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256A -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256A
KR20010068256A KR1020000000069A KR20000000069A KR20010068256A KR 20010068256 A KR20010068256 A KR 20010068256A KR 1020000000069 A KR1020000000069 A KR 1020000000069A KR 20000000069 A KR20000000069 A KR 20000000069A KR 20010068256 A KR20010068256 A KR 20010068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hole
button
suction
vacuum cleaner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256A/ko
Publication of KR2001006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공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흡입구체의 흡입구가 막혔을 경우 바이패스공을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조작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저감시키고, 그 조작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공의 선택적인 완전 개방 혹은 완전 폐쇄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13) 및 팬(14)을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아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체(20)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호스(31)와, 상기 흡입구체에 연결된 연장관(33)과, 상기 흡입호스와 연장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일단에 바이패스공(32a)이 형성된 손잡이부(32)를 구비하여서 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바이패스공(32) 근접부에 양측이 힌지(141) 결합되고, 그 선단측은 이 힌지를 중심으로 선택적인 상, 하향 이동하면서 바이패스공(32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그 후방측 하단은 탄력 설치된 버튼부(14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bypass in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를 흡입구체에 형성된 흡입구가 막혔을 경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청소기 본체 내부의 압력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그 흡입유동 경로상에 형성된 바이패스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그 내부와 연통되도록 삽입공(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체(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20)와 본체(10) 사이에는 흡입호스(31), 손잡이부(32), 연장관(33)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호스는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1)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집진봉투(12) 내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구체(20)를 통해 흡입된 각종 이물질은 상기 연장관, 손잡이부, 흡입호스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1)을 통해 본체(10) 내로 유입되어 집진봉투(12) 내에 집진된다.
상기에서 각종 이물질이 본체 내로 흡입될 수 있음은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모터(13)의 구동력에 의해 팬(14)이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가능하며, 상기 본체 내로 흡입되어 집진봉투(12)를 통과하게 되는 각종 공기는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15)을 통해 실내로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수행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위 즉, 카펫트나 이불 등을 청소할 경우에는 흡입구체(20)의 흡입구(21)가 상기 카펫트나 이불 등에 의해 막혀버릴 수 있음과 함께 휴지 등의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질 경우 흡입구(21)는 상기 휴지 등에 의해 막혀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청소기 본체(10)내 구비된 모터(13)의 급격한 압력 상승을 유발하게 되어 상기 모터(13)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음에 따라 종래에는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손잡이부(32)의 일단에 별도의 바이패스공(32a)을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공(32a)에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공(32a)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흡입구체가 막혔음을 사용자가 인지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이 개폐장치를 조작하여 바이패스공(32a)을 개방시킴으로써 본체(10) 내부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함과 더불어 흡입구체(20)의 흡입구(21)로 전달되는 흡입력의 급격한 감소를 수행하여 이 흡입구(21)를 막고 있는 카펫트나 이불 혹은, 이물질 등을 상기 흡입구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은 바이패스공(32a)의 선택적인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개폐장치는 그 조작이 이동부(41)를 밀고 당기김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청소 수행 중의 조작이 불편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유발시키게된 원인이 되었다.
또한, 바이패스공(32a)의 완전한 밀폐를 위해서는 이동부(41)의 저면에 일체화된 실링부재(42)가 바이패스공(32a)을 완전히 덮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부(41)의 완전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바이패스공(32a)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됨에 따라 흡입구(21)로 전달되는 흡입력의 저감을 유발시키게 됨으로써 이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주의를 요하게 된 문제점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흡입구체의 흡입구가 막혔을 경우 바이패스공을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조작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저감시키고, 그 조작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공의 선택적인 완전 개방 혹은 완전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공 개폐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공 개폐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공 개폐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a. 바이패스공 140. 버튼부
150. 폐쇄버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 및 팬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아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구체에 연결된 연장관과, 상기 흡입호스와 연장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일단에 바이패스공이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서 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바이패스공 근접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선단측은 이 힌지를 중심으로 선택적인 상, 하향 이동하면서 바이패스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그 후방측 하단은 탄력 설치된 버튼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바이패스공(32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버튼 방식을 이용하여 이룸으로써 사용자가 손쉬운 조작으로도 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내지 도 6a, 6b, 6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공 개폐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부(32)의 바이패스공(32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로써 상기 바이패스공(32a)의 근접부에 양측이 힌지(141) 결합되고, 그 선단측은 이 힌지(141)를 중심으로 선택적인 상, 하향 이동하면서 바이패스공(32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그 후방측 하단은 스프링(142)에 의해 탄력 설치된 버튼부(1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버튼부(140)의 선단측 저면에는 바이패스공(32a)의 형성 면적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실링부재(143)를 일체화한다.
