수도물을 변기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기수조(50)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부레(3)의 승강에 따라 접점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60)가 설치된다. 이 스위치(60)는 그 접점신호를 수신하는 콘트롤러(70)와 연결되고 이 콘트롤러(70)는 다시 상기 워터펌프(70)와 연결되어 있다.
즉, 변기수조(50)내 수위가 낮은 경우, 즉 부레(3)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60)는 이격되어 콘트롤러(70)에 의해 워터펌프(40)가 가동되면서 집수조(30)에 저장된 오수가 수조(50)내로 공급된다.
반면, 수조(50)내 수위가 높은 경우, 즉 부레(3)가 승강되어 리미트 스위치(60)가 접점되면 콘트롤러(70)는 그 신호를 수신하고 워터펌프(40)의 작동을 정지시키면서 오수의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를 하수라인을 통해 변기의 세척수로 공급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오수의 공급이 변기수조내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상 편리하면서 수도물을 절수하고 수질오염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오수가 배출되는 하수라인(200)을 필터(20)를 거쳐 유량게이지(31)와 워터펌프(40)가 설치된 집수조(30)에 연결하고,
    상기 워터펌프(40)의 출력측은 부레(3)의 승강에 따라 접점동작되는 리미트 스위치(60)가 설치된 변기수조(5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60)와 워터펌프(40)를 리미트 스위치(60)의 접점동작에 의해 신호발생하는 콘트롤러(70)로 연결하여 변기수조(50)내 하수의 자동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1020000002869A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10033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76U KR200184957Y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1020000002869A KR100332634B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869A KR100332634B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76U Division KR200184957Y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921A true KR20010075921A (ko) 2001-08-11
KR100332634B1 KR100332634B1 (ko) 2002-05-09

Family

ID=196403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76U KR200184957Y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KR1020000002869A KR100332634B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76U KR200184957Y1 (ko) 2000-01-21 2000-01-21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49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09B1 (ko) 2015-04-30 2016-02-12 이병희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KR20170017048A (ko) 2015-08-04 2017-02-15 이병희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36B1 (ko) * 2000-09-01 2003-04-18 파츠닉(주) 화성공정의 전해액 순환장치
KR101327834B1 (ko) * 2011-03-17 2013-11-11 김상민 자동 양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09B1 (ko) 2015-04-30 2016-02-12 이병희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KR20170017048A (ko) 2015-08-04 2017-02-15 이병희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634B1 (ko) 2002-05-09
KR200184957Y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2634B1 (ko)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
JPH11100884A (ja) 真空排水設備
US20230183962A1 (en) Water reuse device for reusing water used in the bathroom as water for toilets with flush valves
CN201106194Y (zh) 多功能节水洗便柜
CN200985528Y (zh) 家庭循环给排水系统
KR100329838B1 (ko) 생활용수 재활용 장치
KR101002645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100274537B1 (ko)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CN101338575A (zh) 民用节水装置
KR200266218Y1 (ko)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CN215253197U (zh) 一种洗面台节水装置
KR200247255Y1 (ko)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CN212053041U (zh) 一种具备中水回用功能的洗脸盆柜
JP2012143518A (ja) 浄化装置付雨水タンク
KR20000027953A (ko) 세면대의 오수 재활용 장치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KR100744762B1 (ko) 세면수 재활용 세면대 구조
CN210288599U (zh) 卫生间节水装置
KR101128979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378874B1 (ko) 세면기 배수를 이용한 양변기 급수장치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KR100703627B1 (ko) 수세식 변기에 활용되는 세면대 물 재활용 장치
KR100259513B1 (ko) 좌변기의 물 공급장치
CN1990966A (zh) 废水二次再利用的节水装置
KR100226143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 변기의 용수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