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102A - 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102A
KR20010062102A KR1020000072811A KR20000072811A KR20010062102A KR 20010062102 A KR20010062102 A KR 20010062102A KR 1020000072811 A KR1020000072811 A KR 1020000072811A KR 20000072811 A KR20000072811 A KR 20000072811A KR 20010062102 A KR20010062102 A KR 20010062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witch
ice making
crimp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27532B1 (en
Inventor
니시카와카즈노리
Original Assignee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치 유죠,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구치 유죠
Publication of KR2001006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PURPOSE: To make a switch mechanism for use in sensing a rotating angle of an ice making pan or sensing an amount of ice in an ice storing container in a compact and simple configuration and further enable an automatic assembling of it to be attained. CONSTITUTION: This driving device 5 for an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is made such that when a lack of ice in an ice storing container is detected, an ice making pan is reversed to cause the ices to be dropped into the ice storing container, thereafter the ice making pan is return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o make ice. A rotary member 41 rotated in cooperation with driving of the ice making pan so as to turn-on or turn-off a switch 42 for use in sensing a position of the ice making pan is arranged in one case half segment 9b of the two divided cases 9 for storing each of the segments of the driving device 5, and a supporting segment for supporting a pivot 41d of the rotary member 41 is constituted by a notch 53a formed at the releasing end of the case half segment 9b of both side walls 53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pivot 41d of the rotary member 41.

Description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방법{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냉장고내에 설치되어 얼음을 제조함과 동시에 저빙용기내의 얼음 부족을 검출한 경우 제조한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로 보급하기 위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ice maker for supplying the manufactured ice to the storage container when the ice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ice shortage is detected at the same time.

최근 자동제빙기능을 갖춘 가정용 냉장고 등이 알려져있다. 이런 종류의 냉장고에 부착되는 자동제빙장치는 통상 모터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캠차에 제빙접시가 연결되어 캠차의 회동에 따라 제빙접시가 비틀려지면 제빙접시에서 얼음이 떨어지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자동제빙장치에서는 얼음을 낙하시킨 후 모터를 역회전시켜 제빙접시를 원래 원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제빙접시에 얼음을 공급하여 새로이 얼음을 제조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제빙접시가 얼음을 낙하시키는 위치 및 구동전의 원위치를 모터의 구동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검출하고, 모터의 구동/정지/역회전 등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어 이를 검출하는 스위치가 배치된다.Recently,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an automatic ice making function are known. In 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attached to this type of refrigerator, an ice making plate is connected to a cam car that is rotated by a motor drive, and ice is dropped from the ice plate when the ice plate is twi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car. In such a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after the ice is dropped, the motor is rotated in reverse to return the ice making plate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ice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plate to start manufacturing new 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position at which the ice making plate falls ice and the original position before driv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to control the driving / stopping /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또 상술한 자동제빙장치는 제빙접시에서 낙하하는 얼음을 받아 저장해 두는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양을 검지하기 위한 검빙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검빙레버는 캠차의 회동에 연동하여 저빙용기내에서 동작하고, 저빙용기내에 소정량 이상의 얼음이 있는 지 여부를 검지한다. 이 동작에 있어서도 소정량 이상 얼음이 있거나 혹은 소정량 이상 얼음이 없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라도 그것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ice-covering lever for detecting the quantity of the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which receives and saves the ice falling from an ice making plate. The ice detection lever operates in the storage contain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car, and detects whether ther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in the storage container. Also in this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witch for outputting a signal informing it of any case where there is ice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r there is no ice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일본국 특개평 8-313132호 공보기재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나 일본국 특개평 10-78277호 공보에 기재된 자동제빙장치에는 상술한 제빙접시의 이빙위치(제빙접시가 얼음을 낙하시키는 위치) 및 구동전의 원위치를 검지하는 스위치와, 검빙시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고 상술한 요구에 응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The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13132 or the automatic ice make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78277 includes the above-mentioned ice-breaking position of the ice-making dish (a position where the ice-making dish drops ice)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witch for detecting the home position before driving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 signal at the time of sensing is disclosed and constitut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meeting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s.

일본국 특개평 8-313132호 공보기재의 자동제빙기의 스위치기구는 도 10과 같이 제빙접시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차(101)의 캠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요동하는 레버(102)를 배치하고, 이 레버(102)의 요동을 이용하여 제빙접시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스위치용 레버(102)의 점유, 이동면적이 커서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The switch mechanism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13132 discloses a lever 102 which swing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m surface of the cam car 101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n ice making plate as shown in FIG. 10. The swing angle of the lever 102 is used to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ice making plate. Therefore, the occupancy and moving area of the switch lever 102 are large, which causes the enlargement of the apparatus.

또 레버(102)는 지점(102a)을 중심으로 요동하도록 되어있지만 이 요동의 구동원으로서 스프링(103)이 이용된다. 이 스프링(103)은 레버(102)의 결합부(102b)와 타부재의 결합부(104)에 걸리게 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103) 조립시에 스프링(103)을 압축 혹은 신장시키면서 레버(102)의 결합부(102b) 및 타 부재의 결합부(104)에 거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조립작업의 자동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Moreover, although the lever 102 is made to rock around the point 102a, the spring 103 is used as a drive source of this rocking. The spring 103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102b of the lever 102 and the engaging portion 104 of the other member.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automate the assembling work since the work to be applied to the engaging portion 102b of the lever 102 and the engaging portion 104 of the other member while compressing or extending the spring 103 when assembling the spring 103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또 일본국 특개평 10-78277호 공보에 기재된 자동제빙장치는 도 11과 같이 캠차(111)의 캠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레버(112)를 구비한 구조를 갖고 있고, 이 레버(112)의 요동을 이용하여 제빙접시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이 자동제빙장치에서는 레버(112)의 회동지점이 되는 축부(112a)가 케이스에 형성된 베어링(114)에 지지되는 구조가 되고, 그 조립이 복잡하다. 또 이 도 11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도 레버(112)의 요동의 구동원으로서 스프링(113)이 이용되며, 이 스프링(113)의 일단을 레버(112)의 결합부(112b)에, 타단을 타부재의 결합부(15)에 걸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레버(112)의 베어링(114)으로의 조립이나 스프링(113)의 조립작업의 자동화가 곤란하여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78277 has a structure including a lever 112 which swing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am surface of the cam car 111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angle of the ice making plate is detected by using the swing of. In this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the shaft portion 112a serving as the pivot point of the lever 112 is supported by the bearing 114 formed in the case, and its assembly is complicated. Also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1, a spring 113 is used as a driving source of the swing of the lever 112, and one end of the spring 113 is attached to the engaging portion 112b of the lever 112. It is made to hang on the engaging part 15 of a member. This configuration cause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of the lever 112 to the bearing 114 and the automation of the assembly of the spring 113 are difficult and depend on manual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제빙기의 요부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an automatic ice mak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자동제빙기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내고,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를 분리하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FIG. 1 by detaching one half of the case so that the inside can be observed.

도 4는 도 3의 구동장치의 회전전달수단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단면전개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development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rotational transmission means of the drive device of FIG.

도 5는 도 4의 구동장치의 캠차를 도 4의 화살표 V방향에서 본 도면.FIG. 5 is a view of the cam difference of the driving device of FIG. 4 as viewed in the arrow V direction of FIG. 4; FIG.

도 6은 도 3의 구동장치의 검빙축을 나타낸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an ice detection shaft of the driving device of FIG.

도 7은 도 3의 구동장치의 스위치 압착레버를 화살표 VII방향에서 본 저면도.FIG. 7 is a bottom view of the switch pressing lever of the driving device of FIG. 3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VII; FIG.

도 8은 도 7을 화살표 VIII방향에서 본 측면도.FIG. 8 is a side view of FIG. 7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VIII. FIG.

도 9는 도 1의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황을 나타내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FIG.

도10은 종래의 자동제빙장치의 스위치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witch mechanism of a conventional automatic ice making device.

