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295A -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295A
KR20010069295A KR1020010012745A KR20010012745A KR20010069295A KR 20010069295 A KR20010069295 A KR 20010069295A KR 1020010012745 A KR1020010012745 A KR 1020010012745A KR 20010012745 A KR20010012745 A KR 20010012745A KR 20010069295 A KR20010069295 A KR 20010069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yceps
cocoon
silkworm
cordyceps militaris
milita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일 filed Critical 이재일
Priority to KR102001001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295A/ko
Publication of KR2001006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크와 누에 번데기가 분리되지 않은 누에고치 자체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을 배양하여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재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재배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항암제, 에이즈치료제, 마약중독치료제, 염증억제제, 자양강장제 등의 의약품 원료로 이용될 수 있는 물질들이 현저히 높게 생산되는 것으로서 누에고치에서 재배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A method of cultivation Cordyceps militaris using a silkworm cocoon for culture medium}
본 발명은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실크와 누에 번데기가 분리되지 않은 누에고치 자체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을 배양하여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충하초(冬蟲夏草)라는 것은 분류학적 위치로 볼 때 자낭균강 맥각균과에 속하며 동충하초속 즉, 코디셉스속(Cordycepssp.)에 포함되는 것만을 말하는 것으로 실과 같은 나선형으로 된 자낭포자를 만들어 내는 고등균류만을 총칭하여 동충하초(冬蟲夏草)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Alexopoulos와 Mims.1979: Breitenbach and Kranzlin. 1984).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곤충 또는 절지동물에 기생하는 모든 곰팡이와 심지어는 고등식물 종자에 기생하는 곰팡이까지 동충하초라고 잘못 알려져 왔다. 정확한 개념의 동충하초란 코디셉스속(Cordycepssp.) 즉, 동충하초속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현재까지 발견된 300여종만이 동충하초인 것이다.
또한 코디셉스속(Cordycepssp.)에 속하는 동충하초일지라도 약리효과가 규명되지 않은 종이 대부분이며 세계적인 학술논문을 통하여 그 약리효과가 밝혀진 대표적인 동충하초는 시넨시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이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자연 상태에서 주로 나비목 곤충의 번데기를 기주로 하여 다발로 자실체를 형성하는 버섯으로서 이미 중국에서는 3000∼4000년간 식용으로 복용하여 왔고 그 약효 또한 오랫동안 인정되어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외국에서 각광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용하면 허약 체질을 튼튼히 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분명한 효과가 있고 폐질환이나 신장질환에 사용하였다고 예로부터 전해져 오고 있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주요성분중의 하나인 코디세핀(cordycepin)은 100mg에 317.10$(SIGMA사)로서 국제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항 백혈병(미국 OXIGENE.1997, Eiichi N. Kodama.2000), 항암작용(Donald. 1960), HIV 바이러스 억제효과(Werner. 1990), 장내유해세균 억제효과(연. 2000), 항세균, 항진균 작용을 하는 항생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만니톨(mannitol)이란 성분은 뇌혈전, 뇌일혈, 신장쇠약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고, 폴리사카라이드(polisaccaride)는 암 억제 및 노화방지 그리고 면역 증강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노화방지 물질로 알려진 SOD와 기타 유용한 물질들이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에는 중국산 동충하초인 시넨시스 동충하초보다 함유량이 더 높게 검출된다는 보고가 학술 논문을 통해 많이 발표되고 있다. 현재 중국 의학계에서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임종을 늦추거나 노약한 환자의 회복을 촉진시키고, 노환에서 오는 만성기침, 천식, 폐결핵, 남성의 성기능장애, 고혈압, 당뇨병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마약중독 해독제로서의 효능이 있다는 보고가 스위스에서 있었다.
