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733A -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733A
KR20010074733A KR1020017000934A KR20017000934A KR20010074733A KR 20010074733 A KR20010074733 A KR 20010074733A KR 1020017000934 A KR1020017000934 A KR 1020017000934A KR 20017000934 A KR20017000934 A KR 20017000934A KR 20010074733 A KR20010074733 A KR 2001007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m
workgroup
server
processors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이반충슝
Original Assignee
황 이반 충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 이반 충슝 filed Critical 황 이반 충슝
Publication of KR2001007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7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a round robin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4Reaction to server failures by a load balan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에 기초한 인트라넷과 익스트라넷 및 인터넷 응용을 위해 이상적인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버 어레이는 작업집단에 기초한 직접 억세스 서버와 모듈로 된 제어장치들을 구비한 다수개의 팀/작업집단 컴퓨터들을 포함함으로써 작업집단에 기초한 장애 허용 및 페일오버 능력을 창출하고, 콘솔에 의한 감시 및 관리 지원을 제공하며, 최적의 성능을 가진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웹 응용을 실현한다. 이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대규모의 서버집단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하며 다양한 미션 크리티컬 서버집단을 구축하기 위해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구조를 생성함으로써 분배된 컴퓨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ORKGROUP SERVER ARRAY}
관련된 응용기술들과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1996년 11월 1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08/742,741 (2000년 4월 11일자로 등록된 특허 제 6,049,823 호)의 "A multi server, interactive, video-on-demand television system utilizing a direct-access-on-demand workgroup server" 의 연속출원으로서 1999년, 5월 20일에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60/135,318 에 대해 우선권을 가진다.
혁신적인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응용기술을 이용하고 전개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때는 정적인 "팸플릿" 이었던 수십만 개의 인터넷 웹사이트들은 빠르게 거래능력을 갖춘 인터넷 응용이 되어 가고 있다. 큰 회사들의 내부에서는 개발자들이 사업을 큰 규모의 인트라넷(Intranet)에 통합시키기 위해 웹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기업들간에는 사업 파트너들이 공급체인을 합리화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한 익스트라넷(Extranet)을 구축하고 있다.
웹을 이용한 응용들이 인터넷과 엔터프라이즈 인트라넷 및 익스트라넷 상에서 확장됨에 따라 그 기능들이 점차로 미션크리티컬(mission-critical)하게 되어 가고 있다. 또한, 사업들이 웹을 이용한 기술들을 미션크리티컬한 작업에 적용함에 따라 그 응용을 유용하고 확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복잡한 기술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확장가능성과 이용가능성을 얻기 위해 함께 작업하는 다수의 서버들, 즉, 서버집단과 관련된 시스템들이 최종 사용자가 요구하는 응용을 제공하는 추세에 있다. 더욱이, 대규모의 웹을 이용한 서비스는 서버집단을 구축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이용가능성, 확장가능성, 신뢰성, 성능, 관리 및 안전성 문제들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개별적인 서버들을 사용하여 확장가능하고 이용가능하며 미션크리티컬한 웹 응용에 기초한 서버집단을 구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현재의 기술들은 단일서버에 기초한 3 단 구조(이하, SS-3 구조라고 함)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 SS-3 구조는 일반적으로 부하 균형장치(load balancer)인 제 1 단 요소들과, 응용서버인 제 2 단 요소들, 데이터베이스와 파일서버인 제 3 단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PC, 수퍼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미니컴퓨터를 이용한 각각의 개별적인 서버는 WinNT, Solaris, Linux 및 Unix 와 같은 운용시스템을 이용하는 병렬처리능력을 갖춘 다수의 CPU 들을 포함한다.
SS-3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웹에 기초한 응용을 위한 이용가능하고 확장가능한 서버집단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SS-3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창출한다.
1. 각 단의 요소에 관한 문제
a) 부하 균형장치-모든 착신 트래픽(incoming traffic)을 분석하고 각각의 웹에 기초한 조회/요청을 사용 가능한 제 2 단 응용서버들 중의 하나로 보낸다. 부하 균형장치는 요청의 성질과 부하의 균형이 잡힌 웹 응용서버의 이용가능성 및 능력을 기초로 하여 특정한 제 2 단 웹 응용서버로 요청들을 분배한다. 부하 균형장치에는 3 가지 기본적인 형태, 즉, 스위치, 소프트웨어 균형장치 및 응용 균형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하 균형장치들 중의 하나에 압력이 가해지면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b) 응용 서버-제 1 단 부하 균형장치로부터 지시를 받으며, 웹에 기초한 응용들은 수행하며, 응용 지향의 데이터 검색을 위한 제 3 단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서버와 접속한다. 그러나 각각의 응용 서버는 다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어 부하 균형장치에 대한 관리가 복잡해진다. 또한, 각각의 응용 서버는 로열티에 의한(loyalty-based) 조회 및 논로열티에 의한(non-loyalty based) 조회를 모두 처리하기 때문에 안전성의 수준이 다른 비간섭(non-coherent) 프로그램 집단들을 생성한다. 또한, 각각의 응용 서버는 네트워크 억세스에 기초한 제 2 의 프로세서가 구비되지 않으면 원격 부트(boot) 능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서버의 제 1 프로세서가 잘못될 경우 다른 네트워크의 관리서버에 의해 억세스된 제 2 프로세서가 트리거되어 제 1 프로세서를 재부팅할 수 있다.
c) 데이터베이스/파일서버-데이터베이스/파일서버는 클라이언트로 간주되는 모든 제 2 단 응용서버로부터의 데이터베이스/파일 조회를 처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를 기초로 한 서버이다. 로열티 트래픽(loyalty-based traffic)과 논로열티 트래픽(non-loyalty based traffic) 간에는 차이점이 없기 때문에 로열티 트래픽과 논로열티 트래픽을 위한 응용 지향적인 데이터들은 모두 하나의 중앙 파일서버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분류되어 동시에 너무 많은 조회들이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파일 검색시 장애가 일어난다. 또한, 다수의 분배된 데이터베이스와 다수의 SAN(Storage-area-network)에 이네이블되는 저장장치에 연결된 파일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일부로서 상기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실행되면, 데이터 센터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복잡해진다. 이는 클라이언트 서버와 서버중심의 서버가 모두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웹 브라우징 활동에 의해 방해를 받는 잠재적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어 월(Fire wall) 필터링과 같은 특별한 안전장치가 요구되기 때문에 응용 지향적인 데이터와 비즈니스에 민감한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센터로 총괄하는 것은 이상적이지 않다.
d) 단간(inter-tier) 통신 스위치-이것은 제 1 단 부하 균형장치와 제 2 단 응용 서버 사이와 응용서버와 제 3 단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에 필요하다. 모든 요소가 네트워크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서버들간의 모든 통신은 이 두 스위치들에 의해 처리되므로 불필요한 단간 트래픽 장애와 관리상의 장애가 발생한다.
e) 단(tier)이 많아지면 구성요소가 많아지며 이는 더 많은 단일 지점(single point)의 오류를 발생한다. SS-3 구조에 기초하여 모든 부하 균형장치, 응용서버,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라우터 및 스위치는 페일오버(fail-over)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미션크리티컬 응용들을 장애 없이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안전적인 구조를 개발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너무 많은 하드웨어 구성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은 효율적이기 않으며 비용 효율이 높지 않다.
2. 서버집단의 관리 :
a) 단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각각의 요소가 복잡하기 때문에 단일서버에 기초한 서버집단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복잡해진다. 여러 제조업체로부터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너무 많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는 소프트웨어 비호환성을 창출하는 경향이 있다.
b) 전체적인 성능이 쉽게 최적화되지 않는다. 서버집단이 SS-3 구조에 기초하여 일단 구축되면, 적어도 원활하게 정상상태 동작을 처리하고 돌발 사고 없이 피크타임 동작을 수용해야 한다는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측정할 수 있는 작은 규모의 분포된 최적의 지점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정상상태 동작을 제어하는데 있어 불명확한 요소가 추가되고 상기 피크타임 동작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수단들을 제한하게 된다.
c) 고속 웹 억세스의 보급으로 인해 너무 많은 데이터베이스 중심의 요청들을 동시에 서비스할 경우 높은 수준의 유효성과 비용 효과적인 선형의 확장가능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웹에 기초한 조회는 56 kbs 의 협대역 전송속도를 기초로 하며, 관련된 서비스는 웹페이지 전송에 중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 모뎀이나 ADSL 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1 Mbps 이상으로 높이고 서비스를 퍼스널 데이터베이스 중심의 웹페이지 전송을 기준으로 하면, SS-3 구조는 높은 수준의 이용유효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될 것이다. 이는 서버집단 내에 20 배 많은 트래픽이 생성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부하 균형장치의 능력이 제한되고 단간 커뮤니케이션간에 장애가 발생하며, SS-3 구조에 기초한 확장가능성이 상당히 축소되게 된다.
