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986A -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986A
KR20010055986A KR1019990057347A KR19990057347A KR20010055986A KR 20010055986 A KR20010055986 A KR 20010055986A KR 1019990057347 A KR1019990057347 A KR 1019990057347A KR 19990057347 A KR19990057347 A KR 19990057347A KR 20010055986 A KR20010055986 A KR 2001005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xe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봉규
Original Assignee
노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봉규 filed Critical 노봉규
Priority to KR101999005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5986A/ko
Publication of KR2001005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응답특성을 개선한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정표시소자의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주로 액정의 점성을 낮추거나,액정셀의 두께를 얇게하였다. 액정의 점성을 낮추는 방법은 액정 사이의 결합력이낮아지므로 동작온도 범위와 유전율의 이방성이 줄어들어 구동전압이 높아진다. 또한, 액정셀의 두께를 얇게하는 방법은 생산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간에 대하여 인접하는 두 프레임의 동일화소의 계조단계(gray level)를 비교하고 계조단계의 차이와 액정의 응답특성과 화소의 충방전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화상 왜곡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계조단계와 계조단계 사이의 액정의 응답시간을 짧게 하였다. 따라서, 본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은 브이에이(VA)모드에서 32단계를 기준으로 계조와 계조 사이의 변환이 16ms이하가 되기 때문에, 음극선관(CRT)과 같은 정도의 화질 상태로 구현될 수 있어, 본발명은 액정 텔레비전이나 멀티미디어 모니터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aratus For Driving LCD with a Brief Response tim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간상으로 인접하는 두 프레임의 동일화소의 계조단계(gray level)를 비교하고 계조단계의 차이와 차이와 액정의 응답특성과 화소의 충방전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정보의왜곡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액정의 응답시간을 짧게한 능동 액정표시소자(Active Matrix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능동액정표시소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소자와 엠아이엠 (MIM; Metal Insulator Metal) 액정표시소자가 있다. 소형의 디스플레이에는 MIM 액정표시소자가 이용되고 중대형의 디스플레이에는 TFT 액정표시소자가 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소자의 구조와 그동작 방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박막트랜지스터 (TFT; 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각 화소에 있는 TFT의 게이트전극(10)은 주사선과 연결되고, 소스전극(11)은신호선과 연결되며, 드레인전극(12)은 화소전극(4)에 연결된다. 액정층(5)은 공통전극(3)과 상기 화소전극(4) 사이에 있다. 상기 공통전극(3)의 바깥부분에는 유리기판(1)이 부착되고 그 위에 칼라필터(그리지 않음)가 부착된다. 또한 TFT가 모여서 이루어진 TFT 어레이(Array)는 아래 유리기판(2)에 위치하고 그 바깥부분에는 백라이트(그리지 않음)가 위치한다.
여기서, TFT 소자는 게이트 절연막(17), 비정질 규소 (a-Si)막(15), n+막(14), 식각정지막(Etch Stopper;1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TFT 액정표시소자는, 선택기간 동안에는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에 신호선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채널의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신호선에 걸린 전압이 화소전극을 통해 액정층에 걸린다. 비선택기간 동안에는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에 신호선보다 낮은 전압이인가되어 드레인과 소스는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상기와 같이 단절되면, 비선택기간 동안에는 상기 선택기간 동안에 액정층에 축적된 전하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 주사선을 순차 주사하면서, 신호선을 통하여 각 화소전극의 액정층에 전압을 걸어준다. 즉,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액정층에 걸린 RMS(Root Means Square)전압을 조절하면, 편광판을 통과한 선편광된 빛이 액정층을 지나면서 편광상태가 변하고, 이 빛이 검광판을 선택적으로 투과되면 화소의 밝기로서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신호선과 공통전극에 걸리는 전압의 파형을 조절하여 액정층에 걸린 전압의 극성을 매 프레임마다 바꿔 액정분자의 전기화학반응을 막는다.