도11은 다른 예가 되는 종래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스위치기구를 도시하는 모식도.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witch mechanism of a drive devic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ice maker as another examp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자동제빙기 2: 제빙접시1: automatic ice maker 2: ice tray

3: 검빙암 5: 구동장치3: detection arm 5: driving device

9: 케이스 9a,9b: 케이스 절반체9: case 9a, 9b: case half body

10: 캠차 11: 검빙기구10: Camcha 11: ice detection mechanism

12: 스위치기구 13: DC모터12: switch mechanism 13: DC motor

28: 검빙축용 캠면 29: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8: Cam surface for detection shaft 29: Cam surface for switch crimping lever

31: 검빙축 31d: 스위치편 회동저지부(압착저지수단)31: detection axis 31d: switch piece rotation blocking portion (compression blocking means)

41: 스위치 압착레버(회동부재)41: switch crimping lever (rotating member)

41a: 캠접촉부(접동부) 41b: 압착부41a: cam contact portion (sliding portion) 41b: crimping portion

41d: 회동지점축 41e: 돌기상부41d: pivot point 41e: upper part of protrusion

42: 덕트스위치 44: 스위치 압착스프링(부세부재)42: duct switch 44: switch crimping spring (presence member)

53: 측벽 53a: 오목부53: side wall 53a: recess

본 발명은 제빙접시의 회동각도를 검출하거나 또는 저빙용기내의 얼음 양을 검출하는 스위치기구를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자동조립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며, 조립효율이 높고 저원가이며, 또한 확실하게 동작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ct, simple configuration and automatic assembly of a switch mechanism that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ice making plate or the amount of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has a high assembly efficiency, low cost, and reliable ope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device for an automatic ice maker provided with a switch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vice.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저빙용기내의 얼음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제빙접시를 반전시켜 저빙용기내로 낙하시킨 후 제빙접시를 원래 위치로 되돌려 얼음을 제조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제빙접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빙접시의 위치검출용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는 회동부재를 이 구동장치의 각 부를 수납하기 위해 2개로 분할된 케이스의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내에 배치하며,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의 양측에 배치된 양 측벽의 한쪽 케이스 절반체의 해방단측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ce shortage is detect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the ice tray is inverted and dropped into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n the ice tray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produce an ice maker. The rotation member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of an ice making plate and performs the on-off convers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witch of an ice making plate is arrange | positioned in one case half of the case divided into two for accommodating each part of this drive apparatus.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pivot member is composed of a recess formed on the release end side of one case half of both side wal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pivot member.

그 때문에 스위치기구를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의 온오프를 변환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을 회동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 측벽의 오목부로 떨어뜨리는 것 만으로 용이하게 회동부재의 회동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기구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된다.Therefore, the switch mechanism can be made compact, and the pivoting point of the pivoting member for switching the on / off of the switch is easily dropped by simply dropping the pivoting point to the concave portions of the side wal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ivoting member. Since it can support, assembly work of a switch mechanism becomes simple.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덧붙여, 양 측벽은 케이스저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회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Another invention i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both side wall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se. Therefore, the support part which supports the rotating member which turns a switch on and off can be easily formed integrally with a case.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덧붙여 지지부를 구비한 양 측벽은 회동지점축에 대해 각각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회동부재의 회동지점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양 측벽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되고,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의 안정화가 가능하게 된다.In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both side walls having a support portion are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pivot point axi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vot point can be prevented on both side walls, and the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can be stabilized.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덧붙여 회동부재는 회동지점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배치됨과 동시에 양측단 테두리가 양 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돌기상부를 구비하고, 이 돌기상부가 양 측벽에 접촉함으로써 회동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립시 및 조립후에 있어 회동부재가 쓰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지지부에 지지되게 되어 회동부재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the rotating member extends radially outwardly from the pivot point axis and has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 edges so as to contact both side walls. It is prevented from fall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by contacting with. Therefore, the rotating member does not fall down during assembly and after assembly, so that the rotating member can be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accurately, thereby achieving stabilization of the rotating member.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덧붙여 회동부재의 스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스위치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압착부를 스위치측으로 밀어부치는 부세부재와, 제빙접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동작하고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맞서 스위치에 대한 압착부의 압착동작을 하는 압착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압착저지수단을 구비하며, 압착부의 압착 및 이탈에 의해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위치가 회동부재의 압착 및 비압착에 의해 스위치의 온오프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rimping part for crimping the switch at a position facing the switch of the rotating memb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and a biasing member for pushing the crimping part toward the switch side,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ice tray. It is provided with a crimping stop means for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crimping portion to operate and to crimp the crimping portion against the switch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mber, and to switch on and off the switch by crimping and detaching the crimping portion. Therefore, the switch can be reliably turned on and off by crimping and non-pressing the rotating member.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덧붙여 회동부재에는 제빙접시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차의 캠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동부를 배치하고, 이 접동부가 캠면을 따라 접동함으로써 회동지점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는 회동부재의 동작을 캠차의 회전동작과 쉽게 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a rotat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rotating member in sliding contact with a cam surface of a cam car that rotates in association with an ice making plate, and the sliding portion is slid along the cam surface to move about the pivot point axis. Rotation is performed to switch on and off.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which performs the on-off conversion of a switch can be easily made to rotate with the cam car.

또 다른 발명은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 제빙접시를 반전시켜 얼음을 저빙용기내로 낙하시킨 후 제빙접시를 원래 위치로 되돌려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 구동장치의 각 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 절반체 중 한쪽에 입설된 2개의 측벽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에 제빙접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빙접시의 위치검출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의 온오프 변환을 행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의 양단을 떨어뜨리며, 그 위에서 케이스 절반체 중 다른쪽을 피복하도록 하고 있다.Another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utomatic ice maker driv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 by reversing an ice tray and dropping the ice into the ice storage container when the lack of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detected, and then returning the ice tray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is case, the concave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placed on one of the two case halves constituting the case for storing each member of the drive device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of the ice making plate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ice making plate. Both ends of the pivot point axis of the rotating member for performing the on-off conversion of the switch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re dropped, and the other of the case halves is covered thereon.

이와같이 스위치의 온오프를 변환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을 케이스 절반체의 한쪽에 형성된 양 측벽의 오목부로 떨어뜨리고, 그 위에서 다른 케이스 절반체를 피복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회동부재의 회동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기구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저원가로 행해진다.In this way, the pivot point of the rotating member for switching the on and off of the switch is dropped into the recesses of both side wall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half body, and a simple operation of covering the other case half body thereon can reliab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s a result, the assembling work of the switch mechanism is simple and at low cost.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 및 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제빙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자동제빙기(1)는 제빙이나 이빙 등을 자동적을 행하는 것으로, 냉장고 등의 제빙실안에 설치되며 후술한 구동방법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있다.1 and 2 show a driv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ice maker and an automatic ice maker driven by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automatic ice maker 1 performs automatic ice making, ice-making, etc., and is installed in an ice-making room, such as a refrigerator, and is operated by the drive method mentioned later.

이 자동제빙기(1)는 도시하지 않은 저빙용기내의 위쪽에 배치되고, 물 등이 공급되는 제빙접시(2)와, 저빙용기내의 저빙량을 검지하기 위해 승강하는 얼음 검출수단이 되는 검빙암(3)과, 제빙접시(2) 및 검빙암(3)을 연동시켜 구동하는 구동장치(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빙접시(2)의 하부에는 제빙접시의 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1a)가 배치된다.This automatic ice maker 1 is located above the ice storage container (not shown), and is an ice making plate 2 to which water or the like is supplied, and an ice detection arm that is an ice detection means for lifting up and down to detect the amount of ice storage in the storage container. (3) and a drive device 5 for driving the ice tray 2 and the ice arm 3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thermistor 1a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plate is disposed under the ice making plate 2.

구동장치(5)는 검빙암(3)의 선단을 저빙용기내로 하강시켜 그 하강위치를 기초로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동장치(5)는 얼음 부족을 검출한 경우, 제빙접시(2)를 비틀어 반전시켜 이빙위치로 하여 저빙용기내로 얼음을 낙하시킨다. 즉 반전된 제빙접시(2)는 그 타단측의 돌출부(2a)가 자동제빙기(1)의 기틀(6)에 배치된 접촉편(도시생략)에 닿아 비틀림 변형하고, 이 변형을 이용하여 얼음을 낙하시킨다. 그 후 구동장치(5)는 제빙접시(2)를 제빙위치(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이 위치에서 제빙접시(2)로 액체가 공급되어 얼음의 제조가 행해진다.The drive device 5 can lower the tip of the ice-breaking arm 3 into the storage container and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ice in the storage container based on the lowered position. When the lack of ice is detected, the driving device 5 twists and inverts the ice making plate 2 to fall to the ice storage position to drop the ice into the storage container. In other words, the inverted ice tray 2 is torsionally deformed by the projection 2a on the oth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contact piece (not shown) arranged on the base 6 of the automatic ice maker 1, and using the deformation. Drop it. Thereafter, the drive unit 5 returns the ice making plate 2 to the ice making position (original position), and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plate 2 at this position to produce ice.

구동장치(5)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빙접시(2)에 연결되어 이를 반전시키는 캠차(10)와, 이 캠차(10)에 조작되어 검빙암(3)을 동작시키는 검빙기구(11) 및 스위치기구(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구동장치(5)의 내부기구는 2개의 케이스 절반체(9a)(9b)로 이루어지는 케이스(9)내에 배치된다.The driving device 5 is a cam car 10 connected to the ice making plate 2 and reversed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an ice making mechanism 11 that is operated by the cam car 10 to operate the sensing arm 3. ) And a switch mechanism 12 are provided. Moreover, the internal mechanism of this drive device 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ase 9 which consists of two case halves 9a and 9b.

캠차(10)는 구동원이 되는 DC모터(13)에 의해 회전된다. DC모터(13)의 회전은 모터(13)의 출력축(13a)에 연결된 웜(15), 제 1치차(16), 제 2치차(17) 및 제 3치차(18)를 통해 캠차(10)에 전달된다.The cam car 10 is rotated by a DC motor 13 serving as a drive source. The rotation of the DC motor 13 is carried out through the worm 15, the first gear 16, the second gear 17, and the third gear 18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13a of the motor 13. Is passed on.

