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907A -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907A
KR20010075907A KR1020000002848A KR20000002848A KR20010075907A KR 20010075907 A KR20010075907 A KR 20010075907A KR 1020000002848 A KR1020000002848 A KR 1020000002848A KR 20000002848 A KR20000002848 A KR 20000002848A KR 20010075907 A KR20010075907 A KR 2001007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idge
inspection vehicle
bridge inspection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전태수
주식회사 경포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수, 주식회사 경포공영 filed Critical 전태수
Priority to KR102000000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5907A/ko
Publication of KR2001007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90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의 상판 하부를 따라 설치되어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폭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단된 제 1경사끝단면을 갖는 제 1레일 및 제 1레일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어 교량에 설치되고 제 1경사끝단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 2경사끝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2레일을 포함하는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슬라이드 플레이트 등의 부품이 필요치 않고, 허용공차를 크게 할 수 있어 시공이 쉬울 뿐만 아니라 교량점검차가 틈새를 통과할 때에도 덜컹거림이 발생치 않아 레일과 그 레일이 지지되는 교량구조물에 충격력을 작용시키지 않아 교량점검차와 교량구조물에 구조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 교량점검차의 승차감도 뛰어나며, 유지보수비용도 적게 소요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structure of rail conn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rmal expansion for bridge inspection vehicle}
본 발명은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구조물의 상판 하부를 따라 설치되어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은 지상에 설치되어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여주는 교각과 교각 상에 일체로 설치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횡빔과 횡빔 위에 설치된 철로 이루어진 종빔과 종빔 상에 탑재된 상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교량구조물은 자연현상에 의한 부식과 그 위를 통과하는 각종 차량의 진동 등으로 인한 균열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이 많이 통과하는 교량에는 교량점검대를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교량 각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옛날에는 고정식 교량점검대를 교량구조물의 하부에 설치하여 그 부위만을 점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상판 하부를 따라 레일을 설치하고,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교량점검대를 설치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면서 교량구조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교량 점검차량의 일반적인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는 교량(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교량(10)은 교각(12)과 교각(12) 상에 일체로 설치된 횡빔(14)과 횡빔(14)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종빔(16)과 종빔(16) 상에 탑재된 상판(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횡빔(14)은 철근 콘크리트로 교각(12)과 일체로 만들어지며, 종빔(16)은 사각 단면을 갖는 박스형태의 철구조물로 만들어진다. 또 상판(18)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10)의 양측 상판(18) 하부 일측에는 결속구를 통해 레일(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20)의 설치상태는 도 2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량(10)의 양측으로 설치된 레일(20)에는 교량점검차(100)가 각각 매달려 있다. 이 교량점검차(100)는 교량(10)의 상판(18) 하부 각 부분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대차(110)와 대차(110)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점검자(15)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선회대(120)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필요한 부분을 검사하고 나면, 좌, 우 중앙부 연결부위를 해제하고 각 선회대(120)를 90。 회동시켜 교량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한다. 그런 다음 레일(20)을 따라 대차(110)를 이동시켜 교각(12)을 통과한다. 교각(12)통과 후에는 다시 선회대(120)를 그 끝단이 반대편을 향하도록 90。 회동시켜 다시 선회대(120)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고 필요한 부분을 검사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교량(10)의 상태를 점검한다. 이와 같은 교량점검차(100)가 매달려 이동하는 레일(20)의 설치 상태는 도 2를 보면 더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8)을 지지하는 외팔보(19)의 하부 경사면에서 볼트(30)를 통해 브래킷(40)이 고정되어 있고, 이 브래킷(40)의 하단에 마주보고 각각 설치된 걸림편(50)을 통해 레일(20)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걸림편(50)은 볼트(32)와 너트(34)를 통해 브래킷(40)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40)은 외팔보(19)의 하부 경사면에 맞추어 그 상면이 경사지게 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 I-I에 따른 횡단면도, 도 6은 도 3 슬라이드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두 레일(20)의 끝단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는 레일(20)의 열팽창을 고려한 것으로서 온도에 따라 레일(20)이 팽창 또는 수축하기 때문에 열팽창 여유를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두 레일(20)의 끝단 부근 하면에는 T자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22)가 나사 등을 통해 각각 부착되어 있고, 두 베이스 플레이트(22)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4)와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모습은 도 5와 도 6을 보면 알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4)는 대략 ㄷ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상판에는 두 개의 관통공(25)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두 관통공(25) 중 일측의 관통공(25)은 일측 레일(20)의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목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레일(20)에 대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목부(21)의 길이와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왼쪽의 관통공(25)은 왼쪽 레일(20)의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22)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일(20)이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하더라도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4)와 베이스 플레이트(22)의 결합상태는 도 5를 보면 알 수 있다.