본 발명은 서버 집단(server clus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workgroup server array)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확장 가능한(Scalable) 웹에 기초한 인트라넷(Intranet)과 엑스트라넷 (Extranet) 및 인터넷 작업에 중요한(mission-critical) 응용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서버집단을 구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버 어레이는 본 출원인의 특허 No.5,802,391 "Direct-access team/workgroup server shared by team/workgrouped computers without using a network operating system"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작업집단에 기초한 직접 억세스(Direct access) 서버와 제어장치를 갖춘 팀/작업집단 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 어레이는 매우 유용하고 확장가능하며 작업에 중요한(mission-critical) 다양한 서버집단을 구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기초로 한 구조를 생성한다.
도 1A 는 바람직한 직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서의 작업집단 프로세서, 즉, 팀프로세서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B 는 바람직한 직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서 다수개의 팀프로세서를 수용할 수 있는 직업집단 컴퓨터 섀시, 즉, 팀섀시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C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4 개의 바림직한 팀서버들과 다수의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분류된 8 개의 바람직한 팀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1D 는 4 개의 팀프로세서와의 연결을 위한 4 개의 기본 제어장치와 듀얼 프로세서를 가진 하나의 주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전면패널(front panel)을 구비한 팀섀시에 수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모듈화된 작업집단에기초한 모니터링 및 관리구조, 즉, 팀패널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1E 는 8 개의 팀프로세서 구성을 수용하는 제 1 팀패널과 제 2 팀패널의 모듈러 캐스케이드 연결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A 는 2 개의 팀섀시에 수용되는 8 개의 팀프로세서와 4 개의 SCSI 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와 2 개의 캐스케이드 연결된 팀패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2B 는 하나의 팀섀시에 수용되는 4 개의 팀프로세서와 2 개의 SCSI 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와 하나의 팀패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2C 는 3 개의 팀섀시에 수용되는 12 개의 팀프로세서와 이중 SCSI 채널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6 개의 SCSI 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와 3 개의 캐스케이드 연결된 팀패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3A 는 내부동작, 장애 극복성, 부하 균형, 안전성, 관리 및 최적 성능과 함께 이용되는 다수의 기초적인 기능들이 모두 설치될 수 있는 8 개의 바람직한 팀프로세서의 서버 어레이에 있어서의 데이터 흐름과 데이터 구조의 방법론적인 실현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B 는 각각이 최적 성능에 기초하여 상호 배타적인 데이터베이스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이용성과 확장가능성과 같은 작업집단에 기초한 기초적인 기능들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단일응용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포함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4 는 웹에 기초한 미션크리티컬 응용을 위한 분배된 컴퓨터 환경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센터/웨어하우스 구성을 형성하는 FC-AL허브 또는 FC 스위치를 이용한 다양한 안전지역에 기초한 응용 지향적인 작업집단 서버집단과 최종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바람직한 통합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단일서버를 기초로 한 구조인 상기 서버집단은 대규모의 웹을 기초로 한 미션크리티컬 응용을 위한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방법을 효과적이면서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작업집단에 기초한 서버 어레이과 그 구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의 기술적인 돌파구를 고안함으로써 대규모의 웹에 기초한 미션크리티컬 응용을 위한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방법을 효과적이면서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 5,802,391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작업집단에 기초한 직접 억세스 서버(이하, 팀서버라고 함)와 함께 작업집단 컴퓨터 섀시(chassis)(이하, 팀섀시라고 함)내에 수용된 다수개의 팀/작업집단 컴퓨터(이하, 팀프로세서라고 함)를 이용한다. 이러한 기초적인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국부적인 모니터링 및 원격 모니터링, 재부팅 관리, 태스크의 교환, 부하 균형 및 안정적인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로 된 작업집단 제어 및 모니터링장치(이하, 팀패널이라 함)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단일 팀패널 또는 캐스케이스로 연결된 다수개의 팀패널에 의해 특정하게 구성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수개의 팀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을 위한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구축함으로써 다수의 독특한 기초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흐름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기초적인 기능들에는 내부적/외부적으로 제어되는 태스크 교환, 작업집단에 기초한 장치 공유, 부하 균형, 안정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 안전성 및 성능 측정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 및 이와 관련된 구조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억세스에 기초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이것들을 작업집단에 기초한 직접 억세스 요소들로 교체하여 종래의 단일서버에 기초한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단일지점의 오류의 개수를 줄인다.
또한, 특정한 응용에 기초한 다수개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작업집단 서버집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특정한 응용에 기초한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미션크리티컬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다수개의 다양한 응용 작업집단 서버집단을 직렬 및 병렬로 구축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수 천명의 사용자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의 멀티응용 웹에 기초한 방법을 제공한다.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바람직한 구성 요소들로서 사용되는 팀/작업집단 컴퓨터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팀/작업집단 컴퓨터는 컴퓨터들의 집합으로서 작업집단 피어 투피어(peer-to-peer) 링크를 통해 그룹이 이루어지며 작업집단 서버 링크를 통해 다수의 직접 억세스 작업집단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 5,530,892 호 "Single chassis multiple computer system having separate displays and keyboards with cross interconnect switching for work group coordinator" 와 특허 제 5,802,391 호 "Direct-access team/workgroup server shared by team/workgrouped computers without using a network operating system" 에 기술되어 있다.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와 작업집단 서버 링크는 동일한 물리계층 케이블링을 이용하여 상기한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정된 SCSI 와 같은 저장(Storage-based)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및 통신(communication-based)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을 구동할 수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업집단화된(workgrouped) 컴퓨터들(각각 팀프로세서라고 한다)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CPU/OS 플랫폼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상기 직접 억세스 작업집단 서버들(각각 팀서버라고 한다)은 다른 운용 시스템들에 의해 지원되는 동일한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될 수 있다. 팀서버는 고장허용 디스크 어레이(fault-tolerant disk-array)로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스크, 테이프, 광을 이용한 드라이브로도 구현할 수 있다.
