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686A -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686A
KR20010065686A KR1019990065606A KR19990065606A KR20010065686A KR 20010065686 A KR20010065686 A KR 20010065686A KR 1019990065606 A KR1019990065606 A KR 1019990065606A KR 19990065606 A KR19990065606 A KR 19990065606A KR 20010065686 A KR20010065686 A KR 2001006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temperature
p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진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9006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686A/ko
Publication of KR2001006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68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페이저와 공기조화기를 정합시켜 상호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원격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데이터로 임시 저장하는 저장수단, 저장수단으로부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는 신호처리수단,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페이저와. 제어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2 송수신수단,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주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한다. 페이저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적은 설치비용으로 공기조화기 제어가 가능하며, 공기조화기 제어신호가 방대하지 않아 제어가 원활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ing paser}
본 발명은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저와 공기조화기를 정합시켜 상호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원격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기술 및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공기조화기의 활용 영역이 급속히 확대되어 다양한 영역의 소비자들에게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들 중 공기조화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운전 상태를 알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와 제어 지령을 원격지 사용자들이 송수신 가능하게 하여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보급 확대에 기여할 것이다.
종래에는 유선 통신망을 활용한 원격 제어방식이 있으나 모뎀을 사용하여 전화선에 연결함으로써 설치 유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저와 공기조화기를 정합시켜 상호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원격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구상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컨제어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컨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상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신호의 에러발생에 따른 동작상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온도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일괄온도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호출수단 200 : 서버
300 : 기지국 400 :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410 : 페이저 420 : 공기조화기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은,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데이터로 임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페이저와;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2 송수신수단과, 상기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주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은, 전송된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가 기지국을 경유하여 페이저에 수신되는 제2 단계와; 상기 페이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 공기조화기에서 출력되는 수신응답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2 단계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의 명령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발생여부 판별결과,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명령모드에대응하는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하고, 상기 에러가 발생되면 이전저장값 및 운전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수신된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회수 판별결과, 설정회수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에러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발생여부 판별결과,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하고, 상기 에러가 발생하면 호출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3 단계에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가 출력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신호 출력여부 판별결과, 수신확인신호가 출력되면 공기조화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하고, 설정회수 이상 반복되어 전송된 제어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호출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4 단계는; 제어신호의 명령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온/오프하는 구동 모드, 공기조화기의 온도설정 모드, 공기조화기의 주기적 온/오프 모드, 일괄온도제어 모드, 문자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온도설정 모드의 동작은: 현재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온도가 호출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높은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비교 판별결과, 상기 현재온도가 높으면 설정온도까지 운전하고, 현재온도보다 낮으면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자에 의해 설정된 공기조화기 지속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지속시간 경과여부 판별결과, 경과되지 않으면 운전을 계속하고, 경과되면 공기조화기 운전대기상태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괄온도제어 모드의 동작은: 공기조화기가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출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승하강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승하강신호 입력여부 판별결과, 온도승하강신호가 있으면 설정온도까지 제어하고, 상기 온도승하강신호가 없으면 이전 저장값을 유지함과 동시에 현재 운전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주기적인 주기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더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구상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은 휴대단말기 또는 공중전화망 등의 호출수단(100)과, 통신사 시스템에 마련된 서버(200)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중계하는 기지국(300)과, 기지국을 통해 중계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400)은 페이저(410)와 이에 접속된 공기조화기(4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일 예인 에어컨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페이저와 에어컨과의 전송규격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이고, 전송속도는 1,200bps정도이다.
페이저로부터 발생되는 동작모드에 관한 프레임은 [표 1]과 같이 구성된다.
기능 시작 명령 온도설정 오프시간 온시간 지속시간 checksum 종료
에어컨온 0F 00 00 XX 00 00 ## 0E
에어컨오프 0F 01 00 00 00 00 ## 0E
온도제어 0F 02 TT 00 00 ZZ ## 0E
온도복귀 0F 03 00 00 00 00 ## 0E
총괄제어 0F 04 00 XX YY ZZ ## 0E
일괄온도 0F 05 TT 00 00 00 ## 0E
정보서비스 0F 06 TT XX YY ZZ ## 0E
주기신호 0F 09 00 00 00 00 ## 0E
주기신호 0F 09 09 00 00 00 ## 0E
상기 프레임이 총8bytes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1byte로 구성된다. 상기 checksum 항목의 1byte는 명령, 온도설정, 온/오프 시간, 지속시간을 규합한 것이다. 상기 온도설정, 온/오프 시간은 BCD 형태로 전송하며, 지속시간은 헥사(HEX)코드 형태로 전송한다.
