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718A -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노이즈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네트워크 요소 - Google Patents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노이즈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네트워크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718A
KR20010072718A KR1020017002028A KR20017002028A KR20010072718A KR 20010072718 A KR20010072718 A KR 20010072718A KR 1020017002028 A KR1020017002028 A KR 1020017002028A KR 20017002028 A KR20017002028 A KR 20017002028A KR 20010072718 A KR20010072718 A KR 2001007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silence descriptor
channel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596B1 (ko
Inventor
로톨라-푸킬라자니
미콜라한누
카파넨페카
바이니오잔네
Original Assignee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Publication of KR2001007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될 정보가 데이터 프레임들로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채널코드화 된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코딩에 종속되며, 상기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은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1-516)에 전송되기 위해 인터리빙되고, 2개의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의 정보는 상기 각 데이터 전송 프레임(501-516)에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전송될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가,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가 제공되는 적어도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으로 형성된다.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은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채널 코딩에 종속된다.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에 전송되고,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이 또한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네트워크 요소{A method,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network element for transmitting background noise information in data transmission in data frames}
데이터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전송될 정보는 통상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분할된다. 정보에 부가해서, 데이터 프레임들은 데이터 프레임들의 전송에 필요한 헤더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들은 예를 들어 무선 채널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송신자로부터 수신자로 전송된다. 통신 채널은 전기 장비에 의해 야기되는 점화 방해와 같은 방해와 다른 한편으로 무선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무선 전송기들과 같은 다른 유사한 장치들에 의해 야기되는 방해를 받기 쉽다. 특히 이동 전송기/수신기 장치들에 있어서의 다른 중요한 방해원은 수신될 신호가 다른 길이의 여러 경로들을 경유하여 수신기에 입력될 수 있다는 사실이고, 여기서 왜곡이 수신되는 신호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전송 에러를 제거하기 위하여 데이터 프레임들은 통상 에러 정정 데이터 또는 적어도 에러 검출 데이터를 갖추고 있다. 에러 정정 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소위 콘벌루션 코드를 사용하는 것, 즉 전송되는 정보가 적합한 콘벌루션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부호화되는 것인데, 콘벌루션 코드화된 정보는 상기 통신 채널로 전송된다. 수신 단계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된 데이터 전송 흐름과 구별하기 위하여 역동작이 행해진다. 사용되는 에러 검출 데이터는 전송될 정보 또는 적어도 그것의 일부로부터 계산되는 가장 보편적인 패리티 검사 데이터이다. 한가지 알려진 패리티 검사 방법은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이다. 따라서, 수신단에서 대응 동작이 수신된 정보에 대해 행해지고 수신단에서 발생된 패리티 검사 데이터는 수신된 패리티 검사 데이터와 비교된다. 만약 데이터가 일치하면,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다고 해석한다. 만약 계산되고 수신된 패리티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정확하다고 수신장치에 알려주는 소위 불량 프레임 지시 플래그(bad frame indication flag, 이하 BFI 플래그라 함)가 설정된다. 이후,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예를 들어 외삽 또는 내삽에 의한 부정확한 프레임을 해석하는 시도가 행해질 수 있다.
현재의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 있어서, 또한 음성이 데이터 프레임들의 형태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lobal System forMobile Communications, 이하 GSM 이동 통신 시스템이라 함)에 있어서 음성 통신 채널에서 오디오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정보는 에러 정정 코딩에 의해 보호된다.
더욱이, 현재의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들은 소위 불연속 전송이 사용되는 데, 송신기는 통화중 휴지시간동안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무선 통신 장치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이러한 불연속 전송은 다른 동시 데이터 전송 접속에 있어서의 방해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전송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 전송은 전체 휴지시간동안 중단되는 것이 아니라, 송신단에서 검출된 노이즈의 볼륨과 주파수 스펙트럼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수신기에서 가청 노이즈로 발생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상에서 이따금 정보가 전송된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노이즈의 발생은 통화중 휴지시간동안 수신기를 완벽하게 뮤팅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더 평이하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노이즈는 전형적으로 음성보다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 소위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silence descriptor frames, SID)에 전송된다.
이들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주파수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의존한다. 예를들어 종래기술에 의한 GSM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코딩은 풀 레이트(full rate, 이하 FR이라 함, 또는 증강된 풀 레이트, enhanced full rate, EFR) 또는 하프 레이트(half rate, 이하 HR이라 함)로 일어난다. 불연속 전송동안, 단지 매 24번째 프레임만이 FR 채널에서 전송된다(HR 채널에서 매 12번째 프레임). 불연속 전송동안 전송될 모든 프레임들은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silence descriptor frames)이다. 미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적응형 멀티레이트 음성 코덱(adaptive multirate speech codecs, 이하 AMR이라 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들의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뿐만 아니라 접속에 사용된 채널 쌍(업링크-다운링크)의 역방향 채널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국과 기준 송수신국과 같은 네트워크 요소 간의 통신에 있어서, 상기 전송 이동국은 그것의 수신 채널, 즉 기준 송수신국의 다운링크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들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에 있는 품질 정보를 상기 기준 송수신국에 전송한다.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채널또는 상기 기준 송수신국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MR 시스템에 있어서, 품질 정보는 코덱의 변경 때문에 현재보다 더 자주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품질 정보는 또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의 일부로서 전송되어야 하는 데, 그러므로 이들 또한 현재보다 더 자주 전송되어야 한다.
