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571A -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571A
KR20010061571A KR1019990064067A KR19990064067A KR20010061571A KR 20010061571 A KR20010061571 A KR 20010061571A KR 1019990064067 A KR1019990064067 A KR 1019990064067A KR 19990064067 A KR19990064067 A KR 19990064067A KR 20010061571 A KR20010061571 A KR 2001006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ladle
refractory
receiving ladl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910B1 (ko
Inventor
한희윤
장조원
홍성헌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9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수강래들 내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또한 내화물 재수명 완료 후 내화물 보수작업을 하기 위한 내화물을 냉각시키는 수강래들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냉각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용강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강래들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는 상기 수강래들의 상부에 고착되는 보온덮개 및 상기 수강래들의 용강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다방면으로 열을 방열시키는 복수개의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와, 상기 수강래들의 상부에 고착된 보온덮개를 회전시켜 상기 수강래들을 역정립시키는 회전수단을 갖는 수강래들 지지대와, 상기 수강래들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수강래들 내에 삽입되는 전열봉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열이 방열됨으로써 내화물을 균일하게 건조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수강래들 내 내화물의 냉각효율을 개선해 내화물의 보수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래들 사용회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cooling the refractory in the laddle}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사용되는 수강래들의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수강래들 내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또한 내화물 재수명 완료 후 내화물 보수작업을 하기 위한 내화물을 냉각시키는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는 수강래들이 수명을 다하고 보수 작업후 래들 내에 있는 내화물 건조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강래들 내의 내화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식의 버너지지대에 상하로 선회가능한 수직형 건조버너(3)가 장착되고 보열버너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버너 형태의 건조장치를 사용한다. 이때, 수강래들(1) 상부에 건조커버가 있고 가스를 점화해 상부로부터의 불꽃에 의하여 수강래들 내부를 건조시켰다.
도 1에서, 도면번호 2는 내화물이고, 도면번호 4는 카세트 조립홀이고, 도면번호 5는 내화물 지지대이고, 도면번호 9는 철피이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강래들(1)이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건조하면, 열이 상부로 올라가게 되므로, 수강래들 하부에는 건조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국, 건조에 사용되는 가스의 사용량 대비 수강래들 내화물의 건조효율이 미약하게 된다.
또한, 가스량의 과다 소요와 함께 가스가 무단방출되어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고 설비에도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CO환경규제 강화로 청정제철소 실현에도 장애를 초래한다.
또, 내화물의 보유 온도와 건조상태는 수강래들에 담겨지는 용강의 온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수강래들의 유지온도에 따라 출강후부터 연주공정완료시까지 용강 온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전후 공정의 수강래들의 보온상태와 건조상태에 따라, 용강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출강전 전로 노내의 용강의 온도를 높게 조정하여야 하는 일련의 공정에서 용강온도를 승온하기 위하여 가스 및 산소의 사용량과 고온의 용강정련으로 인한 전로노내의 내화물 마모가 심화되어 노체수명등 설비 수명이 저하된다.
그리고, 고온의 온도 확보에 따른 용강중 인성분이 높아져 용강의 품질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야기된다.
한편, 용강이 담겨진 수강래들의 내화물 해체 또는 보수작업시, 내화물 냉각방식은 자연건조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많은 시간낭비와 함께 냉각효율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래들 보수시간이 길어져, 래들 회전율 저하와, 공정시간 및 작업시간 지연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에 있어서, 가스사용 방식의 복사열 방식대신에, 다방면 일괄 건조방식인 전기 발열식 삽입형태로 일정하면서 균일한 건조로 내화물을 건조시켜, 작업환경오염 및 설비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건조 및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용강온도 하강을 방지하고, 용강온도 승온방지로 노체수명을 향상시키고 용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건조작업지연으로 인하 후공정의 작업지연을 방지하고, 수강래들 내 내화물의 냉각효율을 개선시켜 내화물 보수작업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강래들 내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강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강래들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는 상기 수강래들의 상부에 고착되는 보온덮개 및 상기 수강래들의 용강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다방면으로 열을 방열시키는 복수개의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와, 상기 수강래들의 상부에 고착된 보온덮개를 회전시켜 상기 수강래들을 역정립시키는 회전수단을 갖는 수강래들 지지대와, 상기 수강래들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실시예에 따라서 수강래들의 내화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열봉
11 : 에어드럼
12 : 에어노즐
13 : 보온커버
14 : 기어홀
19 : 지지대
23 : 상하조절 기어모타
24 : 상하조절 기어축
26 : 전후이송테이블
28 : 전후조절 기어모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는 상기 내화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전열히타 가열부와, 상기 내화물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내화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와, 상기 전열히타 가열부 및 냉각장치를 이동시키고 또한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열히타 가열부는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래들경동대(8)가 역정립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열봉(10)은 에어드럼(11)의 외부인 원형통 둘레에 설치되는 중공형 부재이고, 이러한 전열봉(10) 속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내장된다.
