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251A -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251A
KR20010062251A KR1020000074528A KR20000074528A KR20010062251A KR 20010062251 A KR20010062251 A KR 20010062251A KR 1020000074528 A KR1020000074528 A KR 1020000074528A KR 20000074528 A KR20000074528 A KR 20000074528A KR 20010062251 A KR20010062251 A KR 20010062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slot
core
winding
iron c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805B1 (ko
Inventor
아사오요시히토
아다치가쓰미
모리시타아키라
오오하시아쓰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6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20Shaping or compacting conductors or winding head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inding in the cores or machines; Applying fastening means on winding heads
    • H02K15/24Shaping or compacting winding 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02K1/165Shape, form or location of the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02K3/1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with transposed conductors, e.g. twisted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엔드에서의 정렬도등이 높은 교류발전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을 얻는다.
이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은 슬로트(36a)에 들어가는 직선부(30b)를 갖도록 소선(30)을 구부려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슬로트(36a)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36)을 형성하는 공정과, 소철심(36)에 권선어셈블리를 겹쳐 또 슬로트(36a)에 직선부(30b)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소철심(36)을 원통상으로 구부리고, 소철심의(36)의 양단면을 당접,용접해서 고정자철심(15)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TERNATOR}
본 발명은 예를들면 승용차 트럭등 타는것에 탑재되는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도 34 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허 제 2927288 호에 기재된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의 사시도, 도 35 는 도 34 의 고정자에 적용되는 도체 세그멘트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36 및 도 37 은 각각 도 34 의 고정자의 요부를 프론트측 및 리어측에서 본 사시도.
이 고정자(300)는 고정자철심(301)과, 고정자철심(301)에 권장된 고정자권선(302)과 슬로트(303)내에 장착되어서 고정자권선(302)을 고정자철심(301)에 대해 절연하는 인슐레이터(30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자철심(301)은 판상자성부재인 얇은 강판을 겹쳐서 적층된 원통상의 적층철심이고, 축방향으로 뻗은 슬로트(303)가 내주측에 개구하도록 소정피치로 주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권선(302)은 다수의 단척의 도체 세그멘트(305)를 접합해서 소정의 권선 패턴에 구성되어 있다.
도체 세그멘트(305)는, 절연피복된 구형단면의 동선재를 대략 U 자형으로 성형된것으로 6슬로트(1자극 피치) 떨어진 2개의 슬로트(303)마다에 축방향의 리어측에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체 세그멘트(305)의 프론트측으로 연출하는 단부끼리가 접합되어서 고정자권선(302)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6슬로트 떨어진 각조의 슬로트(303)에서 하나의 도체 세그멘트(305)가 리어측에서 하나의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첫번째의 위치와, 다른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2번째의 위치에 삽입되고 또 하나의 도체 세그멘트(305)가 리어측에서 하나의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3번째의 위치와 다른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4번째의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그래서 각 슬로트(303)내에서는 도체 세그멘트(305)의 직선부(305a)가 경방향으로 1렬로 4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1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에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와 그 슬로트(303)에서 시계방향으로 6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2번째의 위치로부터 프론트측에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가 접합되어서 2턴의 외층권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나의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3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와, 그 슬로트(303)에서 시계방향으로 6슬로트 떨어진 다른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4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에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54b)가 접합되어서 2턴의 내층권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 6슬로트 떨어진 각조의 슬로트(303)에 삽입된 도체 세그멘트(305)로 구성되는 외층권선과 내층권선이 직렬로 접속되어서 4턴의 1상분의 고정자권선(30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 4턴의 고정자권선(302)이 6상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고정자권선(302)은 3상분씩 교류결선되어서 2조의 3상 고정자권선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정자(300)에서는 고정자철심(301)의 리어측에서는 같은조의 슬로트(303)에 삽입된 2개의 도체 세그멘트(305)의 턴부(305c)가 경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이결과 턴부(305c)가 주방향으로 2렬로 배열되어서 리어측의 턴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자철심(301)의 프론트측에서는 하나의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1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와 6슬로트 떨어진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2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와의 접합부와, 하나의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3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와 6슬로트 떨어진 슬로트(303)내의 외주측에서 4번째의 위치에서 프론트측으로 연출한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305b)와의 접합부가 경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이 결과, 단부(305b)끼리의 접합부가 주방향으로 2렬로 배열되어서 프론트측의 턴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300)에서는 고정자권선(302)이 대략 U 자상으로 성형된 단척의 도체 세그멘트(305)를 고정자철심(301)의 슬로트(303)에 리어측에서 삽입하고 프론트측으로 연출하는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끼리를 접합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턴부는 다수의 접합부로 구성되어 있고 접합부끼리가 단락하기 쉽고 단락사고가 발생하기 쉬웠다.
또 다수의 단척의 도체 세그멘트(305)를 고정자철심(301)에 삽입하고 또 단부끼리를 용접,납땜등에 의해 접합해야하며 현저하게 작업성이 나뻤었다.
또, 도체 세그멘트(305)의 슬로트(303)에의 밀어넣는량은 고정자철심(301)의 축방향 길이이상을 필요로하고, 절연피막에 손상을 주기쉽고 제품후의 품질을 저하시켰었다. 또 단부끼리의 접합시에 납땜 흐름이나 용접 용융에 의한 접합부간의 단락이 빈발하고 양산성이 아주 나뻤었다.
도체 세그멘트(305)를 사용한 종래의 구성에 대해 일본국 특개평 8-298756 호 공보에는 반원상의 분할철심부의 슬로트에 미리 평각도체를 대략 6각 형상으로 여러번 권회해서 형성된 여러개의 코일티스를 삽입해서 구성된 고정자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이 고정자는 반원상의 분할철심부의 슬로트에 경방향으로 코일티스가 순차삽입되고 있다. 즉 6각 형상의 코일티스가 대향하는 하나의 변부가 슬로트의 내측의 층인 내주층에 위치하고 대향하는 변부는 소정의 수의 슬로트를 뛰어넘어 외층인 외주층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고정자에서는 슬로트에서 연출한 코일엔드의 정렬로가 높은것이나 분할철심부끼리를 결합할때 이미 한쪽의 분할철심부의 슬로트에의 코일티스의 삽입작업은 분할철심부의 연결작업을 병행해서 실시하는 필요성이 있으므로 가고정지그등을 사용해서 번잡한 작업을 실시해야하며 현저하게 생산성이 나뻤었다.
