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081A -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할 수 있는 수성 플루오르화 중합체분산액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할 수 있는 수성 플루오르화 중합체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081A
KR20010071081A KR1020017001393A KR20017001393A KR20010071081A KR 20010071081 A KR20010071081 A KR 20010071081A KR 1020017001393 A KR1020017001393 A KR 1020017001393A KR 20017001393 A KR20017001393 A KR 20017001393A KR 20010071081 A KR20010071081 A KR 20010071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carbon atoms
allyl
acrylamid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른슈타인이안닐
크리스트지오프리찰스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7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L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08L95/005Aqueous compositions, e.g.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9D1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95/00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o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A) 플루오르화된 기, 양이온성 기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 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형성하기 위한 물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로 아스팔트 재료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기인한 손상에 대하여 내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재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할 수 있는 수성 플루오르화 중합체 분산액{Aqueous fluorinated polymer dispersions capable to protect asphaltic materials}
용어 아스팔트와 역청은 고분자량의 탄화수소로 주로 구성된 무정형의 짙은색 열가소성 재료의 총칭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국에서 흔히 동일어로 이용되고 있다. 아스팔트의 주 원료는 석유 오일로서 이것은 휘발성 가솔린과 오일 성분이 증류에 의해 제거된 후 남아있는 무거운 잔류물로서 얻어지는 것이다.
아스팔트는 도로나 드라이브웨이(driveway), 주차 지역 및 공항 활주로와 같은 유사한 교통 관련 표면의 건설에 이용되는 아스팔트와 무기 골재의 혼합물에서 결합제로서 흔히 작용한다. 아스팔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혼합물의 4 내지 10 중량%를 점하며 이것은 무기 골재를 피복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아스팔트 도로 포장 재료는 때때로 "아스팔트" 또는 "블랙탑(blacktop)"으로 지칭된다.코르베트(Corbett)와 우르반(Urban)에 의해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Fifth Ed. (1985), Vol. A3, 169 내지 188 페이지에 게재된 리뷰 논문 "Asphalt and Bitumin"에 따르면, 모든 교통 관련 지역의 90%는 아스팔트 혼합물로 건설된다고 한다.
아스팔트 교통 관련 지역은 열간압연(hot rolling)에 의해 압축되지만, 이들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비하여 훨씬 더 큰 다공성을 갖는다. 또한 햇빛, 공기, 극한 온도, 비, 눈, 얼음, 자동차 배기물 및 액체 누출물(주로 엔진 오일이지만, 가솔린, 디젤 연료 및 냉동방지액일 수 있다)과 눈 및/또는 얼음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아스팔트 피복 골재의 상층도 있다. 또한 공항 교통 관련 표면은 항공기용 연료 누설, 뜨거운 제트 엔진 배기물 및 추운 날씨와 항공기 해빙액에 노출된다. 추운 기후에서의 주요 문제는 얼음에 의한 냉동-해동 손상이지만 상술한 노출은 모두 아스팔트 교통 관련 재료의 열화를 초래한다. 그 결과 이러한 재료를 수리 또는 재포장하는데 매년 상당히 많은 돈이 소요된다. 따라서 아스팔트 교통 관련 지역의 사용수명을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연장시킬 필요가 분명히 존재한다.
아스팔트는 또한 지붕 재료로도 사용된다. 상술한 울만의 논문에 따르면 북미지역의 사유 주택의 95% 이상에서 지붕 재료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조성 지붕널(shingle)은 유리 섬유 또는 양면이 충전 아스팔트로 피복되고 노출 표면상에 무기 과립으로 표면처리된 셀룰로오스 백킹(back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 아스팔트는 백킹 재료와 무기 과립에 대한 결합제로 작용한다. 아스팔트는 또한 단일 및 다층 지붕계의 상면 및 결합제로서 사용된다. 이들 아스팔트의 옥외노출 표면은 도로와 마찬가지로 햇빛, 공기, 극한의 온도, 비, 눈 및 얼음에 의한 냉동-해동 손실등에 노출되기 쉬워 결국 교체를 요하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아스팔트 조성 지붕널과 기타 아스팔트 지붕 표면의 사용수명을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요청되어왔다.
플루오로케미컬, 특히 특정의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가 종이 및 종이 제품과 카펫이나 가죽덮개를 댄 가구에 사용되는 나일론과 같은 직물 섬유에 물, 오일 또는 지방 반발성을 부여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특정의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가 다른 물질과 조합되어 물과 오일 손상에 대한 특정 건축 재료의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JP 9286676A호에는 플루오로-올레핀, 카르복시산 비닐 에스테르 및 친수성 작용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 가수분해성 작용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의 수성 유제의 공중합체인 플루오로수지의 수성 유제를 적용하여 방수성, 내후성 코팅을 경화 콘크리트의 표면상에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EP-A-0 714 921호에는 염 또는 4급화 형태인 양이온성 아미노기 및 기타 작용기를 함유하는 플루오르화 아크릴 공중합체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포함하는 섬유 및 건축 재료에 대한 방수 코팅용 2성분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2개의 수계 성분을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건축 재료에 적용하면, 이들은 즉시 처리된 표면에 안정한 방수성 및 방오일성, 낙서방지 특성을 부여하는 코팅으로 고화된다.
