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691A -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 Google Patents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691A
KR20010067691A KR1020010011882A KR20010011882A KR20010067691A KR 20010067691 A KR20010067691 A KR 20010067691A KR 1020010011882 A KR1020010011882 A KR 1020010011882A KR 20010011882 A KR20010011882 A KR 20010011882A KR 20010067691 A KR20010067691 A KR 2001006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loess
mat
oak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열
Original Assignee
오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열 filed Critical 오주열
Priority to KR102001001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7691A/ko
Priority to KR10-2001-0029823A priority patent/KR10042020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6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황토와, 황토에 부피기준으로 동일하게 균일 분산되어 혼합되는 참나무 톱밥으로 이루어지는 황토 혼합물이 개시된다. 굳어진 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열전도성과 보온성이 갖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loess mixture and loess m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에 참나무 미세조각들을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여 균열되지 않고 열전도성과 보온성이 향상된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에 관한 것이다.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원적외선 방출을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황토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황토 매트 또는 황토 침대 등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황토를 온돌에 적용하기도 한다. 또한, 요리를 위한 용기를 제작하는 데에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황토 매트를 보면, 순순한 황토만을 이용함으로서 여러 가지의 단점이 나타난다.
우선, 황토는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대기에 증발하면서 굳어지는데, 황토가 굳게 되면 균열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매트의 경우, 이러한 균열이 발생하면 취급이 곤란해지게 된다.
또한, 순수한 황토 자체는 열전도성이 떨어지고, 특히 열을 내부에 보존하는 보온성이 없기 때문에 매트로서는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
더욱이, 상기한 특성 때문에 황토 매트를 가열하는 데에는 주로 히터에 의한 가열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전자파의 발생을 가져옴으로서 오히려 황토의 유익함을 이용하지 못하고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굳어진 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황토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과 보온성이 향상된 황토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 파이프 가열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황토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을 적용한 황토 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황토 혼합물
30 : 커버지 40 : 온수 파이프
50 : 단열시트 60 : 프레임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혼합물은 황토와, 황토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혼합되는 참나무 미세조각들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황토와 참나무 미세조각은 부피기준으로 동일한 양으로 혼합되며, 참나무 미세조각들은 톱밥이나 대팻밥의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매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단열시트와, 단열시트 전면에 설치되는 온수 파이프와, 황토와 황토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혼합되는 참나무 미세조각들로 이루어지며 프레임 내부에 충진되는 황토 혼합물 및 황토 혼합물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시트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순수한 황토와 참나무 미세조각들을 혼합한다.
즉, 참나무를 미세한 조각들로 부순 다음에 이를 순수한 황토와 혼합하는데,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섞는다. 이때, 참나무 미세조각들의 혼합량은 부피기준으로 황토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황토 혼합물의 전체적인 중량과 생산 코스트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참나무를 톱밥이나 대팻밥의 형태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톱밥이나 대팻밥의 형태로 혼합할 때, 부피 기준에서 보다 적은 양을 혼합할 수 있어 생산코스트가 감소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실험예 1
※ 비율은 부피를 기준으로 하며, 혼합되는 물의 비율은 0,5임
상기의 실험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피기준으로 순수한 황토와 참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은 1:1인 경우에 가장 최적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황토 혼합물은 열전도성과 보온성이 순수 황토에 비하여 월등하게 향상된다.
실험예 2
실험예 3
상기한 실험예 2와 3에서 알 수 있듯이, 황토에 혼합된 참나무의 특성에 의해 열전도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열보온성을 갖게 된다. 즉, 열전도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혼합물은 5℃에서 40℃와 70℃까지 상승하는데 각각 30분과 50분이 소요된 반면, 순수한 황토의 경우는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 50분과 1시간 30분이 소요되어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존의 히터방식과 달리 온수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험예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은 40℃와 70℃에서 5℃로 하강하는데 각각 2시간 30분과 4시간이 소요되었고, 순수 황토는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 2시간과 3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이 열보온성이 우수하여 보다 서서히 냉각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열보온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다른 측면에서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을 적용한 황토 매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상으로 프레임(60)이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는 은박필름 등의 단열시트(50)가 적층되고, 그 위에 전면에 걸쳐 온수 파이프(40)가 설치된다. 온수 파이프(40)가 설치된 후, 본 발명의 황토 혼합물(20)이 물과 섞여 투입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물이 증발되면 황토 혼합물(20)은 굳어지고 최상부에 미관을 고려하여 커버지(3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황토 매트는 그 자체로 침구류 등에 이용되거나, 온돌 시공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일정한 사이즈로 황토 매트를 유닛 단위로 제작하여 실제 시공시에 유닛들을 조립하여 온돌을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원으로 온수파이프를 이용함으로서, 기존의 히터방식과는 달리 전자파를 전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속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기존의 순수한 황토와 달리 굳어진 후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우수한 열전도성과 보온성이 갖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특성에 따라 온수 파이프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히터방식에 의한 전자파 발생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보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가 크지 않아 전통적인 온돌의 특성을 낼 수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참나무의 탈취효과와 제습효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황토와, 상기 황토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혼합되는 참나무 미세조각들로 이루어져서 상기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고, 열전도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와 참나무 미세조각은 부피기준으로 동일한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 미세조각은 톱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 미세조각은 대팻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혼합물.