또한, 손잡이부(32)의 면상인 버튼부(140)의 후방측 저부에는 별도의 걸림턱(151)을 형성하고, 이 버튼부(140)의 후방측 끝단 저부에는 힌지(152)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힌지(152)에는 버튼부(140)의 후방측을 선택적으로 상향 이동시키도록 절곡 형성됨과 함께 그 선단측 끝단에는 걸림고리부(153)가 형성되어 걸림턱(151)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폐쇄버튼(150)을 장착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개폐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 6a 내지 6c와 같은 그 동작순서에 기인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반적인 청소의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는 도시한 도 6a와 같이 버튼부(140)의 선단측 저면이 바이패스공(32a)을 폐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버튼부(140)의 선단측 저면에는 실링부재(143)가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이 버튼부(140)와 바이패스공(32a) 간의 틈새를 통한 흡입공기의 누설이 방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흡입구체(20)의 흡입구(21)가 비교적 부피가 큰 휴지, 카펫트, 이불 등(이하, “이물질”이라 한다)에 의해 막혀버릴 경우에는 급격한 압력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버튼부(140)의 후방측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부(140)는 도시한 도 6b와 같이 그 양측면 중앙 부분에 장착된 힌지(141)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함께 이 버튼부(140)의 선단측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시한 도 6c와 같이 버튼부(140)의 실링부재(143)가 바이패스공(32a)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바이패스공(32a)을 완전히 개방시키게 됨과 함께 이 개방된 바이패스공(32a)을 통해서는 손잡이부(32)의 내부를 따라 전달되는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청소기 본체(10) 내부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흡입구체(20)의 흡입구(21)를 폐쇄하고 있던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는, 흡입력의 전달 경로중 일측 부위(바이패스공(32a)이 형성된 위치)를 통해 흡입력이 분산됨으로써 이 흡입력의 전달 경로의 끝단에 위치되는 흡입구(21)를 통해서는 미약한 흡입력 만이 전달되어 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은 흡입구(21)로부터 떨어지게 됨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흡입구(21)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폐쇄버튼(150)의 후방측을 누름으로써 버튼부(140)의 선단측을 하향 이동시키게 됨과 함께 이 버튼부(140)의 선단측 저면에 일체화된 실링부재(143)가 바이패스공(32a)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폐쇄버튼(150)의 후방측을 누름으로써 이 폐쇄버튼(150)의 선단을 이루는 걸림고리부(153)가 걸림턱(151)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힌지(152)를 중심으로 그 선단측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폐쇄버튼(150)의 선단측은 그 상부에 위치된 버튼부(140)의 후방측 저면을 상향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버튼부(140)의 후방측이 상향 이동함으로 인해 이 버튼부(140)의 중앙에 결합된 힌지(141)를 중심으로하여 그 선단측이 하향 이동하게 됨에 따라 다시 바이패스공(32a)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 계속적인 청소의 수행 도중 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흡입구의 막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그 계속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굳이 손잡이부에 바이패스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바이패스공이 연장관 혹은, 흡입호스에도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개폐하는 버튼부의 위치 역시 바이패스공과 더불어 그 적절한 위치 변경을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흡입구체의 흡입구가 막혔을 경우 급격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바이패스공의 선택적인 개폐장치가 단순히 버튼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 및 팬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을 전달받아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구체에 연결된 연장관과, 상기 흡입호스와 연장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일단에 바이패스공이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서 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바이패스공 근접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선단측은 이 힌지를 중심으로 선택적인 상, 하향 이동하면서 바이패스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그 후방측 하단은 탄력 설치된 버튼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버튼부의 선단측 저면에는 바이패스공의 크기에 비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실링부재를 일체화하여 이 바이패스공의 폐쇄시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면상인 버튼부의 후방측 저부에 별도의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 버튼부의 끝단 후방측에는 힌지를 설치하며,
    이 힌지에는 버튼부의 후방측에 접촉된 상태로써 상기 버튼부를 선택적으로 상향 이동시키도록 절곡 형성됨과 함께 그 선단측 끝단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폐쇄버튼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KR1020000000069A 2000-01-03 2000-01-03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KR20010068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069A KR20010068256A (ko) 2000-01-03 2000-01-03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069A KR20010068256A (ko) 2000-01-03 2000-01-03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256A true KR20010068256A (ko) 2001-07-23

Family

ID=1963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069A KR20010068256A (ko) 2000-01-03 2000-01-03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2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36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KR20100006787A (ko) 청소기
KR100667885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707354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GB2406783A (en) An airflow diverter for an upright vacuum cleaner
KR20010068256A (ko) 진공 청소기의 바이패스유로 개폐장치
US6725499B2 (en) Hose cleanout for vacuum cleaner
US20050188497A1 (en) Air discharge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KR100628197B1 (ko) 배기 환류식 업라이트 청소기
KR101573740B1 (ko) 다중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0145010Y1 (ko) 진공 청소기의 에어 탭 구조
JP3960871B2 (ja) 床用吸込具
JPH0614871A (ja) 内視鏡の吸引バルブ
KR960007462B1 (ko) 진공청소기집진실의먼지역류방지장치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KR200312094Y1 (ko) 흡입력 조절수단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234440Y1 (ko) 진공청소기용브러쉬의부압방지장치
KR950001563Y1 (ko)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KR930007012Y1 (ko) 진공 청소기
KR0114576Y1 (ko) 진공청소기의 퓨우즈 장치
KR20070019091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핸들
KR100667861B1 (ko) 진공청소기
KR200144887Y1 (ko) 진공청소기
KR200144971Y1 (ko) 청소기
KR20000007489A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