미국 특허 5,753,569호에는 천연 산출 및 합성 직물 및 이들의 혼합물, 가죽, 무기 물질, 열가소성 중합체 및 열경화성 중합체, 종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에 성분 A 및 B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방오일성, 방수성 및 오염방지성으로 되게하는 2성분 코팅 처리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성분 B는 플루오르를 갖지 않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이고 성분 A는 플루오르를 함유하며 a)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40 내지 85 중량%, b)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 1 내지 45 중량%, c)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4 내지 30 중량% 및 d)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작용기를 함유하는 이온성 또는 이온화 가능한 단량체 1 내지 15 중량%의 반복 단위체를 포함한다.
EP-A-0 714 870호에는 처리될 재료의 표면에 미국 특허 5,493,998호에 개시된 유형의 수용성 양이온성 플루오르화 아크릴 공중합체와 중합성 필름 형성제, 폴리비닐 알코올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정의 건축 재료에 대한 소유성(oleophobic) 및 소수성 처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알킬알킬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및 경우에 따라 부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제4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이다. 표면을 공중합체만의 수용액으로 포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보호작용이 일부 제공될 수 있지만, 20 내지 25%의 고농도의 수용성 양이온 플루오르화 아크릴 공중합체가 필요한 점으로 인하여 상기 방법은 비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어떤 참고문헌도 아스팔트 표면을 어떻게 보호하는가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술한 표면처리 모두는 가교 수지를 사용하든 또는 중합성 필름 형성제와의 물리적 혼합물을 사용하든 기질의 표면을 밀봉하는 코팅을 형성한다. 심미적으로 바람직하지않는 광택나고 부자연스런 외관을 갖는 것은 차치해두고 상기와 같은 코팅은 표면을 보다 더 미끄럽게 만들어서 배수를 방해한다. 이들 특성은 예컨대 드라이브웨이, 주차 지역, 차도 및 공항 활주로와 같은 아스팔트 교통 관련 지역에 대한 표면 처리에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코팅을 피할 것이다. 또한 심미적 관점에서도 아스팔트 조성 지붕널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표면에 광택나고 부자연스런 외관을 부여하지 않고 또 물, 오일 및 옥외노출 손상으로부터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하는 것에 의해 아스팔트 재료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교제와 플루오르 비함유 필름 형성성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는 아스팔트 재료용 1성분 표면처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경우에 따라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존재하에서 아스팔트 재료를 특정의 양이온성, 플루오르화 공중합체의 희석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의한 손상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면서 다공성을 유지하고 자연스런 외관을 유지하는 교통 관련 지역 및 지붕 재료와 같은 아스팔트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물, 오일 및 옥외노출 손상으로부터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손상으로부터 아스팔트를 보호하기 위해 아스팔트 교통 관련 표면 또는 지붕(roofing) 재료와 같은 아스팔트에 특정의 양이온성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 조성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의한 손상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아스팔트 재료를 제공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 플루오르화된 기, 양이온성 기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 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맞추기 위한 물을 포함하며, 단, 상기 공중합체가 1% 이상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이면, 상기 조성물은 약 0.01 내지 1 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 조성물은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 약 0.2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중량%의 공중합체 및 약 0.01 내지 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 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조성물은 아세톤,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 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사이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 약 2중량% 이하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용매는 상기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동안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침투 보조제는 유기 용매중의 용액으로서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 조성물은 건강, 안전성 및 생태학적 이유로 인하여 유기 용매를 거의 함유하지 않거나 소량 함유한다.
상기 처리 조성물은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과 침투 보조제의 혼합물과 상용성인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처리 조성물은 유효량의 항미생물제, 살균제, 살진균제 또는 살조류제(殺藻類劑; algicide)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다수 및 시판중인 이들의 공급원은 McCutcheon's 1994 Volum 2: Functional Materials, North American Edition, McCutcheon's Division, MC Publishing Co., Glen Rock, NJ에 수록되어 있다.
