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6415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415A
KR20010056415A KR19990057870A KR19990057870A KR20010056415A KR 20010056415 A KR20010056415 A KR 20010056415A KR 19990057870 A KR19990057870 A KR 19990057870A KR 19990057870 A KR19990057870 A KR 19990057870A KR 20010056415 A KR20010056415 A KR 2001005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information
message service
interactive
mobil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5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하리
유영대
강경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999005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6415A/ko
Publication of KR2001005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415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은, 가입자가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접속 시작부터 종료시까지의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session) 관리 필드(field)와, 가입자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망 정보 관리 필드 및 단문 메시지 당 과금을 부과하는 과금 필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규약을 사용한다.
여기서, 세션 관리 필드는, 가입자가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위하여 서비스에 접속할 때, 가입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Session_ID와,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 과정을 관리하는 Session_Sequence 및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마치고 대화형 정보 서비스로부터 접속을 종료할 때, 가입자의 접속 종료를 관리하는 End_Of_Session을 포함한다.
또한, 망 정보 관리 필드는, 가입자의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ESN과,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MSC_Point_Cod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통신 규약의 필요없는 필드와 기능을 제거시킴으로써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Method for operation with a interactive short messag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은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101)가 있어야 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03)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한다. 또한, 외부 단문 메시지부(ESME:External Short Message Entity) (102)는 상기 정보 제공자가 생성한 정보를 상기 SMSC(103)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SMSC(103)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104)로부터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교환기(105)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SMSC(103)와 상기 ESME(102)사이의 통신은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호간에 약정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SMSC(103)와 상기ESME(102) 사이의 통신은 두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두 시스템 간에 엑스. 25(X.25)나 티씨피/아이피(TCP/IP)를 이용하여 망/전송 계층의 통신 규약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통신 규약들은 흐름 제어, 데이터 오류 검사와 망 연결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는 두 시스템 간에 미리 정의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 계층의 통신 규약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통신 규약은 상기 SMSC(103)와 상기 ESME(102)가 메시지를 서로 주고 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하나의 예로서, 에스엠피피(SMPP:Short Message Peer to peer Protocol)를 통신 규약으로 이용한 정보 제공자의 ESME와 SMSC 사이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SMPP를 통신 규약으로 이용하는 상기 ESME(10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부와 수신부가 구별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ESME(102)는 클라이언트 (client)로 상기 SMSC(103)는 서버(server)로서 작동을 한다. 여기서, 상기 ESME (102)는 상기 SMSC(103)에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이 성공되면 메시지의 전송, 수정, 취소, 검색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ESME(102)는 상기 SMSC(103)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 별도의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이 성공되면 메시지의 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연결을 지속할 필요가 없다면 종료를 하여 망 자원의 낭비를 막는다. 표 1은 상기 SMPP에서 상기 ESME(102)에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SMPP 제공 기능
Connect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연결한다.
Send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Receive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메시지를 수신한다.
Replace : 전달한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한다.
Cancel : 전달한 메시지의 전송을 취소한다.
Query : 전달한 메시지의 상태를 검색한다.
Link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연결을 확인한다.
Close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통신 방법은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필요없는 필드와 기능인 메시지 예약 시간 필드, 메시지 유효 기간 필드, 메시지 수정 필드와 메시지 내용 변경 기능, 메시지 취소 기능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SMSC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가입자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제공자의 외부 단문 메시지부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사이의 통신 규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에스엠피피(SMPP)를 통신 규약으로 이용한 정보 제공자의 외부 단문 메시지부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사이의 통신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의 정보 제공자의 외부 단문 메시지부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사이의 통신 규약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401... 정보 제공자
102, 402... 외부 단문 메시지부
103, 40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104... 홈 위치 등록기
105, 405... 이동통신 교환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은,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대화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고, 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C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상기 정보 제공자의 EMSE 사이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접속 시작부터 종료시까지의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session) 관리 필드(field)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망 정보 관리 필드 및
상기 단문 메시지 당 과금을 부과하는 과금 필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세션 관리 필드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위하여 대화형 정보 서비스에 접속할 때,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세션_아이디(Session_ID)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_시퀀스(Session_Sequence) 및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마치고 대화형 정보 서비스로부터 접속을 종료할 때,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접속 종료를 관리하는 엔드_오브_세션(End_Of_Session)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망 정보 관리 필드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기기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엠에스씨_포인트_코드 (MSC_Point_Code)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통신 규약의 필요없는 필드와 기능을 제거시킴으로써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401)가 있어야 하며, SMSC(403)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한다. 또한, ESME(402)는 상기 정보 제공자가 생성한 정보를 상기 SMSC(403)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SMSC(403)와 상기 ESME(402)사이의 통신은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호 간에 약정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망/전송 계층의 통신 규약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엑스. 25나 티씨피/아이피를 이용한다.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계층의 통신 규약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아이-에스엠디피(I-SMDP: Interactive Short Message Delivery Protocol)를 이용한다. 표 2는 상기 I-SMDP에서 상기 ESME(402)에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I-SMDP 제공 기능
Connect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연결한다.
Send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Receive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 메시지를 수신한다.
Query : 전달한 메시지의 상태를 검색한다.
Link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연결을 확인한다.
Close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I-SMDP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접속 시작부터 종료시까지의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 필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션 관리 필드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위하여 대화형 정보 서비스에 접속할 때,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세션_아이디(Session_ID)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_시퀀스(Session_Sequence) 및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마치고 대화형 정보 서비스로부터 접속을 종료할 때,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접속 종료를 관리하는 엔드_오브_세션(End_Of_Session)을 포함한다.
한편, 이동통신 가입자가 대화형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중에 가입자의 실수, 음영 지역으로 이동, 단말기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정보 서비스로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이런 경우에 상기 가입자가 계속해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 서비스에 재 접속하여, 이전의 접속에서 정보 획득을 위해서 수행했던 과정을 반복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처럼 상기와 같은 세션 필드를 이용하면, 상기 가입자가 해당 정보 서비스에 재 접속하였을 경우에, 이전의 서비스 접속이 정상 종료가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여, 단말기 상태를 접속이 끊어졌던 당시의 상태로 복원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수행했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수행 과정이 유지된 상태에서 필요한 신규 과정만 수행시킴으로써,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SMDP는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망 정보 관리 필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망 정보 관리 필드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기기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엠에스씨_포인트_코드(MSC_Point_Code)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SMSC(403)는 홈 위치 등록기에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하지 않고서도,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와같이,홈 위치 등록기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이동통신 교환기(404)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단문 메시지는 일반 단문 메시지와 달리 메시지 당 과금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I-SMDP는 단문 메시지 당 과금을 부과하는 과금 필드를 더 포함한다.
한편,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므로 메시지 예약 시간 필드, 메시지 유효 기간 필드, 메시지 수정 필드와 메시지 내용 변경 기능, 메시지 취소 기능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I-SMDP는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필요없는 메시지 예약 시간 필드, 메시지 유효 기간 필드, 메시지 수정 필드와 메시지 내용 변경 기능, 메시지 취소 기능을 제거하여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단말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통신 규약의 필요없는 필드와 기능을 제거시킴으로써 망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대화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고, 정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상기 정보 제공자의 외부 단문 메시지부(EMSE:External Short Message Entity) 사이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접속 시작부터 종료시까지의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session) 관리 필드(field)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망 정보 관리 필드 및
    상기 단문 메시지 당 과금을 부과하는 과금 필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 필드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위하여 대화형 정보 서비스에 접속할 때,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세션_아이디(Session_ID)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세션_시퀀스(Session_Sequence) 및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기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한 정보 획득을 마치고 대화형 정보 서비스로부터 접속을 종료할 때,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접속 종료를 관리하는 엔드_오브_세션(End_Of_Sess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정보 관리 필드는,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기기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와,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엠에스씨_포인트_코드 (MSC_Point_C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 방법.
KR19990057870A 1999-12-15 1999-12-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KR20010056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7870A KR20010056415A (ko) 1999-12-15 1999-12-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7870A KR20010056415A (ko) 1999-12-15 1999-12-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415A true KR20010056415A (ko) 2001-07-04