특정한 OS 를 이용하는 각각의 팀프로세서에는 그 특정 OS 를 중심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링크 인터페이스, 즉, 팀서버 카드가 설치되어 모든 팀서버들을 직접 억세스 로컬 드라이드로 인식한다. 그러나 각각의 팀서버는 파일을 읽고 쓰고 생성하는 절대적인 특권을 갖는 오직 하나의 제 1 팀프로세서를 가진다. 또한, 고장허용 디스크 어레이와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다수의 로컬 드라이브들로 구분되어 포맷될 수 있다. 각각의 로컬 드라이브는 제 1 프로세서인 각각 다른 팀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모든 팀프로세서들이 내부 네트워크 링크상에서 연결되고 네트워크 운용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나, 팀서버들은 팀프로세서들 전체에 걸쳐서 네트워크을 억세스할 수 있는 드라이브로서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도로 집적된 팀/작업집단컴퓨터(이하, 팀프로 컴퓨터(TeamPro computer)라고 한다)는 다수개의 팀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모든 팀프로세서들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 5,577,205 호 "Chassis for a multiple computer system" 에 기술된 하나의 작업집단 팀섀시 내에 수용된다. 상기 팀프로 컴퓨터는 하나의 콘솔 모니터와 하나의 RAP(remote-access-port)장치를 통해 각각의 팀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모니터링 및 관리장치, 즉, 팀패널을 더 구비한다. 이 팀패널은 특허 제 5,530,892 호 "Single chassis multiple computer system having separate displays and keyboards with cross interconnect switching forwork group coordinator" 에 기술된 바와 같이 2 개의 직렬포트와 하나의 키보드, 하나의 시스템 LED, 하나의 부저 및 하나의 리셋버튼을 포함한다.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 컴퓨팅 플랫폼(computing platform)을 기초로 한 바람직한 팀/작업집단 컴퓨터의 팀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플로피 디스크 인터페이스 모듈상의 일방향, 2 방향 또는 4 방향의 인텔 펜티업 CPU WINNT PCI 의 마더보드와 128MB RAM, IED 인터페이스 모듈, VGA 카드 모듈, 사운드카드 모듈, USB 모듈, 병렬 인터페이스 모듈, RAP 모듈, 이서넷(Ethernet)을 이용한 네트워크 링크 LAN 모듈, 이서넷을 이용하는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 모듈, SCSI 를 이용하는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 모듈 및 SCSI 를 이용하는 작업집단 서버 링크 모듈을 구비한다. 팀프로세서는 플로피 디스크, IDE 디스크 및 광 드라이브와 같은 모듈로 된 외부 주변 드라이브 및 장치들과, VGA 모니터, USB 디지털 카메라, 마우스, 네트워크 이서넷 허브 및 스위치, SCSI 디스크 및 테이프 드라이브, 프린터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작업집단 컴퓨터 섀시, 즉, 팀섀시는 4 개의 CPU 카드를 가진 팀프로세서와 IDE 디스크 및 광 드라이브, SCSI 드라이브 및 팀패널과 같은 다수개의 모듈로 된 드라이브 및장치들을 수용한다. 상기 팀섀시는 2 개의 마더보드로 된 팀프로세서들과 모듈로 된 다양한 드라이브 및 장치들을 수용할 수도 있다. 팀섀시는 여분의 내부 전원공급원과 스마트 파워 관리부, 교환 가능한 핫 디스크 및 팬, 그리고 외부 UPS 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만들 수 있는 팀프로세서들의 최대 개수는 내부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의해 제한된다. 작업집단 서버 링크가 SCSI-II 를 사용할 경우, 적절한 데이터 전송을 보증하는 유효길이는 6 미터이고 부가될 수 있는 노드의 개수는 16 개이다. 이것이 제 1 의 팀프로세서가 외부로부터 케이블을 연장하고 제 2 의 팀프로세서가 외부연결을 위한 케이블을 연장함에 따라 적어도 2 개의 팀프로세서를 수용할 수 있는 팀섀시를 더 나은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의 SCSI 케이블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유이다. 상기 팀섀시는 4 개의 CPU 카드로 된 팀프로세서들을 수용할 수 있어 SCSI 케이블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4 개의 SCSI 표준들, 즉, FAST SCSI, 울트라 SCSI, 울트라 2, LVD SCSI 및 울트가 3, LVD SCSI 가 있다. 각각의 표준은 좁고(8비트) 넓은(16 비트) 구성을 모두 가진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SCSI 의 구현은 최대 데이터 속도 160 MB/sec 와 최대 케이블 길이 12 미터를 가진 울트라-와이드 LVD SCSI 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1C 는 8 개의 바람직한 팀프로세서들이 SCSI 를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4 개의 SCSI 하드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들이 SCSI 를 이용한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의해 연결된 바람직한 작업집단 링크 통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팀프로세서와 팀서버는 동일한 SCSI 케이블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든 팀프로세서는 다른 팀프로세서, 특히 절대적인 특권을 가진 제 1 팀프로세서와 관계없이 각각의 팀서버를 직접 억세스할 수 있다. 도 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SCSI 디스크를 기초로 한 팀서버는 2 개의 논리 드라이브를 가지며, 각각의 팀프로세서에는 하나의 논리 구동장치가 할당되고 절대적인 특권에 의해 이네이블된다. 팀서버는 제 1 팀프로세서가 아닌 다른 팀프로세서에 의해 읽기 전용 방식으로만 억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C 는 팀링크 카드와 이서넷 허브를 통한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나타내고 있는 바, SCSI 를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에 장애가 있는 경우, 도 1C 의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이를 대체하는 통신링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의 구현할 경우 얻어지는 가장 큰 장점은 작업집단내의 팀프로세서간 통신 및 다른 작업집단의 팀프로세서간 통신이 네트워크 트래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는 매핑된 드라이브, 소켓, 기밀부호화/복호화에 기초한 통신과 같은 다양한 팀프로세서간 통신을 수용할 수 있다. SCSI 를 포함하여 이와 동등한 다른 주변 버스들은 그들의 데이터 링크층이 표준화되거나 독점적인 저장 프로토콜(storage-based protocol) 및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based protocol)을 구현할 수 있기만 하면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와 작업집단 서버 링크를 통합할 수 있는 사실상의 링크로서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에 따라서는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서버 링크와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가 성립되면 응용가능한 주변버스들을 기초로 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D 는 팀패널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4 개의 기본 제어장치와 하나의 주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RAP, VGA, USB 및 오디오 포트를 통하여 4 개의 팀프로세서와 연결된다. 상기 기본 제어장치는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어 VGA 신호, 오디오신호 및 USB 신호가 다른 기본 제어장치와 주 제어장치와 연결된 공통 VGA 버스, 오디오버스, USB 버스로 흐르도록 하는 3 개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I2C 를 이용한 팀패널에 기초한 통신링크가 다른 기본 제어장치 및 주 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일련의 10 개의 인터페이스신호가 전면 패널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주 제어장치는 장애 허용(Fault-tolerance)을 위한 이중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중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작업집단 팀프로세서들 중에서 작업집단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로 분류되는 키보드, 직렬 장치들 및 프린터를 연결하기 위한 물리계층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주 제어장치는 공통버스들고 주변장치들을 감시하기 위한 사용법 테이블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팀프로세서의 작동표시(vital sign), CPU 부하 및 활동을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상태 테이블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반되는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블들을 점검한 후에 팀프로세서들로부터의 요청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전면패널은 2 개의 상호 작용하는 푸쉬버튼을 구비한다. 그중 하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외부의 VGA 모니터와 외부 키보드 및 제어를 위한 마우스를 위한 팀프로세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선택된 팀프로세서를 리셋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면패널은 3 세트의 LED 들을 갖추고 있는 바, 이들은 파워 온/오프, 주 시스템디스크의 활동 및 이네이블된 선택을 각각 나타낸다. 팀패널의 기능적인 보드와 전면패널은 모두 팀섀시 내에 수납되므로 케이블링 구조를 배치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팀패널을 제어하는 디폴트(default) 팀프로세서를 팀매니저라고 한다.팀매니저와 작업집단의 통신을 위해 팀프로세서가 먼저 자신에게 연결된 제어장치로 RAP 의 COM2 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I2C 프로토콜 헤더로 다시 패킹하고 I2C 를 이용한 팀패널 내부 링크를 통해 주 제어장치에 통보한다. 상기 주 제어장치가 연결을 허용하면, 기본 제어장치는 팀패널의 내부 I2C 링크를 통해 팀매니저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부착된 팀프로세서의 현재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팀패널의 내부 링크는 SCSI 와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대체하는 통신링크로 사용할 수 있다. 페일오버를 위해 COM1 에 연결된 마우스장치를 USB 마우스로 교체한다. 따라서 RAP 의 COM2 에 장애가 있는 경우, RAP 의 COM1 이 이를 대신하여 팀프로세서와 이에 부착된 기본 제어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E 는 8 개의 바람직한 작업집단 팀프로세서들과 캐스케이드 연결된 2 개의 팀패널을 나타낸다. 제 1 팀패널, 즉, TP-408M 과 제 2 팀패널, 즉, TP-408C 는 공통 VGA 버스, 오디오버스, USB 버스 및 I2C 버스를 통해 연결되며, TP-408C 는 주 제어장치를 갖지 않기 때문에 TP-408M 의 주 제어장치가 TP-408C 의 모든 기본 제어장치들을 감독한다. 제 1 팀패널을 제어하는 팀매니저는 제 2 팀패널의 팀매니저가 된다. 팀매니저와의 통신을 위해 제 2 팀패널의 팀프로세서가 먼저 자신과 연결된 제어장치로 RAP 의 COM2 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I2C 프로토콜 헤더로 다시 패킹하고 내부의 I2C 링크를 통해 제 1 팀패널의 주 제어장치에 통보한다. 상기 주 제어장치가 연결을 허용하면, 제 2 팀패널의 기본 제어장치는 팀패널의 내부 I2C 링크를 통해 제 1 팀패널의 팀매니저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시나리오에 따라 특정하게 구성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단일 팀패널 또는 캐스케이드 연결된 다수개의 팀패널들에 의해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팀패널의 전면 패널은 각각의 팀섀시 내에 수용되거나 다수의 팀패널들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외부 박스로 연장될 수 있다. 모든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팀프로세서들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팀섀시들은 팀랙(TeamRack)에 수납할 수 있다. 이 팀랙은 팀섀시와 함께 추가되는 팀서버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들어오고 나가는 모든 케이블들 뿐만 아니라 모든 팀섀시간 케이블들을 수용하는 케이블 분배상자를 구비하고 있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8 개의 팀프로세서와 4 개의 SCSI 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 및 2 개의 캐스케이드 연결된 팀패널을 포함하는바, 이들은 팀랩 내에 수납되는 2 개의 팀섀시 내에 수용된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로서, 이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4 개의 팀프로세서와 2 개의 SCSI 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 및 1 개의 캐스케이드 연결된 팀패널을 포함하는바, 이들은 팀랩 내에 수납되는 하나의 팀섀시 내에 수용된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로서, 이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12 개의 팀프로세서와 이중 SCSI 채널을 이용한 2 개의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의해 연결된 6 개의 SCSI 디스크 팀서버 및 3 개의 캐스케이드 연결된 팀패널을 포함하는바, 이들은 팀랩 내에 수납되는 3 개의 팀섀시 내에 수용된다.
