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065A -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 Google Patents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065A
KR20010068065A KR1020010020973A KR20010020973A KR20010068065A KR 20010068065 A KR20010068065 A KR 20010068065A KR 1020010020973 A KR1020010020973 A KR 1020010020973A KR 20010020973 A KR20010020973 A KR 20010020973A KR 20010068065 A KR20010068065 A KR 2001006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island
yarn
thermal stress
maximum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현
윤준영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2001002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065A/ko
Publication of KR2001006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065A/ko
Priority to PCT/KR2001/001979 priority patent/WO2002042528A1/en
Priority to AU2002224186A priority patent/AU2002224186A1/en
Priority to BR0115677-2A priority patent/BR0115677A/pt
Priority to EP01997578A priority patent/EP1370718A4/en
Priority to CN 01812046 priority patent/CN1277963C/zh
Priority to KR1020010074130A priority patent/KR100329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칼리 이용해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방사 직접 연신 방식으로 제조된 50∼90데니어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아래 물성을 동시에 충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 아 래 -
·원사 초기 수축 개시온도 : 78.1∼90℃
·원사 최대 열응력 온도 : 130∼160℃
·원사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 : 0.150∼0.250g
본 발명으로 제조한 해도형 복합섬유는 해성분 용출후 원사 물성이 우수하여 기모시 원사 손상이 최소화되어 경편지의 촉감 및 외관을 향상 시킨다.

Description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A sea-island typed composit fiber used in warp knitting}
본 발명은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해도형 복합섬유는 알칼리 이용해성(易容解性) 폴리머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섬유형성성 폴리머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해도형으로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며, 주로 극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다시 말해해도형 복합섬유 제조후 이를 알칼리 용액으로 처리하여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해성분을 용출하므로서 도성분만으로 구성되는 극세섬유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도형 복합섬유로부터 극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직접방사로 극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비해 방사 및 연신조업성이 우수하고 보다 세섬도인 극세섬유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한편, 제직 또는 편직후 가공공정에서 해성분 폴리머를 유기용제 등으로 용출,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성분 폴리머는 유기용제 또는 용액에서 쉽게 용해되는 특성과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 모듈러스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해도형 복합섬유에 사용되는 해성분 폴리머로는 알칼리 이용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주로 사용된다. 그 이유는 특수 장치 및 회수 처리 비용이 많이 드는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일반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감량 가공에 널리 적용되는 알칼리 용액 및 감량 설비에서 해성분의 용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성분 폴리머가 나일론인 경우 해성분 용출시 나일론이 알칼리 용액에 의해 침해되는 정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해성분의 용출 속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나, 도성분이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알칼리에 취약하므로 해성분의 용출 속도가 낮은 경우 해성분이 완전히 용출되기 전에 도성분이 침해되어 용출후 원사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이로 인해 기모성이 불량하게 되며 목표하는 최종 제품의 외관,촉감이 발현되기 곤란하다.
