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906A -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906A
KR20010060906A KR1019990063364A KR19990063364A KR20010060906A KR 20010060906 A KR20010060906 A KR 20010060906A KR 1019990063364 A KR1019990063364 A KR 1019990063364A KR 19990063364 A KR19990063364 A KR 19990063364A KR 20010060906 A KR20010060906 A KR 20010060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hook
vehicle
mounting member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섭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0906A/ko
Publication of KR2001006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protection in case of crash, collision, impac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견인시 사용하는 후크를 평상시에는 하부차체의 내부로 격납시켰다가 필요시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에 대한 후크의 설치시 장착의 자유도를 높힘과 더불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견인시 견인차량의 견인설비와의 체결을 위해 구비되는 견인용 후크(10)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후크(10)는 사이드멤버(12)에 고정되면서 만곡진 형태의 가이드슬롯(23)을 갖춘 장착부재(22)와, 이 장착부재(22)에 힌지축(25)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슬롯(23)내에서 회동한계를 부여받는 가이드볼트(26)를 갖춘 가동부재(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towing hook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후크를 회동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중 노면의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차량의 고장이나 기타 사고에 의해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하여 피견인에 필요로 하는 후크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 피견인용 후크(10;이하 견인용 후크라 지칭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의 하부차체에서 각각 전방 접근각(approach angle;α)과 후방 이탈각(departure angle;β)이내의 범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견인용 후크(10)중 차체의 후미로 설치되는 후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사이드멤버(12)상에 상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하단부는 지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용 후크(10)의 하단부에는 견인차량에 구비된 견인설비(도시안됨)와의 체결을 위한 관통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SUV(Sport Utility Vehicle)차량의 경우에는 일반 승용차와는 달리 후방 이탈각이 25°내지 30°범위의 상당한 각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SUV차량의 특성상 오프로드(Off Road)의 주행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범퍼는 작고, 후방 이탈각은 상대적으로 큰 관계로 견인용 후크(10)의 크기가 크게 설정되고 있다.
이는, 상기 후방 이탈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차량에서 후방 이탈각이 크면 클수록 상기 사이드멤버(12)상에 고정되는 견인용 후크(10)의 크기는 후방 이탈각의 범위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크기로 설정되어야 하므로 인해 불가피하게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추세는 차량의 전체 중량을 증대시킴은 물론, 상기 견인용 후크(10)의 사이드멤버(12)상의 장착지점과 견인시 견인설비와의 체결을 위한 관통구(11)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므로 견인시 모우멘트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견인용 후크(10)가 차체의 외부로 노출되면, 외관미를 저해시키게 되며, 또한 오프로드의 주행시 노면에 있는 장애물과의 접촉을 초래하여 견인용 후크(10)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견인시 사용하는 후크를 평상시에는 하부차체의 내부로 격납시켰다가 필요시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에 대한 후크의 설치시 장착의 자유도를 높힘과 더불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견인시 견인차량의 견인설비와의 체결을 위해 구비되는 견인용 후크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후크는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면서 만곡진 형태의 가이드슬롯을 갖춘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슬롯내에서 회동한계를 부여받는 가이드볼트를 갖춘 가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견인용 후크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용 후크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후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견인용 후크 11-관통구
12-사이드멤버 22-장착부재
23-가이드슬롯 24-가동부재
25-힌지축 26-가이드볼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후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위해 종래 견인용 후크가 후방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면서 도시되지 않은 차체의 주요부위에 대한 참조부호는 도 1을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시 사용되는 견인용 후크(10)가 후방차체의 사이드멤버(12)상에 하부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장착부재(22)와, 이 장착부재(22)의 하단에 관통구(24a)를 갖추고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재(22)는 차체의 사이드멤버(12)의 후방부위로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판형태이면서 하측에는 만곡진 형태의 가이드슬롯(2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24)는 장착부재(22)의 하단에 힌지축(25)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슬롯(23)내에 끼워져 이로부터 안내를 받는 가이드볼트(26)를 일체로 갖추고 있는 바, 이 가이드볼트(26)는 상기 가동부재(24)가 장착부재(22)에 대해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때 가동부재(24)의 회동각도에 한계를 부여하는 것으로써, 상기 가이드볼트(26)는 가동부재(24)의 회동시 가이드슬롯(23)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도록 가이드슬롯(23)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볼트(26)에는 