성분(A)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4급화되거나 또는 염 형태인 폴리플루오르화된 알킬기, 양이온성 질소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단량체 및 비이온성 기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소수성 및 소유성 특성의 만족스런 균형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플루오르화된 알킬기를 함유하는 약 60 내지 90 중량%의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4급화된 양이온성 기를 함유하거나 염 형태의 양이온성 기 함유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단량체 약 10 내지 약 30 중량%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약 1 내지 약 10 중량% 함유한다.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클로로-3-이소부텐-1,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 및 디클로로-부타디엔, 플루오로- 및 디플루오로-부타디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메탈릴 클로라이드, 비닐-톨루엔,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시아노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N-비닐카르바졸, 메틸 비닐 케톤, 알릴 아세테이트, 알릴 프로피오네이트, 알릴 이소부티레이트, 알릴 헵타노에이트, 세틸 비닐 에테르, 도데실 비닐 에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 센아이코산의 알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헥실-, 헵틸-, 에틸-2-헥실-, 시클로헥실-, 라우릴-, 스테아릴- 또는 에톡시에틸 에스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클로로-2-아크릴로니트릴, 시아노-2-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렌 글루타로니트릴, 비닐리덴 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알릴 알코올, 알릴 글리콜레이트, 이소부텐디올, 알릴옥시-에탄올, o-알릴페놀, 디비닐카르비놀, 글리세롤-알릴 에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아미드 및 말레이미드, N-(시아노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아미노-3-크로토노니트릴, 모노알릴아민, 비닐피리딘,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및 아크롤레인을 포함한다.
에폭시- 또는 클로로히드린 함유 비이온 기가 바람직하고,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원래 공지된 것이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 상기 참고서적에 개시된 통상의 자유 라디칼 중합반응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참고문헌의 공중합체의 일부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20 내지 35 중량%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으로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성분(A)는 공중합체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이하의 중량%의 공중합된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a) 하기 화학식(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60 내지 90%:
식중에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퍼플루오로알킬 기이고,
R은 H 또는 CH3이며,
A는 O, S 또는 N(R')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3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렌, -(CnH2n)(OCqH2q)m-, -SO2-NR'(Cn-H2n)- 또는 -CONR'(CnH2n)-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n은 1 내지 15이며, q는 2 내지 4이고 또 m은 1 내지 15임;
(b) 하기 화학식(I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10 내지 약 40 %:
식중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며, 또 질소는 40 내지 100% 4급화되거나 또는 염형태일 수 있음; 및
(c) 하기 화학식(III) 또는 (IV)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약 1 내지 약 7%:
식중에서,
R3및 R4는 독립해서 H 또는 1 내지 약 4개 탄소원자를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킬 라디칼임.
상기 조성물에서, 바람직하게는 화학식(I)에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고, A는 O이며 또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I)의 단량체는 화학식 CF3CF2(CF2)xC2H4OC(O)-C(H)=CH2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이때 x는 4 내지 18의 정수이다. 약 50 중량%의 8-탄소, 약 29%의 10-탄소, 약 11%의 12-탄소의 퍼플루오로알킬 탄소원자 길이 분포(x)를 갖고 소량의 6-탄소, 14-탄소 및 더 긴 사슬길이를 갖는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II)의 단량체는 부분적 또는 전체 염류화 또는 4급화된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고 또 화학식(III)의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중의 화학식(I)의 비율은 약 79 내지 약 85중량%이고, 공중합체(염 형태)중의 화학식(II)의 단량체의 비율은 약 13 내지 약 19중량%이며 또 공중합체중의 화학식(III) 또는 (IV)의 단량체의 비율은 약 1 내지 약 5중량%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본원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 미국 특허 5,674,961호로부터 원래 공지되어 있으며 종이 및 종이 제품을 처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들은 또한 본원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 WO97/39072호로부터 원래 공지되어 있으며, 벽돌, 돌, 나무, 콘크리트, 세라믹, 타일, 유리, 스터코, 석고 건조벽, 파티클 보드 또는 칩보드와 같은 건축 재료를 포함한 특정의 경질 표면을 처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술한 유형의 특히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노쓰캘로라이나 하이 포인트에 소재하는 시바 스페셜티 코포레이션의 컨슈머 케어 디비젼으로부터 LODYNE P-514로 표시되어 30% 수성 조성물로 시판되고 있다.
성분(B)는 침투 보조제이다. 침투 보조제는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이 아스팔트 기질에 침투하여 습윤되도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표면활성 유기 물질이다.
적합한 침투 보조제는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팀투 보조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거나 이들을 함유할 수 있다. 침투 보조제는 단량체성,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성일 수 있다. 다수의 시판되는 계면활성제는 McCutcheon's 1994 Volume 1: Emulsifiers and Detergents, North American Edition, McCutcheon's Division, MC Publishing Co., Glen Rock, NJ에 기재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침투 보조제는 활성 물질의 니트(neat) 액체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의 액체 형태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침투 보조제는 아리조나 투크손에 소재하는 폴리포어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Solvent-D로 공지된 특허된 액체 혼합물이다. Solvent-D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를 용매로 함유하고 있다.