자생하고 있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주로 5∼9에 발견되며, 건조하여 달여 마시거나 약술로 만들어 복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이적인 효능을 갖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찾기가 어려워 일반인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양산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어 오던 차에 누에 번데기나 곤충만을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 배양방법 및 재배방법이 성공한 바는 있으나 실크와 누에번데기가 분리되지 않은 누에고치를 배지로 사용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공지되지 않은 실정이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이 누에 번데기와 같이 곤충만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누에 번데기만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경우에는 종균 배양시에 나타나는 발효열이 최대 60℃까지 올라가는 관계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자실체 성공률이 30%정도로 현저히 낮아 산업성이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연계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가 자생하는 것과 같이 누에 번데기의 수분 함량과 습도를 인위적으로 맞추기가 어려워 자실체 형성이 정상적인 곤봉형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기형적인 형태로 자라기 때문에 효능이 좋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생산하는데 곤란을 겪어왔다. 또한 자연계에서는 주로 땅속에 있는 나비목 곤충의 번데기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가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크와 누에번데기가 분리되지 않은 누에고치를 배지로 하여 탁월한 효능을 갖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실크와 누에번데기가 분리되지 않은 누에고치를 배지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건조된 누에고치를 20∼25℃인 물에 침수하였다가 수분함량을 60∼65%로 조절하고 고압 살균하여 냉각시킨 후 무균실에서 액체로 만든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실내의 온도를 변온 시키면서 배양하고 여기서 얻어진 배양된 누에고치를 15∼20℃인 물에 침수하여 수분함유량을 90∼95%로 조절한 후에 균상위에 깔아 누에고치 자체에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해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실크와 누에번데기가 분리되지 않은 건조된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다. 이때 누에고치 안에 있는 누에번데기가 살아 있는 것을 이용할 경우에는 수분조절이 용이치 않기 때문에 수분함량을 60∼65%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누에고치 안에 들어있는 누에번데기가 건조된 것을 이용하여 물에 침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번데기와 번데기 사이에 누에고치 즉, 실크가 있어서 통기가 원할하여 균 배양시에 발생하는 고열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누에고치를 배지로 사용하지 않고 누에번데기만을 배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균사 생육시에 발생하는 고열로 인하여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자실체 발생확률이 30% 이하로 떨어진다. 따라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균사 생육시에 고열로 인한 피해가 없게 하기 위해서는 배지를 상기의 누에고치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어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를 배양하기 위해 건조된 누에고치를 수온이 약 20∼25℃인 물에 10시간 정도 담가 두었다가 수분을 60∼65%로 조절한다. 이때 수온이 상기 범위의 이하일 때는 침수 시간이 길어지며, 상기 범위 이상일 때는 누에번데기의 영양성분이 유출되어 효능이 좋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자실체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누에고치를 물에 침수할 때에는 수온이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어서 수분함량이 조절된 누에고치를 종균병에 2/3정도 넣고 온도가 121℃에서 80∼90분간 고압 살균한다. 그리고 냉각실에서 20℃까지 온도를 떨어트린 후 무균실에서 액체로 만들어진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약 1∼2㎖씩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접종한다. 이때 고체 종균을 접종하거나 또는 액체 종균을 스프레이 접종 방식이 아닌 바른 방법으로 접종할 때에는 배지 전체가 일시에 활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분은 균사의 활착이 양호하나 다른 부분은 균사의 활착이 불량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균을 액체 종균을 사용하고 접종은 스프레이 접종방식으로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어서 누에고치의 배지상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을 배양할 때의 실내 온도는 23∼25℃가 적당하나, 초기 배양에 있어서 약 5일간은 22∼25℃를 유지하고 그 후 10일 간은 18∼2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양온도를 초기 배양 온도인 23∼25℃로 계속 유지를 하면 자체 발효열에 의해서 배지 내부 온도가 30℃이상 올라가는 관계로 전체적으로 자실체를 수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누에고치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을 배양할 때의 초기와 후기의 배양온도는 상기내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누에고치 배지상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을 배양할 때에는 습도와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양실의 습도를 60∼65%로 유지함과 동시에 배양실의 환기를 1일 2∼3회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서 누에고치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배양된 것을 수온이 15∼20℃인 지하수 물에 약 5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균상 위에 깔고 재배사에서 재배한다. 이때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에 배양된 누에고치를 물에 침수하지 않고 재배를 시작하면 자실체 형성이 평균 5∼7일 정도 늦게 발생한다. 따라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재배하기 전에 배양된 누에고치를 물에 침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누에고치를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재배할 때의 빛은 간접광선으로서 밝은 편이 좋고, 온도는 18∼20℃가 바람직하다. 재배온도가 22℃ 이상이면 자실체 형성보다는 균사 활착이 활발하여 자실체 형성에 방해가 된다.