한 프레임 주기는 선택기간와 비선택기간을 더한 시간으로서, 화면의 프레임주기가 60Hz인 경우에, 한 프레임 주기는 약 16.7msec가 된다. 또한, 선택기간 해상도에 따라, XGA 경우에는 한 프레임 주기는 21.7μ sec가 된다. 이때, 액정의 축전기와 그와 병렬 연결되는 보존 축전기는, 선택기간에 화소전극에 걸어준 전압이비선택기간 동안에 계속 유지되도록 생성되고 이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가)와 도 2(나)는 TFT 액정표시소자의 선택기간과 비선택기간에 대한 등가회로이다. V는 화소에 걸리는 전압이고, CLC와 CS는 각각 액정의 정전용량과 보존용량의 정전용량이다. RTFT-ON와 RTFT-OFF는 선택기간과 비선택기간의 채널의 저항이다. 선택기간 동안에는 TFT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채널의 저항(RTFT-ON)이 작아서 TFT의 전극들 사이의 기생용량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등가회로는 RC회로가 되고, 화소의 전기용량이 신호선의 전압까지 완전히 충방전되려면 상기 RC회로의 시정수가 그 선택기간 보다 훨씬 짧아야 한다. 또한, 상기 선택기간 동안 충전된 전하가 비선택기간 동안 그대로 유지되려면, 상기 비선택기간의 RC회로의 시정수가 한 주기보다 매우 커야 한다.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1실시예로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호스트 시스템 (100)과 상기 호스트 시스템 (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액정표시소자에 표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액정표시소자 모듈 (200)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 시스템(100)은 전체 시스템의 제어신호의 기준이 되는 클락신호를 생성하는 클락 신호 발생부(22)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20)와 상기 클락신호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출력시키는 출력 인터페이스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표시소자 모듈은 상기 호스트 시스템(100)의 출력 인터페이스부(2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부(26)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26)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TFT 판넬에 표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28)와, 상기 제어부(28)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TFT 액정표시소자에 디스플레이하는 TFT LCD 구동부(30)로 구성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모듈의 상세도로서, 상기 액정표시소자 모듈은 상기 호스트 시스템(100)의 출력 인터페이스부(2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부(26)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26)로부터 출력되는 색신호(RGB), 클락신호, 수평/수직 동기신호, 인에이블 신호 및 직류전원을 입력받는 제어부(28)와, 상기 제어부(28)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는 TFT LCD구동부 (30)로 구성되고, 상기 TFT LCD 구동부(30)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TFT LCD 구동부(3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26)으로부터 출력되는 3.3V 전원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DC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기(34)와, 상기 DC/DC 변환기(34)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을 입력받아 여러 단계의 계조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계조전압발생부(32)와, 상기 계조전압들을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TFT LCD 판넬의 신호선에 출력하는 신호선 구동부(42)와, 상기 DC/DC 변환기(34)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DC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공통전극 전압 발생부(36)와, 상기 DC/DC 변환기(34)로부터 양의 게이트 전압(Vg+)과 음의 게이트 전압(Vg-)을 입력받아 주사선 신호들을 출력하는 기준 게이트 전압 발생부(38)와, 상기 공통전극 전압발생부(36)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 발생부(38)에서 출력되는 전압들을 입력받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8)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TFT LCD 판넬의 주사선 전극에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부(40)와, 상기 공통전극전압 발생부(36)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신호선 구동부(42)와 상기 주사선 구동부(4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TFT LCD 판넬(44)로 구성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2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100)과 TFT LCD 모듈(300)로 구성된다.
상기 TFT LCD 모듈(300)은 상기 도 3의 TFT LCD 모듈(200)에 스케일러(46)를더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스케일러(46)은 상기 호스트 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받은 영상신호가 TFT 액정표시소자의 해상도가 다를 경우에 상기 영상신호를 변조하여 TFT 액정표시소자 판넬의 해상도에 맞추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VGA(640 ×480)이고 TFT 액정표시소자판넬의 해상도가 XGA(1024 x 768)라면, 상기 스케일러는 VGA 화상을 처리하여 XGA해상도를 갖는 영상신호로 변조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3실시예로서, 스케일러(48)가 호스트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스케일러(4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TFT LCD와 연결되는 호스트 시스템은 그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가 상기 LCD의 응답이 아주 빠르다는 것을 가정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처리하는 영상신호는 CRT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상기 CRT의 응답특성은 형광체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지만, 형광체의 디케이시간(decay time)이 보통 5∼15ms로서, 액정의 응답시간보다 상당히 짧다.