도 3∼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일 연결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그 레일(20)을 따라 교량점검차가 주행하면서 그 연결부위를 통과할 때 심한 덜컹거림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특히 레일(20)의 끝단 부위에 충격이 작용하여 레일의 끝단이 아래쪽으로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레일(20)을 지지하는 브래킷이나 그 브래킷이 설치된 교량자체에 구조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일(20)의 끝단에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22)를 고정하고 또 슬라이드 플레이트(24)를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많이 들어가고 부품소요에 따른 비용증가도 발생한다.
또, 두 레일간의 틈새를 정확하게 조정하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레일(20)의 시공이 매우 까다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점검차가 레일의 연결부위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두 레일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에 의한 덜컹거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승차감을 좋게하여 줄뿐만 아니라 그 충격에 의해 레일의 끝단이 휘어지거나 구조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교량 점검차량의 일반적인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레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 I-I에 따른 횡단면도,
도 6은 도 3 슬라이드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 레일 상으로 교량점검차의 휠이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7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변형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변형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8, 209 : 휠 210 : 제 1레일
212 : 제 1경사끝단면 213 : 제 1반폭돌출부
220 : 제 2레일 212 : 제 2경사끝단면
213 : 제 2반폭돌출부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에 설치되어 이동식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폭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단된 제 1경사끝단면을 갖는 제 1레일 및 제 1레일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어 교량에 설치되고 제 1경사끝단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 2경사끝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제 1경사끝단면과 제 2경사끝단면의 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폭×tanθ〉제 1레일과 제 2레일의 최대 허용간격”을 만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교량에 설치되어 이동식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레일 및 제 1레일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어 교량에 설치되고 끝단에 제 1돌출부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제 2돌출부를구비하여 제 1레일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 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 레일 상으로 교량점검차의 휠이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는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은 교량의 상판 등의 저면에 기초볼트(202)에 의해 고정설치 된 행거블록(204)에 설치된 레일 클램프(206)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은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교량점검차의 휠(208)을 지지하여주는 부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 1레일(210)은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폭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단된 제 1경사끝단면(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경사끝단면(212)은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휠(208)이 덜컹거림 없이 통과해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레일(210)과 동일 선상으로 제 2레일(2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레일(220) 역시 교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제 1경사끝단면(212)과 소정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 2경사끝단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경사끝단면(222) 역시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제 1경사끝단면(212)과 함께 휠(208)이 덜컹거림을 예방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위 제 1레일(210)의 제 1경사끝단면(212)과 제 2레일(220)의 제 2경사끝단면(222)의 레일 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최대 허용간격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적어도 “폭×tanθ”값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최대 허용간격보다는 크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간의 연결구조를 취하는 경우, 휠(208)은 덜컹거림 없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간의 틈새(C)를 통과할 수 있다. 이는 도 8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즉,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휠(208)이 일측에서부터 진행하여 틈새(C)를 통과할 때 항상 양측의 휠(208) 중 적어도 일측의 휠(208)은 제 1레일(210) 또는 제 2레일(220)에 걸려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교량점검차가 틈새(C)를 통과하더라도 아무런 덜컹거림 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틈새(C)의 간격은 종래에서보다 훨씬 크게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시공을 훨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종래에서와 같은 슬라이드 플레이트나 베이스 플레이트 등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공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도 9는 도 7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변형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는 레일 브래킷(20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레일 브래킷(201)은 교량의 상판 저면 등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제 2레일(210, 22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레일 브래킷(201) 상에 레일 서포트 빔(203)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위에 제 1, 