에어드럼(11)의 내측에는 온도센서(29)가 설치된다.
보온카바(13)의 상부 일측에는 기어홀(14)이 형성되어 있고, 기어홀(14)에는 보온카바(13)의 구동을 행하는 기어축(15)이 내장되고, 기어축(15)은 회전 기어모타(16)와 연결되며,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베어링(17)이 내장되어 있다.
또, 보온카바(13)의 일측에는 에어공급라인(18)과 전원케이블(25)이 플랙시블 타입으로 연결되어 있고, 보온카바(13)의 지지를 위해,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과 제어를 위한 구동장치부는 건조 및 냉각장치의 이동을 위해 래들 경동대(8)의 측면 일정한 곳에 지지축(22)이 설치되고, 보온카바(13)와 지지대(19)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지지대(19)의 일정한 면이 지지축(22)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하조절기어(21)가 지지대(19)의 일측면에 나사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베어링박스(20)가 상단 일측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하조절 기어축(24)의 힘을 전달받게 되며, 상하조절 기어축(24)은 상하조절 기어모타(23)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전후이송을 위한 전후이송테이블(26)은 건조 및 냉각 장치의 지지부인 짖축(22)의 전후이송을 행하게 설계되어 있고, 전후이송테이블(26)의 저면에는 전후조절기어(27)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조절기어(27)의 이송을 위해 전후조절 기어모타(28)와 연결된다.
이하,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의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수강래들(1) 내의 내화물(2)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수강래들(1)이 역정립 상태로 래들 경동대(8)가 역정립시키면, 전후조절 기어모타(28)가 작동해 지지축(22)을 일정한 곳에 오게 한다.
상하조절 기어모타(23)가 작동해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해 수강래들(1)에 전열봉(10)을 삽입시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의 명령을 받아 발열체인 전열봉(10)은 효율적인 발열을 위해 관속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제어기의 제어된 명령에 의해 전류 세기의 강약을 조정해, 건조에 가장 적당한 싸이클을 이루게 한다. 또, 수강래들(1)이 역정립된 상태로 건조되면서 나오는 수증기는 카세트 조립홀(4)인 상부로 빠져나가면서 건조에 효율을 기하게 된다.
내화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부는 수강래들(1)이 용강 저장으로 고온의 상태로 래들 경동대(8)에 안착되면, 상하조절 기어모타(23)가 제어된 명령에 의해 에어드럼(11)이 수강래들(1) 내에 삽입시키게 되고,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에어 공급라인(18)을 통해 에어노즐(12)로 차가운 공기가 분사하게 됨으로써 래이들을 냉각시킨다.
이때, 에어노즐(12)은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하부에 골고루 분사하게 되고, 또한 내부에 발생된 열은 상부로 바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자연건조와 병행해 냉각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 온도센서(29)가 냉각이 요구하는 수준을 인식하면 상하조절 기어모타(23)가 작동해 냉각장치를 상부로 상승시킴으로써 냉각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강공장의 수강래들 내의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에서, 전열히타 가열부는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열봉(10)의 관 속에는 스프링 형상체가 내장 삽입되어 있고, 전원 케이블(25)은 제어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냉각장치부는 에어드럼(11) 양방향의 다수 위치에 에어노즐(12)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에어드럼(11)은 보온카바(13)와 조립된다. 보온카바(13)의 내측에는 온도센서(29)가 설치되고, 보온카바(13)의 상부 일측에 기어축(15)이 내장되고, 기어축(15)은 회전기어모타(16)와 연결되고, 보온카바(13)의 일측에는 에어공급라인(18)과 전원케이블(25)이 플랙시블 타입으로 연결된다. 보온카바(13)는 지지대(19)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과 제어를 위한 구동장치는 상하조절기어(21)가 지지대(19) 일측면에 나사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상하조절기어(21)는 지지축(22) 내에 내장된다. 상하조절 기어모타(23)에 의해 동작하고, 전후이송테이블(26)의 저면에는 전후조절기어(27)가 내장되고, 전후조절 기어모타(28)와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강래들 내에 삽입되는 전열봉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열이 방열됨으로써 내화물을 균일하게 건조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수강래들 내 내화물의 냉각효율을 개선해 내화물의 보수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래들 사용회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2)

  1. 용강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강래들 내화물을 건조시키고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강래들의 상부에 고착되는 보온덮개 및 상기 수강래들의 용강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다방면으로 열을 방열시키는 복수개의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와,
