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363B1 -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 Google Patents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363B1
KR100384363B1 KR10-2001-0022599A KR20010022599A KR100384363B1 KR 100384363 B1 KR100384363 B1 KR 100384363B1 KR 20010022599 A KR20010022599 A KR 20010022599A KR 100384363 B1 KR100384363 B1 KR 10038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island
sea
composit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229A (ko
Inventor
윤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1-002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3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용출성 폴리머인 해성분과 정규 폴리에스테르인 도성분으로 구성된 50~90데니어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가연 처리하여 제조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공사에 있어서, 아래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 아 래 -
·가연 전후의 원사 강도 변동율 : 10%~80%
·해성분 용출 전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50%~+10%
·가연처리 전 해도형 복합섬유 대비 해성분 용출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10%~+50%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는 경편지 제조시 기모성이 특히 우수하다.

Description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A texturing yarn with sea-island composition and raising property used in warp knitting}
본 발명은 기모성이 우수하여 경편용 원사로 유용한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모성이 특히 우수하며, 염착성 및 제편성이 양호하며, 촉감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는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가공사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가늘어질수록 굽힘강성이 저하되므로 극세섬유로 제조된 제품은 매우 소프트한 촉감을 지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극세섬유의 상품화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합성섬유의 극세화 기술의 발달은 감성소재의 상품성을 크게 진보시켜왔다.
일반적으로 극세섬유의 제조방법은 직접방사법, 2성분 분할형 복합방사법, 2성분 용출형 복합방사법등 크게 3가지로 대별할수 있다. 직접방사법으로 제조가능한 단사섬도는 0.3~0.5데니어 수준으로 촉감등 감성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할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0-4366호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2성분 분할형 방사법은 상용성이 없는 두 고분자 물질을 배열시킴으로써 단사섬도가 1 데니어 이상인 일반사 수준의 분할형 복합사를 얻고, 이 복합사를 후공정에서 물리적, 화학적 외력을 주어 상기 두 고분자 성분이 박리되도록 하여 각 고분자 성분이 1 데이어 이하의 극세사가 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이러한 분할형 복합사를 통상 가연 (stretch, texturing) 공정을 통해 크림프를 부여하여 복합복합 가연사를 만들고, 상기 복합 복합 가연사를 이후 제편직, 염색등 후공정을 거쳐 최종제품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3999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분할형 복합사 및 이의 가연가공사는 상용성이 없는 두가지의 고분자가 배열되어 있어 섬유 제조시 많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사섬도를 0.001데니어 이하로 극세화 하기는 어렵다.
또한 상용성이 없는 두가지 고분자로는 주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테르가주로 사용되는데 최종 염가공 공정까지 이들 두가지 고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염색성의 차이, 수축특성의 차이 등으로 인해 후공정에 조건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2성분 용출 방사법으로 제조되는 해도형 복합섬유는 알칼리 이용해성(易容解性) 폴리머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섬유형성성 폴리머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해도형으로 복합 방사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 후 이를 알칼리 용액으로 처리하여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인 해성분을 용출하므로서 도성분만으로 구성되는 극세섬유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도형 복합섬유로부터 극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직접방사로 극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비해 방사 및 연신조업성이 우수하고 보다 세섬도인 극세섬유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한편, 제직 또는 편직후 가공공정에서 해성분 폴리머를 유기용제 등으로 용출,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해성분 폴리머는 유기용제 또는 용액에서 쉽게 용해되는 특성과 해성분 용출후의 원사 모듈러스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해도형 복합섬유에 사용되는 해성분 폴리머로는 이용출성 폴리머가 주로 사용된다. 그 이유는 특수 장치 및 회수 처리 비용이 많이 드는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일반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감량 가공에 널리 적용되는 알칼리 용액 및 감량 설비에서 해성분의 용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성분 폴리머가 나일론인 경우 해성분 용출시 나일론이 알칼리 용액에 의해 침해되는 정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해성분의 용출 속도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나,도성분이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알칼리에 취약하므로 해성분의 용출 속도가 낮은 경우 해성분이 완전히 용출되기 전에 도성분이 침해되어 용출후 원사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이로 인해 기모성이 불량하게 되며 목표하는 최종 제품의 외관,촉감이 발현되기 곤란하다.