또 여러개의 분할철심부를 접합해서 고정자철심을 성형하는것도 귀찮고 또 각 분할철심부의 경방향의 치수등을 같게 성형하는것도 곤란하였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03052 호 공보에는 슬로트내의 도체점적율 향상을 위해스트레이트 형상의 소철심에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성형된 권선군을 슬로트 깊이방향으로 삽입하고 후 행정에서 소철심을 원통형상으로 구부린것이 개시되고 있다. 도 38 은 이 공법으로 제조된 고정자(400)의 전체 사시도이고 권선군의 삽입은 각별히 향상되나, 권선군은 슬로트(401)간에서 주방향으로 스트레이트의 브리지부를 갖이므로, 각 슬로트(401)에서 연출되는 코일엔드(402)의 정렬도가 현저하게 나쁘고, 코일엔드(402)에서의 경방향의 치수확대와 도체간의 단락이 생겼었다. 또 스트레이트 형상의 소철심을 그대로 원통화 하는데는 상당한 구부림력이 필요하고, 스프링백도 강해 원통후의 접합면에 극간이 생기고 출력이나 자기소음의 악화를 일으키는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일본국 특허 제 2927288 호에 기재된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다수의 단척의 도체 세그멘트(305)를 고정자철심(301)에 삽입하고 또 단부끼리를 용접,납땜등에 의해 접합해야하며 현저히 작업성이 나쁘고 또 단부끼리의 접합시에 납땜 흐름이나 용접 용해에 의한 접합부간의 단락이 빈발하고 양산성이 현저히 나쁘다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8-298756 호 공보의 교류발전기에서는 가고정지그등을 사용해서 번잡한 작업이 수반되고 또 다수개의 분할철심부를 접합해서 고정자철심을 성형하는것도 귀찮고 고정자의 조립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03052 호 공보에 기재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각슬로트(401)에서 연출되는 코일엔드(402)의 정렬도가 현저히 나쁘고, 코일엔드 (402)에서의 경방향의 치수확대와 도체간의 단락이 생기기 쉽고 또 스트레이트 형상의 소철심을 그대로 원통화 하는데는 상당한 구부림 힘이 필요하고, 스프링백도 강하고 원통후의 접합면에 극간이 생겨 출력이나 자기소음의 악화를 일으키는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것을 과제로 하는것으로 조립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하고 양산성이 가능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을 얻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관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슬로트에 들어가는 직선부를 갖도록 소선을 구부려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에 상기 권선어셈블리를 겹쳐 또 상기 슬로트에 상기 직선부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을 원통상으로 구부려 소철심의 양단면을 당접,용접해서 상기 고정자철심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관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슬로트에 들어가는 직선부를 갖도록 소선을 구부려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에 상기 권선어셈블리를 겹쳐 또 상기 슬로트에 상기 직선부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을 원통상으로 구부려서 상기 내주철심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내주철심부에 상기 외주철심부를 감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관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는 권선어셈블리는 평판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고정자의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4 는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회로도.
도 5 는 도 1 의 고정자철심의 단면도.
도 6 은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권선군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 은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권선군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 은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내층측의 권선어셈블리를 표시하는 도면.
도 9 는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외층측의 권선어셈블리를 표시하는 도면.
도 10 은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1 은 도 1 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배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 는 소철심의 분해사시도.
도 13 은 도 5 의 내주철심부의 구부림 변형전의 소철심의 사시도.
도 14 는 소철심에 용접부가 형성된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
도 15 는 소철심의 상하면에 각각 단판이 설치된 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6 (a),(b),(c),(d) 및 (e) 는 도 14 의 소철심에 권선이 삽입되는 순서를 설명한 도면.
도 17 은 도 1 의 고정자권선을 구성하는 권선어셈블리의 소철심에의 장착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8 (a),(b),(c) 는 도 5 의 내주철심부의 구부림 가공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19 는 도 18(a) 의 요부확대도.
도 20 은 도 18(c) 의 요부확대도.
도 21 은 소선의 폭과 소철심의 슬로트의 개구부의 폭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도 22 는 도 5 의 내주철심부에 외주철심부가 감착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
도 23 은 내주철심부에 외주철심부가 감착되었을때의 도면.
도 24 는 소철심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5 는 도 24 의 소철심의 티스선단부가 소성변형한후의 도면.
도 26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철심의 단면도.
도 27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 적용되는 고정자의 사시도.
도 28 은 도 27 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9 는 도 27 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0 은 도 27 의 고정자에서의 고정자권선의 제조도중의 권선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1 은 소철심에 권선어셈블리가 삽입되는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
도 32 는 소철심에 권선어셈블리가 삽입되었을때의 요부단면도.
도 33 은 고정자철심에 권선어셈블리가 삽입된 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34 는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의 사시도.
도 35 는 도 34 의 고정자에 적용되는 도체 세그멘트의 사시도.
도 36 은 도 34 의 고정자의 요부를 프론트측에서 본 사시도.