침투 보조제 적용양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이상 감소시킨다. 유리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약 0.01 내지 1중량%의 침투 보조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5 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함유한다. 이들 중량%는 그 자체 기준으로서 시판되는 재료중의 용매중의 희석제의 존재 또는 부재는 무시됨을 의미한다.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의 희석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은 이미 물보다 낮은 표면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침투 보조제의 표면 장력 저하 효과는 순수한 물에서 보다 보통 더 낮다.
본 발명은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의한 손상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아스팔트 재료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상기 재료를 (A) 플루오르화된 기, 양이온성 기 및 경우에 따라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이루기 위한 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 약 0.2 내지 2 중량% 및 약 0.01 내지 1 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로 상기 기질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A)중의 공중합체는 폴리플루오르화된 알킬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하나 이상 약 60 내지 90 중량%, 양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단량체 약 10 내지 약 40 중량%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반응 생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기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클로로-3-이소부텐-1,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 및 디클로로부타디엔, 플루오로- 및 디플루오로-부타디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메탈릴 클로라이드, 비닐-톨루엔,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시아노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N-비닐카르바졸, 메틸 비닐 케톤, 알릴 아세테이트, 알릴 프로피오네이트, 알릴 이소부티레이트, 알릴 헵타노에이트, 세틸 비닐 에테르, 도데실 비닐 에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 센아이코산의 알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헥실-, 헵틸-, 에틸-2-헥실-, 시클로헥실-, 라우릴-, 스테아릴- 또는 에톡시에틸 에스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클로로-2-아크릴로니트릴, 시아노-2-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렌 글루타로니트릴, 비닐리덴 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알릴 알코올, 알릴 글리콜레이트, 이소부텐디올, 알릴옥시-에탄올, o-알릴페놀, 디비닐카르비놀, 글리세롤-알릴 에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아미드 및 말레이미드, N-(시아노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아미노-3-크로토노니트릴, 모노알릴아민, 비닐피리딘,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및 아크롤레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비이온성 단량체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기질을 수성 조성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A)중의 공중합체는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하기 중량%로 공중합된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이다:
(a) 하기 화학식(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60 내지 90%:
(I)
식중에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퍼플루오로알킬 기이고,
R은 H 또는 CH3이며,
A는 O, S 또는 N(R')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3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렌, -(CnH2n)(OCqH2q)m-, -SO2-NR'(Cn-H2n)- 또는 -CONR'(CnH2n)-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n은 1 내지 15이며, q는 2 내지 4이고 또 m은 1 내지 15임;
(b) 하기 화학식(I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10 내지 약 40 %:
(II)
식중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며, 또 질소는 40 내지100% 4급화되거나 또는 염형태일 수 있음; 및
(c) 하기 화학식(III) 또는 (IV)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약 1 내지 약 7%:
(III) 또는
(IV)
식중에서,
R3및 R4는 독립해서 H 또는 1 내지 약 4개 탄소원자를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킬 라디칼임.
상기 조성물에서, 바람직하게는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고, A는 O이며 또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고, 화학식(II)의 단량체는 부분적 또는 전체 염류화 또는 4급화된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고 또 화학식(III)의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중의 화학식(I)의 비율은 약 79 내지 약 85중량%이고, 공중합체(염 형태)중의 화학식(II)의 단량체의 비율은 약 13 내지 약 19중량%이며 또 공중합체중의 화학식(III) 또는 (IV)의 단량체의 비율은 약 1 내지 약 5중량%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플루오르화 기, 양이온 기 및 비이온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 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맞추기 위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된,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인한 손상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아스팔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0 내지 35 중량%의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 및 경우에 따라 침투 보조제 및 임의의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살미생물제, 살균제, 살진균제 또는 살조류제와 같은 보존제를 전형적으로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제를 중성 pH의 물과 서서히 교반하면서 단순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 및 경우에 따라 침투 보조제 및 임의의 통상의 첨가제를 물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유리하게는 탈이온화되거나 증류된 중성 pH의 물을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의 농축액은 전형적으로 20 내지 35 중량%의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 침투 보조제 및 임의의 통상의 첨가제와 경우에 따라 소량의 물을 포함하거나 물을 포함하지 않는 보다 농축된 수용액 또는 자기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농축 조성물을 본 발명의 처리 공정에 사용하기 전에 적합한 양의 물로 희석하여 적합한 농도의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담그기, 함침, 침지, 브러싱, 롤링 또는 분무와같은 임의의 공지 방법에 의해 아스팔트 재료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처리 조성물은 분무에 의해 보호될 표면에 도포하거나, 특히 압축 공기 분무기를 이용한 분무에 의해 도포한다. 적합한 분무 장치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스팔트 재료의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양은 결정적이지 않다. 상기 양은 표면을 충분히 적실 정도이어야하지만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과도한 사용은 하지 않아야한다. 천연적으로 아스팔트 및 비교적 다량의 무기 골재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도로와 같은 비교적 다공성인 기질은 표면 침투에 의해 처리 조성물을 실질적으로 다량 흡수할 것이지만 아스팔트 지붕 표면과 같은 다른 기질은 비교적 적은 양을 필요로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질에 도포한 후 처리 표면은 물 또는 오일에 노출되기 전에 충분히 건조되어야한다.