또한, 무균 상태가 아닌 균상위의 재배사 안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식으로서 습도와 산소가 더욱 더 필요하게 됨으로 재배사 안을 항상 90∼95% 정도로 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산소부족으로 인한 기형적인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도록 1일 6∼7회 환기를 실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작용은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하여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을 배양할 때 발생하는 고열을, 배양온도를 변온 시킴으로 인하여 배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누에번데기를 감싸고 있는 실크가 공기 흐름을 원할히 하여 온도를 완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무균 상태가 아닌 균상위에서 재배할 때 누에번데기를 감싸고 있는 실크, 즉 누에고치가 자연계에서의 땅속과 같은 역할을 하여 수분을 흡수하고 있다가 수분이 필요로 할 때마다 그 필요량만큼의 수분만을 공급해 줌으로 인하여 곤봉형의 주황색을 띤 정상적인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자실체를 양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제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조된 누에고치 100g을 수온이 약 20∼25℃인 지하수 물에 10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60∼65%로 조절한다. 그리고 850cc정도의 반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종균병에 2/3 정도 넣고 80∼90분간 121℃로 고압 살균하여 냉각실에서 20℃까지 냉각시킨 후 무균실에서 액체로 만들어진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약 1∼2㎖씩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접종하였다. 그리고 종균 배양실로 옮겨 1일 2∼3회 환기를 시키면서, 배양실 내의 습도를 60∼65%로 유지하고, 배양온도는 초기 1일에서 5일까지는 23∼25℃로 유지하다가 그 후 10일간은 18∼20℃로 유지하였다. 그 결과 15일만에 누에고치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완전히 배양되었다.
이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배양된 누에고치를 수온이 15∼20℃인 지하수 물에 약 5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바닥 면이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크기가 40×40×9cm(가로×세로×높이)인 사각 상자 안에 골고루 펼쳐서 재배사 안의 균상 위에 올려놓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공중 습도를 90∼95%, 재배 온도를 18∼20℃로 유지하면서 하루에 6∼7회 정도 환기를 시키면서 재배하였다. 그 결과 재배시작 25일만에 누에고치에서 길이가 약 20∼30mm인 다발로 형성된 곤봉형을 띤 주황색의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자실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건조된 누에고치 100g을 수온이 약 30℃인 지하수 물에 8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60∼65%로 조절한다. 그리고 850cc정도의 반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종균병에 2/3 정도 넣고 80∼90분간 121℃로 고압 살균하여 냉각실에서 20℃까지 냉각시킨 후 무균실에서 고체로 만들어진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하고 누에고치와 종균이 잘 혼합되도록 흔들어 준 뒤, 종균 배양실로 옮겨 1일 2∼3회 환기를 시키면서, 배양실 내의 습도를 60∼65%로 유지하고, 배양온도는 초기 1일에서 5일까지는 23∼25℃로 유지하다가 그 후 10일간은 18∼20℃로 유지하였다. 그 결과 20일만에 누에고치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배양되었으나 일부에서는 누에고치 안에 있는 누에번데기 내부까지 완전히 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이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배양된 누에고치를 바닥 면이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크기가 40×40×9cm(가로×세로×높이)인사각 상자 안에 골고루 펼쳐서 재배사 안의 균상 위에 올려놓고 분무기를 이용하여 지하수 물을 하루에 3회씩 5일간 뿌려주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공중 습도를 90∼95%, 재배 온도를 18∼20℃로 유지하면서 하루에 6∼7회 정도 환기를 시키면서 재배하였다. 그 결과 재배시작 30여일 만에 누에고치에서 길이가 약 15∼30mm인 다발로 형성된 곤봉형을 띤 주황색의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자실체를 수득하였으나 일부분에서는 자실체를 수득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3