도 37 은 도 34 의 고정자의 요부를 리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8 은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다른예의 고정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브래킷 2 : 리어브래킷
7 : 회전자 8,200 : 고정자
15,84 : 고정자철심 15a,36a,207a : 슬로트
15b : 개구부 16,206 : 고정자권선
16a,16b,201a : 턴부 30,201 : 소선
31 : 제 1 권선 32 : 제 2 권선
33 : 제 3 권선 34 : 제 4 권선
35A,35B,205 : 권선어셈블리 36,207 : 소철심
51,207b : 티스 85 : 내주철심부
86 : 외주철심부 75 : 용접부
77 : 돌출맞춤부 207 : 어깨부
A : 극간
실시의 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관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3 은 이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의 고정자권선의 1상분의 결선상태를 설명하는 정단면도, 도 4 는 이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회로도, 도 5 는 도 1 의 고정자철심의 정단면도이다. 또 도 2 에서의 유도선 및 브리지결선은 생략되어 있다.
이 교류발전기는 알루미늄제의 프론트브래킷(1) 및 리어브래킷(2)으로 구성된 케이스(3)와, 이 케이스(3)내에 설치되고 일단부에 풀리(4)가 고정된 샤프트(6)와, 이 샤프트(6)에 고정된 런델형의 회전자(7)와 회전자(7)의 양측면에 고정된 팬(5)과, 케이스(3)의 내벽면에 고정된 고정자(8)와, 샤프트(6)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자(7)에 전류를 공급하는 슬립링(9)과, 슬립링(9)에 접동하는 한쌍의 브러시(10)와, 이 브러시(10)를 수납한 브러시홀더(11)에 감착된 히트싱크(17)와, 이 히트싱크(17)에 접착되어 고정자(8)에서 생긴 교류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18)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자(7)는 전류를 흘려서 자속을 발생하는 회전자코일(13)과 이 회전자코일(13)을 덮고 설치되고 그 자속에 의해 자극이 형성되는 한쌍의 폴코어(20),(21)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폴코어체(20),(21)는 철제로 각각 8개의 클로상자극(22),(23)이 외주연에 주방향으로 등각피치로 또 맞물리도록 대향해서 샤프트(6)에 고착되어 있다.
고정자(8)는 축방향으로 뻗은 슬로트(15a)가 주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다수형성된 원통상의 적층철심으로된 고정자철심(15)과, 고정자철심(15)에 권장된 고정자권선(16)과, 각 슬로트(15a)내에 장착되어서 고정자권선(16)과 고정자철심(15)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인슐레이터(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자철심(13)은 적층구조의 내주철심부(85)와 외주철심부(86)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철심부(85)의 코어백의 치수는 1㎜ 로 외주철심부(86)의 코어백의 치수는 2.6㎜ 이다. 고정자권선 (16)은 하나의 소선(30)이 고정자철심(15)의 단면측의 슬로트(15a)외에서 되돌려져서 소정 슬로트수 마다에 슬로트(15a)내에서 슬로트 깊이방향으로 내층과 외층을 교호로 채택하도록 웨이브와인딩되어 웨이브와인딩된 권선을 다수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고정자철심(15)에는 회전자(7)의 자극수(16)에 대응해서 3상 고정자권선 (160)을 2조 수용하도록, 96 의 슬로트(15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소선(30)에는 예를들면 절연피복된 대략 구형상의 단면을 갖는 장척의 동선재가 사용된다. 또 프론트브래킷(1) 및 리어브래킷(2)의 축방향의 단면에는, 흡기공 (1a), (2a)이 형성되고, 배기공(1b),(2b)이 프론트브래킷(1) 및 리어브래킷(2)의 외주 양어깨부에 고정자권선(16)의 프론트측 및 리어측의 턴부(16a),(16b)의 경방향 외측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1상분의 권선군(161)은 각각 하나의 소선(30)으로된 제 1 의 내지 제 4 의권선(31∼3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권선(31)은 하나의 소선(70)을 슬로트번호 1번에서 91번까기 6슬로트마다, 슬로트(15a)내의 외주측에서 첫번째의 위치와 외주측에서 2번째의 위치를 교호로 채택하도록 웨이브와인딩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권선(32)은 소선(30)을 슬로트번호 1번에서 91번까지 6슬로트 마다에 슬로트(15a)내의 외주측에서 2번째의 위치와 외주측에서 첫번째의 위치를 교호로 채택하도록 웨이브와인딩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3 권선(33)은 소선(30)을 슬로트번호의 1번에서 91번까지 6슬로트 마다에 슬로트(15a)내의 외주측에서 3번째의 위치와 외주측에서 4번째의 위치를 교호로 채택하도록 웨이브와인딩해서 구성되어 있따. 제 4 권선(34)은 소선(30)을 슬로트번호의 1번에서 91번까지 6슬로트 마다에 슬로트(15a)내의 외주측에서 4번째의 위치와 외주측에서 3번째의 위치를 교호로 채택하도록 웨이브와인딩에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로트(15a)내에는 소선 (30)이 장방형 단면의 길이방향을 경방향으로 나란히해서, 경방향으로 1렬로 4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자철심(15)의 일단측에서 슬로트번호의 1번에서 연출하는 제 1 권선(31)의 단부(31a)와 슬로트번호의 91번에서 연출하는 제 3 권선(33)의 단부 (33b)가 접합되고 또 슬로트번호의 1번에서 연출하는 제 3 권선(33)의 단부(33a)와, 슬로트번호의 91번에서 연출하는 제 1 권선(31)의 단부(31b)가 접합되어서 2턴의 권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자철심(15)의 타단측에서 슬로트번호 1번에서 연출하는 제 2 권선 (32)의 단부(32a)와, 슬로트번호의 91번에서 연출하는 제 4 권선(34)의 단부(34b)가 접합되고 또 슬로트번호의 1번에서 연출하는 제 4 권선(34)의 단부(34a)와, 슬로트번호의 91번에서 연출하는 제 2 권선(32)의 단부(32b)가 접합되어서 2턴의 권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로트번호의 61번과 67번으로부터 고정자철심(15)의 일단측에 연출하는 제 2 권선(32)의 소선(30)의 부분이 절단되고 슬로트번호의 67번과 73번에서 고정자철심(15)의 일단측에 연출하는 제 1 권선(31)의 소선(30)의 부분이 절단된다. 그리고 제 1 권선(31)의 절단단(31c)과 제 2 권선(32)의 절단단 (32c)이 접합되어서 제 1 내지 제 4 권선(31∼34)을 직렬접속해서 되는 4턴의 1상분의 권선군(16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권선(31)의 절단단(31c)과 제 2 권선(32)의 절단단(32c)과의 접합부가 브리지결선접속부가 되고 제 1 권선(31)의 절단단(31d)과 제 2 권선(32)의 절단단(32d)이 각각 유도선(0) 및 중성점(N)이 된다.