  5.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단열시트;
    상기 단열시트 전면에 설치되는 온수 파이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충진되는 제 1 항의 황토 혼합물 및
    상기 황토 혼합물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매트.
KR1020010011882A 2001-03-08 2001-03-08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KR20010067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882A KR20010067691A (ko) 2001-03-08 2001-03-08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KR10-2001-0029823A KR100420207B1 (ko) 2001-03-08 2001-05-29 황토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882A KR20010067691A (ko) 2001-03-08 2001-03-08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187U Division KR200233651Y1 (ko) 2001-03-08 2001-03-08 황토 혼합물을 적용한 황토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691A true KR20010067691A (ko) 2001-07-13

Family

ID=19706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882A KR20010067691A (ko) 2001-03-08 2001-03-08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KR10-2001-0029823A KR100420207B1 (ko) 2001-03-08 2001-05-29 황토 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823A KR100420207B1 (ko) 2001-03-08 2001-05-29 황토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676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0B1 (ko) * 2005-09-13 2007-08-14 유민호 온수보일러가 장착된 황토 돌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388U (ko) * 1996-11-09 1998-08-05 황만철 옥돌 또는 구들장 또는 타일을 적용시켜된 온돌침대 및 온돌매트
KR19990018493A (ko) * 1997-08-27 1999-03-15 정기호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41469U (ko) * 1998-05-19 1999-12-15 추두련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KR200206386Y1 (ko) * 2000-03-07 2000-12-01 강판수 침대
KR200226615Y1 (ko) * 2000-12-19 2001-06-15 김영태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022A (ko) * 1999-07-16 2001-02-15 배승오 황토 함유 건축 내장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388U (ko) * 1996-11-09 1998-08-05 황만철 옥돌 또는 구들장 또는 타일을 적용시켜된 온돌침대 및 온돌매트
KR19990018493A (ko) * 1997-08-27 1999-03-15 정기호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41469U (ko) * 1998-05-19 1999-12-15 추두련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KR200206386Y1 (ko) * 2000-03-07 2000-12-01 강판수 침대
KR200226615Y1 (ko) * 2000-12-19 2001-06-15 김영태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207B1 (ko) 2004-03-04
KR20020072172A (ko) 200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33214A (en) Heat softening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KR100784445B1 (ko) 황토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황토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67691A (ko) 황토 혼합물 및 이를 적용한 황토 매트
KR200233651Y1 (ko) 황토 혼합물을 적용한 황토 매트
WO2001039611A3 (en) Process for cooking food by injecting condensable fluids
KR20150101747A (ko) 원적외선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온돌판넬
KR101517933B1 (ko) 건축물의 내벽을 내장하는 친환경 몰탈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168B1 (ko) 난방용 발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발열보드
KR20010035139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건축내장재
Poonia et al.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testing of improved animal feed solar cooker
JPS6138139B2 (ko)
CN207633621U (zh) 一种秸秆砖
KR200372792Y1 (ko) 천연황토 염색 면직물을 이용한 생황토 침대
KR200253379Y1 (ko) 숯을 주재로 한 온돌용 보료
JP2006217937A (ja) ベ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2096243A1 (en) Loess composite and loess mat made of the same
KR200249616Y1 (ko) 인체에 유익한 온돌용 패널
CN208056341U (zh) 一种保温苯板
CN207810318U (zh) 一种集装箱房屋地板
JP2008062006A (ja) 岩盤浴装置
KR20060132198A (ko) 황토 타일 및 황토 타일 제조 방법
KR20010060583A (ko) 황토 벽돌 제조 방법
KR200338628Y1 (ko)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건축용 판넬
CN207492634U (zh) 内锅和烹饪器具
JP3191579U (ja) 生育光線温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