기준 송수신국과 같은 상기 수신장치의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는, 음성이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들로부터 발생되는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신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로부터 발생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신장치의 디코더는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과 음성 프레임들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있어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이 소위 침묵 서술자 식별자 코드 워드(silence descriptor identifier code word, 이하, SID-CW라 함)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것이 달성된다. 상기 침묵 서술자는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에게 사전에 알려진다. 따라서, 만약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들이 침묵 서술자 식별자를 포함한다면, 상기 디코더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서 처리한다.
음성 프레임이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서 부정확하게 식별된다는 사실에 대한 확률은:
상기에서는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길이이고,은 침묵 서술자 식별자에 있는 최대 허용 에러수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모든 가능한 비트 조합에 대한 확률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더욱이, 전송 채널에서의 에러들은 상기 확률 분포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음성 프레임으로서 식별되는 확률은 예를 들어 통신 채널내에서의 조건에 의존한다. 만약 사용된 상기 통신 채널이 고품질이면, 데이터 전송이 상대적으로 완벽하고 상기 에러 확률레이트는 낮다. 데이터 전송 에러수는 상기 통신 채널의 손상된 품질과 함께 증가하고, 또한,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에서의 에러 확률이 증가하는데, 그것은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정확하게 식별되지 않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는 가능한 한 신뢰성있게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을식별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만약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가 너무 짧으면 상기 음성 프레임이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서 식별되는 확률이 증가한다. 만약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 또는 그것의 일부분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비보호 부분에 전송된다면,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가 에러를 포함할 확률은, 모든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 비트들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의 상기 비보호 부분에 전송되는 상태에서 보다 더 커진다.
예를 들어, 상기 GSM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이 완전하게 보내지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4개 혹은 8개의 요소들로 분할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인터리빙이 사용된다. 상기 요소들은 연속된 버스트들에 전송되지만, 하나의 버스트가 두개의 다른 데이터 프레임들의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전송된다. 상기 인터리빙은 첨부된 도 1a와 도 1b에 있는 골격 다이어그램에 도해되어있다. 도 1a는 상기 GSM 시스템에서의 풀레이트 음성 채널의 예를 도시하는 데, 전송될 각 데이터 프레임은 8개의 요소들로 분할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도 1b는 하프레이트 음성 채널을 도시하는 데,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4개의 요소들로 분할되어 연속하는 버스트들에 전송된다. 상기 인터리빙을 가지고, 상기 전송 신뢰성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에서 전형적으로 버스트들에서 일어나는 방해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가 행해진다.
도 1a 의 시스템에 있어서, 풀레이트 음성 채널에서의 하나의 채널코드화된 음성 프레임은 456비트들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코드화된 음성 프레임은, 제1비트(비트0)가 제1부분블록에 위치하고, 제2비트(비트1)가 제2부분블록에 위치하며, 제3비트(비트2)가 제3부분블록에, ..., 제8비트(비트7)가 제8부분블록에, 차례로 제9비트(비트8)가 상기 제1부분블록에 위치하도록 57비트들로 구성된 8개의 부분블록들로 분할된다. 이후, 상기 제1부분블록의 상기 비트들이 상기 제1버스트의 우수비트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2부분블록의 상기 비트들이 상기 제2버스트의 우수비트들에 위치하며, 상기 제3부분블록의 상기 비트들이 상기 제3버스트의 우수비트들에 위치하고, 상기 제4부분블록의 상기 비트들이 상기 제4버스트의 우수비트들에 위치하도록, 상기 8개의 부분블록들이 8개의 버스트들에 위치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4개의 부분블록들의 상기 비트들은 다음 4개의 버스트들의 기수비트들에 위치한다. 본 예에서 각 버스트는 114비트들로 구성된다. 4개의 제1버스트들의 기수비트들은 전송될 이전 채널코드화된 프레임의 4개의 마지막 부분블록들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4개의 후반부의 버스트들의 우수비트들은 다음에 전송될 채널코드화된 프레임의 4개의 제1부분블록들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버스트는 일반적으로 2개의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과 인터리빙의 한가지 목적은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의 다수의 연속적인 비트들에 있어서 통신 채널에서의 방해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에러들은 다수의 다른 데이터 프레임들내에 분산될 수 있는데, 가능한 비트 에러들은 더 잘 검출될 수 있고, 심지어 에러 검출과 정정 방법에 의해 정정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도 1b의 하프레이트 채널에 있어서, 하나의 채널코드화된 음성 프레임은 228비트로 구성되며 4개의 버스트들에 인터리빙된다. 따라서, 114비트로 구성된 각 버스트는 2개의 연속적인 음성 프레임들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인터리빙은, 전송 중단 순간에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의 마지막 요소의 버스트가 버스트에서 전송될 비트수(114비트)를 완성하기 위한 여분의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분의 데이터 요소는 수신단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전송이 다시 턴온되는 상태에서, 여분의 데이터 프레임 요소는 사용될 제1버스트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요소는 상기 수신단계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GSM 시스템에서의 상기 인터리빙은, GSM 시스템의 풀레이트와 하프레이트 채널에서의 채널 코딩을 설명하는 GSM 05.03 표준에 더욱더 상세히 정의되어 있다.