흥미로운 것은, 다공성 기질이 본 발명의 처리를 받은 후 그 기공성을 유지하므로 공기와 수분 증기가 그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표면이 종래 기술에 의한 코팅에 의해서와는 달리 밀봉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결과로서 액체 물 및 오일은 강하게 반발된다. 이 처리된 기질은 천연의 외관을 유지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아스팔트 재료의 표면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들은 드라이브웨이, 주차 지역 및 공항 활주로와 같은 길 및 유사한 아스팔트 교통 관련 표면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조성 지붕널 및 아스팔트 도포된 지붕계를 포함한다.
도로 및 특히 눈 및 얼음을 용융시키기 위해 염으로 처리되는 냉동 해동 주기에 노출되는 그와 유사한 아스팔트 교통 관련 표면이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이러한 표면 처리는 냉동-해동 손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므로 도로의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도로의 수명을 비용 효과적 방식으로 연장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표면처리의 효율은 몇방울의 물 또는 모터 오일(PennzoilR30 중량)을 처리 건조된 수평 표면에 도포하여 목측 관찰하는 것에 의해 주로 실시한다. 물은 아스팔트 재료에 습윤되어 연속적인 쉬트 또는 물을 형성하거나, 또는 아스팔트의 다공성에 따라 서서히 아스팔트에 흡수되지만, 물은 처리된 재료의 표면상에 소형의 거의 반구체의 비이드를 간단히 형성하는 본 발명의 처리의 결과로서 강하게 반발된다. 보통 습윤제의 부재하에서 처리할 때 적은 접촉각을 나타내는 보다 넓은 비이드를 얻는다. 물은 불특정 시간 동안 처리 표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 결국 물은 침투되어 표면에 아무런 손상을 남기지 않는다. 긴 시간의 냉동-해동 주기후에도 물은 처리된 표면에 침투되지 않고 얼음의 접착이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표면손상의 흔적이 남지 않는다.
모터 오일은 또한 습윤되어 아스팔트 재료 전체로 퍼져서 서서히 흡수된다. 그러나 아스팔트 재료의 표면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되면, 퍼저서 흡수되는 것이 덜하게된다. 장시간에 걸쳐 접촉한 후에도 오일은 흡수재에 빨아들여지거나 수류로 세척되는 것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아스팔트 재료는 공중합체만으로 처리된 동일한 표면에 비하여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및 그 용도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든 부는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100부의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용기에 중간정도로 교반하면서 2.0부의 LODYNE P-514, 노쓰캐롤라이나, 하이 포인트에 소재하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숀의 컨슈머 케어 디비젼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30 중량%의 양이온성 플루오로케미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이어 아리조나 투손에 소재하는 폴리포어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특허 액체인 0.1부의 Solvent-D를 부가하였다. 소망하는 상용성 보존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부가하고 혼합물이 목측으로 균일하게 될 때 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것은 저장시 안정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
상기 조성물을 갖는 용액을 공기 압축된 분무 장치에 넣었다. 도로를 헤체하여 얻은 아스팔트 포장 샘플을 보호 표면상에 평탄하게 놓고 이들의 표면이 완전히 적셔질 때 까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무하였다. 처리된 물질을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하기 전에 완전히 건조시킨다. 처리된 물질은 약 1년간 저장한 후에도 물 및 오일에 대하여 우수한 반발력을 나타낸다.
아리조나의 투손 지역에 있는 아스팔트 도로의 일부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분무하였다. 약 1년간 노출된 후에도 물은 처리된 표면상에서 비이드를 형성한다.