마찬가지로 소선(30)이 권장되는 슬로트(15a)를 하나씩 어긋나게해서 6상분의 권선군(1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선군(161)이 3상분씩 성형결선되어 2조의 3상 고정자권선(160)을 형성하고, 각 3상 고정자권선(160)이 각각 정류기(12)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정류기(12)의 직류출력은 병렬로 접속되어서 합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량용 교류발전기에서는, 전류가 배터리(도시않음)로부터 브러시(10) 및 슬립링(9)을 통해서 회전자코일(13)에 공급되고 자속이 발생된다. 이 자속에 의해, 한쪽의 폴코어(20)의 클로상자극(22)이 N극에 착자되고 다른쪽의 폴코어(21)의 클로상자극(23)이 S극에 착자된다. 한편, 엔진의 회전토크가 벨트 및 풀리(4)를 통해서 샤프트(6)에 전달되어 회전자(7)가 회전된다. 그래서 고정자권선(16)에 회전자계가 부여되어 고정자권선(16)에 기동력이 발생한다. 이 교류의 기전력이 정류기(12)를 통해서 직류로 정류되는 동시에 그 크기가, 레귤레이터(18)에 의해 조정되고 배터리에 충전된다.
그리고 리어측에서는 팬(5)의 회전에 의해 외기가 정류기(12)의 히트싱크 및 레귤레이터(18)의 히트싱크(17)에 각각 대향해서 설치된 흡기공(2a)을 통해 흡입되고 샤프트(6)의 축에따라 흘러서 정류기(12) 및 레귤레이터(18)를 냉각하고 그후 팬(5)에 의해 원심방향으로 구부려져서 고정자권선(16)의 리어측의 턴부(16b)를 냉각하고, 배기공(2b)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프론트측에서는 팬(5)의 회전에 의해 외기가 흡기공(1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그후 팬(5)에 의해 구부려져서 고정자권선(16)의 프론트측의 턴부(16a)를 냉각하고 배기공(1b)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고정자(8)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 은 고정자권선(16)을 구성하는 권선군(161)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2 의 고정자권선 16 을 구성하는 내층측의 권선어셈블리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8(a)는 그 측면도, 도 8(b)는 그 평면도이다.
도 9는 고정자권선(16)을 구성하는 외층측의 권선어셈블리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9(a)는 그 측면도, 도 9(b)는 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고정자권선(16)을 구성하는 소선의 요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장척의 소선(30)을 동일 평면상에서번개불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한다. 계속해, 도 7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각방향으로 지그로 접어가며 도 8에 표시되는 권선어셈블리(35A)를 제작한다.
또 마찬가지로해서,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 결선 및 유도선을 갖는 권선어셈블리(35B)를 제작한다.
또, 각 소선(30)은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턴부(30a)에서 연결된 직선부(30b)가 6슬로트 피치(6p)로 배열된 평면상 패턴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그리고, 인접한 직선부(30b)가 턴부(30a)에 의해 소선(30)이 폭(W)분 만큼 늦추고 있다.
권선어셈블리(35A),(35B)는 이러한 패턴으로 형성된 2개의 소선(30)을 도 11에 표시된 바와 같이 6슬로트 피치씩 물려서 6쌍 배열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선(30)의 단부가 권선어셈블리(35A),(35B)의 양단의 양측에 6개씩 연출되어 있다. 또 턴부(30a)가 권선어셈블리(35A),(35B)의 양측부에 정렬되어서 배열되어 있다. 또, 권선어셈블리(35A),(35B)는 성형때의 구부림 가공경화에 의해 그 경도가 높아져 있으므로 후 공정에서의 성형을 하기 쉽게 하기위해 300℃ ×10 분간의 열연화처리가 되어있다.
또, 도 12내지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를 향해 확대한 대형형상의 슬로트(36a)가 소정의 피치(전기각으로 30˚)로 형성된 판상자성부재인 SPCC재를 소정개수 적층하고, 그외 주부를 레이저 용접해서 직방체의 소철심(36)을 제작한다.
또, 소철심(36)의 구부림 변형 때는 SPCC재의 비틀어짐 변형에 기인해서 소철심(36)의 양면(35A),(35B)에는 파상의 변형이 생기기 쉬우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여러개소에서 축선방향으로 뻗은 용접부(75)에서 다수의 SPCC재는 굳게 일체화되고, 소철심(36)의 강성이 높아져있고 파상변형은 억제된다. 또, 이 용접부(75)는 등분간격이 아니고 또 축선방향에서 분단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15는 소철심(36)의 양면에 SPCC재 보다도 강성이 높은 단판(36e)을 설치한 예이다. 이 단판(36e)는 소철심(36)을 구성하는 SPCC재와 같은 형상으로 그 두께 E는 SPCC재의 두께 T보다도 크고 강성이 높게되어 있다.
이 예와 같이, 소철심(36)의 양면에 강성이 높은 단판(36e)를 설치함으로써 소철심(36)의 구부림 변형 때에는 SPCC재의 비틀린 변형에 기인해서 소철심(36)의 양면(35A),(35B)에 파상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16(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띠 모양의 소인슐레이터(72)를 소철심(36)의 슬로트(36a)에 재치하고, 그 후 도 16(b)내지 도 16(d)에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권선어셈블리(35A),(35B)의 각 직선부(30b)를 각 슬로트(36a)내에 밀어넣는다.
