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902A -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 - Google Patents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902A
KR20010056902A KR1019990058571A KR19990058571A KR20010056902A KR 20010056902 A KR20010056902 A KR 20010056902A KR 1019990058571 A KR1019990058571 A KR 1019990058571A KR 19990058571 A KR19990058571 A KR 19990058571A KR 20010056902 A KR20010056902 A KR 2001005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wall
upright
walls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891B1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1999005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8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8Foundations formed by making use of cais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 4주벽으로되고 상,하가 개통된 단위 케이슨(caisson)을 구비하여 이 다수개 케이슨 상하면 및 측면에 암키와 숫키를 각각 형성하여 이 암키에 숫키가 삽입되게 하여 단위 케이슨을 다수단 수직으로 적층하므로서 종래 일정한 부두 높이로 되는 1 개의 케이슨을 부두 법선을 따라 일렬로 연결설치하여서 되는 케이슨 식 직립 부두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를 구축하는 구조의 발명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A constructed structure of upright quay which is used caisson}
본 발명은 해안에서 선박이 접안하여 안전하게 정박,계류 하도록 하는 시설인 부두를 구축하는 기술분야에 대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선박이 접안하는 부두는 그 구축되는 구조에 따라 중력식(重力式),널말뚝식(sheet pile), 잔교식(棧橋式), 부잔교식(浮棧橋式)등이 있고 각기 구조 해석상의 특징이 있어 필요에 의하여 선택하게 되는 바 일반저긍로 벽체가 콘크리트로 되고 내구성이 좋으며 시공이 비교적 단순 용이한 중력시 ㄱ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중력식 구조는 다시 케이슨(caisson)식, 블럭식(Block), 중공블럭식(cellular Block),L-Block 식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시공상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선택시공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체용되는 케이슨 식 구조는 제체가 직립제체로서는 가장 안정되고 외파에 대하여서도 견고한 부두를 구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선박의 접안 부두를 구축하는 부두 제체로서의 케이슨 식은 그 구조특성상 단위 케이슨은 바닥면이 있고 4주벽으로 되어 그 내부에 다수개의 보강벽으로 구획되고 상면은 개방된구조로서 이러한 단위 케이슨의 높이는 부두의 제체 높이가 되고 내부에는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을 충전하도록 하고 이러한 단위 케이슨들을 부두법면을 따라 일열로 안치고정하여 부두제체를 구축하게 되는 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부두를 구축할 수 있으나 이 단위 케이슨의 높이가 바로 부두 제체 높이로 됨에 따라 단위케이슨의 무게와 부피 (통상 8 ~ 10M3)가 엄청나게 대형이며 중량물이므로 이동 및 거치작업을 위하여서는 초대형크레인등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점등이 수반된다. 그리고 비교적 단위 블럭 크기가 소형(약 2M폭) 으로서 4 주벽으로되고 상,하가 개통된 중공블럭(S)적층하여 필요한 부두 높이로 구축하고 그 내부공간에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을 체움하는 중공블럭식은 중공블럭을 도면 도 2 의 횡단면에 도시한것 처럼 상협하광하게 계단식 횡단면으로 적층되고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은 상하 엇갈리기식의 지그자그로 중공블럭을 조적하게 됨에 따라 상측중공블럭과 하측중공블럭의 연결대접부에 별다른 체결고정구조를 형성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평횡력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블럭과 블럭의 조적상태가 매우 불안정하여 붕괴의 위험이 상존하므로 소형부두등에만 한정적으로 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은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구축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 는 중공블럭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구축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소정의 높이로 되는 케이슨을 적층하여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의하여 구축되는 부두 정면예시도