실제 통신 시스템들에 있어서, 전송될 모든 비트들을 보호하는 것은 불가능한데, 다소의 상기 데이터 프레임 비트들은 전송될 때 비보호된다. 다른 한편으로, 가능한 한 신뢰할 수 있는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는 가능한 한 길게 만들어져야 하는데, 종래기술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소의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비트들이 비보호되어 전송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것은 수신기로의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 에러율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개발중인 GSM AMR 음성 코딩 방법에 있어서, 제안된 최하의 비트레이트는, 비트레이트가 5.6 kbits/s인 GSM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되는 하프레이트 오디오 코딩의 비트레이트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채널 코딩에 부가되는 비트들을 포함하는, GSM 시스템의 하프레이트 채널에서의 총 레이트는 11.4 kbits/s이다. 결과적으로, GSM 시스템에서의 ARM 음성 코딩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GSM 시스템의 하프레이트 음성 코딩에서와 같이 많은 이용가능한 보호된비트들이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다소의 보호된 비트들은 채널 품질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데, 충분히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전송을 위해 남겨진 충분히 보호된 비트들이 있지 않다. 첨부된 도 2는 음성 프레임을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서 부정확하게 식별하는 식별에 대한 에러율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다른 길이의 3개의 침묵 서술자 식별자들은 예로서 사용되고(44비트, 곡선 2A; 89비트, 곡선 2B; 118비트, 곡선 2C), 종래 기술의 GSM 시스템의 하프레이트 채널의 에러율이 비교를 위해 제공되는데,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길이는 79비트(곡선 2D)이다. 유사한 방법으로, 도 3은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수신기에서 음성 프레임으로서 부정확하게 식별되는 확률을 도해한 것이다. 다른 길이의 2개의 침묵 서술자 식별자들이 여기에서 사용된다: 44비트(곡선 3A)와 89비트(곡선 3B), 뿐만 아니라 비교를 위해서 GSM 79비트 하프레이트 채널의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에러율(곡선 3C)도 도시됨. 도 2와 도 3의 에러율은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에 있는 허용된 부정확한 비트들의 수의 함수로서 계산된다. 도 2와 도 3에 기초하여, 44비트 또는 89비트의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과 상기 음성 프레임을 모두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은, 상기 GSM 시스템의 하프레이트 채널에 사용된 상기 79비트 침묵 서술자 식별자를 가지고 한 식별만큼 신뢰성이 없다.
본 발명은 정보가 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전송하기 위한, 첨부된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 6항의 전제부에 따른 통신 시스템과, 첨부된 청구항 9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동국 및 첨부된 청구항 10항의 전제부에 따른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GS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인터리빙을 도해한 것이다.
도 2는 음성 프레임을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것에 대한 에러확률 레이트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도 3은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음성 프레임으로서 식별하는 것에 대한 에러 확률 레이트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 기술의 통신 시스템에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의 인터리빙을 골격 다이어그램으로 보여준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의 인터리빙을 골격 다이어그램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블록도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의 더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한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첨부된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제공될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 시스템은 첨부된 청구항 6항의 특징부에 제공될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이동국은 첨부된 청구항 9항의 특징부에 제공될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발명의 네트워크 요소는 첨부된 청구항 10항의 특징부에 제공될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현재 데이터 프레임들의 전송에 사용된 데이터 프레임 요소들의 인터리빙을 활용하는 아이디어에 근거하는데,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의 전송시에, 단지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는 제1데이터 프레임에 전송되고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다음 데이터 프레임에 전송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방법들과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방법과 통신 시스템에서 달성될 수 있는 것 보다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더 신뢰성있는 방법으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과 다른 데이터 프레임들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음성 및 백그라운드 노이즈가 더 신뢰성이 있기 때문에 그런 통신 시스템의 사용은 더 편리한데, 음성의 양해성이 개선되고 또한 가능한 방해 노이즈가 종래 기술의 통신 시스템들에서 보다 더 뜸하게 일어난다.
다음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이 설명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설명과 관련하여 GSM 시스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예로써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프레임들과 인터리빙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1)을 도해한 블록도이다. 도 6의 통신 시스템(1)은 이동국(MS)과 통신 채널(2)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1)과 데이터 전송 연결되는 기지 송수신국(BTS)으로 구성된다. 통신 채널(2)은 무선주파수 데이터 전송으로서 유리하게 구현되는데, 상기 이동국(MS)과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은 그와 같이 알려진 방법으로 첨부된 도면들에는 따로 도시되지 않은 무선 송신기/수신기를 각각 갖추고 있다.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은, 데이터가 상기 통신 시스템에 전송되어 질 수 있고 또한 육상 통신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 전송되어 질 수 있는, 기준국 제어기(미도시)와 유리하게 통신한다. 상기 이동국(MS)과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은, 참조번호를 붙이는 데 있어서,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의 참조번호들이 부가적인 아포스트로피(')를 포함하도록 서로 구별되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동작 블록들을 포함한다.