이 삽입후, 슬로트(36a)간의 소인슐레이터(72)의 연결부(72a)를 절단하고,
이로인해 인슐레이터(19)가 형성되고 2개의 권선어셈블리(35A),(35B)의 직선부(
30b)는 인슐레이터(19)에 의해 소철심(36)과 절연되어서 슬로트(36a)내에 4개 나란히 수납된다. 도 17은 이때의 전체 정면도이다.
다음에, 도 18(a),(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선어셈블리(35A),(35B)가 삽인된 띠 모양의 소철심(36)을 원통상으로 둥글게 하고 그 단면끼리를 당접, 용접해서돌출맞춤부(77)를 형성해서 도 18(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원통상의 고정자철심(15
)의 내주철심부(85)를 얻는다. 도 19 및 도 20에서 알수 있듯이 슬로트(15a), 개구부(15b)의 폭 t2는 슬로트(36a)의 개구부의 폭 t1보다도 작다.
또, 직선상의 소철심(36)을 구부려 변형하기전에 도 18(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소철심(36)의 양단부만을 구부림가공하고 있으므로, 소철심(36)의 단면끼리를 당접했을 때에,돌출맞춤부(77)의 근방도 포함한 양호한 진원도의 내주철심부(85)가 얻어진다.
또, 띠 모양의 소철심(36)의 원통상으로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각 슬로트(36a)의 코어백부에 절결부(36f)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극간은 원통상으로 변형된 후에는 당접해서 없어진다.
또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소철심(36)의 슬로트(36a)는 개구부를 향해 확대한 대형형상이고 그 개구부의 폭 t1은, 2개의 권선어셈블리(35A),(35B)이 각 직선부(30b)의 폭 t3보다도 크므로 각 슬로트(36a)내에 티스선단에 간섭되는 일 없이 원할하게 삽입된다.
또, 고정자철심(15)의 슬로트(15a)(내주철심부 85의 슬로트 15a이기도 하다)내의의 주방향의 폭치수는 직선부(30b)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므로 소철심(36)이 구부림 변형때는 티스(51)과 직선부(30b)가 서로 압압해서 변형되는 것은 방지된다.
그 후, 도 22, 도 2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주철심부(85)에 외주철심부(86)를 압압해서 고정자철심(15)이 강성을 높이게 된다. 이 경우, 외주철심부(86)의 압압전의 내주철심부(85)의 외경치수(이 때에는 돌출맞춤부(77)에는 공극이 있다)는외주철심부(86)의 내경치수보다도 약간 크게되어 있고 외주철심부(86)의 압압시에, 내주철심부(85)의 형상은 외주철심부(86)에서 규제되고, 내주철심부(85)의 진원도를 높일 수가 있다.
그 후, 도 3에 표시되는 결선방법에 따라 각 소선(30)의 단부끼리를 결선해서 고정자권선(16)을 형성해서, 고정자(8)의 제조는 완료된다.
또, 도 24 및 도 2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철심(36)과 권선어셈블리(35A),(
35B)를 일체화 한 후, 소철심(36)의 슬로트(36a)를 구획하는 티스(51)의 선단부를 압압, 소성변형시켜서 슬로트(36)의 개구부(36a)의 폭치수를 작게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에서는 2개의 평판상의 권선어셈블리(35A),(35B)의 직선부(30b)를 소철심(36)의 슬로트(36a)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띠 모양의 소철심(36)을 원통상으로 둥글게 해 그 단면끼리를 당접시켜서 용접하고 있고 다수의 도체 세그멘트(305)를 하나식 슬로트에 삽입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고정자(8)의 조립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권선어셈블리(35A),(35B)가 슬로트(15a)마다에 슬로트 길이 방향으로 내층과 외층이 교호로 채택되도록 권상되어 있으므로 코일엔드의 턴부가 간섭없이 정연하게 배열되어있고 띠 모양의 소철심(36)을 원통상으로 둥그렇게 해도, 코일의 간섭 단락은 생기지 않는다.
또, 권선어셈블리(35A),(35B)는 미리 열연화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소철심(36)을 원통상으로 만들때, 큰 변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성형할 수있다.
또, 띠 모양의 소철심(36)의 상태로 권선어셈블리(35A),(35B)를 슬로트(15a
)내에 깊이 방향으로 압압해서 일괄 삽입후, 둥그렇게 하는 제조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삽입시의 소철심(36)의 개구부는 소선(30)의 폭보다도 크고, 원통상의 성형후에는 작아지므로 권선의 삽입성의 향상과 고정자(8)에서 권선의 내주측에의 돌출이 방지된다.
또, 티스(51)의 선단부를 압압 소성변형시켜서 슬로트(36)의 개구부(36a)의 폭치수를 더욱 작게 함으로써 출력향상, 간섭음에 의한 바람소음의 저감이 된다.
고정자권선(16)을 구성하는 제 1내지 제 4권선(31 ~ 34)는 각각 하나의 소선(30)(연속선)에 의해 제작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고정자(300)와 같이, 다수의 단척의 도체 세그멘트(305)를 고정자철심(301)에 삽입하고 또 단부(305b)끼리를 용접, 납땜 등에 의해 접합할 필요가 없고 고정자(8)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발전기의 성능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효과도 있다. 즉 코일엔드가 소선(30
)의 턴부(30a)에서 구성되므로 턴부(16a),(16b)에서의 접합개소는 제 1내지제 4권선(31 ~ 34)의 단부끼리의 접합부 및 브리지 결선 접합부만이 되고 접합개소가 현저하게 삭감된다. 이것에 의해 접합에 의한 절연피막의 소실에 따른 단락사고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우수한 절연성이 얻어진다. 또 용접에 의한 도체의 연화가 없고 고정자로서의 강성이 높아지고 자기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턴부(16a),(16b)는 턴부(30a)를 주방향으로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정연하게 배열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체 세그멘트(305)의 단부끼리를 접합하고 있는 종래의 턴부에 비해 턴부의 고정자철심(15)의 단면으로부터의 연출 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이로써, 턴부(16a),(16b)에서의 통풍저항이 작아지고, 회전자(7)의 회전에 기인하는 바람소리를 저감시킬수 있다.