건조된 누에고치 100g을 수온이 약 20∼25℃인 지하수 물에 10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65∼70%로 조절한 뒤 포도당 5g과 현미가루 10g을 혼합하였다. 그리고 850cc정도의 반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종균병에 2/3 정도 넣고 80∼90분간 121℃로 고압 살균하여 냉각실에서 20℃까지 냉각시킨 후 무균실에서 액체로 만들어진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약 1∼2㎖씩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접종하였다. 그리고 종균 배양실로 옮겨 1일 2∼3회 환기를 시키면서, 배양실 내의 습도를 60∼65%로 유지하고, 배양온도는 초기 1일에서 5일까지는 23∼25℃로 유지하다가 그 후 10일간은 18∼20℃로 유지하였다. 그 결과 12일만에 누에고치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배양되었으나 일부에서는 누에고치 안에 있는 누에번데기 내부까지 완전히 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이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이 배양된 누에고치를 수온이 15∼20℃인 지하수 물에 약 5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바닥 면이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크기가 40×40×9cm(가로×세로×높이)인 사각 상자안에 골고루 펼쳐서 재배사 안의 균상 위에 올려놓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공중 습도를 90∼95%, 재배 온도를 18∼20℃로 유지하면서 하루에 6∼7회 정도 환기를 시키면서 재배하였다. 그 결과 재배시작 25여일만에 누에고치에서 길이가 약 15∼30mm인 다발로 형성된 곤봉형을 띤 주황색의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자실체를 수득하였으나 일부분에서는 자실체를 수득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4
건조된 누에고치 80g을 수온이 20∼25℃인 지하수 물에 10시간 정도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65∼70%조절한 뒤 여기에 포도당 5g과 현미가루 15g을 혼합하여 850cc정도의 반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종균병 바닥에 약 1cm정도 넣고 80∼90분간 121℃로 고압 살균하여 냉각실에서 20℃까지 냉각시킨 후 무균실에서 액체로 만들어진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약 1㎖씩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접종하였다. 그리고 종균 배양실로 옮겨 1일 2∼3회 환기를 시키면서, 배양실 내의 습도를 60∼65%로 유지하고, 배양온도를 21∼23℃로 20일간 유지하였다. 그리고 재배실로 옮겨 공중 습도를 80∼85%, 재배온도를 18∼20℃로 유지하면서 하루에 3회 정도 환기를 시키면서 재배하였다. 그 결과 재배 시작 30일만에 길이가 15∼35mm인 곤봉형이 아닌 기형적인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자실체를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재배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누에번데기 뿐만이 아니라 실크에서 나오는 필수아미노산을 동시에 수득할 수 있어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코디세핀, 폴리사카라이드, 만니톨 등의 의약품 원료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그 동안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현미 등을 이용하여 무균 상태인 병속에서만 재배하여 오던 것을, 노지 재배와 같이 균상에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대량 재배할 수 있다.

Claims (2)

  1.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조된 누에고치를 배지로 사용하여 상기 누에고치를 침수 후 종균병에 넣고 고압 살균 후 무균실에서 액체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을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접종하고 배양 온도를 변온 시키면서 배양하여 얻어진 누에고치를 지하수 물에 침수하였다가 꺼내어 균상 위에 깔아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 배양 온도를, 초기에는 23∼25℃, 후기에는 18∼20℃로 변온시키면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 배양방법.