GSM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인코딩과 디코딩은 트랜스코덱 레이트 어댑테이션 유니트(Transcodec Rate Adaption Unit, TRAU)에서 행해진다. 명확성을 위해서 도 6에서 상기 트랜스코덱 레이트 어댑테이션 유니트의 음성 인코더(5')와 음성 디코더(11')만이 제공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랜스코덱 레이트 어댑테이션 유니트는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에서 구현되지만, 첨부된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준국 제어기나 이동 스위칭 센터에서와 같은 다소의 다른 네트워크 요소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이동국(MS)으로부터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으로의 음성 전송에 있어서, 마이크로폰(3)의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4)에서 전기적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음성 인코더(5)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나오는 신호가 음성인지 백그라운드 노이즈 인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 인코더(5)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가 음성 활동 검출기(6)로 전달된다. 이것을 근거로, 상기 음성 활동 검출기(6)는, 전송될, 상기 음성 인코더(5)에 의해 발생된 음성 프레임들을 선택하거나 백그라운드 노이즈 발생기(7)에 의해 발생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을 선택한다.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발생기(7)는 또한, 명세서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이 다른 시그널링 데이터와 제공될 수 있는 선택블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레임들은,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이 또한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에 인터리빙되는 채널 인코더(9)에서 채널코드화된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상기 통신 채널(2)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송수신국(BTS)인 수신장치로 전송된다. 디인터리빙과 채널디코딩은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에 있는 채널 디코더(10')에서 일어난다.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 더 나아가 수신 원격 터미널(미도시)에 전송되기 위해 발생되는 상기 음성 디코더(11')에 전달된다. 침묵 서술자 프레임 검출기(8')는 상기 디코딩된 채널 프레임들로부터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을 검출하고, 상기 음성 디코더(11')에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기준 송수신국에 있는 침묵 서술자 발생기(7')를 제어한다. 상기 수신기에서 아무런 이용가능한 갱신된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이 없는 상태에서, 만약 필요하다면, 외삽 또는 내삽에 의한 유리하게 사전에 수신된 백그라운드 파라미터들을 근거로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발생하기 위해 계산부(1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또한 침묵 서술자 프레임 검출기(8')가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을 포함한다면,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 검출기(8')는 유리하게 그런 프레임을 신호 처리부(미도시) 또는 그 종류의 다른 것에 전송한다.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으로부터 상기 이동국(MS)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유사한 방법으로 일어나는데,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이동국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포맷으로 변환되고 수화기(13) 또는 그 종류의 다른 것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정보가 상기 이동국(MS)으로부터 상기 기준 송수신국(BTS)으로, 또는 반대로 전송되는 지는 그것만으로는 중요하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음성 프레임(speech frame, SP)과, 침묵 서술자 프레임(silence descriptor frame, SID) 및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 프레임(SIG-CH)이라는 용어가 채널 코딩전과 채널 디코딩후에 데이터 프레임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채널 코딩에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그 결과로 전송단계에서 상기 인터리빙에 종속되는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로 형성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401-404, 501-504)은 상기 통신 채널에 전송될, 채널 코딩과 인터리빙후에 이들 데이터 프레임들로 형성된 프레임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이하에서, 상기 채널 코드화된 프레임이 2개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401-404, 501-504)로 분할되는 인터리빙의 예가 사용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분할 원칙에 따라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GSM 시스템에서의 하프레이트 음성 코딩에 있어서,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은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을 코딩하기 위한 33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나머지 79비트는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SW)를 구성한다.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이들 79비트중, 62비트는 채널 에러로부터 보호되고 나머지 17비트는 비보호로 전송된다. GSM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SW)는, 모든 비트가 임의의 상태로 설정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예를 들어 모든 비트가 논리적으로 1 또는 0 상태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데 그것만으로 중요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스템들에 있어서, 상기 침묵서술자 식별자(SID-SW)는 상기 시스템에서 다른 목적을 위해서 할당되지 않은 다른 비트 조합일 수도 있다. 수신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들로부터 침묵 서술자 프레임들을 검출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침묵 서술자 프레임 검출기(8, 8')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용어 SID 검출기(8, 8')가 이하에서 사용될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 검출기(8, 8')가,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에 있는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위해 할당된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들의 일부를 검사하고, 이들 비트들의 상기 논리적인 값들을 상기 시스템에 사용된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의 대응하는 비트값들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것이 구현된다.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가 전송되는 그러한 비트들이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와 다를수록, 즉 본 시스템에서 논리적인 0 상태에 있을수록,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아닐 개연성이 더 있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들은 SID 검출기(8, 8')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유효한 SID 프레임, 유효하지 않은 SID 프레임, 양호한 음성 프레임 및 사용할 수 없는 프레임의 4개의 클래스로 분할된다.
표 1은 상기 SID 검출기(8, 8')의 출력신호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도해한 것이다.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를 위해 예약된 필드내의 거의 모든 비트들이 논리적인 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SID 검출기(8, 8')내의 SID 플래그는 2의 값으로 설정된다. 많은 수의 비트가 0의 값인 상태에서, 상기 SID 플래그는 0의 값으로 설정된다. 다른 경우에는 SID 플래그는 1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GSM 시스템에서의 하프레이트 음성 코딩의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 검출 알고리즘이더 상세히 설명된 유럽 원격통신 표준 GSM 06.41, GSM 06.22 및 GSM 05.05에 언급된다.