또, 코일엔드의 코일의 누설리엑턴스가 감소하고 출력효율이 향상된다.
또, 4개의 소선(30)이 슬로트(15a)내에 경방향으로 1렬로 배열되고 턴부(30a)가 주방향으로 2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이로서 턴부(16a),(16b)를 구성하는 턴부(30a)가 각각 경방향으로 2렬로 분산되므로, 턴부(16a),(16b)의 고정자철심(15)의 단면에서의 연출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이 결과, 턴부(16a),(16b)에서의 통풍저항이 작아지고, 회전자(7)의 회전에 기인하는 바람소리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소선(30)의 턴부(30a)에서 연결된 직선부(30b)가 구형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선부(30b)를 슬로트(18a)내에 수용했을 때에, 직선부(30b)의 단면형상이 슬로트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되어 있다.
이로서 고정자철심(15)의 고정자권선(16)에의 삽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슬로트(15a)내에서 소선(30)이 점적율을 높이는 것이 쉬워지고, 고정자권선(16)의 저항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소선(30)에서 고정자철심(15)에의 전열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고정자권선(16)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에 대해서는 내주철심부와 외주철심부를 가열가공에 의해일체화하는 것도 된다. 또 외주철심부는 파이프형상의 것도 되고 판상자성부재를 스파이럴상으로 감은 적층구조의 것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고정자철심(100)의 정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고정자철심(15)은 내주철심부(85)와 외주철심부(86)의 2부재로 구성되었으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정자철심(100)은 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내주철심부(85)의 코어백의 치수 1㎜, 외주철심부(86)의 두께는 2.6㎜인데 대해 이 고정자철심(100)의 코어백의 치수는 3.6㎜와 두께가 강성이 높아지고 원통상의 구부림가공에 큰 힘을 필요로하게 되나, 소철심의 슬로트의 저면에 절결부 87을 형성함으로써 구부림가공을 쉽게 하고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에 진술한 내주철심부에 외주철심부를 압압하는 공정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3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고정자(200)의 사시도, 도 28 및 도 29는 이 고정자(200)에서의 고정자권선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0은 고정자(200)에서의 고정자권선의 제조 도중의 권선어셈블리(205)의 정면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고정자철심(100)에 권장은 고정자권선(206)은, 단면형상이 원형의 소선(201)에 의해 소정 피치 떨어진 슬로트(36a)의 깊이 방향에 내 ·외층으로해서 1턴을 형성하는 제 1권선과, 이 제 1권선과 전기각으로 180도어긋나서 반전권장된 제 2권선이 각각 결선되어 2층의 권선어셈블리(20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권선어셈블리(205)가 고정자철심(100)에 3조 삽입되고 각각이 결선되어서 6층이되고 매극매상 2개의 슬로트(36a)를 갖는 각상이 전기각으로
120˚위상차가 있는 3상고정자권선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권선어셈블리(205)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된다. 우선 12개의 소선(201)이 평면상에 1슬로트피치로 나란히 한다. 다음에 도 28에 표시된 바와 같이 12개 소선(201)을 함께 소정피치(2점쇄선의 위치)로 되돌려주고, 12개의 소선(201)이 나선상으로 굴곡된 띠 모양의 권선유니트(202)를 형성한다.
그리고, 권선유니트(202)의 폭방향에 관해 거리 L 떨어진 위치에서 한 쌍의 복수의 핀(203)을 권선유니트(202)의 표면측에서 각 소선(201)간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권선유니트(202)의 폭방향에 관해 거리 L 떨어진 위치에서 한쌍의 복수의 핀(203)을 권선유니트(202)의 이면측에서 각 소선(201)간에 삽입한다.
또, 권선유니트(202)의 폭방향 단부에서, 위치규제 핀(204)을 각 소선(201)간에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복수의 핀(203),(204)이 도 2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세트된다. 여기서 거리 L 는 슬로트(36a)의 축선방향길이(고정자 200의 축선방향의 치수)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권선유니트(202)의 표면측에서 각 소선(201)에 삽입되어 대향한 복수의 핀(203)이, 도 29에서 실선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권선유니트(202)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권선유니트(202)의 이면측에서 소선(201)간에 삽입되어 대향한 복수의 핀(203)이 도 29에서 점선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권선유니트(202)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위치규제 핀(204)이 각 소선(201)간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소선(201)이 흐트러지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으로서 대향한 복수의 핀(203)간에 위치하는 각 소선(201)의 부위가 권선유니트(20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변형되고, 슬로트내에 수납되는 직선부(201b)가 된다. 그리고 또 한쌍의 핀(203)의 양외측에 위치하는 각 소선(201)의 부위가 6슬로트 떨어진 직선부(201b)간을 연결하는 턴부(201a)가 된다. 이로써 도 30에 표시되는 권선어셈블리(205)가 제작된다.
고정자(200)의 그 후의 제조 공정은, 실시의 형태 1 및 2와 같고, 설명은 생략한다.
단,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도 31내지 도 3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권선어셈블리(205)의 각 직선부(201b)가 각 슬로트(207a)내에 삽입되고 6개의 직선부(201b)가 인슐레이터(19)에 의해 소철심(207)과 절연되어 슬로트(207a)내에 나란히 수납된다.
