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771A -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771A
KR20010059771A KR1019990067301A KR19990067301A KR20010059771A KR 20010059771 A KR20010059771 A KR 20010059771A KR 1019990067301 A KR1019990067301 A KR 1019990067301A KR 19990067301 A KR19990067301 A KR 19990067301A KR 20010059771 A KR20010059771 A KR 2001005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air
pipe
vehicl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771A/ko
Publication of KR2001005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60G17/0565Height adjus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밸로우즈에 고압의 에어 대신에 고압의 배기가스를 공급하여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에어컴프레셔를 없앨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차량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더와 제1파이프로 연결되어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가 충진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와 제2파이프로 연결되어 고압의 배기가스가 공급되고 차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로우즈와, 상기 밸로우즈의 일측에 연결되어 밸로우즈에 압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밸로우즈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압력을 조정하여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 Air suspension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배기가스 압력을 현가장치에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이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는 것을 차단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으로 부터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섀시 스프링과, 이 새시 스프링의 고유진동을 흡수하는 쇽 업소버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 스프링으로 코일스프링, 토오션 바아 스프링, 공기스프링등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스프링이 사용되는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공기 현가장치는 고압의 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 컴프레셔(102)와, 이 에어 컴프레셔(102)에서 발생된 고압의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탱크(104)와, 이 에어탱크(104)와 에어 파이프(106)로 연결되고 차축의 쇽 업소버에 장착되는 밸로우즈(108)와, 상기 에어 파이프(106)의 일측에 장착되어 에어탱크(104)에서 밸로우즈(108)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제1개폐밸브(110)와, 밸로우즈(108)의 배출 파이프(130)에 설치되어 배출 파이프(130)의 개폐작용을 하는 제2개폐밸브(116)와, 상기 밸로우즈(108)의 일측에 장착되어 밸로우즈(108)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12)와, 이 압력센서(112)의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개폐밸브(110,116)를 제어하여 차고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유닛(ECU)(11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기 현가장치는 에어 컴프레셔(102)에서 발생된 고압의 에어가 에어탱크(104)에 충진되고, 이 에어탱크(104)에 충진된 에어는 에어파이프(106)를 통해 밸로우즈(108)로 공급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이때,전자제어유닛(ECU)(114)은 압력센서(112)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1 및 제2개폐밸브(110,116)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밸로우즈(108)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차고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로우즈에 고압의 에어 대신에 고압의 배기가스를 공급하여 서스펜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에어컴프레셔를 없앨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차량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현가장치의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배기 매니폴드 4 : 제1파이프
6 : 에어탱크 8 : 제2파이프
10 : 밸로우즈 12 : 배출파이프
16 : 압력센서 18 : 차고센서
22 : 제1밸브 24 : 제2밸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더와 제1파이프로 연결되어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가 충진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와 제2파이프로 연결되어 고압의 배기가스가 공급되고 차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로우즈와, 상기 밸로우즈의 일측에 연결되어 밸로우즈에 압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밸로우즈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압력을 조정하여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공기 현가장치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더(2)와 제1파이프(4)로 연결되어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가 충진되는 에어탱크(6)와, 이 에어탱크(6)와 제2파이프(8)로 연결되어 고압의 배기가스가 공급되고 차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로우즈(10)와, 이 밸로우즈(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밸로우즈(10)에 압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12)와, 상기 밸로우즈(10)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압력을 조정하여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 매니폴더(2)는 엔진에서 연소된 고압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라인으로, 그 일측에 제1파이프(4)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탱크(6)는 일반적은 공기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에어탱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만 공기 대신에 배기가스가 