SID 플래그
BFI 플래그 2 1 0
0 유효한 SID 프레임 유효하지 않은 SID 프레임 양호한 음성 프레임
1 유효하지 않은 SID 프레임 사용할 수 없는 프레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에 있어서 인터리브된 방법으로 데이터 프레임들을 연속적인 전송 프레임들에 전송하는 것을 도해한 것이다. 도면들에서, 전송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달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401, 402, 403, 404)은 각 전송 프레임에 전송될 정보를 도해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401-404)에 있어서, 첫번째 요소(401a-404a)는 2개의 부분중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의 후반부를 구성하고, 두번째 요소(401b-404b)는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를 구성한다. 본 예에서 SP 프레임은 음성 프레임을 나타내고, 유사하게 SID 프레임은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나타내며, 랜덤 프레임은 디코딩에서 사용되지 않는 그것의 첫번째 혹은 두번째 요소 여분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내고, 전송 없음은 전송 프레임이 실제로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더욱이, 도 4a 내지 도 4d는 음성 전송 또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전송을 가리키는 상태 변수 SP 플래그를 위한 값을 보여준다. 본 예에서 상기 상태 변수 SP 플래그의 논리값 1은 음성 프레임들의 전송을 나타내고, 유사하게 논리값 0에서 침묵 서술자 정보가 전송되는데, 백그라운드 노이즈는 상기 수신장치에서 발생된다.
도 4a는 음성 전송이 종결되고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전송되는 상태를 도해한 것이다. 이 상태 이전의 끝에서 두번째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는, 휴지 이전의 상기 마지막 음성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첫번째 데이터 프레임(401)에 전송되었다. 전송될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402)은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 뿐만 아니라 휴지 이전의 상기 마지막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후반 요소는, 상기 후반 요소(403b)가 상기 수신단계에서 사용되지 않는 미결정비트들을 포함하는 세번째 데이터 전송 프레임(403)에 전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은, 도 4a에 있는 네번째 전송 프레임(404)을 위해 할당된 다음 버스트에 전송되지 않지만, 상기 전송기는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후반부의 전송은, 상기 세번째 데이터 전송 프레임의 후반 요소(403b)에서 정보의 전송에 불필요한 미결정된 비트들을 포함한다.
도 4b는 상기 휴지 기간이 상기 노이즈 파라미터들이 갱신될 수 있을 만큼 긴 상태를 도해한 것이다. 인터리빙으로 인하여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은, 랜덤 비트들도 포함하는 2개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406, 407)에 전송된다. 그러나, 노이즈 파라미터들의 전송 이전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405)의 버스트와 그 다음의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408)의 버스트에서는 아무런 전송도 일어나지 않는다.
도 4c는 음성 프레임들의 전송이 상기 노이즈 파라미터들의 갱신후 즉시 시작되는 상태를 도해한 것이다. 도 4c의 첫번째 데이터 전송 프레임(409)은 전송되지 않지만,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410)에서 미결정된 비트들과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는 전송된다.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411)에서, 상기 휴지후에 상기 첫번째 음성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 뿐만 아니라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상기 후반 요소가 전송된다. 이 다음의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412)에서, 휴지후에 상기 첫번째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와 상기 두번째 음성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부분이 전송되며, 기타 다른 것들도 유사하게 전송된다.
더욱이, 도 4c는 최대 하나의 음성 프레임 동안 지속되는, 음성에 있어서의 짧은 휴지가 있는 상태를 도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지 이전의 상기 음성의 전송에 있어서, 끝에서 두번째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와 상기 마지막 음성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는 도 4d에 도시된 첫번째 데이터 전송 프레임(413)에 전송된다.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414)에서, 상기 휴지 이전의 상기 마지막 음성 프레임의 상기 후반 요소와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가 전송된다. 상기 휴지후에 상기 첫번째 음성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 뿐만 아니라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상기 후반 요소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415)에 전송된다. 이 다음에,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416) 이후에, 음성 프레임들의 전송이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으로 일어난다.