도 4에 있어서, 캠차(10)에는 회전중심축이 되는 회동축(25)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 회동축(25)은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9a)에 배치된 구멍에서 구동장치(5)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제빙접시(2)에 연결되고, 캠차(10)와 제빙접시(2)는 일체로 회전한다. 회동축(25)의 제빙접시(2)에 연결되지 않은 측의 단부는 통모양으로, 케이스 절반체(9b)에 배치된 원형의 받침부(7)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또 이 회동축(25)의 단부 외주면에는 통모양의 마찰부재(8)가 헐겁게 끼워져 배치된다.In FIG. 4, the camshaft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ng shaft 25 used as a rotation center axis. The pivot shaft 25 protrudes outward of the drive device 5 from a hole disposed in one case half body 9a to be connected to the ice making plate 2, and the cam car 10 and the ice making plate 2 are Rotate integrally The end of the side of the rotating shaft 25,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ice making plate 2, is cylindrical and supported so as to rotate freely on the circular supporting portion 7 disposed on the case half body 9b. Moreover, the cylindrical friction member 8 is loosely fitt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part of this rotation shaft 25, and is arrange | positioned.

이 통모양의 마찰부재(8)는 회동축(25)에 대해 마찰력으로 일체회전이 가능하다. 이 마찰부재(8)의 하단테두리(케이스 절반체(9b)와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는 절개형상의 홈(도시생략)이 형성되고, 이 홈의 양단은 케이스 절반체(9b)에 형성된 볼록부(도시생략)와 접촉가능하다. 그 때문에 마찰부재(8)는 홈의 양단과 케이스 절반체(9b)측의 볼록부가 닿는 범위에서만 회동가능하다. 이 마찰부재(8)와 회동축(25)과의 관계는 마찰부재(8)가 홈의 양단과 케이스 절반체(9b)측의 볼록부가 접촉할 때 까지 일체로 회동하고, 접촉으로 회전이 저지된 후에도 회동축(25)만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cylindrical friction member 8 can be integrally rotated with a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25. A cut-out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lower edge of the friction member 8 (the end of the side opposite to the case half body 9b), and both ends of the groove are convex formed in the case half body 9b. It can be contacted with a part (not shown). Therefore, the friction member 8 can be rotated only in the range where both ends of the groove and the convex portions on the case half body 9b side tou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ction member 8 and the rotational shaft 25 rotates integrally until the friction member 8 contacts the both ends of the groove and the convex portions on the case half body 9b side, and rotation is prevented by contact. Even after the rotation shaft 25 is rotated only.

또 통모양의 마찰부재(8)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검빙축(31)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편(도시생략)이 배치된다. 이 저지편은 캠차(10)가 이빙위치측으로 회동할 때는 검빙축(31)의 결합편(31b)(도 6참조)과 결합하지 않고 캠차(10)가 제빙위치측으로 회동할 경우에만 검빙축(31)의 결합편(31b)과 결합하여 검빙축(31)의 회동을 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저지편에 의해 검빙축(31)의 회동이 저지되면 검빙축(31)에 형성된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는 덕트스위치(42)를 온/오프변환하는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범위내로 들어가지 않고, 덕트스위치(42)는 자유로이 온/오프변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blocking piece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friction member 8 to prevent rotation of the ice detection shaft 31 shown in FIG. 3. This blocking piece does not engage with the engaging piece 31b (see Fig. 6) of the ice-shaking shaft 31 when the cam car 10 rotates to the ice position, and only when the cam car 10 rotates to the ice-making position side. In combination with the engaging piece 31b of 31), the rotation of the ice detection shaft 31 is prevented. When the rotation of the ice detection shaft 31 is prevented by the blocking piece, 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ping portion 31d formed on the detection axis 31 of the switch compression lever 41 turns the duct switch 42 on and off. Without entering the range of rotation, the duct switch 42 can be switched on and off freely.

마찰부재(8)는 검빙동작에 있어 얼음 부족과 만빙을 식별하기 위해 온/오프 중 어느 하나가 되는 덕트스위치(42)가 이빙위치에서 제빙위치로 검빙암(3)이 복귀할 때 반드시 중간에서 온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검빙동작시에 저빙용기내에서 검빙암(3)이 소정위치까지 하강하면 얼음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캠차(10)를 이빙위치까지 회전시켜 얼음을 낙하시키는 동작을 행하지만 이빙위치에서 제빙위치로 되돌릴 때 이미 먼저의 이빙에 의해 만빙상태가 되는 경우와 계속 얼음이 부족한 상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빙된 후 덕트스위치(42)의 온/오프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제어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 마찰부재(8)는 이와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이빙위치에서 제빙위치로 복귀할 때 반드시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도록 하기 위한 부재가 된다.The friction member 8 is always in the middle when the ice arm 3 returns from the ice position to the ice making position when the duct switch 42, which is on or off, is used to identify the lack of ice and ice in the ice detection operation. It is to be turned on. That is, when the ice arm 3 descend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during the ice ice operation, it is judged that ice is insufficient, and the cam car 10 is rotated to the ice ice position as it is to drop the ice. When returning to, there is a situation where the ice is already in full ice by the first ice and the state of lack of ice continues. Therefore, a nonuniformity arises on / off of the duct switch 42 after it is iced, which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control. This friction member 8 is a member for ensuring that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when returning from the icing position to the ice making position so that such a problem does not occur.

또 캠차(10)의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9a)에 대향하는 일측면(10b)에는 도 4와 같이 홈(26)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홈(26)내에는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9a)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도시생략)가 삽입되고, 캠차(10)의 회전이 가능한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고 있다. 즉 홈(26)의 양단면(도시생략)에 케이스 절반체(9a)의 돌기가 닿는 위치를 캠차(10)의 회전한계위치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캠차(10)는 -6도에서 168도의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이 회전각도는 초기화할 때 -6도까지 회전시켜 기계적인 잠금을 행할 경우 등을 제외하고 통상의 경우는 0도에서 160도 범위에서 동작한다.In addition, a groove 26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surface 10b facing the case half body 9a of the cam car 10 as shown in FIG.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case halves 9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6, and the angle at which the cam car 10 can be rotated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range.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projection of the case half body 9a contacts the both end surfaces (not shown) of the groove 26 is set as the rotation limit position of the cam car 10.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cam car 10 can be rotated in the range of -6 degrees to 168 degrees. In addition, this rotation angle is normally operated in the range of 0 to 160 degrees except for the case of performing a mechanical lock by rotating to -6 degrees when initializing.

한편 캠차(10)의 다른쪽의 케이스 절반체(9b)에 대향하는 측면(10c)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환상의 오목부(27)가 형성된다. 도 5는 캠차(10)를 도 4의 화살표 V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캠차(10)의 캠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오목부(27)내에는 내벽을 캠면으로 하는 검빙축용 캠면(28)이 배치됨과 동시에 그 외측에 동일하게 내벽을 캠면으로 하는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9)을 구성하고 있다. 각 캠면(28)(29)은 캠차(1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동축(25)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뻗어배치된 연설부 측벽의 내주면 부분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annular recess 27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10c opposite the case half body 9b of the cam car 10 as shown in FIGS. 4 and 5. FIG. 5 is a view of the cam car 10 seen from the arrow V direction in FIG. 4, showing the cam surface of the cam car 10. In the concave portion 27, the cam face 28 for the detection shaft having the inner wall as the cam surface is arranged, and the cam face 29 for the switch crimp lever 29 having the inner wall as the cam surface is formed on the outside thereof. Each cam surface 28, 29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speaker portion which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ivot shaft 25,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m car 10. As shown in FIG.

그리고 검빙축용 캠면(28)은 검빙 비동작 위치부(28a)와, 검빙강하 동작부(28b)와, 얼음부족 검출위치부(28c)와, 검빙복귀 동작부(28d)를 갖고 있다. 검빙 비동작 위치부(28a)는 검빙암(3)을 하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유지하는 구간으로 캠차(10)의 초기위치에서 검빙축(31)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0도로 했을 때 -6도 ~ 11도 및 79 ~ 168도 구간에 형성하고 있다. 또 검빙강하 동작부(28b)는 얼음이 부족한 경우 검빙암(3)을 서서히 하강시키기 위한 구간으로 11도 ~ 35도의 구간에 형성되고 있다. 또 얼음부족 검출위치부(28c)는 얼음이 부족한 경우에 검빙암(3)을 가장 밑으로 내릴 수 있는 구간으로 35 ~ 55도의 구간에 형성된다. 또 검빙복귀 동작부(28d)는 하강한 검빙암(3)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간으로 55도 ~ 79도의 구간에 형성된다.The detection axis cam surface 28 includes the detection non-operation position part 28a, the detection and fall operation part 28b, the ice shortage detection position part 28c, and the detection and return operation part 28d. The non-sensing operation position part 28a is a section which keeps the detection arm 3 without lowering it, -6 degree | times when the position which contacts the detection axis 31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am car 10 is 0 degree | times. It is formed in the interval of ~ 11 degrees and 79 ~ 168 degrees. In addition, the ice detection lowering operation unit 28b is formed in a section of 11 degrees to 35 degrees as a section for gradually lowering the ice detection arm 3 when ic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ice shortage detection position (28c) is formed in a section of 35 to 55 degrees as a section that can lower the ice detection arm (3) when the ic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ice detection return operation unit 28d is a section for raising the lowered ice detection arm 3, and is formed in a section of 55 degrees to 79 degrees.