충진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로우즈(10)의 일측에 장착되어 밸로우즈(10)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6)와, 차량의 하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센서(18)와, 이 압력센서(16)와 차고센서(18)의 전기신호를 인가받는 전자제어유닛(ECU)(20)과, 제2파이프(8)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제어유닛(ECU)(20)의 전기신호에 의해 에어탱크(6)에서 밸로우즈(1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량을 조절하는 제1밸브(22)와, 배출파이프(12)에 연결되어 전자제어유닛(ECU)(20)의 전기신호에 의해 배출파이프(12)의 개폐작용을 하는 제2밸브(24)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22,24)는 전기신호에 따라 각 파이프(8,12)의 개폐작용이 용이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현가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엔진이 시동되면 배기 매니폴드(2)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일부는 제1파이프(4)를 거쳐 에어탱크(6)로 압입되어 에어탱크(6) 내부에 일정압의 배기가스가 충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고센서(18)에서 현재 차량의 높이를 검출하고, 압력센서(16)에서 밸로우즈(10)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여 그 전기신호를 각각 전자제어유닛(ECU)(20)으로 인가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ECU)(20)은 설정치와 비교 판단하여 제1밸브(22)를 개방시켜 에어탱크(6)에 충진된 고압의 배기가스를 밸로우즈(10)로 공급하거나, 제1밸브(22)를 개방시켜 밸로우즈(10) 내부압을 외부로 배출시켜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는 배기 매니폴더로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를 에어탱크에 충진시켜 밸로우즈로 공급하여 충격완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에어탱크에 고압의 에어를 충진하기 위한 에어 컴프레셔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임과 동시에 차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엔진의 배기 매니폴더와 제1파이프로 연결되어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가 충진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와 제2파이프로 연결되어 고압의 배기가스가 공급되고 차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로우즈와; 상기 밸로우즈의 일측에 연결되어 밸로우즈에 압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밸로우즈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압력을 조정하여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밸로우즈의 일측에 장착되어 밸로우즈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차량의 하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고를 검출하는 차고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와 차고센서의 전기신호를 인가받는 전자제어유닛(ECU)과, 제2파이프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제어유닛의 전기신호에 의해 제2파이프의 개폐작용을 하는 제1밸브와, 상기 배출파이프에 연결되어 전자제어유닛(ECU)의 전기신호에 의해 배출파이프의 개폐작용을 하는 제2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는 상기 전자제어유닛(CEU)의 전기신호에 따라 파이프의 개폐작용이 용이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KR1019990067301A 1999-12-30 1999-12-30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KR20010059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01A KR20010059771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01A KR20010059771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771A true KR20010059771A (ko) 2001-07-06

Family

ID=1963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01A KR20010059771A (ko) 1999-12-30 1999-12-30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392A (zh) * 2012-03-09 2012-07-18 杨英虎 一种汽车节能空调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392A (zh) * 2012-03-09 2012-07-18 杨英虎 一种汽车节能空调装置
CN102582392B (zh) * 2012-03-09 2014-03-12 杨英虎 一种汽车节能空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517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system
US6321887B1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US200601695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CN102145643A (zh) 一种电控空气悬架的闭环气路系统
US7546911B2 (en) Suspension apparatus
CN201931958U (zh) 一种电控空气悬架的闭环气路系统
KR910000883B1 (ko) 차량용 현수 장치
CN109606055A (zh) 一种空气悬架系统及方法和安装该系统的车辆
JPS63140186A (ja) 流路開閉用電磁弁
CN110315923A (zh) 一种气路装置、空气悬架系统、汽车及其控制方法
US7273209B2 (en) Suspension apparatus
CN108705909B (zh) 一种兼顾节能与稳定的空气悬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10059771A (ko)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JPS61166715A (ja) 後輪の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KR20070041818A (ko) 전자력 댐핑 제어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의쇽업소버
KR0176023B1 (ko) 충격흡수 장치가 부착된 공기 주입식 현가시스템
KR100475531B1 (ko) 차량용 공기 현가장치
KR100266306B1 (ko) 대형 차량의 차고 조정장치
JP2903364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50011014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
KR19990052607A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전자현가장치
JPS61268512A (ja) エアサスペンシヨン装置
US20240166007A1 (en) Independent corner lift system for vehicles
KR20090039337A (ko) 차량의 에어서스펜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56867B1 (ko) 차고 유지를 위한 공기유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