도 5 는 도 2 에 의하여 구축되는 부두 정면의 일부절결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소정 높이로 되는 단위 케이슨의 구조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하부케이슨 Ca.상부케이슨 F.해저기초단
S.중공블럭 1,2,3,4,1a,2a,3a,4a. 4주벽
5,5a,5b,5c,5d. 숫키 6,6a,6b,6c,6d.암키
7.바닥면 8,8a.지지벽체
9.사석 또는 양질의 모래 10.콘크리트 캡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슨 식 직립방파제와 중공블럭식 직립방파제의 구조상의 제결점을 제거하고 양자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대형부두의 구축공사에서도 초대형크레인의 동원없이 부두를 구축할 수 있도록 안출한 발명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되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단위 케이슨의 구조를 도면 도 6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도 6 은 해저면 기초단(F)에 상치되는 케이슨의 최하측에 위치되는 하부케이슨(C)과 그 상측에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상부케이슨(Ca)의 분해사시도로서 통상적인 케이슨식 직립부두는 하나의 케이슨이 부두전체높이가 되도록 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케이슨은 높이를 낮게 하여 다수개의 케이슨을 적층하여 통상적인 케이슨식 직립부두 높이가 되도록 하는 바 상기 상부 케이슨(Ca)을 단위케이슨으로 설정하여 이의 구조를 설명하면 평면적으로 가로세로의 비가 10 : 12 정도의 직사각형통상으로 일정한 높이(부두 전체높이를 h라 할 때 h/n(개))의 전후,좌,우로 일정한 두께의 4 주벽(1)(2)(3)(4)이 입설되게하되 길이가 다소 긴 2 개의 주벽(1)과 주벽(3)의 외측벽 중도부에 수직으로 일정한 두께와 폭으로 되는 숫키(5)가 정확하게 삽입되는 치수로 암키를 요입형성하고 이러한 단위 케이슨의 4 주벽 상면 중도부에 각각 일정한 크기의 숫키(5a)(5b)(5c)(5d)의 크기와 동일한 암키(6a)(6b)(6c)(6d)를 요입하여 상부 케이슨(Ca)을 구성하고 해저면 기초단(9)에 상치되는 하부 케이슨(C)은 4 주벽(1a)(2a)(3a)(4a)의 삼면 중도부에 각각 숫키(5a)(5b)(5c)(5d)가 돌설되되 4주벽 하면에는 암키가 없고 바닥면(7)으로 바닥이 밀폐되고 하부케이슨(C)의 4 주벽 중 주벽(1a)와 주벽(3a)의 외주벽 중도부에 수직으로 숫키(5)와 암키(6)를 각각 돌설, 요입하여서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하부 케이슨(C)과 상부케이슨(Ca)이 구성되고 이 하부케이슨(c)와 상부케이슨 (Ca)내부에는 다수개(도면상으로는 2 개)의 지지벽체(8)와 (8a)를 구획입설하여서 단위 케이슨을 구성하고 이러한 하부 케이슨(C)을 해저 기초단(F)성면에 고정적으로 거치하고 하부케이슨(C)상면에 필요한 높이로 다수단으로 상부케이슨(C)을 적층하되 숫키(5a)(5b)(5c)(5d)가 암키(6a)6b)(6c)(6d)에 삽입되므로서 단위 케이슨과 케이슨이 위치 고정되고 이러한 케이슨을 부두법면을 따라 좌우로 연결하여 필요한 길이의 부두를 구축하고 케이슨 내부에는 사석 또는 양질의 모래(9)채움을 하며 최상단부에는 공지한 콘크리트 캡(10)을 안치하여 전체적으로 케이슨 식 부두가 축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부두 전체가 완성되었을때는 가장 안정되고 견고한 부두의 구조인 케이슨식 직립 부두가 되면서도 거대한 크기의 기존 케이슨을 여러개의 단위 케이슨으로 높이를 획기적으로 작게한 단위 케이슨을 적층하여 필요한 부두 높이로 구축함에 따라 초대형 크레인이 필요없어 공사가 매우 용이해지고 각 단위 케이슨은 상,하,좌우로 각각 숫키(5)(5a)(5b)(5c)(5d)와 암키(6)(6a)(6b)(6c)(6d)가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므로 단위 케이슨이 수평외력등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아 보다 견고한 구조로 구축되는 케이슨식 직립 부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높이가 낮은 단위 케이슨을 다수단 적층하여 필요한 높이의 케이슨식 직립 부두를 구축함에 있어서 그 부두의 구축구조는 해저면 기초단(F)에 상치되는 하부케이슨(C)과 이 하부케이슨(C)상단에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상부케이슨(Ca)으로 구성되되 상부케이슨(Ca)은 상하가 개통되고 일정한 높이의 4 주벽(1)(2)(3)(4)이 