도 3A 는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은 8 개의 팀프로세서를 갖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초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데이터 흐름의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8 개의 팀프로세서들은 기능적으로 응용/파일 서비스 프로세서들 (TP1-TP4)과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비스/부하 균형/파이어월 프로세서들(TP5-TP8)의 2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다른 7 개의 팀프로세서들을 위한 읽기전용의 팀서버로 동작할 수 있는 제1 의 SCSI 디스크에 기초한 팀서버를 가진다. 따라서 부팅되는 동안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하나의 제 1 팀서버와 7 개의 제 2 팀서버들과 함께 하나의 IDE 에 기초한 시스템 드라이브를 인식함으로써 NOS 매핑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집단 직접 억세스 서버로서 기능한다. 또한, 작업집단화된 모든 팀프로세서들에 의해 억세스되는 상기 제 1 팀서버와 제 2 팀서버들은 트래픽을 2 개의 SCSI 채널상에 분배하도록 다수개의 장애허용 디스크 어레이와 이중 채널 팀서버 카드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응용/파일 서비스 팀프로세서들(TP1-TP4)은 HTTP 에 기초한 응용 지향적인 인터넷으로부터의 웹 조회를 처리하고 시스템 IDE 드라이브와 제 1 팀서버에 기입되는 거래 배치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파일 서비스 팀프로세서들(TP5-TP8)은 FTP 에 기초하거나 독점적인 실시간 소켓 포트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지향적인 인터넷 및 익스트라넷으로부터의 웹 조회를 처리하고 시스템 IDE 드라이브와 제 1 팀서버에 기입된 거래 배치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팀프로세서들(TP5,TP7)은 제 1 팀서버상에 설치되는 응용에 따라 규정되는 작업집단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이들 두 데이터베이스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규정된 시간주기(t)동안 팀서버 1 내지 팀서버 4 로부터 생성된 각각의 배치 거래파일에 따라 TP5 에 의해제어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업데이트된다. 팀서버 1 내지 팀서버 4 로부터 생성된 모든 배치들에 따라 TP7 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업데이트된다. TP6 는 주로 인터넷으로부터의 FTP 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지향적인 웹 조회를 처리하므로 TP5 는 매 시간주기(t)마다 팀서버 6 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부터의 독점적인 실시간 소켓 포트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조회로 인해 TP5 는 즉각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TP8 은 디폴트 팀프로세서, 즉, 2 개의 팀패널을 제어하는 팀매니저가 된다.
바람직한 서버쌍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workgroup server array:WSA)를 위한 다수개의 독특한 기능 서비스들을 실현할 수 있다.
WSA 서버 조정 및 관리 서비스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는 팀매니저(TP8)가 모든 팀프로세서들을 조정하고 관리에 기초한 활동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에는 각각의 팀프로세서 목록의 감시와 디스크 공간 및 CPU 사용법이 포함되는 바, 이는 각각의 팀프로세서상에 설치된 OS 와 각각의 작업집단 팀프로세서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점유, 제거 및 장애에 대한 경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관리에 기초한 상태 정보를패킹하여 RAP 의 COM2 를 통해 제어장치로 보낸다. 제어장치는 주 제어장치에 통지하고 주 제어장치로부터의 지시를 팀패널의 내부 12C 링크를 통해 보내기 위한 OK 신호를 기다린다. OK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팀프로세서는 장치로부터의 통신을 팀매니저의 제어장치로 보낼 수 있으며, 이 제어장치는 상태 정보를 RAP 의 COM2 를 통해 팀매니저로 보낸다. 팀매니저는 모든 팀프로세서들에 관한 관리에 기초한 상태 테이블을 항상 가지고 있다.
WSA 의 내부 전면패널 스위칭 서비스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는 특정 팀프로세서가 계속 기능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라는 팀프로세서로부터의 요청이 있으면 팀매니저가 이 요청을 주 제어장치로 보내고 주 제어장치가 진단요청을 상기 특정한 팀프로세서의 제어장치로 보내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주 제어장치는 팀매니저의 제어장치로 통지를 보내며, 팀매니저의 제어장치는 이 통지를 RAP 의 COM2 를 통해 팀매니저로 보낸다. 그러면 팀매니저는 네트워크 링크를 통해 LAN 을 이용한 관리 콘솔로 경보 메세지를 보내고 운용자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운용자는 카본카피(Carbon-Copy) 또는 이와 유사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관리 콘솔 컴퓨터를 통해 팀매니저의 제어를 인계받을 수 있다. 또한, 팀매니저가 비디오 캡처 카드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 VGA 버스는 NTSC 변환기와 연결됨으로써팀프로세서의 VGA 디스플레이를 팀매니저의 VGA 디스플레이로 다시 캡처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요청을 주제어장치로 보냄으로써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캡처하도록 팀매니저에게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팀매니저의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의 제어장치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용자는 상기 장애가 발생한 팀프로세서에 키보드 스트로크를 전달하고 분석을 위한 팀매니저상의 진단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운용자가 상기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를 리셋시키도록 결정해야 할 경우, "리셋" 명령을 상기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의 제어장치로 전달하도록 팀매니저에게 지시한다. 이 특정 제어장치는 상기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와 직접 연결되는 리셋라인을 트리거시켜 상기 팀프로세서를 리셋시킨다. 부팅 과정을 팀매니저상에서 캡처하고 디스플레이하고 저장할 수 있으므로 원격 관리콘솔 컴퓨터의 운용자는 부팅 과정을 단계적으로 감시하고 부팅과정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기술자가 저장된 진단 파일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여 문제의 위치를 결정하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WSA 온사이트(onsite) 전면패널 스위칭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는 로컬 온사이트 운용자가 VGA 모니터, 스피커세트,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팀패널에 기초한 작업집단 장치들을 사용하여 팀프로세서를 관찰하고 제어하고 리셋하도록 팀섀시상의 전면패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 신호들이 주 제어장치로 직접 연결되는 "선택" 및 "리셋" 을 위한 패널상의 푸쉬버튼 요청에 따라 주 제어장치는 상반되는 사용을 방지하는데 응용할 수 있는지 사용법 테이블을 검사한 다음 관련된 LED 가 깜빡거리도록 만든다. 상기 푸쉬버튼을 동작시키려면 상기 로컬 운용자가 버튼을 다시 한번 눌러 버튼의 동작을 트리거시키고 관련된 LED 가 온되도록 한다. 동작이 완료되면 관련된 LED 는 오프된다.