따라서, 액정의 응답 시간은 계조마다 다르기 때문에, 영상신호를 상기 액정의 응답시간을 고려하여 그 영상신호를 처리하지 않으면, 빠르게 움직이는 동영상을 왜곡없이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액정의 가장 밝은 상태와 가장 어두운 상태에 대한 액정의 응답시간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식(1)은 전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가장 큰 전압을 걸었을 때의 응답시간(τr)이다. η는 점성계수이고, △ε 은 액정의유전율 이방성이고, K는 액정의 탄성상수이고, d는 액정셀의 갭이고, V는 걸어준 전압이다
식(2)는 가장 큰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가장 낮은 전압을 걸었을 때의 응답시간(τf)이다.
계조단계의 차이가 크면 액정분자의 응답시간은 매우 짭지만, 계조단계의 변화가 적으면 그 응답시간이 10∼200ms정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가)와 도 7(나)는 VA모드와 TN모드의 응답 특성곡선을 나타낸 것이다.투과율 변화가 0%에서 100% 또는 100%에서 0%로 변하는 시간은 보통 20∼30ms이지만 그 밖의 계조와 계조 사이의 응답특성은 액정의 모드와 그리고 시작계조와 끝계조에 따라서 그 응답시간은 길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100%에서 50%로 변하는 TN모드의 응답특성은 70ms 이상이고, 0%에서 20%로 변하는 VA모드의 응답 특성은 40ms 이상으로, 빠르게 변하는 동영상은 구현하기 매우 어렵다.
종래의 액정표시 구동장치 및 그 방법들은 상기와 같이 액정표시소자의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액정의 점성(η)을 낮추거나, 액정셀의 두께(d)를 얇게하였다.
그러나, 액정의 점성을 낮추는 방법은 액정 사이의 결합력이 낮아지므로 동작온도 범위가 줄어들고, 또한 유전율 이방성이 줄어들어 구동전압이 커진다. 또한, 액정셀의 두께를 얇게하는 방법은 생산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간상으로 인접하는 두 프레임의 동일화소의 계조단계값을 비교하여, 두 화상 정보의 차이와 액정의 응답특성 그리고 능동소자의 충방전 특성을 고려하여, 화상정보의 왜곡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액정의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박막트랜지스터 (TFT; Thin Film Transistor)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가)와 도 2(나)는 TFT 액정표시소자 화소의 선택기간과 비선택기간에 대한 등가회로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1실시예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모듈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2실시예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3실시예이다.
도 7(가)와 도 7(나)는 액정의 응답 특성곡선이다.
도 8은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1실시예이다.
도 9은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2실시예이다.
도 10는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에서 변위계조단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가)와 도 12(나)는 본발명에 따른 응답필터의 상세도이다.
도 13은 본발명과 종래 기술들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의 신호선에 입력되는 전압파형이다.
도 14(가)는 TFT 액정표시소자에 인가 전압에 대하여 축적용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나)는 상기 도 14(나)의 축적용량에 대응하는 화소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액정표시소자의 전기광학 특성의 한 예이다.
도 16은 본발명의,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응답 특성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 본발명의,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응답 특성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비디오 메모리 22 : 클락신호발생부 24 : 출력인터페이스부
100 : 호스트 시스템 500 : 액정표시소자 구동 모듈
501 : 입력인터페이스부 502 : 제어부 504 : TFT LCD 구동부
506 : 스케일러 508 : 응답필터 510 : 메모리버퍼
본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구성과 그 동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모듈에는 6비트의 64계조단계가 적용되고, 모니터나 TV등의 액정 모듈에는 8비트의 256계조단계가 적용된다. 계조단계와 화면밝기(또는 상대 화면 투과도)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물리량이 감마값(gamma value;γ)이다. 감마가 1이면 계조 단계와 화면의 밝기가 단순 비례한다. 보통 AV용 화면소자는 감마값을 2.0∼3.0 사이에 둔다. 식(3)은 감마값에 따른 화면 투과도 T(L)와 계조단계(L)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L은 계조단계이고 L'는 최대 계조수를 나타낸 것이다
감마값을 정하면, 전기광학 투과곡선으로부터 계조단계에 따른 구동전압을 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1실시예로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호스트 시스템 (100)과, 상기 호스트 시스템 (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액정표시소자에 표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액정표시소자 모듈 (500)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표시소자 모듈(500)은 상기 호스트 시스템(100)의 출력 인터페이스부(2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인터페이스부(501)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TFT LCD 판넬에 표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스케일러(506)와, 상기 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처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버퍼(510)와 상기 메모리버퍼(510)에서 출력되는 이전 영상신호와 상기 스케일러(506)에서 출력되는 현재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최적 변위계조단계값을 계산하여 변조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응답필터(508)와, 상기 응답필터(508)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영상신호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501)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변조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2)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영상신호를 TFT LCD 판넬에 디스플레이 하는 TFT LCD 구동부(504)로 구성된다.