아스팔트 조성 지붕널을 보호된 표면상에 평탄하게 놓은 다음 이들의 표면이 완전히 습윤될 때 까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분무하였다. 이어 이들을 평가하기 전에, 처리된 재료를 완전히 건조시킨다. 장시간의 저장 및 주기적인 냉동-해동 주기를 거친 후에도 표면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Claims (19)

  1.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의한 손상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아스팔트 재료를 제공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서물은 (A) 플루오르화된 기, 양이온성 기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 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맞추기 위한 물을 포함하며,
    단, 상기 공중합체가 1% 이상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이면, 상기 조성물은 약 0.01 내지 1 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 약 0.2 내지 2 중량%, 및 약 0.01 내지 1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A)중의 공중합체가 폴리플루오르화된 알킬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약 60 내지 90 중량%, 양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단량체 약 10 내지 약 40 중량% 및 비이온성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반응 생성물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A)중의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클로로-3-이소부텐-1,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 및 디클로로-부타디엔, 플루오로- 및 디플루오로-부타디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메탈릴 클로라이드, 비닐-톨루엔,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시아노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N-비닐카르바졸, 메틸 비닐 케톤, 알릴 아세테이트, 알릴 프로피오네이트, 알릴 이소부티레이트, 알릴 헵타노에이트, 세틸 비닐 에테르, 도데실 비닐 에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 센아이코산의 알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헥실-, 헵틸-, 에틸-2-헥실-, 시클로헥실-, 라우릴-, 스테아릴- 또는 에톡시에틸 에스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클로로-2-아크릴로니트릴, 시아노-2-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렌 글루타로니트릴, 비닐리덴 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알릴 알코올, 알릴 글리콜레이트, 이소부텐디올, 알릴옥시-에탄올, o-알릴페놀, 디비닐카르비놀, 글리세롤-알릴 에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아미드 및 말레이미드, N-(시아노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아미노-3-크로토노니트릴, 모노알릴아민, 비닐피리딘,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및 아크롤레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단량체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A)중의 공중합체가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이하의 중량%로 공중합된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조성물:
    (a) 하기 화학식(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60 내지 90%:
    (I)
    식중에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퍼플루오로알킬 기이고,
    R은 H 또는 CH3이며,
    A는 O, S 또는 N(R')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3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렌, -(CnH2n)(OCqH2q)m-, -SO2-NR'(Cn-H2n)- 또는 -CONR'(CnH2n)-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n은 1 내지 15이며, q는 2 내지 4이고 또 m은 1 내지 15임;
    (b) 하기 화학식(I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10 내지 약 40 %:
    (II)
    식중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며, 또 질소는 40 내지 100% 4급화되거나 또는 염형태일 수 있음; 및
    (c) 하기 화학식(III) 또는 (IV)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약 1 내지 약 7%:
    (III) 또는
    (IV)
    식중에서,
    R3및 R4는 독립해서 H 또는 1 내지 약 4개 탄소원자를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킬 라디칼임.
  7. 제6항에 있어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고, A는 O이며 또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고, 화학식(II)의 단량체는 부분적 또는 전체 염류화 또는 4급화된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고 또 화학식(III)의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인 조성물.
  8. (A) 플루오르화된 기, 양이온성 기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 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맞추기 위한 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로 아스팔트 재료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내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재료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조성물이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 약 0.2 내지 2 중량%, 및 약 0.01 내지 1중량%의 침투 보조제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A)중의 공중합체가 폴리플루오르화된 알킬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약 60 내지 90 중량%, 양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단량체 약 10 내지 약 40 중량%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반응 생성물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성분(A)중의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텐, 클로로-3-이소부텐-1,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 및 디클로로-부타디엔, 플루오로- 및 디플루오로-부타디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알릴 브로마이드, 메탈릴 클로라이드, 비닐-톨루엔,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시아노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N-비닐카르바졸, 메틸 비닐 케톤, 알릴 아세테이트, 알릴 프로피오네이트, 알릴 이소부티레이트, 알릴 헵타노에이트, 세틸 비닐 에테르, 도데실 비닐 에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파-클로로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 센아이코산의 알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헥실-, 헵틸-, 에틸-2-헥실-, 시클로헥실-, 라우릴-, 스테아릴- 또는 에톡시에틸 에스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클로로-2-아크릴로니트릴, 시아노-2-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렌 글루타로니트릴, 비닐리덴 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알릴 알코올, 알릴 글리콜레이트, 이소부텐디올, 알릴옥시-에탄올, o-알릴페놀, 디비닐카르비놀, 글리세롤-알릴 에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말레아미드 및 말레이미드, N-(시아노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옥살-비스-아크릴아미드, 아미노-3-크로토노니트릴, 모노알릴아민, 비닐피리딘,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및 아크롤레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단량체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클로로히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A)중의 공중합체가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하여 이하의 중량%로 공중합된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방법:
    (a) 하기 화학식(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60 내지 90%:
    (I)
    식중에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퍼플루오로알킬 기이고,
    R은 H 또는 CH3이며,
    A는 O, S 또는 N(R')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3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렌, -(CnH2n)(OCqH2q)m-, -SO2-NR'(Cn-H2n)- 또는 -CONR'(CnH2n)-이고, 이때 R'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n은 1 내지 15이며, q는 2 내지 4이고 또 m은 1 내지 15임;
    (b) 하기 화학식(II)의 단량체 하나 이상 약 10 내지 약 40 %:
    (II)
    식중에서,
    R1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H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며, 또 질소는 40 내지 100% 4급화되거나 또는 염형태일 수 있음; 및
    (c) 하기 화학식(III) 또는 (IV)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약 1 내지 약 7%:
    (III) 또는
    (IV)
    식중에서,
    R3및 R4는 독립해서 H 또는 1 내지 약 4개 탄소원자를 갖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킬 라디칼임.