WSA 원격 전면패널 스위칭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는 부호화된 독점적인 억세스 코드들을 기초로 하여 작업집단의 직렬 링크에 부착된 외부 모뎀을 통해 팀매니저 또는 팀프로세서를 원거리의 컴퓨터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원거리의 컴퓨터가 LAN 에 기초한 관리콘솔 컴퓨터와 동일한 모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WSA 장치 공유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중의 하나는 WSA 의 주변장치들을 팀매니저와 다른 팀프로세서에 의해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특정한 팀프로세서가 프린터와 같은 주변장치를 억세스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 팀프로세서가 자신의 제어장치로 RAP 의 COM2 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상기 제어장치가 내부의 I2C링크를 통해 주 제어장치로 요청을 보낸다. 상태와 사용법 테이블을 점검한 후에 유용하다면, 주 제어장치는 상기 특정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주 제어장치로의 후속 통신을 허용하고, 상기 주 제어장치는 내부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접속된 프린터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와 유사한 과정을 다른 직렬포트 장치들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USB 장치에 대해서는 특정 팀프로세서가 그 자신의 제어장치로 RAP 의 COM2 를 통해 요청을 보내면 상기 제어장치가 그 요청을 주 제어장치로 보낸다. USB 장치에 대한 사용법 테이블을 점검한 후 유용하면 상기 주 제어장치는 제어장치로 OK 신호를 다시 보내며, 제어장치는 보드상의 USB 스위치를 온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특정 팀프로세서상의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공통 USB 버스를 통해 캠코더와 같은 작업집단에 기초한 USB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WSA 의 페일오버 구조에 기초한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는 WSA 에 있어서의 팀섀시, 팀패널, 팀프로세서, 팀서버와 같은 미션크리티컬 요소들이 장애를 허용하거나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미션크리티컬 응용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팀패널에 있어서, 미션크리티컬 능력은 이중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진 주 제어장치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첫 번째 것에 장애가 일어나면 두번째 것이 대신하여 팀매니저로 경보를 보내며, 팀매니저는 관리콘솔에 이를 통지한다. 팀섀시에 있어서, 팀섀시는 이중 전원공급원과 외부 UPS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애가 허용된다. 팀프로세서에 있어서는, 각각의 그룹의 요소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4 개의 장애가 없는 그룹들, 즉, TP1 과 TP2, TP3 와 TP4, TP5 와 TP6, TP7 와 TP8 이 존재한다. 따라서 각각의 그룹에 있어서 하나가 장애를 일으키면 다른 하나가 이를 대신한다. 그러므로 팀매니저 TP8 이 장애를 일으키면, TP7 이 팀매니저를 대신한다. TP1-TP2 쌍과 TP3-TP4 쌍은 모두 장애가 없는 그룹들이다. TP5-TP6 쌍과 TP7-TP8 쌍도 장애가 없는 그룹들이다. TP1-TP2 쌍이 장애를 일으킬 경우에는 TP3-TP4 쌍이 이를 대신할 것이다. 이와 동일한 시나리오가 TP5-TP6 쌍과 TP7-TP8 쌍에 적용된다.
파일서비스에 기초한 팀서버에 있어서는 8 개의 페일오버 그룹, 즉, 팀프로세서 1 의 IDE1 과 팀서버 1, IDE2 와 팀서버 2, IDE3 과 팀서버 3, IDE4 와 팀서버 4, IDE5 와 팀서버 5, IDE6 과 팀서버 6, IDE7 과 팀서버 7, IDE8 과 팀서버 8 이 존재한다. 따라서 팀서버 1 이 장애를 일으키면 다른 팀서버들이 IDE1 상의 팀프로세서 1 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IDE1 이 장애를 일으키면 다른 팀프로세서들이 팀서버 1 로부터 직접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시나리오가 다른 7 개의 페일오버 그룹들에 적용된다. 데이터베이스서비스에 기초한 팀서버에 있어서는, 팀서버 5 상의 데이터베이스가 TP5 에 의해 제어되고 팀서버 7 상의 데이터베이스가 TP7 에 의해 제어된다. 이 데이터베이스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동일한 응용에 따라 규정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이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TP5 가 장애를 일으키면 팀서버 1 에서 팀서버 8 으로부터 수집한 모든 관련 배치파일을 기초로 하여 데이터베이스-TP7 이 즉각적으로 팀프로세서 7 에 의해 업데이트되어 즉시 서비스를 준비한다.
WSA 응용에 기초한 부하 균형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는 WSA 의 응용에 기초한 팀프로세서가 팀패널을 이용하여 부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웹 환경에 있어서, 응용에 기초한 조회 요청은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조회에 따른 착신 트래픽은 우선 라우터를 거치게 된다. 라우터는 모든 요청들을 팀매니저 TP8 로 보낸다. 팀매니저는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통한 내부 FTP 포트 또는 독점적인 포트를 통하여 TP1, TP2, TP3 및 TP4 로 착신 트래픽 부하를 분배할 수 있다. 순환순서 방식의(round-robin) 실행에 있어서, 각각의 응용에 기초한 팀프로세서의 CPU 사용법과 반응시간을 기초로 하여 팀매니저(TP8)는 순환순서 방식의 부하 균형 상태 테이블을 유지하고, 팀패널의 주 제어장치는 다양한 동작표시(vital sign) 상태 테이블을 유지한다.
팀프로세서가 동작표시를 RAP 의 COM2 를 통해 자신에 연결된 제어장치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장치는 데이터를 다시 패킹하고 주 제어장치에 통보한다. 주 제어장치가 연결을 허용하면, 기본 제어장치는 데이터를 주 제어장치의 메모리 버퍼로 다운로드한다. 이 메모리버퍼는 다양한 동작표시 상태 테이블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상태 테이블을 기초로 하여 상기 주 제어장치는 어떤 팀프로세서가 장애를 일으키는지 또는 과부하를 받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장애 또는 과부하가 일어나는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주 제어장치는 이를 팀매니저에게 보고한다. 과부화가 일어난 경우에는 주 제어장치로부터의 통지가 다시 수신되어 문제의 팀프로세서를 순환순서로 되돌릴 때까지 팀매니저가 즉각적으로 상기 문제의 팀프로세서를 순환순서로부터 제외시킨다. 장애가 일어난 경우에는 팀매니저가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통해 상기 문제의 팀프로세서와 통신한다. 응답이 없으면, 팀매니저는 RAP 의 "리셋" 라인을 통해 팀프로세서를 리셋시키도록 주 제어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부분적인 복구 또는 전체적인 복구를 행한다.
순환순서방식 이외에 "최저 개방 연결(least open connections)", "가장 신속한 측정시간 또는 응답시간(fastest measure time or response time)", "내용의 형태(content type)", 다수의 개방 연결들 및 그 밖의 응용 서버들로부터 수집한 통계와 같은 지능적인 알고리즘들이 있다. 팀매니저(TP8)는 이러한 형태의 정보를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통해 하나씩 수집하고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를 검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하나의 특정한 팀프로세서에 과부하를 가하지 않고 장애가 일어난 팀프로세서로 부하를 전달하지 않으면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팀프로세서들이 동일한 종류이고, 팀매니저가 비정상적인 상황에 따른 팀패널의 주 제어장치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야 할 경우에는 순환순서 방식의 알고리즘이 가장 적합하다.
WSA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는 특정한 팀프로세서상의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를 팀프로세서들 사이에서 직접 억세스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직접 억세스에 의한 제2팀서버들을 위해 팀프로세서들만큼의 읽기 전용 데이터베이스 엔진들을 팀프로세서상에 설치하고, 제 1 팀프로세서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는 절대적인 특권을 가질 수 있는 완전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제1팀프로세서에 설치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또한, 팀매니저(TP8)는 부가된 모든 설비들에 대한 일련의 상태 및 사용법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테이블중의 하나는 모든 팀서버의 제 1 팀프로세서의 동일 목록을 가지고있어 팀서버상에서 이중기입 데이터보전(double-write data-integrity)이 붕괴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페일오버, 다른 시간영역에서의 다른 동작 요구 및 업그레이드를 위한 일시적인 관리의 변화로 인해 특정한 팀서버의 제 1 팀프로세서를 다른 팀프로세서로 교환할 수 있다. 팀매니저는 소정의 시간에 특정한 팀서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오직 하나의 팀프로세서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항상 보장한다.