반면 해성분의 용출속도가 빠르면 상기 문제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칼리 농도,용출온도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출 비용의 절감과 함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해도형 복합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알칼리 이용출성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첫째 폴리에스테르 중합공정 중에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술포네이트 솔트(이하 "DMIS"라고 한다) 또는 저분자량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이하 "PAG"라고 한다)을 공중합 시키는 방법과, 둘째 폴리에스테르와 고분자량의 PAG를 블랜딩 하는 방법과, 셋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와 고분자량의 PAG를 블랜딩 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용출성 폴리머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통상의 방사 직접 연신 방법으로 제조한 해도형 복합섬유(이하 "SDY 원사"라고 한다)로 경편지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SDY 원사가 원형극세 단면을 갖고 있어서 합성섬유 고유의 광택은 얻을 수 있으나, 모듈러스가 높아 촉감이 거칠고 해성분 용출후 이면조직이 표면조직 사이로 드러나는 빈도가 많아져 경편지의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SDY 원사는 염료 침투가 어려워 염색성이 나쁘고 심색 발현 효과도 저조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출성 폴리머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해도형 복합방사 장치에서 2500~6000m/분의 방사속도로 방사하여 연신사 또는 고배향 미연신사를 제조한 다음, 이를 특정조건으로 가연처리하여 기모성이 특히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이하 "DTY 원사"라고 한다)는 가연전후 및 해성분 용출 전후의 강도 변동율이 커서 기모성이 매우 우수하며, 모듈러스가 낮아 촉감이 소프트하며 크림프(Crimp)가 형성되어 원단표면을 많이 커버하므로 극세사 고유의 촉감을 발현 할 수 있다. 또한 해성분 용출 후에도 이면조직이 표면조직 사이로 드러나는 빈도가 줄어들어 원단 품위가 우수하며, 모듈러스가 낮아 염색성이 우수하며 심색 발현 효과도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모성이 매우 양호하며, 경편지 제조시 촉감이 소프트하고 외관, 염색성 및 심색효과가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DTY 원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연공정 개략도
도 2는 열응력 테스트기에서 작성한 차트 예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해도형 복합섬유 2 : 제1공급로울러 3 : 제1히터
4 : 냉각영역 5 : 가연기구 6 : 제2공급로울러
7 :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x : 원사 초기 수축 개시 온도
y : 원사 최대 열응력 온도 z : 원사 데니어당 최대 열응력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DTY 원사)는, 이용출성 폴리머인 해성분과 정규 폴리에스테르인도성분으로 구성된 50~90데니어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가연 처리하여 제조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공사에 있어서, 아래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 아 래 -
·가연 전후의 원사 강도 변동율 : 10%~80%
·해성분 용출 전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50%~+10%
·가연처리 전 해도형 복합섬유 대비 해성분 용출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10%~+50%
이하, 첨부된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이용출성 폴리머를 해성분으로 사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를 도성분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통상의 해도형 복합방사구금으로 복합방사 하여 연신사 또는 고배향 미연신사인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 한다. 이때 해성분으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DMIS를 3∼15몰% 공중합 하고, 여기에 다시 수평균 분자량이 8,000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4∼20중량%를 첨가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해성분으로 수용성인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스타이렌 등을 사용 할 수도 있다.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성분 용출을 위해 용매를 사용해야 하므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된다.
복합방사시 방사속도는 2,500~6,000m/분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방사속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원사의 모듈러스가 높아져 촉감 및 기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닢벨트형이나 핀스핀들형 가연기 등에서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연신사 또는 고배향 미연신사)를 도 1과 같이 가연처리하여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DTY 원사)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닢벨트형 가연기에서의 가연 공정을 살펴보면, 해도형 복합섬유(1)를 제1공급로울러(2)를 통해 공급하여 제1히터(3), 냉각영역(4), 가연기구(5) 및 제2공급로울러(6)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가연처리된 복합 가연 가공사(7)를 권취한다. 이때 가연기구(5)에서 부여된 꼬임은 제1히터(3)에서 열고정된후 냉각영역(4)에서 냉각되고, 계속해서 가연기구(5)를 통과하면서 해연되면서 가연기구(5)와의 마찰에 의해 복합 가연 가공사 내에 크림프가 형성된다. 상기 가연공정에 공급된 해도형 복합섬유(1)는 제1공급로울러(2)와 제2공급로울러(6) 간의 속도비로 표현되는 연신비만큼 연신되어 목표로 하는 최종 섬도를 갖게 된다.