  14. 제13항에 있어서, Rf는 2 내지 약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고, A는 O이며 또 Q는 1 내지 약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고, 화학식(II)의 단량체는 부분적 또는 전체 염류화 또는 4급화된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고 또 화학식(III)의 단량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중의 화학식(I)의 단량체의 비율이 약 79% 내지 약 85중량%이고, 공중합체(염 형태)중의 화학식(II)의 단량체의 비율이 약 13% 내지 약 19 중량%이며 또 공중합체중의 화학식(III) 또는 (IV)의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비율이 약 1% 내지 약 5중량%인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조성물을 압축 공기 분무기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재료의 표면에 분무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조성물을 압축 공기 분무기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재료의 표면에 분무하는 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재료가 아스팔트 교통 관련 표면, 아스팔트 조성 지붕널 또는 아스팔트 도포된 지붕계인 방법.
  19. (A) 플루오르화된 기, 양이온성 기 및 비이온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공중합체의 수용액 또는 자기 분산된 유제 또는 분산액을 100% 고형분을 기준하여 약 0.1 내지 4 중량%, 경우에 따라
    (B) 유효량의 침투 보조제, 및
    (C) 100%를 맞추기 위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된, 물, 오일 및 옥외노출에 기인한 손상에 대하여 내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재료.
KR1020017001393A 1998-09-10 1999-07-21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할 수 있는 수성 플루오르화 중합체분산액 KR20010071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69998P 1998-09-10 1998-09-10
US60/099,699 1998-09-10
PCT/EP1999/005214 WO2000015715A1 (en) 1998-09-10 1999-07-21 Aqueous fluorinated polymer dispersions capable to protect asphaltic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081A true KR20010071081A (ko) 2001-07-28

Family

ID=2227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393A KR20010071081A (ko) 1998-09-10 1999-07-21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할 수 있는 수성 플루오르화 중합체분산액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13978A (ko)
EP (1) EP1112324B1 (ko)
JP (1) JP2002524645A (ko)
KR (1) KR20010071081A (ko)
AT (1) ATE307169T1 (ko)
AU (1) AU750677B2 (ko)
BR (1) BR9914279A (ko)
CA (1) CA2337946A1 (ko)
DE (1) DE69927834D1 (ko)
WO (1) WO2000015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3410C (en) * 1999-05-26 2005-02-15 Basf Corporation Metal roofing shingle stock and method for making it
US7341661B2 (en) * 2000-11-16 2008-03-11 Unit Process Technologies, L.L.C. Clarification and sorptive-filtration system for the capture of constituents and particulate matter in liquids and gases
US6468942B1 (en) * 2000-11-16 2002-10-22 John J. Sansalone Absorptive-filtration media for the capture of waterborne or airborne constituents
US7179017B2 (en) * 2004-05-07 2007-02-20 Radi Al Rashed Low-viscosity, silicone-modified penetrating asphalt sealer to eliminate water associated problems in asphalt pavements
US7282273B2 (en) * 2005-10-26 2007-10-16 Polymer Ventures, Inc. Grease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80003384A1 (en) * 2006-06-29 2008-01-03 Polymer Ventures, Inc. Multi-layer coatings to increase water and grease resistance of porous materials and materials having such protection
WO2009045993A2 (en) * 2007-10-01 2009-04-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cationic fluorinated ether, silanes, and related methods
EP2209792B1 (en) * 2007-10-01 2019-06-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tionic fluorinated ether silan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090098303A1 (en) * 2007-10-15 2009-04-16 Polymer Ventures, Inc. Coatings to increase water and grease resistance of porous materials and materials having such protection
CA2707677A1 (en) 2007-12-03 2009-06-11 Rudolf J. Dams Cationic polymeric fluorinated ether silan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01925620B (zh) 2007-12-03 2012-10-17 3M创新有限公司 阳离子聚合物型氟化醚硅烷组合物及使用方法
EP2231730B1 (en) 2007-12-13 2013-02-13 Daikin Industries, Ltd. Fluorine-containing polymer and aqueous treatment agent
CN100593557C (zh) * 2008-01-31 2010-03-10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防冰霜涂料及其使用方法
US8177997B2 (en) 2009-01-29 2012-05-15 Midwest Industrial Supply, Inc. Chemical method and composition for soil improvement
CL2010000073A1 (es) 2009-01-29 2011-01-07 Midwest Ind Supply Inc Composicion para mejora quimica del suelo que comprende un fluido sintetico y un reductor del punto de fluidez; composicion que comprende fluido sintetico, material biodegradable y fibras sinteticas;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aceite base y poliisobutileno; composicion que comprende fluido sintetico y un ligante; metodo de aplicacion.