한편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9)은 원위치인 제빙위치(0도)를 포함하는 -6도 ~ 5도에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1신호발생용 캠부(29a)와, 검빙위치(42도)를 포함하는 42도 ~ 48도에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2신호 발생용 캠부(29b)와, 이빙위치(160도)를 포함하는 160도 ~ 168도에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3신호 발생용 캠부(29c)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캠차(10)의 회전각도가 제빙위치, 검빙위치 및 이빙위치에 있는 경우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를 덕트스위치(42)측으로 밀어부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pressing lever cam surface 29 includes a first signal generating cam portion 29a for outputting a signal at -6 degrees to 5 degrees including an original ice making position (0 degrees), and an ice sensing position (42 degrees). The second signal generating cam portion 29b for outputting the signal at 42 degrees to 48 degrees including a third signal generation for outputting the signal at 160 degrees to 168 degrees including an icing position (160 degrees). It has a cam part 29c.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 car 10 is at the ice making position, the ice making position, and the ice making position, the pressing part 41b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pushing against the duct switch 42 side.

또한 제빙위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원위치신호라고 하기로 하고, 제 1신호발생용 캠부(29a)는 그 형상 상 -19도 ~ 5도 범위에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검빙위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빙위치신호라고 하자. 또한 이빙위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이빙신호라고 한고, 제 3신호발생용 캠부(29c)는 그 형상상 160도 ~ 179.5도의 범위에서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The signal generated at the ice making position is referred to as an original position signal, and the first signal generating cam portion 29a is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in the range of -19 degrees to 5 degrees. In addition, let the signal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a sensing position be an sensing position signal. In addition, the signal generated at the ice position is referred to as an ice signal, and the third signal generating cam portion 29c can generate a signal in a range of 160 degrees to 179.5 degrees in shape.

검빙기구(11)는 저빙용기내의 얼음의 양이 만빙인지 부족한 지를 식별하기 위한 기구로서 검빙암(3)을 저빙용기내로 하강시켜 소정레벨위치에서 하강했을 때 얼음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검빙기구(11)는 캠차(10)로 조작됨과 동시에 검빙암(3)을 동작시키는 검빙축(31)과, 검빙축(31)의 결합볼록부(31a)를 캠차(10)의 검빙축용 캠면(28)측으로 밀어부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하는 코일스프링(32)(도 3참조)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검빙암(3)은 최대 35도까지 회동가능하며, 30도 이상 회동했을 때 얼음부족이라고 판단하게 된다.The ice detection mechanism 11 is a mechanism for identifying whether the amount of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full ice or insufficient, and determines that the ice is insufficient when the ice detection arm 3 is lowered into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lowered at a predetermined level position. In addition, the detection mechanism 11 is operated by the cam car 10 and at the same time, the detection axis 31 for operating the detection arm 3,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31a of the detection axis 31 for the detection axis of the cam car 10. It consists of the coil spring 32 (refer FIG. 3) urging so that it may rotate in the direction which pushes toward the cam surface 28 side. And in this embodiment, the ice detection arm (3) can be rotated up to 35 degrees,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is insufficient when rotated more than 30 degrees.

검빙축(31)은 캠차(10)로 조작되고, 캠차(10)와 케이스 절반체(9b)사이에 배치된다. 검빙축(31)은 도 6과 같이 결합볼록부(31a)와, 결합편(31b)과, 스프링 결합부(31c)와,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와, 쓰러스트 탈락방지 돌제(31e)와, 암연결부(31f)와, 케이스 받이부(31g)와, 가이드편(31h)을 갖고 있다.The sensing axis 31 is operated by the cam car 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am car 10 and the case half body 9b. As shown in Fig. 6, the inspection shaft 31 has a coupling convex portion 31a, a coupling piece 31b, a spring engaging portion 31c, a switch piece pivot stopping portion 31d, and a thrust drop preventing protrusion 31e. ), A female connecting portion 31f, a case receiving portion 31g, and a guide piece 31h.

검빙축(31)의 한쪽 단부의 볼록부로 구성된 케이스 받이부(31g)는 케이스 절반체(9b)에 형성된 받이공(도시생략)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한편 이 검빙축(31)의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암연결부(31f)는 케이스(9)의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이 암연결부(31f)에 검빙암(3)의 지점부가 끼워진다.The case receiving portion 31g composed of the convex portion at one end of the inspection axis 31 is supported to freely rotate in the receiv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ase half body 9b.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31f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pection axis 3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ase 9 and the point portion of the detection arm 3 is fitted to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31f.

또 검빙축(31)의 케이스 받이부(31g) 근방에 형성된 결합볼록부(31a)는 검빙축(31)의 외주면에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중간위치에서 만곡된 형상이 되고, 검빙축(31)과 함께 회전중심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볼록부(31a)는 캠차(10)에 형성된 검빙축용 캠면(28)에 접촉하는 캠플로어가 된다.Moreover, the engaging convex part 31a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ase receiving part 31g of the detection axis 31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tection axis 31, and becomes the shape curv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detection axis 31 ) And the center of rotation is the center of rotation. The engaging convex portion 31a is a cam floor that contacts the cam surface 28 for the ice detection shaft formed on the cam car 10.

또 검빙축(31)의 단부 근방에 배치된 결합편(31b)은 회동축(25)과 동 축상에 배치된 마찰부재(8)의 저지편과 접촉이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 결합부(31c)가 코일스프링(32)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그때문에 검빙축(31)은 압축된 코일스프링(32)의 복귀력에 의해 결합볼록부(31a)를 캠차(10)의 검빙축용 캠면(28)측으로 밀어부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된다.Moreover, the engaging piece 31b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edge part of the detection axis | shaft 3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locking piece of the friction member 8 arrange |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rotation shaft 2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pring coupling portion 31c is disposed to engage with the coil spring 32. Therefore, the detection axis 31 pushes the engagement convex part 31a toward the cam face 28 for the detection axis of the cam car 10 by the return force of the compressed coil spring 32 (arrow A direction in FIG. 3). Is urged to turn to.

또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는 덕트스위치(42)의 온/오프를 행하는 회동부재로서의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배치되며,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가 덕트스위치(42)로의 압착동작을 저지하는 압착저지수단이 된다.The switch piece pivot stopping portion 31d is arrang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as a pivot member for turning on / off the duct switch 42, and the crimping portion 41b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prevented. Is a crimp b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rimping operation to the duct switch 42.

이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는 검빙축(31)이 검빙암(3)을 하강시키도록 회동하고, 검빙축(31)이 30도 이상 회동했을 때 스위치 압착레버(41)에 접촉하여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을 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는 검빙축(31)이 30도 이상 회동했을 때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의 회동범위로 들어가며, 스위치편 압착스프링(44)의 부세력에 의해 덕트스위치(42)측으로 밀어부쳐지는 압착부(41b)는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ping part 31d rotates so that the ice-shaking shaft 31 lowers the ice-arm 3, and when the ice-shaking shaft 31 rotates 30 degrees or more, it contacts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and switches it. The rotation of the crimp lever 41 is prevented. Specifically, 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ping part 31d enters the rotation range of the crimping portion 41b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when the sensing shaft 31 is rotated 30 degrees or more, and the switch piece crimping spring 44 The crimping portion 41b pushed toward the duct switch 42 by the secondary force prevents the duct switch 42 from being turned on.

또 쓰러스트 탈락방지 돌제(31e)는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검빙축(31)은 쓰러스트방향에서 소정범위만 이동이 가능하다.The thrust drop preventing protrusion 31e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the ice detection shaft 31 can move only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thrust direction.

또한 가이드편(31h)은 케이스 절반체(9a)의 천정의 뒤쪽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도시생략)안으로 들어가고, 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검빙축(31)은 가이드편(31h)에 의해 케이스 절반체(9a)로 안내되고, 이 가이드홈안에서 가이드편(31h)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uide piece 31h enters into the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rear part of the ceiling of the case half body 9a, and is moved along this guide groove. For this reason, the detection axis 31 is guided to the case half body 9a by the guide piece 31h, and can be rotated in the range which the guide piece 31h can move in this guide groove.