단, 직선부(201b)는 슬로트(207a)의 저면에 거의 당접하고 슬로트(207a)내의 내경측에서는, 티스(207b)의 선단부의 어께부(207c)와의 사이에서 극간 A를 갖고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슬로트(207a)에 삽입되는 소선(201)의 단면을 대략 원형상이므로, 소선(201)의 굴곡변형이 쉽고, 권선어셈블리(205)가 간단하게 형성된다. 소선의 단면이 구형상일 때는 직선부에 비틀림이 있으면, 직선부를 슬로트에 삽입시에 티스의 선단부와 접촉해서 절연피막이 파손해서 소선이 절연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으나, 이 실시의 형태 3의 소선(201)에서는, 공정중에서의 소선(201
)의 접촉에 의한 절연피막의 파손빈도가 감소하고 관리 공수가 저감된다.
또 소선의 단면이 구형일 때는 권선어셈블리의 성형시에, 권선어셈블리의 턴부의 정상부가 국소적으로 연장되어 절연피막이 박리해서 절연불량이 생기고, 그 부위로부터 부식하는 일이 있었으나, 소선(201)의 단면을 원형상으로 한것으로, 피막박리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고 소선(201)의 절연성이 향상한다.
또, 소선의 단면이 구형상일 때는 소선의 단부끼리를 결선해서 고정자권선을 형성할 때는 단부끼리 접속하고, 또 발전기의 구동시의 진동 등에 의해 소선의 턴부끼리가 접촉해서 절연피막이 박리해서 절연불량이 생기나, 소선(201)의 단면에 각부가 없이 원형상이므로, 피막 박리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고, 소선(201)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또 소선의 단부끼리를 결선하는 경우에는 그 절연피막을 박리할 필요가 있으나, 그 경우 소선의 단면이 구형상일때는 4면별공정에서 박리하거나, 또는 원형 단면으로 성형해서 박리한다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수가 증가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소선(201)의 단면을 원형상으로 함으로써, 그 같은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 절연피막의 기계박리가 간단하다.
또 소선의 단면이 구형상일 때는 소선의 턴부간을 냉각층이 통과할 때에, 그 에지에서 바람소리가 발행하나 소선(201)의 단면을 원형상화 함으로써, 턴부(201a)를 통과하고 냉각풍이 원활하게 흐름으로 바람소리가 저감된다.
또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직선부(207a)는 슬로트(207a)의 직면에 당접하고 슬로트(207a)내의 최내경측이 직선부(201b)와 티스(207b)의 선단부 사이에서는 극간 A를 갖고 있다.
소철심(207)의 각 슬로트(207a)내에 소선(201)의 직선부(201b)를 밀어넣었을때, 소선(201)의 스프링백에서 내경측으로 소선(201)이 이동하나, 소철심(207)을 구부림성형할때의 티스(207b)의 선단부와 소철심(207)과의 접촉이 방지되고 소선(
201)의 절연불량이 대폭으로 감소한다.
또 회전자(7)의 외측면 및 팬(5)의 외경에서 슬로트(207a)내의 최내경측의 소선(201)과의 사이의 거리가 그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팬(5)에서 생긴 냉각풍의 저항이 작아지고 바람소리가 감소한다.
또 슬로트(207a)의 내경측에 극간 A가 있으므로, 냉각풍이 극간 A까지 침입하고, 또 슬로트(207a)내의 최외경측의 소선(201)이 그 저면에 접촉해 있으므로, 고정자권선(206)의 냉각성이 향상된다.
또,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웨이브와인딩의 권선어셈블리(205)를 3유니트 사용해서, 1상당 6턴의 직렬권선구조를 형성하였으나, 3턴의 병렬권선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권선어셈블리(205)수를 예를 들면 4유니트, 5유니트 증각시킴으로 1상당의 턴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또, 발전기의 특성상, 슬로트수가 다수가 되고, 또 슬로트의 개구부의 피치가 다른것에 기인해서 피스의 주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고정자철심이 원통형상의 상태에서 권선을 슬로트내에 장착할 때는 티스에는 주방향으로 큰 하중이 가해져 티스가 변형하기 쉬우나,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중부하가 경감되고 티스의 변형은 억제된다.
또,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매극매상당의 슬로트수가(2)인 경우이므로 12개의 소선을 사용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할 수 있었으나, 매극매상당이 슬로트수가 1또는 3이상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권선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소선이 개수는 매극매상당의 슬로트수에 맞추어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관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회전주방향을 따라 NS극을 교호로 형성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둘러싼 고정자철심 및 이 고정자철심에 장착된 고정자권선을 갖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철심은 축선방향으로 뻗은 슬로트가 주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다수형성되고, 상기 고정자권선은, 장척의 소선이 상기 고정자철심의 단면측의 상기 슬로트외에서 되돌려져 소정 슬로트수 마다에 상기 슬로트내에서 슬로트 깊이방향에 내층과 외층이 교호로 채택하도록 권장된 권선을 다수갖고있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 슬로트에 들어가는 직선부를 갖도록 소선을 구부려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에 상기 권선어셈블리는 겹치고 또 상기 슬로트에 상기 직선부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을 원통상으로 구부려 소철심의 양단면을당접해서 상기 고정자철심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권선어셈블리의 한방향의 이동으로 권선어셈블리와 소철심이 일체화되고 또 권선은 장척의 소선의 연속감기로 형성되므로 코일엔드의 정렬도가 높은 고정자의 제조작업이 대폭적으로 간단화되고 양산성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관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회전주방향을 따라 NS극을 교호로 형성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둘러싼 고정자철심 및 이 고정자철심에 장착된 고정자권선을 갖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철심은 축선방향으로 뻗은 슬로트가 주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다수형성되고, 상기 고정자권선은 장척의 소선이 상기 고정자철심의 단면측의 상기 슬로트외에서 되돌려져서 소정슬로트수 마다에 상기 슬로트내에서 슬로트 깊이방향으로 내층과 외층이 교호로 채택되도록 권장된 권선을 다수 소유하고있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슬로트에 들어가는 직선부를 갖도록 소선을 구부려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에 상기 권선어셈블리를 겹쳐 또 상기 슬로트에 상기 직선부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을 원통상으로 구부려서 상기 내주철심부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내주철심부에 상기 외주철심부를 감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권선어셈블리의 한방향의 이동으로 내주철심부의 소철심과 일체화할 수 있고 또 권선은 장척의 소선의 연속감기로 형성되므로, 코일엔드의 정렬도가 높은 고정자의 제조작업이 대폭적으로 간단화되고 양산성이 가능해진다. 또 내주철심부를 구부리는데 필요한 힘도 경감된다. 또 외주철심부에 의해 극간의 발생이 저감되고, 자기저항이 적고 출력이 향상된다.