반면 해성분의 용출속도가 빠르면 상기 문제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칼리 농도,용출온도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출 비용의 절감과 함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해성분의 용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중합 화합물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나, 과다하게 공중합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면 용출성은 향상되는 반면 폴리머의 융점이 없어지고 연화점만이 존재하는 무정형 폴리머가 되어 제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원사의 용출전 강도가 저하되어 기모시 기모가 서로 엉키는 불량이 발생하며 공중합 화합물의 투입 증가로 폴리머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해도형 복합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알칼리 이용출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첫째 폴리에스테르 중합공정 중에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술포네이트 솔트(이하 "DMIS"라고 한다) 또는 저분자량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이하 "PAG"라고 한다)을 공중합 시키는 방법과, 둘째 폴리에스테르와 고분자량의 PAG를 블랜딩 하는 방법과 셋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와 고분자량의 PAG를 블랜딩 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알칼리 이용출성 폴리에스테르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통상의 방사 직접 연신 방법으로 제조한 종래의 해도형 복합섬유들은 해성분 용출과정에서 도성분이 알칼리 용액에 의해 많이 손상되어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경편후 계속되는 기모공정에서 원사가 심하게 손상, 탈락되어 기모성이 저하되고 경편지의 외관 및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 물성이 우수하여 경편용 원사로 특히 유용한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성분 용출 및 기모공정에서 원사 모듈러스의 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적정 수준의 원사의 초기수축 개시온도, 최대 열응력 온도 및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을 갖는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편용 원사로 특히 적합한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도 2는 열응력 테스트기에서 작성한 차트 예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방사구금 2 : 제1고뎃로울러 3 : 제2고뎃로울러 4 : 와인더
x : 원사 초기 수축 개시 온도 y : 원사 최대 열응력 온도
z : 원사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는 알칼리 이용해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방사 직접 연신 방식으로 제조된 50∼90데니어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로서, 아래 물성을 동시에 충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 아 래 -
·원사 초기 수축 개시온도 : 78.1∼90℃
·원사 최대 열응력 온도 : 130∼160℃
·원사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 : 0.150∼0.250g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 이용해성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해성분으로사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통상의 해도형 복합방사구금(1)으로 복합방사한다. 이때 해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DMIS를 3∼15몰% 공중합 하고, 여기에 다시 수평균 분자량이 8,000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4∼20중량%를 첨가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방사된 원사를 제1고뎃로울러(2) 및 제2고뎃로울러(3)를 통과시키면서 연신하고, 와인더(4)로 권취하여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방사와 연신을 동일공정에서 실시하는 방사 직접 연신 공법으로 제조한다. 이때 제1고뎃로울러의 속도(V1)는 1,000∼5,000m/분으로, 제2고뎃로울러의 속도(V2)를 1,500m/분∼6,000m/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제1고뎃로울러(2) 및 제2고뎃로울러(3)의 속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 복합섬유가 충분하게 배향결정화 되지않아 경편용 원사로 사용하기에는 모듈러스가 낮고 공정성이 악화된다. 또한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원사의 밀도, 복굴절율 및 물성이 저하되어 연신구간내 조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는 아래와 같은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원사의 초기수축 개시온도는 78.1∼90℃ 이다. 