제1히터(3)의 열처리 온도는 사속 및 제1히터의 길이에 따라 다소 다르나 150~2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제1 히터의 열처리 온도가 150℃ 미만일 경우 얻어지는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의 크림프가 견고하지 못하여 해성분이 제거된 최종 가공지상에서는 부피감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히터의 열처리 온도가 200℃를 초과할 경우 부분적인 미해연이나 융착 등이 발생되어 가공사 외관이 불량할 우려가 있어 제편 및 후가공 공정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가연기구와의 마찰에 의해 부여되는 꼬임수도 가연작업성 및 얻어진 가공사의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서 본발명에서는 다음식으로 표현되는 연계수(K)가 24,578이상 28,32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T : 1미터당 꼬임수, D : 섬도(데니어)]
연계수(K)가 24,578 미만인 경우 가연 공정에서의 가연장력이 과도하게되어 절사등 작업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가공사 또한 크림프 특성이 저하되거나 불균일하여 편물에 적용시 최종제품의 볼륨감이 감소되거나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연계수(K)가 28,320을 초과 할 경우 과도한 단면변형에 의해 극세섬도를 나타내도록 형성된 도성분이 내부에서 단절되거나 과도한 크림프가 형성되어 최종 제품의 품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연공정을 닢벨트형 가연기에서 실시하는 경우 가연사속을 500m/분, 연신비를 1.05~1.65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는 해성분 용출전의 단사섬도가 2∼4데니어, 해성분 용출후의 단사섬도가 0.001∼0.3데니어이며, 총섬도 50∼90데니어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로 경편지를 제편한 다음, 알칼리 용액 등으로 해성분을 용출하고, 기모하여 기모 경편지를 제조한다. 해성분의 용출은 해도형 복합섬유를 1%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욕비 = 10:1)에서 95℃로 40분 정도 처리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는 아래와 같은 강도 변동율 특성을 갖고 있어서 기모성이 매우 우수하다.
- 아 래 -
·가연 전후의 원사 강도 변동율 : 10%~80%
·해성분 용출 전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50%~+10%
·가연처리 전 해도형 복합섬유 대비 해성분 용출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10%~+50%
또한, 본 발명의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는 신도가 15~40%, 모듈러스가 30~50g/d, 수축율이 3.0~7.0%, 열응력이 0.08~0.12g/d 수준 이다. 열응력은 공정상 원사(필라멘트)에 부여되는 열처리 수준과 관계가 있다. 만약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결정배향이 부족하여 신도가 높아지며,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결정배향이 과도하여 필라멘트가 거칠어 진다. 다시말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후가공성이 나빠지고 원단 자체의 외관 및 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연 가공사는 모듈러스가 방사 직접 연신 방법으로 제조한 원사보다 낮아서 촉감이 소프트하고, 염착성 및 심색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해성분 용출의 강도도 방사 직접 연신 방법으로 제조한 원사보다 낮아서 기모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사 물성은 아래와 같이 평가 하였다.
·강도/신도/모듈러스
인스트롱 회사의 인장시험기로 10회 이상 측정(시료길이 : 5cm, 인장속도 : 30cm/분)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여기서 모듈러스는 초기 모듈러스를 의미한다.
·초기수축 개시온도 / 열응력 온도 / 열응력
원사 초기수축 개시온도, 최대열응력 온도 및 데니어당 최대열응력은 열응력 테스트기(Thermal Stress Tester)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길이 10cm의 시료를 상하단 후크에 걸은 다음 일정장력()을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 온도를 일정속도(150℃/분)로 승온한다. 이때 온도변화에 따른 응력변화를 도 2와 같은 챠트로 나타낸 다음 상기 각 물성을 구한다. 원사초기 수축개시 온도는 원사의 Tg와 같은 의미로 도 2의 x부분 온도로 구하며, 최대열응력 온도는 원사가 가장 많은 응력을 받는 온도로서 도 2의 y부분 온도로 구한다. 또한 원사 데니어당 최대열응력은 챠트상 최대열응력 값(도 2의 z부분)을 구한다음, 이를 아래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한다.
·가연 전후의 원사 강도 변동율(%)
가연처리 전의 해도형 복합섬유와 가연처리 후의 가연 가공사의 강도를 인스트롱 회사의 인장시험기로 50회 각각 측정(시료길이 : 5cm, 인장속도 : 30cm/분)한 다음, 평균값을 구하고, 이들을 다음 식에 대입하여 강도변동율을 계산한다.