이와같이 구성된 검빙기구(11)는 검빙축용 캠면(28)에 의해 동작하는 검빙축(31)의 움직임을 검빙암(3)에 전달한다. 즉 검빙암(3)이 만빙에 의해 그 움직임을 정지하면 검빙축(31)도 회전을 정지한다. 또 검빙기구(11)는 검빙동작시에 얼음이 부족하여 검빙암(3)이 소정각도 이상 회동할 경우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9)에 의한 스위치 압착레버(41)의 동작을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검빙동작시에 얼음이 부족할 경우 스위치 압착레버(41)가 회동하지 않아 덕트스위치(42)를 압착하지 않게 된다.The detection device 11 configured in this manner transmits the motion of the detection axis 31 operated by the detection axis cam surface 28 to the detection arm 3. That is, when the ice detection arm 3 stops its movement by full ice, the ice detection shaft 31 also stops rotation. The ice detection mechanism 11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switch compression lever 41 by the switch pressing lever cam surface 29 when the ice detection arm 3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lack of ice during the inspection operation. . Therefore, when the ice is insufficient during the ice detection operation,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does not rotate so that the duct switch 42 is not crimped.

또한 코일스프링(32)은 케이스 절반체(9b)에 배치된 스프링박스(52)안에 수납되고, 일단이 검빙축(31)의 스프링결합부(31c)에 걸리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32 is accommodated in the spring box 52 disposed on the case half 9b, and one end thereof is caught by the spring engaging portion 31c of the detection axis 31.

스위치기구(12)는 덕트스위치(42)와, 제빙접시(2)의 구동에 연동하여 캠차(10)의 회동축(25)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도 4에 있어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덕트스위치(42)와 대향하는 위치에 덕트스위치(42)를 압착하는 압착부(41b)를 구비한 회동부재로서의 스위치 압착레버(41)와,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을 금지하도록 작동하는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와,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를 덕트스위치(42)측으로 밀어부치는 부세부재로서의 스위치 압착스프링(4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압착레버(41)의 회동에 따르는 압착부(41b)의 덕트스위치(42)로의 압착 및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의 저지에 의한 압착부(41b)의 덕트스위치(42)로부터의 이탈에 의해 스위치의 접점의 결합 및 이탈을 행하고, 온/오프변환이 행해지게 된다.The switch mechanism 12 is connected to the duct switch 42 and the ice making plate 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25 of the cam car 10 (arrow C in FIG. 4). The rotation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and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as a rotating member provided with a crimping portion 41b for crimping the duct switch 42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uct switch 42 while rotating. 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ping part 31d which operates so as to prohibit, and the switch crimping spring 44 as a biasing member which pushes the crimping part 41b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to the duct switch 42 side are provided. Then, the crimping portion 41b along the rotation of the crimping lever 41 is squeezed to the duct switch 42 and the detachment from the duct switch 42 of the crimping portion 41b due to the blockage of the switch piece pivot stopping portion 31d. By this, the contact of the switch is combined and disengaged, and the on / off conversion is performed.

스위치 압착레버(41)는 케이스(9)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 절반체 중 케이스 절반체(9b)의 저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2개의 측벽(53)의 상단테두리 즉 케이스 절반체(9b)의 해방단측에 배치된 각 오목부(53a)내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즉 양 측벽(53)에 형성된 각 오목부(53a)는 회동부재로서의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지점이 되는 회동지점축(41d)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된다.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formed of the upper edge of the two side walls 53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half body 9b of the two case half bodies constituting the case 9, that is, the case half body 9b. It is supported so that it may freely rotate in each recessed part 53a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lease end side. That is, each of the recesses 53a formed on both sidewalls 53 is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ivot point shaft 41d serving as the pivot point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as the pivot member.

이 스위치 압착레버(41)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단부분에는 캠차(10)의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9)에 접접하는 접동부임과 동시에 캠플로어가 되는 캠접촉부(41a)가 배치된다. 따라서 캠차(10)가 회전했을 때 캠접촉부(41a)가 캠면(29)을 따라 접동함으로써 스위치 압착레버(41)가 회동지점축(41d)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에 따라 압착부(41d)가 동작하여 덕트스위치(42)를 압착/이탈하고, 덕트스위치(42)를 온/오프변환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a sliding portion that contacts the cam face 29 for the switch crimping lever of the cam car 10, and a cam contact portion 41a serving as a cam floor is disposed. . Therefore, when the cam car 10 rotates, the cam contact part 41a slides along the cam surface 29, and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rotates centering on the rotation point axis 41d. As a result, the crimping portion 41d operates to squeeze / release the duct switch 42 and to turn on / off the duct switch 42.

또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소정위치에는 도 4에 도시하는 스위치 압착스프링(44)으로 부세되고 이 부세력을 받아 덕트스위치(42)를 압착하는 압착부(41b)가 형성된다. 이 압착부(41b)는 검빙축(31)에 배치된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압착부(41b)에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가 닿은 상태에서는 스위치 압착레버(41)는 덕트스위치(42)측으로 회동할 수 없다.Fur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the switch crimping spring 44 shown in Fig. 4 is urged, and a crimping portion 41b for crimping the duct switch 42 is formed under this biasing force. This crimping | compression-bonding part 41b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31 d of switch piece rotation stopping parts arrange | positioned at the detection axis 31. As shown in FIG.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cannot rotate toward the duct switch 42 in a state where the switch piece pivot stopping portion 31d is in contact with the crimping portion 41b.

한편 도 4와 같이 압착부(41b)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덕트스위치(42)의 보턴(42a)이 배치된다. 또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의 덕트스위치(42)와 대향하지 않는 측의 면에는 산형상의 돌부(41c)가 배치되어 스위치 압착스프링(44)의 일단안으로 들어가 있다. 또한 스위치 압착스프링(44)의 타단은 케이스 절반체(9a)에 배치된 결합통(21c)안으로 들어가고 결합통(21c)내의 축(도시생략)은 그 단부내에 들어가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button 42a of the duct switch 42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rimping portion 41b. Further, a mountain-shaped protrusion 41c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that does not face the duct switch 42 so as to enter into one end of the switch crimping spring 44.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witch crimping spring 44 enters into the coupling cylinder 21c disposed in the case half body 9a, and the shaft (not shown) in the coupling cylinder 21c enters the end thereof.

또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중심부는 도 4에 있어 종방향으로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지점축(41d)이 되며, 이 회동지점축(41d)의 양단은 오목부(53a)내로 들어가 있어 이 회동지점축(41d)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도 7참조).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와같이 회동지점축(41d)의 양단은 케이스 절반체(9b)의 저면에 형성된 양측벽(53)(53)의 각 상단에 형성된 오목부(53a)(53a)내로 떨어지고, 그 위에서 케이스 절반체(9a)를 피복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스위치기구(12)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저 원가로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a pivot point shaft 41d for supporting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4, and both ends of the pivot point shaft 41d enter the recess 53a. It rotates centering on the pivot point axis | shaft 41d (refer FIG. 7). In this embodiment, both ends of the pivot point shaft 41d fall into recesses 53a and 53a formed at the upper ends of both side walls 53 and 5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half body 9b. Since the switch mechanism 12 can be configured by a simple operation of covering the case half 9a from above, the assembling work can be made simple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또 스위치 압착레버(41)에는 캠접촉부(41a)와는 역측에 회동지점축(41d)에서연설된 돌기상부(41e)가 배치된다. 이 돌기상부(41e)는 도 8과 같이 2개의 측벽(53)과, 이들 양 측벽(53)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벽(53b)(53b)으로 구성된 위치규제용 박스내에 수납된다. 이와같이 돌기상부(41e)가 위치규제용 박스내에 수납되고, 이 규제박스의 범위내에서 회동을 하도록 부착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 압착레버(41)는 회동지점축(41d)의 한쪽이 오목부(53a)의 저부로부터 떠올라 기울어지는 경우가 없고, 요동중심이 어긋나지 않아 정확하게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9)을 따라 동작할 수 있다.Further, the switch pressing lever 41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upper portion 41e, which is extended from the pivot point shaft 41d on the reverse side from the cam contact portion 41a. This projection top portion 41e is housed in a position control box composed of two side walls 53 and connecting walls 53b and 53b connecting the two side walls 53 as shown in FIG. Thus, since the projection upper part 41e is accommodated in the position regulation box, and is attached so that it may rotate within the range of this control box,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has one recessed part 53a of the rotation point shaft 41d. It does not rise and inclines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and the swinging center is not shifted, so that it can operate correctly along the cam face 29 for the switch crimping lever.