제 2레일(210, 220)이 설치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주보는 레일 서포트 빔(203)은 그 끝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역시 열팽창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레일 서포트 빔(203)은 그 끝단면을 반드시 경사지게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나 그 위에 설치되는 제 1, 제 2레일(210, 220) 형상에 맞추어 주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서포트 빔(203) 상으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레일(210)의 끝단에는 제 1경사끝단면(212)이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제 2레일(220)의 끝단에는 제 1경사끝단면(21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경사끝단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경사끝단면(212)과 제 2경사끝단면(222)의 경사정도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 1레일(212)과 제 2레일(222)의 사이에는 그 폭방향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열팽창을 고려한 틈새(C)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상으로 교량점검차가 매달리는 휠(209)이 주행을 하게 된다. 휠(209)이 주행하면서 제 1레일(210)에서 제 2레일(220)로 또는 제 2레일(220)에서 제 1레일(210)로 이동할 때 항상 휠(209)의 적어도 일측은 제 1레일(210) 또는 제 2레일(220) 상에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틈새(C)를 통과하더라도 아무런 덜컹거림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 1레일(210) 또는 제 2레일(220)에 충격이 가해지지않아 레일과 교량구조물에 무리를 주지않는다. 또 종래에 비해 틈새를 충분히 크게하여도 되므로 시공이 쉬울 뿐만 아니라 종래에서와 같은 슬라이드 플레이트 등이 필요치 않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는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은 교량의 상판 등의 저면에 기초볼트(202)에 의해 고정설치된 행거블록(204)에 설치된 레일 클램프(206)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은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교량점검차의 휠(208)을 지지하여주는 부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 1레일(210)은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제 1반폭돌출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반폭돌출부(213)의 끝단 형상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여도 된다.
제 1레일(210)과 동일 선상으로 제 2레일(2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레일(220)의 끝단에는 제 1반폭돌출부(213)에 대응되는 제 2반폭돌출부(223)를 구비하여 제 1레일(210)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사이에는 열팽창을 고려한 틈새가 배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제 2반폭 돌출부(213, 223) 대신에 여러 개의돌출부를 서로 어긋나게 소정 간격으로 각각 설치하여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구조는 도 7∼도 9에서 설명한 레일 연결구조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틈새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휠(208)이 주행을 하여 틈새(C)를 통과하는 경우 일측의 휠(208)이 틈새(C)를 통과하는 동안 타측의 휠(208)은 항상 제 1레일(210) 또는 제 2레일(220) 상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틈새(C)를 통과함에 따른 덜컹거림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 효과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11은 도 10 주행레일 연결구조의 변형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는 레일 브래킷(20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레일 브래킷(201)은 교량의 상판 저면 등에 교량의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제 2레일(210, 22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레일 브래킷(201) 상에 레일 서포트 빔(203)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위에 제 1, 제 2레일(210, 220)이 설치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주보는 레일 서포트 빔(203)의 끝단에는 레일과 동일한 형태로 반폭돌출부(203a)가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역시 열팽창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레일 서포트 빔(203)은 그 끝단면을 반드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나 그 위에 설치되는 제 1, 제 2레일(210, 220) 형상에 맞추어 주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서포트 빔(203) 상으로 제 1레일(210)과 제2레일(220)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레일(210)의 끝단에는 제 1반폭돌출부(213)가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제 2레일(220)의 끝단에는 제 1반폭돌출부(213)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반폭돌출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반폭돌출부(213)와 제 2반폭돌출부(223)의 돌출정도는 틈새(C)의 크기나 교량점검차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사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팽창을 고려한 틈새(C)가 배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제 2반폭돌출부(213, 223) 대신에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돌출부를 서로 어긋나게 제 1, 제 2레일(210, 220)의 끝단에 여러 개 형성하여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상으로 교량점검차가 매달리는 휠(208)이 주행을 하게 된다. 휠(208)이 주행하면서 제 1레일(210)에서 제 2레일(220)로 또는 제 2레일(220)에서 제 1레일(210)로 이동할 때 항상 휠(208)의 적어도 일측은 제 1레일(210) 또는 제 2레일(220)의 반폭돌출부 상에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틈새(C)를 통과하더라도 아무런 덜컹거림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 1레일(210) 또는 제 2레일(22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레일과 교량구조물에 무리를 주지않는다. 또 종래에 비해 틈새를 충분히 크게하여도 되므로 시공이 쉬울 뿐만 아니라 종래에서와 같은 슬라이드 플레이트 등이 필요치 않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를 이용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 등의 부품이 필요치 않고, 허용공차를 크게할 수 있어 시공이 쉬울뿐만 아니라 교량점검차가 틈새를 통과할 때에도 덜컹거림이 발생치 않아 레일과 그 레일이 지지되는 교량구조물에 충격력을 작용시키지 않아 교량점검차와 교량구조물에 구조적으로 나쁜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교량점검차의 승차감도 뛰어나며, 유지보수비용도 적게 소요된다.