WSA 보안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는 WSA로의 인증되지 않은 침입이 검출되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팀매니저(TP8)는 들어오는 모든 요청들을 수신하고 부하를 팀프로세서들 간에 분배하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외부적인 손상을 감시하기 위해 보안 증진 및 파이어월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팀매니저(TP8)는 SSL, OS 또는 높은 수준의 응용에 기초한 억세스 부호화된 보안수단을 실행하고 합법적인 요청들을 이서넷을 이용한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통해 응용에 기초한 팀프로세서들로 다시 보내어 두 개의 다른 보안 영역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의심스러운 요청을 필터링할 수 있다. 각각의 응용에 기초한 팀프로세서는 응용 데이터베이스의 억세스를 수반할 수 있는 응답을 제공하며 내용이 부호화된 보안수단을 가진 정확한 내부 IP 어드레스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응답을 요청자에게 다시 보낸다. 따라서 팀매니저는 상기 내용을 복호화하여 올바른 팀프로세서로 보낼 수 있으며,이 팀프로세서는 이전의 요청을 처리한다. 사용자 인증 장치의 요청 프로토콜 또는 복구된 쿠키에 포함된 소오스 IP 어드레스와 특수한 정보와 같은 요소에 따른 계속적인 세션으로 알려져 있는 이러한 형태의 까다로운 포트 접근은 확실하게 실행될 수 있는바, 이는 웹상의 전자 상거래 응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수적이다.
WSA 페일오버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는 다수의 대리인에 의한 관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즉, 팀소프트(TeamSoft)를 고안하여 상기한 바람직한 구성의 데이터구조 및 데이터 흐름에 기초한 상기 모든 기능적인 서비스들과 통합되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현재의 팀매니저만이 팀소프트의 서버부분을 구비하고, 나머지 팀프로세서들은 팀소프트의 클라이언트부분을 구비한다. 하나의 팀프로세서만이 활성화된다면, 원거리의 관리콘솔 컴퓨터는 이 팀프로세서를 제어하여 팀매니저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장애를 일으킨 팀프로세서를 재부팅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다시 일반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팀소프트 페일오버 능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페일오버 상대(counterpart)가 살아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팀매니저를 통해 검출을 시작할 수 있다. 살아있지 않으면, 그 팀프로세서는 장애가 일어난 상대편이 서비스중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예를 들면, TP5가 장애를 일으켰을 경우에 팀매니저는 팀서버5의 특권과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임무를 TP6에 할당한다. TP6가 장애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팀매니저는 팀서버 6 의 특권을 TP5 에 할당하고 TP6 대신 TP5 의 IP 어드레스를 가진 착신 요청을 통보함으로써 TP6 의 트래픽을 TP5 로 보낸다. 팀소프트는 또한 내장된 자동 교정 작용을 갖춘 문제의 작업집단 진단을 포함한다.
WSA 성능 측정 서비스에 관한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는 주요 변수들의 값을 조정하여 WSA 의 최적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성능은 다음의 3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1) 팀매니저 파이어월 동작, 2) 응용에 기초한 팀프로세서들의 개수, 3) 응용 데이터베이스의 크기. 팀매니저(TP8)에 설치된 파이어월 동작이 내용 부호화 보안 및 상위계층 억세스 보안을 수행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경우에는 분당 착신되는 요청들의 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문제는 네트워크 계층 필터링 및 상위계층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파이어월 라우터를 부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응용 팀프로세서의 개수가 감소하면, 분당 발신되는 응답의 수도 감소한다.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응용중심의 데이터베이스를 논로열티 트래픽에 기초하여 구축하면 준비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경향이있으며, 이는 논로열티 트래픽을 만족시키기 위해 증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팀서버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팀프로세서에 의존하지 않고도 억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응답 페이지를 형성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1) 논로열티 응용과 2) 로열티 응용이라는 두가지 시나리오가 존재하게 된다. 논로열티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최적 성능은 응용 팀프로세서의 개수에 의존한다. 컴퓨팅 파워와 서비스의 복잡도에 따라 하나의 팀프로세서는 서비스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X 개의 착신 요청들을 처리하고 1 분당 발신되는 응답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수용 가능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4 개의 팀프로세서는 정상상태 동작시 4X 개의 착신 요청들을 수용할 수 있다. 피크타임 논로열티 트래픽이 6X 로 증가될 수 있으면,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응용 팀프로세서로서 TP6 와 TP7 을 할당하고 팀매니저에 의해 동작되는 순환순서 방식의 부하 균형 알고리즘을 결합함으로써 피크타임 동작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 개의 팀프로세서들 중의 8개가 응용 팀프로세서인 팀프로세서에 기초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정상상태 동작에서 8X 개의 논로열티 트래픽을 수용하고 피크타임 동작에서 10X개의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다. 착신 트래픽이 10X 개 이상일 경우에는 제 2 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가 필요하게 된다.
로열티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최적 성능은 응용 팀프로세서의 개수와 로열티 데이터베이스의 크기에 의존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너무 크고 생성된 착신 요청의 개수가 모든 팀프로세서가 처리할 수 있는 개수보다 클 경우에는 정상상태 동작을 만족시키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축소시켜야 하며 남는 데이터베이스는 제 2 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로 이동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12 개의 팀프로세서를 기본으로 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8X 개의 로열티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응용중심의 데이터베이스상에 설치 될 수 있는 Y개의 로열티 사용자로 변환될 수 있다. 피크타임 상태에서 Y 개의 사용자들은 10X 개의 로열티 트래픽을 생성하는바, 이는 수용 가능한 QOS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팀매니저에 의해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용 가능한 QOS를 보장하기 위해 X 와 Y 를 항상 재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위한 성능은 변수 X 와 Y 로 측정하며, 자원의 증가를 요구하는 문제의 예측 뿐 아니라 최적의 동작점을 구할 수 있다.
보다 높은 대역폭의 응용을 위해 서비스의 수준을 높이면 X 및 Y 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QOS 는 변화되지 않는다.
로열티에 기초한 시나리오에 있어서의 동일한 응용의 착신 요청을 더 많이 수용하기 위해서 도 3B 는 각각이 상호 배타적인 데이터베이스 부분을 갖는 다수개의 단일응용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포함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는 수용 가능한 QOS 를 가지므로 전체적인 작업집단 서버집단도 수용 가능한 QOS 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작업집단 서버어레이에서 n 번째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까지 포함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에 의해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미션크리티컬 웹 응용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로열티에 기초한 것이므로 라우터는 올바른 IP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여 올바른 팀매니저로 올바른 착신 트래픽을 즉각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정보가 브라우저의 "쿠키" 에 설치되거나 네트워크 억세스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칩으로 된 스마트카드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논로열티 상태에 대해서 라우터는 URL 을 IP 어드레스로 변환시키는 도메인 이름 서버(DNS)와 함께 내장된 순환순서 능력을 이용하여 착신되는 부하를 논로열티 작업집단 서버집단의 다수개의 팀매니저들로 분배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논로열티 트래픽을 위한 부하 균형이 이루어지며 QOS 는 변화되지 않는다. 작업집단 서버집단에 의한 부하 균형 및 순환순서 방식의 DNS에 기반을 둔 이러한 독특한 방법은 부하의 밸런싱(balancing) 및 모든 웹 응용 서버들을 관리하기에 충분하도록 강력해야 하기 때문에 단간 네트워크 스위치들에 과부하를 가하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생성하는 전체적인 부하 균형장치를 제거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어떠한 팀매니저가 장애를 일으킬 경우, DNS가 팀매니저의 IP 어드레스와 그 페일오버 상대를 통지하기 때문에 DNS 가 팀매니저의 페일오버 상대에 메시지를 보내어 자동적으로 DNS 로부터의 착신 트래픽을 인수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로열티 또는 논로열티에 기초한 시나리오를 위해서는 웹 응용이 명확하게 규정되고 이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도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로그램은 빠르고 간단하게 실행되어야 한다. 데이터 검색에 걸리는 시간은 가능한 한 짧아야 하므로 X 와 Y 는 더 나은 성능을 창출하도록 보다 커질 수 있다.