상기 TFT LCD 구동부(504)는 종래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한다.
한편 상기 응답필터는 호스트 시스템에 설치할 수 도 있는데 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은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의 제 2실시예로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호스트 시스템(600)과, 상기 호스트 시스템(600)으로부터 출력되는영상신호를 액정표시소자에 표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액정표시소자 모듈(200)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 시스템(600)은 전체 시스템의 제어신호의 기준이 되는 클락신호를 생성하는 클락 신호 발생부(610)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602)와, 상기 비디오 메모리(602)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TFT LCD 판넬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당하도록 그 해상도를 조절하는 스케일러(604)와, 상기 스케일러(6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최적 계조단계값을 계산하여 변조된 영상신호를출력하는 응답필터(606)와, 상기 응답필터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영상신호와 상기 클락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TFT LCD 모듈(200)에 출력하는 출력인터페이스부(608)로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에 따른 TFT LCD 액정표시소자의 구동장치의 구동방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는 본발명에 따른 TFT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시간상으로 인접한 두 프레임의 화소정보(f(t0-1), f(t0))를 연달아 입력하여(단계 1), 최초 화소의 계조단계값을 비교하여 (단계 2), 상기 이전 프레임 화소 계조단계값(D(f(t0-1))과 현재 프레임 화소 계조단계값(D(f(t0))이 동일한지 판단하여(단계 3), 같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 계조단계값(D(f(t0))을 그대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변위계조단계값을 계산하여(단계 5), 상기 계산된 변위계조단계값을 출력한다(단계 6).
그 다음에 상기 프레임들에 대하여 최종 화소에 대하여 변위계조단계값을 계산 여부를 판단하여 (단계 7), 최종 화소가 아니면 상기 화소 다음의 화소계조단계값을 비교하는 단계(단계 8)를 수행하고, 최종화소에 대하여 화소계조단계값을 계산했으면 다음 프레임(f(t0+1))을 입력받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화소에 걸리는 구동 전압파형을 살펴보면 본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3(가)와 도 13(다)는 종래의 구동 파형이고, 도 13(나)와 도 13(라)는 본발명의 구동 파형이다. 도 13(가)와 도 13(나)는 i계조단계에서 f계조단계로 바뀔 때의 전압 파형이다. Vi와 Vf는 i와 f계조단계값의 화소정보가 입력될 때의 화소에 걸리는 전압이다. 도 13(다)와 도 13(라)는 f계조에서 i계조로 바뀔 때의 전압 파형이다.
본 발명의 구동에서는 동일화소의 전 프레임의 계조단계와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가 다르면, 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계조 차이보다 큰 변위계조단계값에해당하는 화소전압을 걸어준다. 도 13(가)는 종래의 전압파형으로, (n-1) 프레임 까지는 i계조의 화상정보가 들어오고 (n)프레임부터는 f계조의 화상정보가 들어오면, 종래에는 화상정보에 따라서 이것에 대응되는 전압을 걸어주었다. 본발명에서는 도 13(나)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의 계조단계를 비교하여, 변위계조단계를 계산하여 변위계조단계에 대응되는 전압을 화소에 걸어준다.
변위계조단계는 바로 전 프레임과 현재 플레임의 임의 화소의 계조단계가 다를 때 응답시간이 짧도록 액정의 응답특성과 화소의 충방전 특성을 고려하여 걸어주는 계조단계값이다.