또 이 발명의 청구항 3 에 관한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권선어셈블리는 평판상이므로 권선어셈블리와의 일체화의 작업성이 좋고 또 콤팩트하고 취급이 용이하다.

Claims (3)

  1. 회전주방향을 따라 NS극을 교호로 형성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둘러싼 고정자철심 및 이 고정자철심이 장착된 고정자권선을 갖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철심은 축선방향으로 뻗은 슬로트가 주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다수형성되고 상기 고정자권선은 장척의 소선이 상기 고정자철심의 단면측의 상기 슬로트외에서 되돌려져서 소정 슬로트수 마다에 상기 슬로트내에서 슬로트 깊이방향으로 내층과 외층이 교호로 채택하도록 권장된 권선을 다수갖고있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슬로트에 들어가는 직선부를 갖도록 상기 소선을 구부려서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에 상기 권선어셈블리를 겹치고, 또 상기 슬로트에 상기 직선부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을 원통상으로 구부려져 소철심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당접해서 상기 고정자철심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2. 회전주방향을 따라 NS극을 교호로 형성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둘러싼 고정자철심 및 이 고정자철심에 장착된 고정자권선을 갖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철심이 축선방향으로 뻗은 주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다수형성된 슬로트를 갖는 내주철심부와 이 내주철심부의 외주면에 감착된 외주철심부로 구성되고 상기고정자권선을 장척의 소선이 상기 고정자철심의 단면측의 상기 슬로트외에서 되돌려져서 소정 슬로트수 마다에 상기 슬로트내에서 슬로트 깊이방향으로 내층과 외층이 교호로 채택되도록 권장된 권선을 다수갖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슬로트에 들어가는 직선부를 갖도록 상기 소선을 구부려 형성해서 권선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판상자성부재를 적층해서 소철심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에 상기 권선어셈블리를 겹치고, 또 상기 슬로트에 상기 직선부가 들어가도록 압압하는 공정과, 상기 소철심을 원통상으로 구부려 상기 내주철심부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내주철심부에 상기 외주철심부를 감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권선어셈블리는 평판상인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KR10-2000-0074528A 1999-12-27 2000-12-08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396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716799 1999-12-27
JP1999-377167 1999-12-27
JP2000318028A JP3310971B2 (ja) 1999-12-27 2000-10-18 交流発電機の製造方法
JP2000-318028 2000-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251A true KR20010062251A (ko) 2001-07-07
KR100396805B1 KR100396805B1 (ko) 2003-09-02

Family

ID=2658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528A Expired - Lifetime KR100396805B1 (ko) 1999-12-27 2000-12-08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10971B2 (ko)
KR (1) KR100396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25A1 (ko) * 2011-12-02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기계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기, 전동기를 구비한 전기차량
US20220416630A1 (en) * 2019-11-20 2022-12-29 Hitachi Astem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3985A1 (de) * 2002-09-20 2004-04-01 Robert Bosch Gmbh Ständerblechpaket
JP3879649B2 (ja) 2002-10-08 2007-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固定子の分解方法及び固定子の分解装置
US7360303B2 (en) * 2004-01-28 2008-04-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manufacturing for a winding assembly of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2005304199A (ja) * 2004-04-13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回転電機装置
WO2008044703A1 (fr) * 2006-10-12 2008-04-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ator de machine électrique rotative
US7876016B2 (en) 2007-11-15 2011-01-25 Sundyne Corporation Stator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001054B1 (ko) 2008-11-05 2010-12-14 (주)윈텍 발전기용 스테이터코어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방법
CN102948038B (zh) 2010-06-18 2015-07-0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定子制造方法
JP5791805B2 (ja) 2012-07-06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3020215B1 (fr) * 2014-04-17 2017-11-17 Valeo Equip Electr Moteur Procede de realisation d'un stator bobine de machine electrique muni d'un isolant d'encoche continu et stator correspondant
CN109075624B (zh) 2016-04-15 2021-02-26 博格华纳公司 用于在电机中容纳多种导体几何形状的公共层叠部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4543A (ja) * 1987-02-09 1988-08-11 Hitachi Ltd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38528B2 (ja) * 1997-06-19 2006-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225A1 (ko) * 2011-12-02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기계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기, 전동기를 구비한 전기차량
KR101339410B1 (ko) * 2011-12-02 201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기계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기, 전동기를 구비한 전기차량
US9166451B2 (en) 2011-12-02 2015-10-20 Lg Electronics Inc. Stator of electric machine, electromotor having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 electromotor
US20220416630A1 (en) * 2019-11-20 2022-12-29 Hitachi Astem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12301075B2 (en) * 2019-11-20 2025-05-13 Hitachi Astem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sta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805B1 (ko) 2003-09-02
JP3310971B2 (ja) 2002-08-05
JP2001251819A (ja) 200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096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ternator
KR100396800B1 (ko) 교류발전기
KR100402386B1 (ko) 교류발전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3532B1 (ko)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KR100449469B1 (ko) 회전전기의 고정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3078288B1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0396452B1 (ko) 교류발전기
KR100398761B1 (ko) 교류발전기
EP1330012A2 (en) Stator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96329B1 (ko)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KR100419131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고정자
KR20010062023A (ko) 교류발전기
KR100396805B1 (ko) 교류발전기의 제조방법
EP1109293B1 (en) Alter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KR100435172B1 (ko) 교류발전기
EP1109287B1 (en) Alternator
EP110929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ter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60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