유사하게,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이점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1)의 동작을 도해한 것이다. 도 5a는 음성 후의 휴지가 하나의 음성 프레임의 길이보다 더 길게 지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지 이전의 상기 끝에서 두번째 음성 프레임의 후반부와 상기 마지막 음성 프레임의 상기 첫번째 요소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501)에 전송된다.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은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의 첫번째 요소 뿐만 아니라 상기 마지막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의 후반 요소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503)에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3)의 두번째 요소(503b)는 부가적인 시그널링 채널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적인 시그널링 채널은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과 가능하게는 상기 채널 품질을 설명하는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후의 전송 순서가 되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504)은 전송되지 않지만, 상기 전송기(미도시)는 스위치 오프된다. 채널 코더(9)는, 인터리빙이 이전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와 수행된 후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2, 503)을 형성하는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코딩한다. 다음에, 상기 채널 코더(9)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자인되고 음성 프레임들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된 것보다 유사할 필요없는 코딩에 의해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시그널링 프레임(SIG-CH)과 가능하게는 다른 정보 비트들을 인코딩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채널코드화된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은, 상기 통신 채널(2)에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수신장치에서 채널 디코더(10, 10')에 의해 디코딩 될 수 있는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3)의 두번째 요소(503b)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채널코드화된 하프 프레임은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1)에서, 전송은 데이터 전송 프레임(503)의 전송 후에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인터리빙으로 인하여 상기 시그널 프레임의 코딩은 코딩 레이트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보다 2배인 콘벌루션 코딩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불필요한 정보의 전송이 회피되고, 미결정된 비트들 대신 상기 수신기로의 전송은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으로부터 디코딩 될 수 있는 페이로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노이즈는 상기 수신기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을 수신한 후에, 수신될 다음 프레임(503)이 본 예에서는 길이가 음성 프레임과 침묵 서술자 프레임 길이의 반이고 다른 코딩에 의해 인코딩되는 시그널링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상기 수신기가 알도록 디코딩이 행해진다. 따라서, 대응하는 디코딩이 상기 시그널링 프레임(SIG-CH)을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에서 행해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한 본 시스템에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의 전송은 하나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 만큼 지연되는데, 이것은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이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이즈의 발생은, 상기 시그널링 프레임(SIG-CH)이 수신되고 디코딩된 후 이 상태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의 길이보다 더 많은 비트들을 포함한다면, 이 프레임의 자유 비트들은 예를 들어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에 대한 힌트를 주는 값들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의 러프한 전송을 위해서 조차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에 충분한 자유 비트들이 없다면, 상기 수신기에서 이전에 수신된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을 근거로 계산된(외삽된) 예를 들어 노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음성 기간이 아직 매우 오랜 시간동안 지속되지 않았다면, 이러한 방법으로 계산된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은 정확한 백그라운드 노이즈일 가능성이 높다.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상기 수신기에서 발생될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안정시키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전송 이동국의 상기 음성 활동 검출기가 짧은 측음을 음성으로서 해석할 때 불연속적인 전송 동안인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측음 이전의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이 디코딩에 사용되기 때문에 지연이 아무런 손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도 5b는 음성에 있어서 더 긴 휴지 동안의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의 갱신을 도시한다. 데이터 전송 프레임(505)은 전송되지 않지만,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506)은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6)에서, 필요하다면 정보의 전송을 위해서 예를 들어 제2의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로서 첫번째 요소(506a)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의 수신된 첫번째 요소(506a)가 임시로 저장되는데, 상기 수신기가 상기 채널코드화 된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포함하는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507)의 첫번째 요소(507b) 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506a)를 수신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6)의 상기 저장된 첫번째 요소(506a)가 여분의 시그널링을 포함한다는 것을 수신기에서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은 또한 예를 들어, AMR 시스템과 관련하여 품질 시그널링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의 두번째 요소(506b)는 상기 침묵 서술자 요소의 첫번째 요소를포함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7)의 두번째 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과 가능하게는 다른 정보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이 후에, 전송이 중단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8)이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전송될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도 4b의 상태에서 보다 더 많은 페이로드 정보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5c는 음성의 전송이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의 갱신과 관련하여 시작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CW)은 통상 채널코드화되고, 미결정된 비트들과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의 첫번째 요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프레임(510)이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09)은 전송되지 않지만,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510)은 전송된다. 이 후에, SP 플래그가 논리적인 1 상태로 설정되는 데, 이것은 백그라운드 노이즈의 전송이 종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채널 코더는 전송 버퍼에서 인터리빙을 기다리는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후반 요소의 비트들을 변경시키는데, 상기 수신기에서의 에러 검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11)에 전송된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가 부정확하다고 알려져서 상기 프레임이 거절된다. 이것은 상기 수신기에서 어떤 관계없는 노이즈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511)은,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되고 또한 두번째 음성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를 포함하는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512)에 전송된 상기 음성 프레임의 후반 요소를 대기하기 위해 전달되는 휴지 다음의 첫번째 음성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를 포함한다. 이후에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대로 동작이 계속된다.
더욱이 도 5d는 음성에 휴지가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음성이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13, 514)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가 이전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514)과 관련하여 여기서 전송된다.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의 후반 요소는, 또한 휴지후에 첫번째 음성 프레임의 첫번째 요소를 포함하는 다음 데이터 전송 프레임(515)에 전송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은, 도 5c의 설명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통지없이 떠난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될 때 상기 식별자에 있는 더 많은 비트들이 보호될 수 있는 방법으로, 종래 기술의 방법들에서 가능한 것 보다 더 긴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음성 프레임으로 식별되거나 음성 프레임이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 식별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여분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전송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단지 미결정된 정보(비트들)가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에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에 있는 부분들은,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 품질 시그널링 등과 같은 정보의 전송을 위한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 시스템에서의 하프레이트 음성 코딩에서, 118비트의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이들 118비트중 94비트는 상기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에 위치할 수 있고, 이들 중 77비트는 보호될 수 있고 17비트는 비보호로 전송된다. 상기 침묵 서술자 식별자에서의 남은 24비트는 시그널링 프레임(SIG-CH)의 보호된 비트들이다. 도 2는 음성 프레임이 침묵 서술자 프레임으로서 디코딩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의 에러 확률을 도해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에 대해 명백한 개선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안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송될 정보가 데이터 프레임들로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채널코드화 된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코딩에 종속되며, 상기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은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1-516)에 전송되기 위해 인터리빙되고, 2개의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의 정보는 상기 각 데이터 전송 프레임(501-516)에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동시에 전송될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가,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가 제공되는 적어도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으로 형성되는 단계;
    (b)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이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채널 코딩에 종속되는 단계;
    (c)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이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에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이 또한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로서 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약간의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은 상기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설명하는 정보가 상기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GSM 시스템의 하프레이트 음성 채널(HR) 데이터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은 상기 GSM 시스템의 풀레이트 음성 채널(FR) 데이터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 전송 방법.