도 13(나)에서 프레임마다 전압파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2)프레임과 (n-1)프레임과의 화소정보의 차이가 없으므로 (n-1)프레임에서는 i계조에해당하는 Vi를 걸어준다. (n-1)프레임의 화소정보는 i계조이고, (n)프레임과의 화소정보는 f계조이므로, (n)프레임에서는 f계조보다 큰 h계조에 해당하는 전압에 Vh를 걸어준다. (n+1)프레임과 (n)프레임의 화소정보는 동일하므로 (n+1)프레임에서는 f계조에 해당하는 전압을 걸어준다. 도 13(다)는 (n)프레임에서 f계조에서 i계조로 바뀔 때의 종래의 구동 파형으로, 화소정보에 따라서만 전압이 달라진다. 도 13(라)는 화소정보가 달라지는 (n)프레임에서 i계조보다 낮은 e계조에 해당하는 전압 Ve를 걸어준다. 인접프레임의 계조단계를 비교하여 이로부터 변위계조단계를 결정하여 계조와 계조 사이의 응답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변위계조단계에 대한 범위는 화소의 충방전 특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화소에 가장 낮은 전압(0V)이 걸렸다가 가장 큰 전압(5V)이 걸리는 경우를 과정을살펴보면, 화소전압이 0V와 5V가 걸렸을 때의 화소가 평형상태 액정층의 전기용량을 각각 C(0V)와 C(5V)라면, 전하가 충방전되는 선택시간은 30μs이하로 액정의 반응시간에 비하여 짧기 때문에, 선택기간 동안은 액정의 전기용량의 변화를 무시할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의 전압이 0V에서 5V로 변하는 첫번째 프레임에서 액정층 에 충전되는 전하(Q)는 5V와 C(0V)의 곱이다. 평행상태에서 화소에 충전되는 전하는 5V와 화소의 정전용량 C(5V)의 곱이므로, 화소정보가 아닌 전하로 본다면 화소에 걸어주어야되는 전압(Va)은 식 (4)와 같다.
화소전압이 3V가 걸렸을 때의 평형상태에서 액정층의 전기용량을 각각 C(3V)이라고 가정한다. 화소전압이 3V가 걸렸다가 가장 큰 전압(5V)이 걸렸을 때의 화소에 필요한 전하량을부터 응답시간을 짧게하는 구동전압은 식 (5)와 같다.
같은 5V가 화소정보가 걸리더라도 5V가 걸리기 전에 화소에 걸린 전압에 따라서 걸어주는 변위계조에 해당하는 전압이 다르다.
도 14에 실제 예가 나타나 있다. 화소에는 보전용량(Cs)이 없다고 가정한다.기본 단위는 편의상 생략한다. 도 14(가)는 구동전압에 대한 화소의 정전용량이고,도 14(나)는 평행상태에서 구동전압에 대한 화소의 전하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가)에서 0V와 5V가 걸렸을 때의 평형상태의 액정의 용량이 1.00과 1.78이다. 화소의 초기 전압이 0V에서 5V로 바뀐다고 가정하면, 선택기간 동안에 축적된 화소의 용량은 5(1.0 ×5)이다 (A점). 비선택 기간 동안에 액정은 내부 전기장 때문에액정분자가 재정렬된다. 화소의 전하는 일정하지만 액정분자가 일어나서 화소의 정전용량이 커지므로 액정층에 걸리는 전압은 줄어든다. 비선택 기간이 액정의 응답시간에 비하여 충분히 길다면 도 14(나)와 같이 액정의 용량이 1.6으로 달라지고화소의 전압도 3.1V의 균형상태가 된다(B점). 다음 프레임의 선택기간이 되기 직전의 화소의 전압은 3.1V 상태가 되므로, 5V가 걸리기 위해서는 몇 프레임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0V에서 5V로 변하는 순간에 평행상태에서 필요한 전하를 공급하기 위하여 8.9V(1.78 ×5V)를 걸어주면 화상정보의 왜곡없이 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변위계조단계는 화소정보가 변하기 직전의 계조단계와 화소 정보가 달라지는 계조단계마다 다르다. 