KR1020010012745A 2001-03-02 2001-03-02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20010069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45A KR20010069295A (ko) 2001-03-02 2001-03-02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45A KR20010069295A (ko) 2001-03-02 2001-03-02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295A true KR20010069295A (ko) 2001-07-25

Family

ID=1970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45A KR20010069295A (ko) 2001-03-02 2001-03-02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23B1 (ko) * 2005-07-30 2007-01-29 이상호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유충을 기주로 한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인공 재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901A (ja) * 1994-12-23 1996-07-09 Matsuno Bio Res:Kk 冬虫夏草の人工培養方法及び人工培養基材
KR970068810A (ko) * 1997-08-05 1997-11-07 이재일 누에 번데기를 이용한 번데기 동충하초의 종균 배양방법 및 재배방법
KR980002244A (ko) * 1997-12-20 1998-03-30 이재일 동충하초버섯용 곤충 종균배지 및 그 상자 재배방법
KR0179455B1 (ko) * 1996-08-02 1999-02-01 이재일 곤충만을 이용한 동충하초버섯의 대량재배방법
KR100266082B1 (ko) * 1998-04-24 2000-10-02 정준호 동충하초 자실체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901A (ja) * 1994-12-23 1996-07-09 Matsuno Bio Res:Kk 冬虫夏草の人工培養方法及び人工培養基材
KR0179455B1 (ko) * 1996-08-02 1999-02-01 이재일 곤충만을 이용한 동충하초버섯의 대량재배방법
KR970068810A (ko) * 1997-08-05 1997-11-07 이재일 누에 번데기를 이용한 번데기 동충하초의 종균 배양방법 및 재배방법
KR980002244A (ko) * 1997-12-20 1998-03-30 이재일 동충하초버섯용 곤충 종균배지 및 그 상자 재배방법
KR100266082B1 (ko) * 1998-04-24 2000-10-02 정준호 동충하초 자실체 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123B1 (ko) * 2005-07-30 2007-01-29 이상호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유충을 기주로 한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인공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5763A (zh) 一种冬虫夏草的培育方法
KR100266082B1 (ko) 동충하초 자실체 생산방법
CN106359087B (zh) 一种天门冬组培快繁育苗方法
CN109757313A (zh) 一种绵毛鹿茸草的移栽方法
CN112980701A (zh) 促进铁皮石斛种子萌发及生长的复合菌剂
KR100483333B1 (ko)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CN105638244A (zh) 一种蚕虫草的培育方法
KR100383558B1 (ko) 동충하초 자실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액체종균 배양방법 및그 장치
KR100349579B1 (ko) 동충하초 재배방법
KR100876820B1 (ko)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재배방법
CN110771631B (zh) 一种利用复合杀线虫微生物防治线虫病害的方法
KR100288105B1 (ko) 신규한 번데기동충하초 균주와 그 종균 및 자실체 재배방법
KR10092570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효소의 생산방법
KR100232710B1 (ko) 누에 번데기를 이용한 밀리터리스 동충하초의 종균 배양방법 및 재배방법
CN1846505A (zh) 一种微生物抗烟草赤星病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913612B (zh) 一种提高栽培滇重楼皂苷ⅵ含量的方法
KR20010069295A (ko) 누에고치를 배지로 이용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20140089204A (ko) 금나노콜로이드용액을 사용한 자낭균류 버섯 재배방법
KR100358392B1 (ko) 동충하초 자실체의 재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용기
KR20020003485A (ko) 키토산이 함유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20050036382A (ko) 풍뎅이류 굼벵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와 그 생산 방법
KR101754411B1 (ko) 동충하초술의 제조 방법
CN1430881A (zh) 柳桉组培育苗方法
KR20200006429A (ko)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방법
KR100187895B1 (ko) 가잠을이용한동충하초의인공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