사용자/서퍼로부터의 착신 요청은 다른 많은 웹 응용들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서로 다른 응용 작업집단 서버집단이 설치되어야 한다. 도 4 는 높은 수준의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미션크리티컬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및 인터넷 응용을 위한 전체적인 웹서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시스템은 다수의 직렬 연결된 작업집단 서버집단과 병렬 연결된 작업집단 서버집단과 통합되며 이상적이고 안정된 분배된 컴퓨팅 환경을 생성한다.
파이어월에 기초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이용한 영역을 기준으로 한 보안과 더불어 서로 다른 작업집단 서버집단 사이의 통신을 SSL, OS 또는 응용에 기초한 내용 및 억세스 보안 수단을 가진 독점적인 포트를 이용하여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관련되지 않은 어떠한 통신도 작업집단 서버집단을 억세스할 수 없다.
또한, 모든 팀매니저들을 연결하기 위해 FC-AL등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팀서버들은 하드디스크에 기초한 것이든, 테이프에 기초한 것이든지 광디스크에 기초한 것이든 FC 장치로서 변환되어 SAN(Storage Area Network)에 기초한 최종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에 의해 억세스되고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데이터센터의 SAN 의 복잡한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위한 모든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응용중심의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또는 데이터 캐싱 서버(data cashing server)는 보다 지능적인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독특한 구성요소들, 즉, 1) 팀프로세서, 2) 팀서버 및 팀서버 카드, 3) 팀패널, 4) 팀링크 카드, 5) 팀섀시 및 6) 팀랙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구축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들을 이용한다. 이 방법들에는 1) WSA 서버쌍 방법, 2) WSA 다수의 작업집단 연결방법, 3) WSA 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 WSA의 내부와 온사이트 및 원거리의 "전면패널" 스위칭방법, 5) WSA장치 공유방법, 6) WSA 페일세이프(fail-safe) 및 복구방법, 7) WSA 의 부하 밸런싱 방법, 8) WSA 파일/데이터베이스 공유방법, 9) WSA 보안 방법, 10) WSA 팀소프트에 의한 관리방법 및 11) WSA 최적성능 측정방법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한 작업집단 서버집단(WSC)을 구축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을 이용한다. 이 방법들에는 1) WSC 구축 방법, 2) WSC 부하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 3) WSC 캐쉬 중심적인 데이터베이스 방법 및 4) WSC 사용자인증 로열티중심의 작업집단 데이터베이스 방법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작업집단 서버집단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한 "본부(front-offic)" 웹서버 농장(web-based server farms)을 구축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들을 이용한다.이 방법들에는 1) 다수의 WSC 직렬연결 방법, 2) 다수의 WSC 병렬연결 방법 및 3) 다수의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된 WSC 를 SAN 과 연결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분배된 컴퓨팅 환경에서 높은 수준의 이용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미션크리티컬 서버집단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및 이와 관련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0)

  1. 각각이 다수의 CPU 컴퓨팅 플랫폼을 가진 다수개의 팀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RAM 및 모니터, 오디오, 스피커, 억세스포트, USB, 네트워크 링크,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 주변장치들 및 작업집단 서버 링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각각의 모듈들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팀프로세서의 작업집단 서버 링크는 다수개의 공용 작업집단 서버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는 장애허용(fault-tolerant) 디스크 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4 개의 팀프로세서와 적어도 2 개의 작업집단 서버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섀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8개의 상기 팀프로세서와 적어도 4개의 상기 작업집단 서버를 포함하며,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어 CPU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팀패널을 더 포함하는바, 각각의 CPU는 상응하는 팀프로 세서와 접속되며, 이 팀프로세서를 USB장치, 모니터, 오디오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뎀, 프린터 및 직렬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증가된 개수의 상기 팀프로세서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서로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다수개의 팀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주제어장치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CPU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팀프로세서들을 위한 공용 버스들과 장치들로의 억세스 및 상기 팀프로세서들 간의 부하 밸런싱(balancing)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제어장치의 고장모드 백업을 위한 제2주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매니저로 지정된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하나가 상기 팀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집단 서버들중의 적어도 하나가 주로 응용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작업집단 서버가 주로 데이터베이스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는 작업집단 서버는 응용 지향적인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는 작업집단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지향적인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는 장애가 없는(fail-safe) 동작을 위해 주변의 구동장치로 기입되는 배치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장애가 없는 동작을 위해 응용 파일 서비스와 데이터 파일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적어도 다른 작업집단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하나의 작업집단 서버를 1차적인 서버로 인식하고, 나머지 모든 작업집단 서버들을 2차적인 서버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는 이서넷 또는 SCSI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한 것이며, 상기 작업집단 서버 링크는 SCSI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팀매니저로 지정된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한 팀프로세서가 나머지 팀프로세서들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가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직접 억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19. 다수개의 팀프로세서 그룹들과 다수개의 직접 억세스 작업집단 서버들을 포함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다수개의 CPU 컴퓨팅 플랫폼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팀프로세서 그룹은 다수개의 팀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VGA 모니터, 키보드, 오디오 스피커 및 직렬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팀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그룹은 작업집단 서버 링크 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직접 억세스 작업집단 서버들은 상기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의해 상기 팀프로세서 그룹들과 연결되며, 상기 그룹들은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통해 작업집단 이서넷 허브와 연결되며, 상기 그룹들은 또한 작업집단 이서넷 스위치를 통해 국부 지역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는 장애허용 디스크 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팀프로세서와 적어도 2개의 작업집단 서버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섀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8개의 상기 팀프로세서와 적어도 4개의 상기 작업집단 서버를 포함하며,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3. 제 19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어 CPU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팀패널을 더 포함하는바, 각각의 CPU는 상응하는 팀프로세서와 접속되며, 이 팀프로세서를 USB장치, 모니터, 오디오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뎀, 프린터 및 직렬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증가된 개수의 상기 팀프로세서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서로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다수개의 팀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주제어장치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CPU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팀프로세서들을 위한 공용 버스들과 장치들로의 억세스 및 상기 팀프로세서들 간의 부하 밸런싱(balancing)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제어장치의 고장모드 백업을 위한 제 2 주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7. 제 25 항에 있어서, 팀매니저로 지정된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하나가 상기 팀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집단 서버들중의 적어도 하나가 주로 응용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작업집단 서버가 주로 데이터베이스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는 작업집단 서버는 응용 지향적인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파일 서비스를 담당하는 작업집단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지향적인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는 장애가 없는(fail-safe) 동작을 위해 주변의 구동장치로 기입되는 배치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2. 제 28 항에 있어서, 장애가 없는 동작을 위해 응용 파일 서비스와 데이터 파일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적어도 다른 작업집단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3.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하나의 작업집단 서버를 1차적인 서버로 인식하고, 나머지 모든 작업집단 서버들을 2차적인 서버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는 이서넷 또는 SCSI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한 것이며, 상기 작업집단 서버 링크는 SCSI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5. 제 19 항에 있어서, 팀매니저로 지정된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한 팀프로세서가 나머지 팀프로세서들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가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직접 억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
  37. 각각이 다수개의 CPU 컴퓨팅 플랫폼을 갖춘 다수개의 팀프로세서들과 이 팀프로세서를 다수개의 공용 직접억세스 팀서버들에 연결하는 작업집단 서버 링크를 구비한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이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하나를 팀매니저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팀매니저를 이용하여 나머지 모든 팀프로세서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각각의 팀프로세서가 자신의 상태 정보를 상기 팀매니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팀매니저가 상기 팀프로세서들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관리 상태 테이블을 컴파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VGA 링크를 통해 공통 모니터에 연결되며,
    상기 팀매니저를 이용하여 상기 팀프로세서들 각각의 진단을 감시하는 단계와, 장애가 발생한 팀프로세서의 VGA 링크를 상기 팀매니저에 의해 캡처하는 단계 및 상기 팀매니저로 하여금 장애가 발생한 팀프로세서를 리셋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부하 밸런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팀프로세서를 할당하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팀프로세서를 할당하는 단계, 및 응용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팀프로세서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팀프로세서들을 쌍으로 만들어 한 쌍의 팀프로세서들 중의 하나의 팀프로세서가 장애를 허용하면서 다른 하나의 팀프로세서를 대체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팀프로세서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를 가지며, 상기 방법이 상기 부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팀프로세서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적인 장치는 상기 팀프로세서들 간의 부하 밸런싱의 최종 중재자로서,상기 팀프로세서들 간의 부하 분배를 변경하여 상기 부하 밸런싱을 달성하도록 상기 팀매니저에게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2.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제 1 서버인 상기 서버들 중의 한 서버와 연결되고, 제 2 서버들인 나머지 서버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선택된 팀프로세서를 위한 각각의 제 1 서버는 선택된 팀프로세서에 완전한 기능의 데이터베이스 이용가능성(accessibility)을 제공하고, 다른 모든 팀프로세서들에게 읽기 전용의 데이터베이스 이용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팀프로세서들 중의 몇 개는 응용에 기초한 것이고 몇 개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것이며, 상기 서버들중의 몇 개는 응용에 기초한 서버이고 몇 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이며, 상기 시스템은 착신 트래픽을 위한 성능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응용에 기초한 팀프로세서들과 서버들의 개수를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서버 조정 및 관리방법.