모든 계조단계의 변화에 변위계조를 별도로 기억하여 화소에 걸어주는 전압을 변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256계조단계의 경우에는 화소정보가 달라지는 경우의 수가 (256 ×256)이므로, (256 ×256 ×8) 비트의 메모리에 변위계조단계를 기록하여, 현재 프레임에 대한 계조단계와 바로 전 프레임에 해당하는 계조단계를 입력받아서, 16비트(8비트×2)입력에 대한 디코딩을 하여 변위계조단계를 찾아내어 응답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응답필터(23)는 전프레임의 계조단계와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의 차이 그리고 능동소자의 특성 그리고 화소의 구조 그리고 액정의 반응특성을 고려하여, 계조와 계조 사이의 응답특성을 가장 최적인 변위계조를 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은응답필터가 TFT 액정표시소자 모듈(21)에 두는 구조이고, 도 9는 응답필터를 외부호스트 시스템(100)에 두는 방식이다. 도 8의 구조에서는 전 프레임의 계조단계에대한 메모리가 필요하다. 스케일러(506)에서 나온 화소의 계조정보는 메모리버퍼(510)에 저장이 되고, 응답필터에서는 스케일러에서 나오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화소의 계조단계와 메머리버퍼에서 나오는 화소의 전프레임의 계조단계를 비교하여 변위계조단계를 결정한다. 도 9의 구조에서는 추가되는 비디오 메모리는 없지만, 비디오 메모리 기능을 본 발명에 맞게 두 프레임이 한 쌍이 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응답필터에서 변위계조를 정한다. 비디오 메모리에서는 현재 프레임에 해당하는 화소정보와 전 프레임의 화소정보를 스케일러에 보내고, 스케일러에서 나온 두 프레임에 대한 화소정보를 입력받아서 응답필터가 변위계조단계를 계산한다.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15는 TFT 액정셀의 전기광학 특성이다. 감마값을 2.0으로 했을 때의 식(3)으로 계산한 계조단계별 투과율과, 각각의 계조단계에 대한 도 15의 전압이 아래 표(1)과 같다.
감마값이 2.0인 31계조의 상대 투과율은 1.4%이고, 도 15의 전기광학투과곡선으로부터 1.4%인 전압을 알아내면 2.15V가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대표적인 계조단계인 표(1)의 9단계 계조에 해당하는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표(2)는 대표적인 9단계 계조 사이에서의 응답 특성이 가장 빠르고, 신호 왜곡이 가장 적은 변위계조단계이다. 이 값은 화소의 필요전하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1차 범위를 정하고, 변위계조단계를 달리하면서 화상왜곡이 적으면서 응답시간이 짧은 것을 실험으로 정한 것이다.
표(2)에서 왼쪽 계조단계는 시작 계조단계이고 위쪽은 끝 계조단계이다. 표(2)는 실험적으로 구한 값이다. 처음 10 프레임 동안에는 초기조단계에 해당하는 전압을 걸어주고, 한 프레임 동안만 변위계조단계에 해당하는 전압을 걸어주고, 나중 10 프레임은 끝 계조단계에 해당하는 전압을 걸어주었다. 31 계조단계에서 63계조단계로 화소 정보가 달라지면, 달라지는 첫 프레임 동안에는 111계조단계의화소정보가 들어가고,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63계조단계가 입력이 된다. 63 계조단계에서 31 계조단계로 화소 정보가 달라지면, 달라지는 첫 프레임 동안에는 0 계조단계의 화소정보가 들어가고,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31 계조단계가 입력된다. 아래 표(3)는 임의 화소에 화소정보와 표(2)의 응답필터의 자료로부터 응답특성이 최적인 화소계조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표(3)에서 첫번째 프레임의 화소정보는 가장 어두운 0 계조단계이다. 이 때는 전프레임의 화소 정보가 없으므로 변위계조단계는 0이다. 두번째 프레임은 0계조에서 63계조로 바뀌었으므로 표(2)에서 시작 계조단계가 63이고 끝 계조단계가 63인 변위계조단계를 찾아보면 160 계조단계가 된다. 세번째 프레임의 화소계조는 전 프레임의 화소계조와 같으므로 변위계조단계는 세번째 프레임의 화소 계조단계와 같은 63이다. 네번째 프레임에서는 63 계조단계에서 31 계조단계로 바뀌었으므로 표(2)에서 시작계조가 63 끝계조가 31인 변위계조단계를 찾으면 0 계조단계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변위계조단계를 구할 수 있다.