입설된 4 각태 형태로 되고 그 중 다소 길이가 긴 2 개의주벽(1)과 주벽(3)의 외측벽 중도부에 수직으로 각각 숫키(5)와 암키(6)를 형성하고 4 주벽(3) 상면 중앙에는 숫키(5a)(5b)(5c)(5d)를 돌설하고 4주벽(3) 하면 중앙에는 암키(6a)(6b)(6c)(6d)를 요입형성하여 상부 케이슨(Ca)을 구성하며 하부케이슨(C)은 4주벽(1a)(2a)(3a)(4a)상면 중도부에 각각 숫키(5a)5b)(5c)(5d)를 돌설되고 주벽(1a)(2a)(3a)(4a)상면 중앙에 각각 숫키(5a)(5b)(5c)(5d)를 돌설하고 주벽(1a)(3a)외측면중앙에는 각각 숫키(5)와 암키(6)를 형성하고 4 주벽 하면에는 바닥면(7)으로 바닥이 밀폐되는 하부케이슨(C)을 해저기초단(F)에 상치하고 이 하부케이슨(C)상면에 다수단의 상부케이슨(Ca)을 적층하여 이 케이슨 내부에 사석 또는 양질의 모래(9)채움을 하며 최상면은 콘크리트캡(10)을 안치하여서 되는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구축구조.
KR1019990058571A 1999-12-17 1999-12-17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체 KR100363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71A KR100363891B1 (ko) 1999-12-17 1999-12-17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71A KR100363891B1 (ko) 1999-12-17 1999-12-17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594U Division KR200180809Y1 (ko) 1999-12-17 1999-12-17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902A true KR20010056902A (ko) 2001-07-04
KR100363891B1 KR100363891B1 (ko) 2002-12-11

Family

ID=1962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571A KR100363891B1 (ko) 1999-12-17 1999-12-17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392A (ko) * 2003-08-05 2005-02-21 원 회 양 요철이 심한 지역에서의 방파제 기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707A (en) * 1980-03-21 1981-10-15 C I Kase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sand protecting plate
JPH0184324U (ko) * 1987-11-25 1989-06-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3891B1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65882A (en) Buoyant structure
CN110382781B (zh) 用于在海洋环境中利用重力铺设建筑物、设备和风力涡轮机的基础的海事结构
CN110344368B (zh) 一种桩基装配式透空式防波堤
KR200180809Y1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
KR101806855B1 (ko) 모듈러 호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10056902A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식 부두 구축구조
KR200272975Y1 (ko) 다공법이 혼용된 중력식 안벽구조
KR100350096B1 (ko) 연약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KR100995667B1 (ko) 해상풍력발전 지지구조체용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61584B1 (ko)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KR200197779Y1 (ko) 중공블럭을 이용한 직립식 방파제
JP2007092454A (ja) 海洋空間に建造するハイブリッド方式人工地盤とその建造方法
KR20030012474A (ko) 케이슨 및 엘형 선반식 혼용안벽
JPS63181804A (ja) 消波堤とその構築方法
KR100374177B1 (ko) 깊은 수심의 방파제 구조
CN216737132U (zh) 一种深水港可陆上吊装的组装式码头结构
CN203593995U (zh) 水上拼装的箱筒型基础防波堤结构
CN115478512B (zh) 一种门式刚架码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178547Y1 (ko) 연약 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KR200333395Y1 (ko) 선박접안시설용 조립식 케이슨 구조
KR200310142Y1 (ko) 잔교형 중력식 선박접안시설
GB2124684A (en) Offshore platform
KR100368621B1 (ko) 중도부에 완충시설이 구비된 블럭 적층 안벽구조
KR200300435Y1 (ko) 다층 직립식 방파제
KR200204437Y1 (ko) 중도부에 완충시설이 구비된 블럭 적층 안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