Family

ID=1962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57870A KR20010056415A (ko) 1999-12-15 1999-12-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64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411B1 (ko) * 2001-09-10 2003-10-17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문자메시지중계시스템 및 문자메시지중계방법
KR100421169B1 (ko) * 2002-01-29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망에서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과그를 위한 라우팅방법
KR100855116B1 (ko) * 2001-12-27 2008-08-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세션 관리를 이용한 무선 컨텐츠 변환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411B1 (ko) * 2001-09-10 2003-10-17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문자메시지중계시스템 및 문자메시지중계방법
KR100855116B1 (ko) * 2001-12-27 2008-08-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세션 관리를 이용한 무선 컨텐츠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421169B1 (ko) * 2002-01-29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망에서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과그를 위한 라우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55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user of data transfer device
US8712865B2 (en) Method for exchanging data concern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US20030130008A1 (en) Updating of subscriber information
KR100978710B1 (ko) Gprs 단말기의 자동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125152A1 (en) Method, system and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for getting user equipment information through short messages
JP2001075785A (ja) データ更新システム
CN110808948B (zh) 远程过程调用方法、装置及系统
US6650891B1 (en) SMS-supported method for online/offline detection of user groups in mobile wireless networks
CN1968090B (zh) 实现数据业务服务中心获得用户终端鉴权信息的方法及系统
HU223922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intelligens hálózati támogatás biztosítására
US7336955B2 (en) Interconnection agreement determi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10830934A (zh) 一种呼叫失败处理方法及装置
KR2001003912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CN102045870A (zh) 基于无线机器到机器协议的业务处理装置及方法
EP11274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oring a subscriber context
KR2001005641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운용방법
WO20000481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US7242673B2 (en) Message bar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1005403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단문 메시지 통보 서비스 제공 방법
FI113437B (fi) Tilaajan liittymän voimassaolon tarkistus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CN112153629B (zh) 一种流量管理方法及装置
CN101729494B (zh) 消息交互的实现方法和系统、以及会话和消息服务器
WO2000049825A1 (en) A transaction orientated data transport mechanism for use in digital cellular networks
KR100277687B1 (ko) 지능망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 페이징 서비스 방법
CN104378744A (zh) 服务提供方法、装置及服务请求方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524

Effective date: 200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