US8210769B2 (en) 2009-03-31 2012-07-03 Midwest Industrial Supply,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modifying soil and dust control
US8033750B2 (en) 2009-03-31 2011-10-11 Midwest Industrial Supply,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modifying soil and dust control
US8066448B2 (en) 2009-03-31 2011-11-29 Midwest Industrial Supply, Inc. Dust suppression agent
US8273435B2 (en) * 2009-06-01 2012-09-25 Polymer Ventures, Inc. Polyol coatings, articles, and methods
US8287974B2 (en) * 2009-06-01 2012-10-16 Polymer Ventures, Inc. Polyol-based release paper, articles, and methods
US7939138B2 (en) * 2009-06-01 2011-05-10 Polymer Ventures, Inc. Grease resistant coatings, articles and methods
RS20120485A1 (en) 2010-05-07 2013-04-30 Midwest Industrial Supply, Inc. PROCEDURE AND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OF ROADS AND AUGUST
US8702343B1 (en) 2012-12-21 2014-04-22 Midwest Industrial Supply,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road construction and surfacing
WO2014111292A1 (en) 2013-01-18 2014-07-24 Basf Se Acrylic disper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JP6230101B2 (ja) * 2013-08-08 2017-11-15 国立研究開発法人土木研究所 舗装路面の凍結抑制用撥水材組成物、凍結抑制舗装体及び舗装路面の凍結抑制方法
CN106676030A (zh) * 2016-11-08 2017-05-17 吕瑞军 一种改良土壤盐渍化的微生物培养物及其制备方法
US10597555B2 (en) 2017-08-30 2020-03-24 Johns Manville Hybrid coating for roof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3535B1 (fr) * 1991-11-12 1994-10-28 Atochem Nouveaux copolymeres fluores et leur utilisation pour le revetement et l'impregnation de substrats divers.
DE4201604A1 (de) * 1992-01-22 1993-07-29 Bayer Ag Fluorhaltige copolymerisate und daraus hergestellte waessrige dispersionen
US5387640A (en) * 1992-01-22 1995-02-07 Bayer Aktiengesellschaft Fluorine-containing copolymers and aqueous dispersions prepared therefrom
DE4441982A1 (de) * 1994-11-25 1996-05-30 Bayer Ag Öl-, wasser- und schmutzabweisend ausgerüstete Substrate und fluorhaltige Mittel hierzu
EP0714870A1 (fr) * 1994-11-29 1996-06-05 Elf Atochem S.A. Procédé et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oléophobe et hydrophobe des matériaux de construction
FR2727417B1 (fr) * 1994-11-29 1997-01-03 Atochem Elf Sa Copolymeres fluores cationiques pour le traitement oleophobe et hydrophobe des materiaux de construction
TW377370B (en) * 1996-04-12 1999-12-21 Du Pont Waterborne fluoropolymer solutions for treating hard surfaces
US5674961A (en) * 1996-04-12 1997-10-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il water and solvent resistant paper by treatment with fluorochemical co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2324B1 (en) 2005-10-19
ATE307169T1 (de) 2005-11-15
US6113978A (en) 2000-09-05
AU5370899A (en) 2000-04-03
DE69927834D1 (de) 2006-03-02
JP2002524645A (ja) 2002-08-06
AU750677B2 (en) 2002-07-25
BR9914279A (pt) 2001-06-19
EP1112324A1 (en) 2001-07-04
CA2337946A1 (en) 2000-03-23
WO2000015715A1 (en) 200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1081A (ko) 아스팔트 재료를 보호할 수 있는 수성 플루오르화 중합체분산액
US6197382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otect calcitic and/or siliceous surfaces
US638356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otect calcitic and/or siliceous materials
EP0892835B1 (en) Waterborne fluoropolymer solutions for treating hard surfaces
US6037429A (en) Water-soluble fluorochemical polymers for use in water and oil repellent masonry treatments
EP1423347B1 (en) Aqueous fluorochemical polymer composition for water and oil repellent treatment of masonry and wellbores
US6120892A (en) Waterborne fluoropolymer solutions for treating hard surfaces
JP2915803B2 (ja) 水系撥水・防水コーティング剤
AU2010203777B2 (en) Asphalt prime coat
MXPA01002254A (en) Aqueous fluorinated polymer dispersions capable to protect asphaltic materials
JP4958333B2 (ja) 水性吸水防止材
JP2609146B2 (ja) 撥水性塗料
MXPA01000470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otect calcitic and/or siliceous surfaces
CN1400260A (zh) 石材保护剂及其制造方法
JPH0132872B2 (ko)
JPH0662971B2 (ja) 野積み石炭の含水率上昇抑制剤
CN113943550A (zh) 一种抑尘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