Claims (3)

  1. 교량에 설치되어 이동식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폭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단된 제 1경사끝단면을 갖는 제 1레일; 및
    상기 제 1레일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교량에 설치되고 상기 제 1경사끝단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 2경사끝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사끝단면과 제 2경사끝단면의 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폭×tanθ〉제 1레일과 제 2레일의 최대 허용간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3. 교량에 설치되어 이동식 교량점검차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주행레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고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레일; 및
    상기 제 1레일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교량에 설치되고 끝단에 상기제 1돌출부에 대응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2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레일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제 2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KR1020000002848A 2000-01-21 2000-01-21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KR20010075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848A KR20010075907A (ko) 2000-01-21 2000-01-21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848A KR20010075907A (ko) 2000-01-21 2000-01-21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035U Division KR200239390Y1 (ko) 2001-04-10 2001-04-10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907A true KR20010075907A (ko) 2001-08-11

Family

ID=1964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848A KR20010075907A (ko) 2000-01-21 2000-01-21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59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558B1 (ko) * 2002-05-24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팽창 보상형 이송물 반송장치
CN111877194A (zh) * 2020-09-08 2020-11-03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新旧桥梁的拼接夹具的制作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558B1 (ko) * 2002-05-24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팽창 보상형 이송물 반송장치
CN111877194A (zh) * 2020-09-08 2020-11-03 浙江世润建创科技发展有限公司 新旧桥梁的拼接夹具的制作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90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aser rail that mates with the uncut web of a running rail
JP3966722B2 (ja) 磁気浮上式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軌道
US8584963B2 (en) Support structure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10075908A (ko) 레일의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장치
US8371228B2 (en) Flexible steel support for a switch arrangement in maglev railways
JP3797568B2 (ja) 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軌道
KR20010075907A (ko)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KR200239390Y1 (ko)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레일의 연결구조
KR101192660B1 (ko) 연결 장치를 구비한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
US4238138A (en) Connection system between a slide and a very long member
JP5840276B1 (ja) 鉄道車両逸脱防止装置
KR200239389Y1 (ko) 레일의 열팽창을 고려한 교량점검차용 주행장치
CN210561505U (zh) 一种含有π型轨道的梁轨一体化中低速磁浮轨道梁
JP6207267B2 (ja) 車輪ガード装置
KR20170138704A (ko) 결합방식의 매립형 궤도
RU2242551C2 (ru) Магистральный рельс
CN219709960U (zh) 一种轨道固定装置
JP7457632B2 (ja)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軌道
JP3819875B2 (ja) 軌道の支持構造
KR200404784Y1 (ko) 분리형 철도 침목
CN212128684U (zh) 轨道梁无缝伸缩装置及新型悬挂式轨道梁及轨道结构
JPH11140805A (ja) 浮上式鉄道の軌道継ぎ目構造
US20070267511A1 (en) Sleeper
KR950025198A (ko) 자기부상열차의 트랙 설치방법 및 그에 의한 트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