또 이 스위치 압착레버(41)는 돌기상부(41e)의 양 측면이 회동지점축(41d)에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양측벽(53)에 접촉함으로써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회동지점축(41d)을 통상과 같은 베어링지지로 하지 않고 단순히 회동지점축(41d)의 양단이 각 오목부(53a)내로 들어가는 것 만으로도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 및 쓰러짐이 방지되어, 스위치레버(41)가 확실하게 덕트스위치(42)의 보턴(42a)을 조작할 수 있다. 덧붙여 조립시에 스위치레버(41)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pressing lever 41 is restricted in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by contacting both side walls 53 formed so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 upper portion 41e are orthogonal to the pivot point axis 41d. For this reason, the shifting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achieved by simply entering both ends of the pivoting point shaft 41d into the recess 53a without using the pivoting point shaft 41d as a bearing support as usual. Falling is prevented, and the switch lever 41 can operate the button 42a of the duct switch 42 reliab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tch lever 41 from falling down during assembly.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돌기상부재(41e)의 측벽(53)과 대향하는 각각의 면에 단부(41f)가 배치된다. 이 각 단부(41f)의 선단(41g)이 측벽(53)의 내벽에 형성된 단부(53f)내로 들어감으로써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an end portion 41f is disposed on each surface of the protrusion member 41e facing the side wall 53. The tip end 41g of each of the end portions 41f enters the end portion 53f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53 to prevent the switch compression lever 41 from being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덕트스위치(42)는 케이스 절반체(9b)에 고정되고, DC모터(13)의 후단에 연결된 프린트 배선기판(51)에 접속된다. 이 덕트스위치(42)는 스위치 압착레버(41)가비작동상태, 즉 캠차(10)가 0도위치에 있는 구동정지상태에서 얼음의 제조가 행해지는 경우나 검빙동작시에 만빙인 경우나 이빙동작이 종료하는 경우에 도 7에 있어 캠접촉부(41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 압착스프링(44)의 부세력을 받은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에 의해 압착되도록 배치된다. 이 압축부(41b)의 압착동작에 의해 원위치신호, 검빙신호, 이빙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제빙접시(2)가 이들 이외의 위치가 된 경우 덕트스위치(42)는 압착부(41b)에서 압착되지 않고 오프가 된다.The duct switch 42 is fixed to the case half 9b and connected to the printed wiring board 51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C motor 13. The duct switch 42 is a case in which ice produ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in an inoperative state, that is, in a driving stop state in which the cam car 10 is in the 0 degree position, or in the case of a full ice during an ice detection operation or an ice moving operation. In this case, since the cam contact portion 41a does not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7, the cam contact portion 41a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41b of the switch pressing lever 41 subjected to the subordinate force of the switch pressing spring 44. Is placed. By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section 41b, a home position signal, an ice detection signal, and an ice breaking signal are 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ice making plate 2 is in a position other than these,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ff without being crimped at the crimping portion 41b.

이와같이 제빙위치에서 온이 된 덕트스위치(42)는 검빙동작을 했을 때 저빙용기내의 얼음이 부족한 경우, 캠차(10)가 제빙위치(0도)에서 이빙위치(160도)까지 회전할 때 까지 온이 되지 않는다. 즉 이 덕트스위치(42)는 캠차(10)가 5도 회전하면 캠차(10)에 의해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가 덕트스위치(42)에서 멀어져 오프가 된다.In this way, when the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insufficient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in the ice making position, the cam car 10 rotates from the ice making position (0 degrees) to the ice making position (160 degrees). It does not come on. That is, when the cam car 10 rotates 5 degrees,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ff from the duct switch 42 by the cam car 10 from the crimping portion 41b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그리고 캠차(10)가 42도까지 회전하면 캠차(10) 및 스프링(44)에 의해 스위치 압착레버(41)를 스위치 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검빙축(31)의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가 작동하여 이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을 저지하면 얼음부족상태라고 인식하여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지 않고 검지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덕트스위치(42)는 캠차(10)가 160도 회전한 이빙위치가 될때까지 온이 되지 않는다.When the cam car 10 rotates to 42 degrees, the switch press lever 41 is rotated in the switch-on direction by the cam car 10 and the spring 44. At this time, when 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 part 31d of the detection axis 31 is operated to block the rotation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t is recognized as an ice shortage condition and the duct switch 42 is not turned on and the detection signal is not turned on. No output For this reason, the duct switch 42 is not turned on until the cam car 10 is in the moving position rotated by 160 degrees.

한편 덕트스위치(42)는 캠차(10)가 검빙위치(42도)까지 회전하여 검빙동작을 했을 때 저빙용기내가 만빙인 경우 온이 된다. 즉 검빙레버(3)는 저빙용기안이 만빙이기 때문에 소정위치까지 하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검빙축(31)은 소정각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스위치편 회전저지부(31d)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 결과 스위치 압착레버(41)는 회동이 가능하며 덕트스위치(42)는 온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when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full ice when the cam car 10 rotates to the detection position (42 degrees) to perform the ice detection operation. That is, the detection lever 3 cannot desc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ecaus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full of ice. Therefore, the ice detection shaft 31 does not rotate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ping part 31d does not operate. As a result,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can be rotated, and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또한 본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는 검빙동작을 개시한 후 최초의 신호출력 및 구동시간을 기초로 캠차(10)를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만빙시에는 캠차(10)를 42도 회전시킨 시점, 얼음이 부족할 때에는 캠차(10)를 160도 회전시킨 시점에서 DC모터(13)를 정지시키고, 그 후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apparatus of the automatic ice maker performs control to reversely rotate the cam car 10 on the basis of the first signal output and driving time after starting the ice detection operation. For this reason, control is performed to stop the DC motor 13 at a time when the cam car 10 is rotated 42 degrees during full ice, and when the cam car 10 is rotated 160 degrees when ice is insufficient.

또한 캠차(10)를 42도 회전시켰을 때 최초의 신호출력으로 DC모터(13)를 정지시킨 경우는 그 구동시간이 짧은 것을 모니터하고, 이를 기초로 역회전한 후 최초의 신호출력을 기초로 DC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캠차(10)는 원위치에서 정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DC motor 13 is stopped by the first signal output when the cam car 10 is rotated by 42 degrees, the driving time is monitored for short time, and after the reverse rotation, the DC motor 13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signal output. The drive of the motor 13 is stopped. Accordingly, the cam car 10 stops at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캠차(10)를 160도 회전시켰을 때 최초의 신호출력으로 DC모터(13)를 정지시켰을 때는 그 구동시간이 긴 것을 모니터하고 이를 기초로 역회전한 후 2번째의 신호출력을 기초로 DC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한다. 즉 최초의 신호출력은 캠차(10)가 48~42도 위치까지 복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복귀시의 확정신호)이며 2번째의 신호가 캠차(10)로서 5도가 되는 위치까지 복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므로 2번째의 신호를 기초로 정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C motor 13 is stopped by the first signal output when the cam car 10 is rotated by 160 degrees, the driving time is monitored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econd signal output. (13) is stopped. That is, the first signal outpu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m car 10 has returned to the position of 48 to 42 degrees (confirmation signal at the time of return)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cond signal has return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am car 10 has returned to 5 degrees as the cam car 10. Therefore, it stops based on the second signal.

또한 스위치 압착레버용 캠면(29)에는 상술한 제 1, 제 2 및 제 3의 신호발생용 캠부(29a)(29b)(29c)가 되는 3곳에 각각 오목부분이 배치된다.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캠접촉부(41a)는 이들 오목부분으로 끼워질 때 덕트스위치(42)측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시에 검빙축(31)의 스위치편 회동저지지부(31d)가 작동하지 않으면 덕트스위치(42)는 온이된다.In addition, the cam face 29 for the switch crimping lever is provided with recesses at three positions, which a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gnal generating cam portions 29a, 29b and 29c. The cam contact portion 41a of the switch crimp lever 41 rotates to the duct switch 42 side when fitted into these recesses.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if the switch piece rotation support part 31d of the ice detection shaft 31 does not operate at this time of rotation.

다음 이 자동제빙기(1)의 동작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초기설정 프로그램이나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회로는 자동제빙기(1)가 부착된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것과 공용이라도 좋고, 자동제빙기(1)전용의 것이라도 좋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ice mak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ontrol circuit for executing the initial setting program or the basic operation program may be shared with the refrigerator main body with the automatic ice maker 1 or may be dedicated to the automatic ice maker 1.

우선 전원을 온 또는 초기화하는 뜻의 신호중 어느 하나가 콘트롤러에 입력되면 초기설정 프로그램(이니셜라이즈의 동작모드)이 개시된다. 이 초기설정 프로그램은 제빙접시(2)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평위치 상태로 하는 것이다.First, when any one of the signals for turning on or initializing the power is input to the controller, an initial setting program (operation mode of initializing) is started. This initial setting program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ice making plate 2 and makes it to a horizontal position state.

즉 전원이 온됨으로써 DC모터(13)를 CCW방향, 즉 캠차(10)를 제빙위치(원점위치 = 0도)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면 타이머를 3초로 셋트하고, 스위치 온상태가 계속된 대로 타이머의 동작이 종료되면 DC모터(13)를 정지시킨다.That is,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DC motor 13 is rotated in the CCW direction, that is, the cam car 10 is returned to the ice making position (home position = 0 degrees).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the timer is set to 3 seconds, and the DC motor 13 is stopped when the timer is finished as the switch on state continues.

이 동작에서 캠차(10)는 기계적 잠금위치(-6도)에서 정지한다. 즉 최초로 스위치가 온이 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검빙신호인지 원위치신호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최초의 신호출력후 타이머를 3초로 셋트한다. 그리고 스위치가 온상태인 채로 3초가 경과한 것을 원위치신호로서 인식하고, 3초경과하기 전에 스위치가 오프가 되어 신호출력이 끊어지는 경우를 검빙출력으로서 인식하도록 한다.In this operation, the cam car 10 stops in the mechanical locking position (-6 degrees). In other words, the timer is set to 3 seconds after the initial signal output to identify wheth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is turned on for the first time is the sensing signal or the home position signal. Then, it is recognized as an in-situ signal that 3 seconds have elapsed while the switch is in the on state, and it is recognized as a sensing output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ignal output is cut off before 3 seconds have elapsed.