또한, TT, XX, YY 및 ZZ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값이며 해당 기능별로 입력되는 종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00으로 표기된 부분은 해당기능에서 필요없는 부분이므로 무시되는 값들이다.
한편, 에어컨에서 페이저로 수신응답하는 응답프레임은 [표 2]와 같다.
기능 시작 명령 종료
통신성공 0F AAh 0E
통신에러 0F EEh 0E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컨제어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자에 의해 에어컨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전송되면(S100), 통신사 시스템의 서버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이를 다시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페이저로 전송하게 된다(S200). 이후, 페이저에서 제어신호를 받아 에어컨 제어를 수행한다(S300).
이 때,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에어컨을 제어하는 동작은 도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컨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S310), 페이저는 제어신호가 어떤 동작모드인가를 확인한다(S320). 이후, 수신된 제어신호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별한다(S330).
상기 에러여부 판별결과,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No) 에어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S340),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를 수행한다, 즉, 에어컨 온/오프(S350), 온도설정(S360), 주기적 온/오프(S370), 일괄온도제어(S380) 및 문자정보 서비스(S390)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S330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하면(Yes)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한 제어신호의 에러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은 도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어신호의 에러발생에 따른 동작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기지국을 경유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면(S311), 페이저는 수신된 제어신호가 2회 전송되었는가를 판별한다(S312). 상기 판별 결과, 제어신호가 2회 전송되지 않았으면(No) 2회 전송될 때까지 수신대기상태에 있게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2회 전송되면(Yes) 수신상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별하게 된다(S313).
상기 제어신호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No) 에어컨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S314). 이 때, 에어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수신응답신호가 송출되는가를 판별한다(S315). 상기 수신응답신호 송출여부 판별 결과, 수신응답신호가 송출되었다고 판별되면(Yes) 에어컨 제어동작을 수행한다(S316).
한편, 상기 수신응답신호 송출여부 판별 결과, 수신응답신호가 송출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No) 제어신호 전달회수가 3회 이상인가를 판별한다(S318). 상기 제어신호 전달회수가 3회 미만이라면(No) 상기 S314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제어신호 전달회수가 3회 이상이라면(Yes) 에러발생을 호출자에게 전송한다(S317).
한편, 상기 S313단계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에러가 발생하면(Yes) 상기 S31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에어컨 동작모드중에서 온도제어와 일괄온도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온도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자체에 내장된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현재온도를 감지하게 된다(S361). 이후, 상기 현재온도가 호출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보다 높은가를 판별한다(S362). 상기 판별 결과,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다고 판별되면(Yes) 에어컨을 설정온도가 될 때까지 동작시킨다(S363). 그리고, 호출자에 의해 입력된 지속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별한다(S364). 상기 지속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No) 상기 S36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지속시간이 경과되면(Yes) 에어컨은 운전대기상태를 유지시킨다(S365).
한편, 상기 S362단계에서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다고 판별되면(No) 에어컨을 현재상태로 유지시킨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일괄온도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이 이미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S381) 호출자에 의해 입력된 온도승하강신호를 발생하였는가를 판별하게 된다(S382). 상기 온도승하강신호 입력여부 판별결과, 온도승하강신호가 있다면(Yes) 입력된 온도차만큼 에어컨을 제어하게 된다(S383).
이후, 상기 에어컨 지속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별한다(S384). 상기 지속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No) 상기 S38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지속시간이 경과되면(Yes) 에어컨은 운전대기상태를 유지시킨다(S385).
한편, 상기 S382단계에서 온도승하강신호가 없다고 판별되면(No), 이전 저장값을 유지시키고 에어컨은 현재상태를 유지한다(S386).