·해성분 용출 전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변동율(%)
해성분을 용출하기 전과 용출한 후의 가연 가공사를 인스트롱 회사의 인장시험기로 50회 각각 측정(시료길이 : 5cm, 인장속도 : 30cm/분)한 다음, 평균값을 구하고, 이들을 다음 식에 대입하여 강도변동율을 계산한다.
해성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해도형 복합섬유를 1% 농도 수산화나트륨 용액(욕비=10:1)에서 95℃로 40분 처리하여 해성분을 용출한다.
·가연처리전 해도형 복합섬유 대비 해성분 용출후 가연가공사 강도 변동율(%)
가연처리 전의 해도형 복합섬유와 해성분 용출후의 가연 가공사의 강도를 인스트롱 회사의 인장시험기로 50회 각각 측정(시료길이 : 5cm, 인장속도 : 30cm/분)한 다음, 평균값을 구하고, 이들을 다음 식에 대입하여 강도변동율을 계산한다.
해성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해도형 복합섬유를 1% 농도 수산화나트륨 용액(욕비=10:1)에서 95℃로 40분 처리하여 해성분을 용출한다.
·방사성
해도형 복합섬유 6kg 드럼 600개를 생산하는 동안 완전 권취사의 비율로 구한다.
·가연성
해도형 복합섬유를 가연처리하여 3kg 가연사 드럼 600개를 제조하는 동안 완전 권취 가연사의 비율로 구한다.
·경편지의 촉감/외관
5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결과를 기준으로 한다. 45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 20~45명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 20명 미만이 우수하다고 판단한 경우를 ×로 구분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술포네이트 나트륨 5몰% 및 이소프탈릭에시드 5몰%가 공중합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수평균 분자량이 8,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5중량%를 블랜딩하여 알칼리 이용출성 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상기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를 해성분(30중량%)으로 사용하고, 고유점도가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도성분(70중량%)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288℃에서 도성분 수가 36개인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통해 3,1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120데니어/24필라멘트인 반연신사 상태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를 공급사로 하여 닢벨트형 가연기에서 사속 410m/분, 연신비 1.65, 제1히터 열고정온도 170℃, 연계수(K) 27,500로 가연하여 75데니어 /24필라멘트의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를 제조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측정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가공사를 95℃의 1% NaOH용액에서 40분간 처리하여 해성분을 용출한 다음 각종 원사 강도 변동율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또한 방사성 및 가연성을 측정한 결과도 표 2와 같다.
상기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를 표면조직 원사로 사용하고, 50데니어/24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이면조직의 원사로 하여 밀도가 23C/CM인 경편지를 제조한다. 이때 이면조직용 원사의 사용비율은 가공편지 전체중량에 대하여 26중량%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경편생지를 기모한 다음, 계속해서 예비셋트(190℃) →감량(NaOH농도 1% O.W.S, 98℃×40분)→염색[분산염료]→버핑가공→최종셋트(180℃)하여 가공 경편지를 제조 한다. 제편성 및 제조된 가공 경편지의 물성(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 실시예 3
방사속도, 가연속도, 가연온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및 경편지를 제조한다. 각종 물성, 방사성, 가공성 및 경편지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제조조건
구 분 방사속도(m/분) 가연속도(m/분) 가연온도(℃)
실시예 1 3,100 410 170
실시예 2 4,750 545 173
실시예 3 3,410 510 185
실시예 4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술포네이트 나트륨 5몰% 및 이소프탈릭에시드 5몰%가 공중합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수평균 분자량이 8,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5중량%를 블랜딩하여 알칼리 이용출성 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상기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머를 해성분(30중량%)으로 사용하고, 고유점도가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도성분(70중량%)으로 사용하여, 이들을 288℃에서 도성분 수가 36개인 해도형 복합방사 구금을 통해 5,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75데니어/24필라멘트인 연신사 상태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해도형 복합섬유를 공급사로 하여 닢벨트형 가연기에서 사속 410m/분, 연신비 1.05, 제1히터 열고정온도 170℃, 연계수(K) 27,500로 가연하여 75데니어 /24필라멘트의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를 제조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측정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가공사를 95℃의 1% NaOH용액에서 40분간 처리하여 해성분을 용출한 다음 각종 원사 강도 변동율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또한 방사성 및 가연성을 측정한 결과도 표 2와 같다.