초기설정동작에 있어 캠차(10)가 제빙위치(0도 = 원위치)근방이 된 위치에서정지한다. 이에 따라 자동제빙기(1)의 초기설정 프로그램 실행시에 동작이 종료한다.In the initial setting operation, the cam car 10 stops at a position near the ice making position (0 degree = home position). As a result, the operation ends when the automatic setting machine 1 executes the initial setting program.

상술한 초기화가 종료되면 통상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본동작 프로그램으로 이행한다. 이 기본동작 프로그램은 예를들면 문이 열리지 않은 상태이며 제빙접시(2) 밑에 놓여지는 써미스터(1a)에 의해 제빙완료를 검지한 후 일정시간 경과했을 때 실행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initialization ends, the program shifts to the basic operation program for performing normal operation. This basic operation program is executed when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completion of ice making by thermistor 1a placed under the ice making plate 2,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not opened.

기본동작 프로그램을 스타트시키면 콘트롤러는 저빙용기내의 얼음이 부족상태인지를 검지하여 만빙이 아닐 때 즉 얼음이 부족상태이면 제빙접시(2)를 반전시켜 얼음을 저빙용기로 공급하는 이빙을 행한다. 다음 원점위치까지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빙접시(2)는 수평위치로 되돌아 가 급수를 행하고, 제빙이 행해진다. 한편 만빙상태일 때는 제빙접시(2)는 반전되지 않고 원점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검빙을 위해 대기한다.When the basic operation program is started, the controller detects whether the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in a low state, and when the ice is not full, that is, when the ice is insufficient, the controller inverts the ice tray 2 and supplies ice to the storage container. Rotate in reverse direction to next home position. As a result, the ice making plate 2 returns to the horizontal position to supply water, and ice making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 is in ice state, the ice making plate 2 does not reverse and returns to the origin and waits for the next ice detection.

다음 검빙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빙이 완료되면 DC모터(13)를 CW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덕트스위치(42)가 오프가 되면 타이머를 7초로 셋트한다. 이 동안 스위치오프가 유지된 상태에서 타이머의 동작이 종료된 후 덕트스위치(42)가 온으로 변환된 경우는 이빙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DC모터(13)를 1초간 정지시킨다. 또한 이 경우는 검빙동작시에 얼음이 부족한 경우 및 이 얼음의 부족을 기초로 이빙동작을 행한 것을 의미한다.Next, the ice detectio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the DC motor 13 is rotated in the CW direction. When the duct switch 42 is off, the timer is set to 7 seconds. In the meantime,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timer is terminated while the switch-off is maintained, an ic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DC motor 13 is stopped for one second. In this case, it means that the ice i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lack of ice and the lack of ice during the ice detection operation.

즉 얼음이 부족한 경우에는 캠차(10)가 소정각도(42~48도) 회전했을 때 검빙축(31)도 소정량 강하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가 작동하여 스위치 압착레버(41)가 덕트스위치(42)를 압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황인 경우는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지 않아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ice is insufficient, when the cam car 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42 to 48 degrees), the detection axis 31 is also lower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s a result, the switch piece rotation stop part 31d operates to switch the switch. The pressing lever 41 does not press the duct switch 42. Therefore, in this case, the duct switch 42 is not turned on, and thus no signal is output.

또한 DC모터(13)를 1초간 정지시킨 후 이번에는 DC모터(13)를 CCW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덕트스위치(42)가 오프가 되는 것으로 이빙신호가 오프하고, 다음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는 것으로 복귀시의 확정신호(검빙신호)가 온된다. 또한 덕트스위치(42)가 오프로 됨으로써 검빙신호가 오프하고, 다음 덕트스위치(42)가 온 되면 원위치신호라고 판단한다.In addition, after stopping the DC motor 13 for one second, this time the DC motor 13 is rotated in the CCW direction.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ff, the ice signal is turned off, and when the next duct switch 42 is turned on, the confirmation signal (damping signal) at the time of return is turned on. In addition,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ff, the inspection signal is turned off, and when the next duct switch 42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the home position signal.

덕트스위치(42)의 2번째의 온은 캠차(10)에서 5도위치로 되돌아 온것을 나타낸다. 즉 이빙동작을 한 후 캠차(10)가 소정위치(42~48도)까지 회전했을 때 검빙축(31)은 마찰부재(8)의 저지편으로 저지되어 회동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스위치편 회동저지부(31d)가 작동하지 않고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가 덕트스위치(42)를 압착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어 첫번째의 온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이다.The second ON of the duct switch 42 indicates that the duct switch 42 has returned to the 5 degree position. That is, when the cam car 1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42 to 48 degrees) after the ice moving operation, the detection axis 31 is blocked by the stopping piece of the friction member 8 and cannot be rotated. The blocking portion 31d does not operate, and the pressing portion 41b of the switch pressing lever 41 presses the duct switch 42. In this case, therefore,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so that the first on-signal is output.

그리고 2번째의 온신호에서 0.5초가 경과한 위치에서 DC모터(13)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캠차(10)는 원위치 근방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후 제빙접시(2)에 급수를 행하고, 일련의 검빙동작 및 이빙동작이 종료한다.Then, the DC motor 13 is stopped at the position where 0.5 second has elapsed from the second on-signal. Accordingly, the cam car 10 stops in the vicinity of the original position. Thereafter,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plate 2, and a series of ice-breaking operations and ice-breaking operations are completed.

또한 검빙동작에 의해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된 경우는 이 스위치온을 기초로 DC모터(13)를 1초간 정지시킨다. 그 후 이번에는 DC모터(13)를 CCW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덕트스위치(42)가 오프가 됨으로써 검빙신호가 오프하고, 다음에 덕트스위치(42)가 온이 되면 원위치 신호라고 판단한다. 이 후 제빙접시(2)에얼음이 있는 상태이므로 급수는 행해지 않고 대기상태가 된다.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by the ice detection operation, the DC motor 13 is stopped for one second based on the switch-on. After this time, the DC motor 13 is rotated in the CCW direction.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ff, the detection signal is turned off, and when the duct switch 42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duct switch 42 is the home position signal. Thereafter, since the ice making plate 2 is in a state of ice, water supply is not performed and a standby state is obtained.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단에 회동부재로서의 스위치 압착레버(41)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오목부(53a)를 구비한 양 측벽(53)을 케이스(9)의 저면에 일체적으로 배치했지만 양 측벽(53)은 케이스(9)와 별도로 해도 좋다. 또 양 측벽(53)을 연결하는 연결벽(53b)을 이용하여 스위치 압착레버(41)의 회동범위 규제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없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s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oth sidewalls 53 having the concave portion 53a as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as the rotating member at the upper end are integr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9. Both side walls 53 may be separate from the case 9. Moreover, although the rotation range control part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is formed using the connection wall 53b which connects both side walls 53, these may be absent.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회동축(25)을 캠차(10)와 일체적으로 배치했지만 별도로 해도 좋다. 그 때 그것들을 별도의 구동원으로 구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 캠플로어가 되는 검빙축(31)의 결합볼록부(31a)나,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캠접촉부(41a)를 캠차(10)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주면이나 단면을 캠면으로하여 그 단면캠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rotating shaft 25 was arrange | positioned integrally with the cam car 10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you may separate it. In that case, you may drive them by a separate drive sour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the end face is the cam surface instead of contacting the engaging convex portion 31a of the detection axis 31 serving as the cam floor and the cam contact portion 41a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m difference 10. The end face cam may be contacted.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부세부재로서의 스위치 압착스프링(44)으로, 스위치 압착레버(41)의 압착부(41b)를 덕트스위치(42)측으로 밀어부치는 구성으로 했지만 스프링이외의 수단으로 스위치 압착레버(41)를 부세해도 좋고, 또는 스위치 압착스프링(44)을 폐지하여 스위치 압착레버(41)를 덕트스위치(42)측으로 부세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빙신호를 만빙인 경우에만 발생하도록 했지만 만빙일 때는 발생시키지 않고 부족상태일 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witch crimping spring 44 as the biasing member pushes the crimping portion 41b of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toward the duct switch 42. 41 may be applied, or the switch crimping spring 44 may be closed, and the switch crimping lever 41 may not be biased toward the duct switch 4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only in the case of full ice, but the signal may be generated in the low state without generating the full ice.