  6. 전송될 정보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5, 5')과,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을 채널 코딩하기 위한 수단(9, 9') 및 전송을 위해 상기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2개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501-516)에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9, 9')을 포함하며, 2개의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의 정보가 각 데이터 전송 프레임(501-516)에 전송되기 위해 정렬되는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동시에 전송될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의 적어도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은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포함하는 수단(7, 7');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을 채널코딩하기 위한 수단(9, 9');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9, 9'); 및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을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9, 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몇의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파라미터들을 상기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7, 9; 7', 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코딩을 위한 수단(9, 9')은 콘벌루션 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전송될 정보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5, 5')과,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을 채널 코딩하기 위한 수단(9, 9') 및 전송을 위해 상기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2개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501-516)에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9, 9')을 포함하며, 2개의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의 정보가 각 데이터 전송 프레임(501-516)에 전송되기 위해 정렬되는 이동국(MS)에 있어서,
    동시에 전송될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의 적어도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은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포함하는 수단(7, 7');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을 채널코딩하기 위한 수단(9, 9');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9, 9'); 및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을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9, 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전송될 정보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5, 5')과,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프레임들을 채널 코딩하기 위한수단(9, 9')과, 전송을 위해 상기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2개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들(501-516)에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9, 9')과, 수신된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10, 10')과, 채널코딩하기 위한 수단(10, 10') 및 채널코드화된 데이터 프레임들로부터 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수단(11, 11')을 포함하며, 2개의 채널코드화된 프레임들의 정보가 각 데이터 전송 프레임(501-516)에 전송되기 위해 정렬되는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동시에 전송될 백그라운드 노이즈 정보의 적어도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은 침묵 서술자 식별자(SID-CW)를 포함하는 수단(7, 7');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첫번째 침묵 서술자 프레임(SID)을 채널코딩하기 위한 수단(9, 9');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2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9, 9'); 및
    상기 채널코드화된 침묵 서술자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프레임(502, 503; 506, 507; 510, 511; 514, 515)을 여분의 시그널링 채널(SIG-CH)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단(9, 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요소.
KR10-2001-7002028A 1998-09-01 1999-08-31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배경 잡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네트워크 요소 KR100470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81869 1998-09-01
FI981869A FI105635B (fi) 1998-09-01 1998-09-01 Menetelmä taustakohinainformaation lähettämiseksi tietokehysmuotoisessa tiedonsiirross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718A true KR20010072718A (ko) 2001-07-31
KR100470596B1 KR100470596B1 (ko) 2005-02-07

Family

ID=855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028A KR100470596B1 (ko) 1998-09-01 1999-08-31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배경 잡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네트워크 요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58064B1 (ko)
JP (1) JP3424918B2 (ko)
KR (1) KR100470596B1 (ko)
CN (1) CN1119064C (ko)
AU (1) AU757352B2 (ko)
BR (1) BRPI9912994B1 (ko)
DE (1) DE19941331B4 (ko)
FI (1) FI105635B (ko)
FR (1) FR2782870B1 (ko)
GB (1) GB2344722B (ko)
IT (1) IT1313290B1 (ko)
WO (1) WO20000134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832B1 (en) 1998-08-24 2006-07-04 Mindspeed Technologies, Inc. System for speech encoding having an adaptive encoding arrangement
BRPI9915652B1 (pt) * 1998-11-24 2016-09-06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sso para realizar transmissão descontínua num sistema de comunicações, e, sistema de comunicações de fala
US7423983B1 (en) * 1999-09-20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Voice and data exchange over a packet based network
US7586949B1 (en) * 2000-04-03 2009-09-08 Nortel Networks Limited Interleaving data over frames communicated in a wireless channel
US6907030B1 (en) * 2000-10-02 2005-06-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multiplexed, packet-based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662155B2 (en) 2000-11-27 2003-12-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fort noise generation in speech communication
WO2004075582A1 (en) 2003-02-21 2004-09-02 Nortel Networks Limite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dec-bypass connection
WO2004095424A1 (ja) * 2003-04-22 2004-11-04 Nec Corporation 符号変換方法及び装置と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TWI229526B (en) * 2003-12-12 2005-03-11 Benq Corp Method to transfer service data using discontinuous transfer mode
US7990865B2 (en) 2004-03-19 2011-08-02 Genband Us Llc Communicating processing capabilities along a communications path