또한, 설정시간 예를들면 5분을 주기로 주기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는 에어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를 감시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이다. 이 동작은 상기한 도4의 제어신호와 이에 대응한 수신응답신호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주기신호 송신시 3회 연속 실패할 경우에는 에어컨 작동을 중지시키고, 5분 이내에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수신시간 이후 5분 후에 다시 주기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만약, 수신불가능 지역에서 주기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불가"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부가시킬 수도 있다. 즉, 지역별 온도와 시간에 따른 기상예보를 문자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통상의 문자정보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일치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서는 페이저를 에어컨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온풍기, 공기청정기 등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페이저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함으로써 적은 설치비용으로 공기조화기 제어가 가능하며, 공기조화기 제어신호가 방대하지 않아 제어가 원활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데이터로 임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제어데이터를 독출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페이저와;
    상기 제어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2 송수신수단과, 상기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주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2. 전송된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가 기지국을 경유하여 페이저에 수신되는 제2 단계와;
    상기 페이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 공기조화기에서 출력되는 수신응답신호를 상호 송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의 명령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발생여부 판별결과,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다면 명령모드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하고, 상기 에러가 발생되면 이전저장값 및 운전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수신된 제어신호가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인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회수 판별결과, 설정회수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에러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발생여부 판별결과,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하고, 상기 에러가 발생하면 호출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는,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수신확인신호가 출력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확인신호 출력여부 판별결과, 수신확인신호가 출력되면 공기조화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하고, 설정회수 이상 반복되어 전송된 제어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호출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단계;
    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제어신호의 명령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온/오프하는 구동 모드, 공기조화기의 온도설정 모드, 공기조화기의 주기적 온/오프 모드, 일괄온도제어 모드, 문자서비스 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설정 모드의 동작은:
    현재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온도가 호출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보다 높은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비교 판별결과, 상기 현재온도가 높으면 설정온도까지 운전하고, 현재온도보다 낮으면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자에 의해 설정된 공기조화기 지속시간에 이르렀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지속시간 경과여부 판별결과, 경과되지 않으면 운전을 계속하고, 경과되면 공기조화기 운전대기상태로 진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온도제어 모드의 동작은:
    공기조화기가 제어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출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승하강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승하강신호 입력여부 판별결과, 온도승하강신호가 있으면 설정온도까지 제어하고, 상기 온도승하강신호가 없으면 이전 저장값을 유지함과 동시에 현재 운전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주기적인 주기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방법.
KR1019990065606A 1999-12-30 1999-12-30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10065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06A KR20010065686A (ko) 1999-12-30 1999-12-30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06A KR20010065686A (ko) 1999-12-30 1999-12-30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686A true KR20010065686A (ko) 2001-07-11

Family

ID=1963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606A KR20010065686A (ko) 1999-12-30 1999-12-30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6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7025A (zh) * 2012-12-04 2013-03-13 张振源 一种空调遥控系统
CN103743070A (zh) * 2014-01-21 2014-04-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无线控制器、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79159A (ko) * 2014-12-25 2016-07-06 주식회사 효성 발수 성능이 향상된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7025A (zh) * 2012-12-04 2013-03-13 张振源 一种空调遥控系统
CN103743070A (zh) * 2014-01-21 2014-04-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无线控制器、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743070B (zh) * 2014-01-21 2016-06-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无线控制器、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79159A (ko) * 2014-12-25 2016-07-06 주식회사 효성 발수 성능이 향상된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853B1 (ko) 화재경보 무선 송수신장치
US5650940A (en) Process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upervision
US6970539B2 (en) Remote operation system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remote operating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and base station for performing remote operation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AU624820B2 (en) Monitoring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30150927A1 (en) Thermostat system with location data
US20010044302A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EP1535187A1 (en) Scalable wireles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with automatic registration and automatic time synchronization
EP08720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knowledgments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65686A (ko) 페이저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0455933C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3087275A (ja) 制御端末装置
WO2002058021A3 (en) Communication system
GB2368490A (en) Transmitting messag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response to monitored events
KR20000044264A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시간 자동 설정 방법
US2022002609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96123B1 (ko)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US6456893B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KR20030044538A (ko) 원격 관리 시스템
EP4206908A1 (en) Upgra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grading electronic device
KR20010047645A (ko) 유/무선 통신기를 이용한 원격조정 냉방용 공조장치
JP2765719B2 (ja) 警備端末機器の設定登録システム
JP3448474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0487287B1 (ko)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을 갖는 원격 강우량 획득 시스템
US200200685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call-type in disadvantaged mode
CN105278415A (zh) 一种用于门铃的自动传送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