또한 구동원을 DC모터(13)가 아닌 AC모터나 콘덴서 모터로 해도 좋다. 또한 DC모터(13)와 같이 시간제어가 필요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텝핑모터를 사용하여 캠차(10)의 회전각도를 스텝수로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솔레노이드 등 모터이외의 구동원을 채용해도 좋다. 또 빙화하는 액체로서는 물 외에 쥬스 등의 음료나 검사시약 등의 비음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저빙용기내의 얼음이 완성되었는 지 여부를 검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써미스터(1a)외에 형상기억합금 등을 이용한 바이메탈로 해도 좋다.The drive source may be an AC motor or a condenser motor instead of the DC motor 13. Instead of using a motor requiring time control like the DC motor 13, the stepping motor may be used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cam car 10 by the number of steps. In addition, a drive source other than a motor such as a solenoid may be employed. As the liquid to be iced, beverages such as juice, non-drinks such as test reagents, and the like can be employed. The means for detecting whether ice in the storage container is completed may be a bimetal using a shape memory alloy in addition to the thermistor 1a.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는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기 위한 회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케이스 절반체에 입설된 양측벽의 각 해방단측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위치기구를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의 온오프를 변환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을 회동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 측벽의 오목부로 떨어뜨리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회동부재의 회동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기구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이 결과 이 작업을 기계화함으로써 조립작업원가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devi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rotating member for performing the on-off conversion of the switch, with a recess formed on each of the release end sides of both side walls of the case half. Therefore, the switch mechanism can be made compact, and the pivoting point of the pivoting member for switching the on / off of the switch is easily dropped by simply dropping the pivoting point on the recesses of the side wal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ivoting member. Since it can support, assembly work of a switch mechanism becomes simple. As a result, this work can be mechanized and the assembly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또 본 발명의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은 이 구동장치의 각 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 절반체 중 한쪽에 입설된 2개의 측벽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에 제빙접시의 위치검출을 위한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행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의 양단을 떨어뜨리고, 그 위에서 케이스 절반체 중 다른쪽을 피복하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간단한 작업으로 회동부재의 회동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 작업을 기계화함으로써 스위치기구의 조립작업이 더욱 간단하고 저원가로 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rive system of the automatic ice-maker of this invention provides the ice plate with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two side walls which were placed in one of the two case half bodies which comprise the case which accommodates each member of this drive device. Both ends of the pivot point axis of the rotating member which performs on / off conversion of the switch for position detection are dropp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e half body is covered there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by a simple operation, and by assembling this operation, the assembling work of the switch mechanism can be made simpler and at a lower cost.

Claims (8)

저빙용기내의 얼음 부족을 검출했을 때 제빙접시를 원위치에서 반전구동시켜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로 낙하시킨 후 상기 제빙접시를 구동하여 상기 원위치로 되돌리고, 이 원위치에서 얼음을 제조하도록 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When the lack of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detected, the ice tray is inverted at the original position to drop the ice into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n the ice tray is drive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ice maker is manufactured at this position. In the drive unit, 상기 제빙접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상기 제빙접시의 위치검출용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는 회동부재를 이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부분을 수납하기 위해 2개로 분할한 케이스의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내에 배치하고,In one case half of the case, the rotating member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of the ice making plate and performs on / off conversion of the position detecting switch of the ice making plate is divided into two to accommodate a portion constituting the drive device. Place it,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의 양측에 배치된 양측벽의 상기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의 해방단측에 형성된 오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pivot member comprising a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release end side of the one half of the case half of both side wal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pivot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양 측벽은 상기 한쪽의 케이스 절반체의 저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Both side wall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ne case half body.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부를 구비한 양 측벽은 상기 회동지점축에 대해 각각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Both sidewalls having the support portion are form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pivot point axis, respectivel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지점축에서 뻗어배치됨과 동시에 양측 단테두리가 상기 양측벽으로 인도되도록 형성된 돌기상부를 구비하고,The pivot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upper part formed to extend from the pivot point axis and at the same time both side edges are led to the side walls, 이 돌기상부가 상기 양 측벽에 접촉함으로써 회동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A drive device for an automatic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prevented from fall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contacting the side wall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회동부재의 상기 스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스위치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At the same time as the crimp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witch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switch of the rotating member, 이 압착부를 상기 스위치측으로 밀어부치는 부세부재와, 상기 제빙접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동작하고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맞서 상기 압착부가 상기 스위치로 압착동작을 하는 압착부의 동작을 저지하는 압착저지수단을 구비하고,A biasing member which pushes the crimping portion toward the switch side, and a crimping restraining means which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ice making plate and prevents the crimping portion in which the crimping portion is crimped by the switch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the biasing member; Equipped, 상기 압착부의 압착 및 이탈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And an on / off conversion of the switch by pressing and detaching the crimping uni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회동부재에는 상기 제빙접시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차의 캠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접동부를 배치하고, 이 접동부가 상기 캠면을 따라 접동함으로써 상기 회동지점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변환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liding part slidingly contacting the cam surface of the cam car that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ice making plate, and the sliding part is slid along the cam surface to rotate about the pivot point axis to perform on-off conversion of the switch. A drive device for an automatic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저빙용기내의 얼음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제빙접시를 반전시켜 얼음을 상기 저빙용기내로 낙하시킨 후 상기 제빙접시를 원래 위치로 되돌려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rive system of the automatic ice maker for manufacturing ice by inverting an ice plate and dropping an ice plate into the said ice storage container, and returning an ice tray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detects the lack of ice in a storage container, 이 구동장치의 각 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스 절반체 중 한쪽에 입설된 2개의 측벽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제빙접시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상기 제빙접시의 위치검출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의 온오프 변환을 행하는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의 양단을 떨어뜨리며, 그 위에서 케이스 절반체중 다른쪽을 덮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제조방법.The concave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placed on one of the two case halves constituting the case for storing each member of the drive device rot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ice making plate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ice making pl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ve device for an automatic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nds of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rotating member for performing the on-off conversion of the switch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re covered and cover the other half of the case half body there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동지점축에서 뻗어배치됨과 동시에 양측단테두리가 상기 양측벽으로 인도되도록 형성된 돌기상부를 구비하고,The pivot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upper part formed to extend from the pivot point axis and at the same time both end edges are led to the side walls, 이 돌기상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지점축의 양단을 떨어뜨릴 때 상기 양 측벽 사이에 삽입되며, 이 돌기상부가 상기 양측벽에 접촉함으로써 회동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의 구동장치의 제조방법.The projection upper part is inserted between both side walls when both ends of the pivot point shaft of the pivot member are dropped, and the projection upper part is prevented from fall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contacting the two side walls. Method for manufacturing a drive device of an automatic ice maker.
KR10-2000-0072811A 1999-12-08 2000-12-04 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KR1004275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857099A JP3547354B2 (en) 1999-12-08 1999-12-08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1999-348570 1999-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02A true KR20010062102A (en) 2001-07-07
KR100427532B1 KR100427532B1 (en) 2004-04-30

Family

ID=1839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811A KR100427532B1 (en) 1999-12-08 2000-12-04 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47354B2 (en)
KR (1) KR100427532B1 (en)
CN (1) CN1141543C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99B1 (en) * 2011-12-05 2012-04-30 (주)한울산업 Device auto-making ice
WO2018105840A2 (en) 2016-12-07 2018-06-14 주식회사 디알텍 Ice maker capable of forcibly driving drive cam, and ice maker driving method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8645B (en) * 2007-08-03 2011-08-31 海尔集团公司 Driving unit of automatic ice-making machine
JP5471499B2 (en) * 2010-01-22 2014-04-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Indoor unit
JP5629663B2 (en) * 2011-09-05 2014-11-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utomatic ice machine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563A (en) * 1995-11-30 1999-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er having a position control for an ice-making tray upon recovery from a power out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99B1 (en) * 2011-12-05 2012-04-30 (주)한울산업 Device auto-making ice
WO2018105840A2 (en) 2016-12-07 2018-06-14 주식회사 디알텍 Ice maker capable of forcibly driving drive cam, and ice maker driv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9041A (en) 2001-06-13
CN1141543C (en) 2004-03-10
KR100427532B1 (en) 2004-04-30
JP2001165540A (en) 2001-06-22
JP3547354B2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571B2 (en) Drive unit for automatic ice maker
US20100319385A1 (en) Cam mechanism and ice making device
JPH09178309A (en)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ce tray in the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100414727B1 (en)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making machine, automatic ice-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KR100427532B1 (en) 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US7910844B2 (en) Leaf switch and ice making device using leaf switch
KR100414728B1 (en) Driving apparatus of a automatic making-ice machine
US20080173039A1 (en) Ice making device
JP3827272B2 (en)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672176B2 (en) Automatic ice machine drive
JP3672177B2 (en) Automatic ice machine drive
JP3633922B2 (en) Ice machine
JP6088225B2 (en) Ice making device, device body of ice making device, and ice tray mounting detection method for ice making device
JP3879808B2 (en) Automatic ice machine drive
JP3879808B6 (en) Automatic ice machine drive
JP3966759B2 (en)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JPH08313132A (en)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JP2013155926A (en)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and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unit
JP3456564B2 (en) Automatic ice machine
JPH0749166A (en) Icemaker
JP3385204B2 (en) How to drive an automatic ice machine
KR19990049551A (en) Automatic ice maker of the refrigerator
JPH06265249A (en) Ice making apparatus
JP2000088413A (en) Ice making apparatus
JPH0663690B2 (en) Automatic ic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