256계조인 경우에 모든 계조단계에 해당하는 응답필터를 만들 때, 소요되는기본 메모리는 (256 ×256 ×8)로 약 520k이다. 256계조의 SXGA와 XGA에 해당하는한 프레임 메모리는 25M와 18M로 제조 비용이 추가된다. 이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응답필터는 (9 ×9 ×8)의 648비트로 간단히 만들고, 이로부터 변위계조단계를 계산하는 방법이 도 11에 나타나 있다. 도 11에서 세로축은 임의 화소의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한 프레임 바로 전의 계조단계를 나타낸다. 총 계조단계를 256계조단계로 간주하고, 32계조단계마다 변위계조단계를 기록하므로 반응필터 내부는 총 81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A점은 한프레임 전의 계조단계가 31이고,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가 (m+31)인 화소 상태를 나타낸다. B점은 한프레임 전의 계조단계가 255이고,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가 31인 화소 상태를 나타낸다. 한 프레임 전의 계조단계와 현재의 계조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를 K점이라고 하면, K점은 한 프레임 전에는 (n+a)계조단계의 화상정보가 들어오고 현재 프레임에서는 (m+b)계조단계가 들어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점이다. a와 b는 0보다 크고 32보다 작은 정수이다. 응답시간을 짧게하는 계조는, 인접 4개의 좌표(n,m), (n+31,m),(n, m+31),(n+31,m+31)의 변위계조단계(α, β, σ, θ )로부터 떨어진 좌표거리의 평균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K점이 (n,m)점에 가까우면 K점의 변위계조단계가 α 값에 가깝고, (n+31,m+31) 점에 가까우면 K점의 변위계조단계가 σ 값에 가깝다. K점에 해당하는 변위계조는 식(6)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상위 3개의 비트로부터(α, β, σ, θ )를 결정하고 하위 5개의 비트로부터 a와 b를 받아서 평균효과를 이용하여 연산으로 모든 계조단계의 변환에 대한 응답특성이 좋은 변위계조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위의 계산 과정을 수행하는 응답필터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가)는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의 데이터와 전프레임의 계조단계의 데이터를각각 8비트씩 받아서 상위 3비트로 (α, β, σ, θ )를 결정하고 이 4값과 하위 5비트(a,b)로 변위계조단계를 계산한다. 도 12(가)에서는 6비트 디코더(70)를 사용한다. 현재 프레임의 계조단계와 전프레임의 계조단계를 나타내는 화소정보의 상위 3비트로부터 변위계조단계값을 디코딩하여 α, β, σ, θ 를 결정하고, 하위 5비트 값으로부터 a, b가 결정된다. 연산부에서는 디코더에서 나온 α, β, σ, θ 와 메모리버퍼에서 나온 이전 프레임 화소의 하위비트인 a와 현재 프레임 화소정보의 하위 비트인 b를 받아서 식(6)의 변위계조단계값을 연산한다. 연산부에서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이이 화소정보가 같으면 현재 프레임의 화소정보를 출력한다. 상위 3∼4비트로 디코딩하여 α, β, σ, θ 를 결정한다.
이전 프레임에 대한 최하위 3 비트를 무시하면 256계조의 SXGA와 XGA에 해당하는 한 프레임 메모리는 16M와 12M가 필요하다. 전프레임에 대한 최하위 4비트를 무시하면 256계조의 SXGA와 XGA에 해당하는 한 프레임 메모리는 13M와 9M가 필요하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2(나)는 이전 프레임 메모리 상위 6비트만 참조하므로 요구되는 메모리를 많이 줄일 수 있다.
도 16은 본발명의 구동법과 종래 구동법으로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본 발명의 구동법을 적용한 0계조에서 31계조의 변환시 응답시간은 20ms 이내이고,종래의 방법을 적용한 것은 약 80ms이다.
도 17은 표(3)의 값으로 측정한 반응특성이다. 도17에서 (가)는 화상정보의 계조단계이고 (다)는 본발명으로 적용했을 때의 반응곡선이고, (나)는 종래의 구동법을 적용했을 때의 반응특성이다.