제1고뎃로울러와 제2고뎃로울러 사이에서 원사는 연신되어 저배향·저결정 상태에서 고배향·고결정 상태로 옮겨가고 그 결과 초기 수축 개시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초기수축 개시온도가 78.1℃ 미만인 경우에는 결정배향이 너무 과도한 상태이고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정배향이 부족한 상태로 경편용 원사로는 부적합한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원사의 최대 열응력 온도는 130∼160℃이다. 최대열응력 온도에서 필라멘트의 열수축 파워는 최대로 발휘된다. 더욱 경편지의 대부분 후가공 공정이 상기 범위 내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원사의 최대열응력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후가공 초기공정에서 과수축이 발생하여 후가공 공정을 콘트롤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에는 후가공시 수축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경편지의 볼륨감 및 밀도가 저하되고 그로 인해 최종제품의 외관과 촉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원사의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은 0.150∼0.250g이다. 열응력은 공정상 원사(필라멘트)에 부여되는 열처리 수준과 관계가 있다. 만약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결정배향이 부족하여 신도가 높아지며,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결정배향이 과도하여 필라멘트가 거칠어 진다. 다시말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후가공성이 나빠지고 원단 자체의 외관 및 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원사 초기수축 개시온도, 최대열응력 온도 및 데니어당 최대열응력은 열응력 테스트기(Thermal Stress Tester)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길이 10cm의 시료를 상하단 후크에 걸은 다음 일정장력()을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 온도를 일정속도(150℃/분)로 승온한다. 이때 온도변화에 따른 응력변화를 도 2와 같은 챠트로 나타낸 다음 상기 각 물성을 구한다. 원사초기 수축개시 온도는원사의 Tg와 같은 의미로 도 2의 x부분 온도로 구하며, 최대열응력 온도는 원사가 가장 많은 응력을 받는 온도로서 도 2의 y부분 온도로 구한다. 또한 원사 데니어당 최대열응력은 챠트상 최대열응력 값(도 의 z부분)을 구한다음, 이를 아래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본 발명의 원사(복합섬유)는 해성분 용출전의 단사섬도가 2∼4데니어, 해성분 용출후의 단사섬도가 0.001∼0.3데니어인 총섬도 50∼90데니어 이다.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섬유로 경편지를 제편한 다음, 알칼리 용액으로 해성분을 용출하고, 기모하여 기모 경편지를 제조한다. 해성분의 용출은 해도형 복합섬유를 1%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욕비 = 10:1)에서 95℃로 30분간 처리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섬유는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 모듈러스가 25∼60g/d, 신도가 40∼60%, 강도가 2.0∼4.0g/d 이다.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해성분 용출전)는 복굴절율이 0.15∼0.23이고, 비결정배향도(Fa) 및 결정배향도(Fc)가 0.85∼0.95이다.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섬유는 해성분의 용출성 및 원사물성 특성 등에 기인하여 상기 해성분 용출공정이나 기모공정에서 원사 모듈러스 저하가 최소화 된다. 그 결과 기모성이 향상되며, 최종제품인 경편지의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사물성은 아래와 같이 평가 하였다.
·강도/신도/모듈러스: 인스트롱 회사의 인장시험기로 10회 이상 측정(시료길이 : 5cm, 인장속도 : 30cm/분)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여기서 모듈러스는 초기 모듈러스를 의미한다.
·밀도(ρ): 해도형 복합섬유를 노말헵탄과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혼합용매로 구성된 밀도계(일본 시바야마 회사제품, 모델명 : Model SS)에 투입하여 23℃에서 1일동안 방치 후, 해성분과 도성분이 통합된 벌크한 상태의 밀도를 측정한다.
·결정화도[Xc(%)]: 상기의 밀도(ρ)값을 바탕으로 이론적인 폴리에스테르의 완전 결정영역의 밀도값(ρc=1.457g/㎤)과 완전 비결정영역의 밀도값(1.336g/㎤)을 이용하여 아래 공식으로 구한다.
·복굴절율(Δn): 간섭현미경(독일 칼 자이스 회사제품, 모델명 : JENAPOL -U INTERPHAKO)으로 측정 하였다. 복굴절율은 아래 공식으로 구한다.
여기서, R은 보상지연 값(Compensator retardation) 이고, S는 석영플레이트의 지연값(Retardation of quartz shim) 이고, D는 파이버 직경(Fiber Diameter) 이다. 또한 R과 S의 단위는 nm이고 D의 단위는 ㎛ 이다.
·결정배향도(Fc): X-선 회절분석기로 결정의 (010)면과 (100)면에 대해 방위각 주사(azimuthal scanning)를 행하여 결정배향의 특성을 나타내는 피크(peak)의 반가폭(FWHM, Full width at half-maximum intensity)을 측정하여 도성분의 결정배향도(Fc)를 계산하였다. 단, 해성분은 완전 무정형 상태이므로방위각 주사에 의하여 나타난 피크를 전부 도성분의 결정면에 의한 피크로 간주한다. 반가폭(FWHM)으로부터 결정배향도(Fc)를 계산한 식은 다음과 같다.
·비결정배향도(Fa): 앞에서 기술한 결정화도(Xc), 결정배향도(Fc) 및 복굴절율(Δn)을 아래식에 대입하여 도성분의 비결정배향도(Fa)를 구한다.