상기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를 표면조직 원사로 사용하고, 50데니어/24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이면조직의 원사로 하여 밀도가 23C/CM인 경편지를 제조한다. 이때 이면조직용 원사의 사용비율은 가공편지 전체중량에 대하여 26중량%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경편생지를 기모한 다음, 계속해서 예비셋트(190℃) →감량(NaOH농도 1% O.W.S, 98℃×40분)→염색[분산염료]→버핑가공→최종셋트(180℃)하여 가공 경편지를 제조 한다. 제편성 및 제조된 가공 경편지의 물성(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원사물성/공정성/경편지 물성 평가 결과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가연가공사물성 가연전후의 원사강도변동율(%) 41.2 47.3 60.1 49.5
해성분 용출전후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9.1 7.8 -4.6 8.3
가연전 원사대비 해성분용출후 가연가공사 강도변동율(%) -22.7 -29.8 -13.4 -27.7
신도(%) 20.1 28.2 22.3 29.3
모듈러스(g/d) 32.3 4.4 30.1 4.3
수축율(%) 4.6 5.1 4.6 5.2
열응력(g/d) 0.082 0.102 0.080 0.101
공정성 방사성 98.5 96.7 97.5 97.0
가연성 99.5 96.4 95.3 96.3
경편지물성 외관
촉감
본 발명은 경편지 제조시 기모성이 매우 양호하며, 촉감이 소프트하고 외관·염색성 및 심색성도 양호하다.

Claims (4)

  1. 이용출성 폴리머인 해성분과 정규 폴리에스테르인 도성분으로 구성된 50~90데니어의 해도형 복합섬유를 가연 처리하여 제조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공사에 있어서, 아래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 아 래 -
    ·가연 전후의 원사 강도 변동율 : 10%~80%
    ·해성분 용출 전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50%~+10%
    ·가연처리 전 해도형 복합섬유 대비 해성분 용출후의 가연 가공사 강도 변동율 : -10%~+50%
  2. 1항에 있어서, 해성분 용출후의 도성분 단사섬도가 0.001~0.3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3. 1항에 있어서,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의 신도가 15~40%이고, 모듈러스가 30~50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4. 1항에 있어서,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의 열수축율이 3.0~7.0% 이고 열응력이 0.08~0.12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2001-0022599A 2001-04-26 2001-04-26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038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599A KR100384363B1 (ko) 2001-04-26 2001-04-26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599A KR100384363B1 (ko) 2001-04-26 2001-04-26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29A KR20020083229A (ko) 2002-11-02
KR100384363B1 true KR100384363B1 (ko) 2003-05-22

Family

ID=2770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599A KR100384363B1 (ko) 2001-04-26 2001-04-26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3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00A (ko) * 1992-10-30 1994-05-26 윤종용 가변장 복호화기
KR950002822A (ko) * 1993-07-01 1995-02-16 한승준 필터용 여과지의 굴곡구조
JPH0813272A (ja) * 1994-06-22 1996-01-16 Toray Textile Kk 芯鞘構造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15817A (ko) * 1995-09-15 1997-04-28 배도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00A (ko) * 1992-10-30 1994-05-26 윤종용 가변장 복호화기
KR950002822A (ko) * 1993-07-01 1995-02-16 한승준 필터용 여과지의 굴곡구조
JPH0813272A (ja) * 1994-06-22 1996-01-16 Toray Textile Kk 芯鞘構造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15817A (ko) * 1995-09-15 1997-04-28 배도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29A (ko)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335B1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RU2284382C2 (ru) Ткань из ультратонкой нити с превосходными устойчивостью к стирке и светостойкостью
KR100384364B1 (ko) 촉감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0384365B1 (ko) 벌키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0384363B1 (ko) 기모성이 우수한 경편용 해도형 복합 가연 가공사
KR100530573B1 (ko) 극세섬유 경편지의 제조방법.
KR100384362B1 (ko) 경편용 해도형 극세 가연 가공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44138A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26589B1 (ko) 탄성회복율이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08558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63916B1 (ko) 원착 해도형 복합 멀티필라멘트
KR100411770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KR20010044148A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26592B1 (ko) 스티리키 효과가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KR100408561B1 (ko) 편물용 해도형 복합섬유
JP6858686B2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KR100426590B1 (ko) 탄성회복율이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37532B1 (ko)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3914B1 (ko)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8557B1 (ko) 기모 경편지용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29034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9036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58518B1 (ko) 고수축성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직물
KR100426591B1 (ko) 염색성이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KR100329035B1 (ko) 경편용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