    상기 수강래들의 상부에 고착된 보온덮개를 회전시켜 상기 수강래들을 역정립시키는 회전수단을 갖는 수강래들 지지대와,
    상기 수강래들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덮개의 내측에는 수강래들의 내화물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노즐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KR10-1999-0064067A 1999-12-28 1999-12-28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KR10043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67A KR100436910B1 (ko) 1999-12-28 1999-12-28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067A KR100436910B1 (ko) 1999-12-28 1999-12-28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571A true KR20010061571A (ko) 2001-07-07
KR100436910B1 KR100436910B1 (ko) 2004-06-23

Family

ID=1963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067A KR100436910B1 (ko) 1999-12-28 1999-12-28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9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25B1 (ko) * 2006-08-07 2008-01-21 주식회사 포스코 용해로 내화물 크랙 저감을 위한 냉각장치
KR101650881B1 (ko) * 2015-03-18 2016-09-05 주식회사 포스코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랜스 제조방법
CN114026257A (zh) * 2019-02-21 2022-02-08 达涅利自动化有限公司 用于干燥处理感应器的设备及方法
KR20220043658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288B1 (ko) 2014-03-17 2015-09-08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건조장치
CN104399956A (zh) * 2014-11-28 2015-03-11 柳州金特机械有限公司 一种钢水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235A (en) * 1978-08-15 1980-02-26 Dell William C Fluidized bed ladle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JPS5645262A (en) * 1979-09-20 1981-04-24 Kobe Steel Ltd Heat insulating and heating device of ladle
US4304986A (en) * 1980-07-21 1981-12-08 Esco Corporation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foundry ladle
JPS59113967A (ja) * 1982-12-20 1984-06-30 Nippon Kokan Kk <Nkk> 冶金用鍋の乾燥加熱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25B1 (ko) * 2006-08-07 2008-01-21 주식회사 포스코 용해로 내화물 크랙 저감을 위한 냉각장치
KR101650881B1 (ko) * 2015-03-18 2016-09-05 주식회사 포스코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랜스 제조방법
CN114026257A (zh) * 2019-02-21 2022-02-08 达涅利自动化有限公司 用于干燥处理感应器的设备及方法
CN114026257B (zh) * 2019-02-21 2023-08-04 达涅利自动化有限公司 用于干燥处理感应器的设备及方法
KR20220043658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910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3161B (zh) 用於測量熔融金屬之溫度的方法或裝置
US20010051323A1 (en) Convection-type brazing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metal workpieces
CN102798286A (zh) 高温烧结电阻炉
KR100436910B1 (ko) 수강래들 내화물 건조 및 냉각장치
JP2008215699A (ja) ロータリキルン、及び、乾燥装置
CN202792913U (zh) 高温烧结电阻炉
KR102288017B1 (ko) 열처리 장치 및 열처리 방법
US4525139A (en) Burner in a drum
CN207515503U (zh) 回转窑及煅烧设备
US6034345A (en) Apparatus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process vessels
JP2006153389A (ja) ロータリーキルン及びその運転方法
CN201254590Y (zh) 一种新型淬火炉
KR20020016820A (ko) 전기 아크로 및/또는 저항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432751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온도제어방법
US6830001B1 (en) Pyrolysis furnace having improved heating efficiency
CN220034601U (zh) 移动式热处理炉
RU2040751C1 (ru) Колпаковая печь для отжига металла в рулонах
KR200402044Y1 (ko) 히트 파이프를 사용하는 연탄 보일러
JP2002098482A (ja) 溶融炉内に内張りされた不定形耐火物の溶融物排出口部分の乾燥方法及びその乾燥に使用する溶融物排出口乾燥装置
KR200267439Y1 (ko) 용강성분조정용합금철예열장치
KR200222995Y1 (ko) 래들 건조장치
JP2004286379A (ja) 炉冷却装置
KR20050029406A (ko) 배치 소둔로의 열 흐름 유도장치
JP2630540B2 (ja) ガラス溶解炉
KR100414172B1 (ko) 유리용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