너트(27)가 체결되어 있어, 이 너트(27)의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볼트(26)는 가이드슬롯(23)내에서 가동부재(24)가 장착부재(22)에 대해 회동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멤버(12)상에 대향되도록 고정된 한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장착부재(22)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부재(24)는 힌지축(25)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므로, 상기 장착부재(22) 사이에는 가동부재(24)의 원활한 회동을 보장하기 위해,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22)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의 유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고정물(28)이 접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가동부재(24)를 장착부재(22)내에 격납시켜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동부재(24)를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가이드볼트(26)상에 체결되는 너트(27)를 꽉 조여 너트(27)에 의한 체결력으로 가동부재(24)를 장착부재(22)상에 수납된 위치로 고정시키면 되는 데, 이때 상기 가이드슬롯(23)내 가이드볼트(26)의 위치는 상측 부위에 있게 된다.(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이에 반해, 상기 가동부재(24)를 장착부재(22)의 내부로부터 노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볼트(26)에 꽉 조여지도록 체결된 너트(27)를 풀어 가이드슬롯(23)을 타고 가이드볼트(26)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동부재(24)를 회동시켜서 적절한 회동상태에서 다시 너트(27)를 조여 장착부재(22)에 대한 가동부재(24)의 고정각도를 셋팅하면 되는 데, 이때 상기 가이드슬롯(23)내 가이드볼트(26)의 위치는 하측 부위중 어느 한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견인용 후크(10)가 사이드멤버(12)상에 고정된 장착부재(22)와, 이 장착부재(22)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24)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견인용 후크(10)는 미사용시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으므로 인해 외관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오프로드의 주행중 노면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견인용 후크(10)는 차체의 후방부위로 장착되는 것에 한정해서 예시하였으나, 차체의 전방부위에도 동일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에 의하면, 견인시 사용되는 견인용 후크가 차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오프로드의 주행시에는 노면에 있는 돌출 장애물과의 불필요한 접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차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견인시 견인차량의 견인설비와의 체결을 위해 구비되는 견인용 후크(10)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후크(10)는 사이드멤버(12)에 고정되는 장착부재(22)와, 이 장착부재(22)에 힌지축(25)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22)에는 만곡진 형태의 가이드슬롯(2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슬롯(23)내에는 상기 가동부재(24)상에 고정된 가이드볼트(26)가 끼워져, 상기 가동부재(24)가 장착부재(22)상에서 회동될 때 회동한계를 부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트(26)에는 너트(27)가 체결되어 장착부재(22)에 대한 가동부재(24)의 회동정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KR1019990063364A 1999-12-28 1999-12-28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KR20010060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364A KR20010060906A (ko) 1999-12-28 1999-12-28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364A KR20010060906A (ko) 1999-12-28 1999-12-28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906A true KR20010060906A (ko) 2001-07-07

Family

ID=1963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364A KR20010060906A (ko) 1999-12-28 1999-12-28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0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288A (ko) * 2008-08-04 2010-02-12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288A (ko) * 2008-08-04 2010-02-12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및 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7599A2 (en) Single point luggage carrier for a car
US20030132608A1 (en) Tow hitch rear bumper assembly
US20080310041A1 (en) Side mirr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5564611A (en) Swing-away wheel carrier
US5845983A (en) Vehicle light mounting system
US4030692A (en) Mirror mounting structure
US4483468A (en) Universal spare tire mount for vehicles
KR20010060906A (ko) 자동차의 견인용 후크장치
JPH06199152A (ja) モジュール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仮保持構造
KR200216001Y1 (ko) 트레일러용 견인블럭
KR0114742Y1 (ko) 차량의 견인고리
KR0121598Y1 (ko) 차량용 견인고리
JPS5925729Y2 (ja) スペアタイヤ支持装置
KR200301885Y1 (ko) 자동차의 웅덩이 탈출장치
KR100512866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JP3326788B2 (ja) 自動車用リアアンダーミラー装置
KR970002553Y1 (ko) 자동차용 보조범퍼의 충격 완충장치
CA1047813A (en) Mirror mounting structure
KR970003975Y1 (ko) 자동차 견인용 훅 커버의 설치구조
KR200186876Y1 (ko) 차간연결장치
KR200147137Y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액슬빔 보호구
KR19980043199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고정구조
KR100327873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리어 스포일러 장착구조
JPH02229932A (ja) Tバールーフ車のハッチルーフ用バンパラバー
KR19980018006U (ko) 견인고리가 설치된 자동차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