  45. 다수개의 서로 연결된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갖는 작업집단 서버 집단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서버 어레이가 다수개의 팀프로세서 그룹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팀프로세서는 다수개의 CPU 컴퓨팅 플랫폼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팀프로세서 그룹은 다수개의 팀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VGA 모니터, 키보드, 오디오 스피커 및 직렬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팀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그룹은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개의 직접 억세스 작업집단 서버들은 상기 작업집단 서버 링크에 의해 상기 팀프로세서 그룹들과 연결되며, 상기 그룹들은 작업집단 피어 투 피어 링크를 통해 작업집단 이서넷 허브와 연결되며, 상기 그룹들은 또한 작업집단 이서넷 스위치를 통해 국부 지역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들 간의 부하 밸런싱을 위한 순환순서 방식의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
  47. 제 46 항에 있어서, 착신 트래픽을 분배하기 위한 도메인이름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가 상기 작업집단 서버집단에 있어서의 다른 모든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의 작업집단 데이터베이스를 복사한 작업집단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가 독특한 작업집단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
  5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집단은 높은 수준의 이용 가능한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응용을 위해 다수개의 부가적인 작업집단 서버집단과의 직렬 및 병렬 연결에 의해 상향적으로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집단 서버집단.
KR1020017000934A 1999-05-20 2000-05-17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74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31899P 1999-05-20 1999-05-20
US?60/135,318? 1999-05-20
PCT/US2000/013595 WO2000072167A1 (en) 1999-05-20 2000-05-17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orkgroup server ar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733A true KR20010074733A (ko) 2001-08-09

Family

ID=2246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934A KR20010074733A (ko) 1999-05-20 2000-05-17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14372A4 (ko)
JP (1) JP4864210B2 (ko)
KR (1) KR20010074733A (ko)
CN (1) CN1173281C (ko)
AU (1) AU5273800A (ko)
CA (1) CA2338025C (ko)
WO (1) WO20000721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82B1 (ko) * 2004-07-16 2006-08-08 주식회사 세미라인 미션 크리티컬한 생산설비 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5030B2 (en) * 2001-01-25 2008-01-29 Yahoo, Inc. High performance client-server communication system
WO2003014893A2 (en) * 2001-08-10 2003-02-20 Sun Microsystems, Inc Server blade
US20040202013A1 (en) * 2001-09-21 2004-10-14 Polyserv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caching in a multinode system
US6567272B1 (en) * 2001-11-09 2003-05-2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system configurations in a modular computer system
CN100334546C (zh) * 2003-07-08 200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实现机群监控系统使用多种数据库系统的方法和装置
US7865326B2 (en) 2004-04-20 2011-01-04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Compact input measurement module
US7373433B2 (en) * 2004-10-22 2008-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failover protection in an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8332925B2 (en) * 2006-08-08 2012-12-11 A10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rocessing security gateway
US20080319910A1 (en) * 2007-06-21 2008-12-25 Microsoft Corporation Metered Pay-As-You-Go Computing Experience
US20080319925A1 (en) * 2007-06-21 2008-12-25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Hardware Metering
JP5777649B2 (ja) * 2013-01-28 2015-09-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3897A (en) * 1990-04-30 1994-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dynamic load balancer for periodically reassigning new transactions of a transaction type from an overload processor to an under-utilized processor based on the predicted load thereof
JPH04148363A (ja) * 1990-10-11 1992-05-21 Toshiba Corp マルチ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TW372294B (en) * 1993-03-16 1999-10-21 Ht Res Inc Multiple computer system
US5802391A (en) * 1993-03-16 1998-09-01 Ht Research, Inc. Direct-access team/workgroup server shared by team/workgrouped computers without using a network operating system
JPH0756838A (ja) * 1993-08-11 1995-03-03 Toshiba Corp 分散サーバ制御装置
US5612865A (en) * 1995-06-01 1997-03-18 Ncr Corporation Dynamic hashing method for optimal distribution of locks within a clustered system
US5768623A (en) * 1995-09-19 1998-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ultiple storage arrays by dedicating adapters as primary controller and secondary controller for arrays reside in different host computers
US6049823A (en) * 1995-10-04 2000-04-11 Hwang; Ivan Chung-Shung Multi server, interactive, video-on-demand television system utilizing a direct-access-on-demand workgroup
JPH09160885A (ja) * 1995-12-05 1997-06-20 Hitachi Ltd クラスタ型計算機装置の負荷分散方法
US5704032A (en) * 1996-04-30 1997-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group leader recovery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5748897A (en) * 1996-07-02 1998-05-05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ggregation of server computers using a dual-role proxy server computer
US5822531A (en) * 1996-07-22 1998-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reconfiguring a cluster of computer systems
US5933596A (en) * 1997-02-19 1999-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server dynamic page link retargeting
US5875290A (en) * 1997-03-27 1999-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operator initiated commands with a failover proces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H1165862A (ja) * 1997-08-14 1999-03-09 Nec Corp マルチプロセッサ資源分割管理方式
US6070191A (en) * 1997-10-17 2000-05-30 Lucent Technologies Inc. Data distribution techniques for load-balanced fault-tolerant web ac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82B1 (ko) * 2004-07-16 2006-08-08 주식회사 세미라인 미션 크리티컬한 생산설비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0742A (ja) 2003-01-07
CA2338025C (en) 2004-06-22
CA2338025A1 (en) 2000-11-30
CN1173281C (zh) 2004-10-27
EP1114372A4 (en) 2009-09-16
EP1114372A1 (en) 2001-07-11
AU5273800A (en) 2000-12-12
JP4864210B2 (ja) 2012-02-01
WO2000072167A1 (en) 2000-11-30
CN1310821A (zh)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1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orkgroup server array
CN101673283B (zh) 管理终端和计算机系统
US20030158933A1 (en) Failover clustering based on input/output processors
US20030237016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content delivery throughout networks
JP6329899B2 (ja)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093740A1 (en) Distributed Intelligent Virtual Server
US74306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user-application interactions to archivable form
US6665812B1 (en) Storage array network backup configuration
US6609213B1 (en) Cluster-based system and method of recovery from server failures
US20050108593A1 (en) Cluster failover from physical node to virtual node
JP4433967B2 (ja) マルチサイト上の遠隔二重化リンクを経由するハートビート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A2406821C (en) Switchable resource management in clustered computer system
US20050080891A1 (en) Maintenance unit architecture for a scalable internet engine
GB2407887A (en) Automatically modifying fail-over configuration of back-up devices
US20080301489A1 (en) Multi-agent hot-standby system and failover method for the same
US20060174085A1 (en) Storage enclosure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configuration of a storage enclosure
US10826766B2 (en) Distributed tool for detecting states and state transitions in remote network management platforms
US7792917B2 (en) Multiple network shared disk servers
JP4864210B2 (ja) 作業グループサーバー実施の方法と装置
US77973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ands in a storage enclosure
US76069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SAN fabric partitions
CN113849136A (zh) 一种基于国产平台的自动化fc块存储处理方法和系统
KR101057353B1 (ko)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Ranchal et al. RADical Strategies for engineering web-scale cloud solutions
CA2433564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orkgroup server ar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