상기식에서 Δnc는 결정의 고유 복굴절(0.29)이고, Δna는 비결정의 고유복굴절(0.20)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술포네이트 나트륨이 4몰% 공중합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수평균 분자량이 8,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8중량%를 블랜딩하여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상기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고유점도가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288℃에서 도성분 수가 36개인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통해 방사한다. 계속해서 방사된 원사를 속도가 1,500m/분인 80℃의 제1고뎃로울러와 속도가 4,200m/분인 125℃의 제2고뎃로울러 사이에서 연신하고, 계속해서 4,300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24필라멘트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해도형 복합섬유를 95℃의 1% NaOH 용액에서 해도형 복합섬유를 30분 동안 처리하여 해성분을 용출한 다음,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물성을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 실시예 3 및 비교실시예 1 ∼ 비교실시예 2
제조조건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75데니어 24필라멘트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해도형 복합섬유를 95℃의 1% NaOH 용액에서 해도형 복합섬유를 30분 동안 처리하여 해성분을 용출한 다음, 해성분 용출후 원사물성을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분 제1고뎃로울러 속도(m/분) 제2고뎃로울러 속도(m/분)
실시예 1 1,500 4,300
실시예 2 2,500 5,000
실시예 3 3,000 5,800
비교실시예 1 3,000 3,500
비교실시예 2 1,000 4,000
원사 물성평가 결과
구 분 초기수축 개시온도(℃) 최대열응력 온도(℃) 데니어당 최대열응력(g)
실시예 1 78.3 142 0.163
실시예 2 83.2 147 1.157
실시예 3 89.2 152 1.184
비교실시예 1 54.0 129 0.142
비교실시예 2 93.0 162 0.253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는 해성분 용출 및 기모공정에서 원사 물성 손상이 최소화 된다. 그 결과 경편지 제조시 기모성이 우수하게 되어 촉감 및 외관이 우수한 경편지를 제조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섬유는 기모 경편지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3)

  1. 알칼리 이용해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방사 직접 연신 방식으로 제조된 50∼90데니어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아래 물성을 동시에 충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 아 래 -
    ·원사 초기 수축 개시온도 : 78.1∼90℃
    ·원사 최대 열응력 온도 : 130∼160℃
    ·원사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 : 0.150∼0.250g
  2. 1항에 있어서, 해성분 용출전의 단사섬도가 2∼4데니어 이고 해성분 용출후의 단사섬도가 0.001∼0.3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3. 1항에 있어서,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 모듈러스가 25∼60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20010020973A 2000-11-21 2001-04-19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20010068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973A KR20010068065A (ko) 2001-04-19 2001-04-19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PCT/KR2001/001979 WO2002042528A1 (en) 2000-11-21 2001-11-20 A sea-island typed composite fiber used in warp knittin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AU2002224186A AU2002224186A1 (en) 2000-11-21 2001-11-20 A sea-island typed composite fiber used in warp knittin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BR0115677-2A BR0115677A (pt) 2000-11-21 2001-11-20 Fibra composta do tipo sea-island utilizada em tricotamento urdido, processo de preparo da mesma e tecido tricotado com urdidura
EP01997578A EP1370718A4 (en) 2000-11-21 2001-11-20 INSEL-IMMEER COMPOSITE FIBER FOR CHAI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 01812046 CN1277963C (zh) 2000-11-21 2001-11-20 用于经编织造的海岛型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以及经编织物
KR1020010074130A KR100329034B1 (ko) 2000-11-27 2001-11-27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973A KR20010068065A (ko) 2001-04-19 2001-04-19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065A true KR20010068065A (ko) 2001-07-13

Family

ID=1970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973A KR20010068065A (ko) 2000-11-21 2001-04-19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0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335B1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KR20010044148A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29037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6588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20010044138A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KR20010068065A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29036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59336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08558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29038B1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9034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9035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8561B1 (ko) 편물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63915B1 (ko) 해도형 복합섬유
KR20010044146A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0411770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08562B1 (ko) 기모 편물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08560B1 (ko) 기모 편물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08559B1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84365B1 (ko) 벌키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0408557B1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37532B1 (ko)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84364B1 (ko) 촉감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0384363B1 (ko)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20060098118A (ko) 초극세사용 추출형 복합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