US8027265B2 (en) 2004-03-19 2011-09-27 Genband Us Llc Providing a capability list of a predefined forma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558286B2 (en) * 2004-10-22 2009-07-07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 of scheduling data and signaling packets for push-to-talk over cellular networks
EP1942643B1 (en) * 2005-10-25 2014-04-23 NEC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unit, codec circuit used in that mobile telephone unit, and automatic telephone-speaker-sound-level adjustment method
US8346239B2 (en) * 2006-12-28 2013-01-01 Genband U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ilence insertion descriptor (SID) conversion
KR20090027817A (ko) * 2007-09-13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음 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EP2347619B1 (en) * 2008-10-16 2013-04-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poradic transmissions of silence insertion descriptor (sid)
US8908541B2 (en) 2009-08-04 2014-12-09 Genband U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ntelligent optimization of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esource utilization in a media gateway
CN109644066B (zh) * 2017-08-04 2021-08-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基站中的方法和设备
CN115037965B (zh) * 2022-06-10 2024-01-19 苏州华兴源创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占用协调机制的多通道数据传输方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5086C (fi) 1992-11-26 1995-12-1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puhesignaalin tehokkaaksi koodaamiseksi
FI94810C (fi) 1993-10-11 1995-10-2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huonon GSM-puhekehyksen tunnistamiseksi
DE4403356C2 (de) * 1994-02-03 1997-03-06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Übertragen von Sprache in einem Funksystem
GB2288102B (en) * 1994-03-23 1997-10-08 Motorola Ltd Mobile radio with transmit command control and mobile radio system
FI100932B (fi) * 1995-04-12 1998-03-13 Nokia Telecommunications Oy Äänitaajuussignaalien lähetys radiopuhelinjärjestelmässä
DE19515546C2 (de) * 1995-04-27 1999-01-07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Sprachsignalen und von Datensignalen über denselben Funkkanal zwischen einer Sendeeinrichtung und einer Empfangseinrichtung
FI105001B (fi) 1995-06-30 2000-05-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odotusajan selvittämiseksi puhedekooderissa epäjatkuvassa lähetyksessä ja puhedekooderi sekä lähetin-vastaanotin
ATE192259T1 (de) 1995-11-09 2000-05-15 Nokia Mobile Phones Ltd Verfahren zur synthetisierung eines sprachsignalblocks in einem celp-kodierer
US5854978A (en) 1996-04-16 1998-12-29 Nokia Mobile Phones, Ltd. Remotely programmable mobile terminal
DE19730984A1 (de) * 1997-07-18 1999-02-11 Siemens Ag Funk-Übertragungsverfahren und Schnurlostelefon, insbesondere für DECT-Standard
US6347081B1 (en) * 1997-08-25 2002-02-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power reduced transmission of speech inactivity
GB2332598B (en) * 1997-12-20 2002-12-04 Motorol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DE19824153A1 (de) * 1998-05-29 1999-12-02 Siemens Ag Verfahren, Mobilstation und Basisstation zur Sprachübertragung in einem GSM-Mobilfunk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81869A (fi) 2000-03-02
IT1313290B1 (it) 2002-07-17
GB2344722A (en) 2000-06-14
WO2000013448A3 (en) 2000-06-08
FR2782870B1 (fr) 2005-09-02
KR100470596B1 (ko) 2005-02-07
FI105635B (fi) 2000-09-15
BRPI9912994B1 (pt) 2015-08-25
BR9912994A (pt) 2001-05-08
AU5425199A (en) 2000-03-21
JP2000115114A (ja) 2000-04-21
FR2782870A1 (fr) 2000-03-03
GB2344722B (en) 2003-03-12
FI981869A0 (fi) 1998-09-01
JP3424918B2 (ja) 2003-07-07
AU757352B2 (en) 2003-02-20
CN1119064C (zh) 2003-08-20
CN1317214A (zh) 2001-10-10
DE19941331A1 (de) 2000-03-02
ITMI991858A0 (it) 1999-08-31
DE19941331B4 (de) 2007-05-03
US6658064B1 (en) 2003-12-02
GB9920153D0 (en) 1999-10-27
ITMI991858A1 (it) 2001-03-03
WO2000013448A2 (en) 200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596B1 (ko)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배경 잡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이동국 및 네트워크 요소
KR100809793B1 (ko) 적응형 멀티레이트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전송 및구성변화를 위한 유효 대역내 시그날링
US6345251B1 (en) Low-rate speech coder for non-speech data transmission
AU717697B2 (en) A method for frame quality detection and a receiver
US6421527B1 (en) System for dynamic adaptation of data/channel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AU711007B2 (en) Transmission of voice-frequency signals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US5537410A (en) Subsequent frame variable data rate indication method
JP3795743B2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EP06690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asing bad frames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18039B2 (en) Efficient error correction scheme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in-band signaling system
WO19990277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peech transmissions in the presence of control signaling
KR100520394B1 (ko) 에러 보정 및 에러 검출을 활용한 정보 코딩 방법 및 장치
JPH07183855A (ja) 音声信号通信装置および伝送方法並びに受信機
US62087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2533013A (ja) フレーム内に構造化された情報の伝送符号化乃至復号化用の方法及び装置
US6301235B1 (en) Terminal for digital mobile radio and method for evaluating data received in such a terminal
KR10077081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전송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7342A (ko) 보코딩된 채널을 통해 tdd/tty 변조를 지원하는방법 및 장치
MXPA97007846A (en) Transmission of voice frequency signals in a movi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