본발명의 구동법은 전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낮은 전압이 걸렸을 때의 응답 특성을 짧게할 수 았다. 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걸리지 않는 상태로의 전환이빠르고, 반대로 전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낮은 전압이 걸렸을 때의 응답 특성이 느린 수직배향 액정 모드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발명의 기술에서는 주로 현재의 프레임과 바로 전 프레임의 계조단계의 정보로부터 응답특성이 최적인 변위계조단계를 구하였는데, 현재 프레임을 기준으로 다음 프레임에 입력되는 화소 정보를 알아내어 같은 방법으로 변위계조단계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시간상으로 바로 인접하는 두 프레임 사이의 계조단계의 정보로부터 응답특성이 최적인변위계조단계를 구하는 방법은 같다.
본발명은 응답특성을 빠르게 한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액정의 점성과 액정셀의 두께를 얇게하여 응답특성을 계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율이 떨어질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계조와 계조 사이의 응답시간이 액정 모드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발명은 액정셀 부분은 변하지않고 모듈회로나 또는 외부 비디오처리부에 액정 특성에 맞는 응답필터를 거치게하여 계조와 계조 사이의 응답특성을 개선하였다. 이 구동법을 VA모드에 적용하면32단계를 기준으로 계조와 계조 사이의 변환이 16ms 이하가 되어, 브라운관과 같은화질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대형 액정 TV나 멀티미디어 모니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소정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응답필터부와;
    상기 응답필터부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액정표시소자에 표시하기에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조절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표시소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상신호 중에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저장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를 동기시키는 클락신호를 생성하는 클락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필터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필터는
    상기 영상신호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프레임에서 각 화소의 상위 비트들에 대한 계조단계값을 입력받아 디코딩하고 비교하여 기준변위계조단계값을 생성하는 디코더와;
    상기 영상신호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각 화소의 하위 비트들에 대한 계조단계값과 상기 디코더에서 출력된 기준변위계조단계값을 입력받아 변위계조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6에서 8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비트는 3에서 4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는
    수직배향모드의 능동액정표시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장치.
  9. 영상신호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들을 입력받아 각 화소의 계조단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프레임 화소 계조단계값과 현재 프레임 화소 계조단계값 같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 계조단계값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변위계조단계값을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변위계조단계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조단계값에 대응되는 화소의 전압(Va)이
    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Ci는 이전 프레임의 계조에 대응되는 화소의 전기용량을 나타내고, 상기 Cf와 Vf는 현재 프레임의 화소정보에 대응되는 화소의 용량과 전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
  11. 화소마다 능동소자가 있고, 동일화소에 대한 시간상으로 인접하는 두 프레임의 화소 정보가 다르면, 인접하는 두 프레임의 계조 차이보다 크게 화소의 계조를변조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동일화소의 인접 두 프레임의 화소정보의 상위 비트로부터 계조 변조 값의 최대 범위를 정하고, 동일화소의 인접 두 프레임의 화소정보의하위 비트로부터 계조 변조 값을 정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호스트 시스템에서 동일화소의 인접 두 프레임의 화소정보로부터 변위계조단계값을 졀정하는 액정표시소자 구동방법.
KR1019990057347A 1999-12-13 1999-12-13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10055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47A KR20010055986A (ko) 1999-12-13 1999-12-13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347A KR20010055986A (ko) 1999-12-13 1999-12-13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986A true KR20010055986A (ko) 2001-07-04

Family

ID=1962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347A KR20010055986A (ko) 1999-12-13 1999-12-13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598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516A (ko) * 2001-12-31 2003-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KR100507546B1 (ko) * 2001-09-26 2005-08-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KR100543233B1 (ko) * 2000-08-18 2006-01-20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스트 디스프레이 액정표시장치
KR100641249B1 (ko) * 2000-03-29 2006-10-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US7239298B2 (en) 2002-12-19 2007-07-0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2540531A (zh) * 2012-01-11 2012-07-0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提高液晶波前校正器响应速度的过渡灰度级驱动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249B1 (ko) * 2000-03-29 2006-10-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KR100543233B1 (ko) * 2000-08-18 2006-01-20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스트 디스프레이 액정표시장치
KR100507546B1 (ko) * 2001-09-26 2005-08-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US7145535B2 (en) 2001-09-26 2006-12-0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30058516A (ko) * 2001-12-31 2003-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US7239298B2 (en) 2002-12-19 2007-07-0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782288B2 (en) 2002-12-19 2010-08-2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2540531A (zh) * 2012-01-11 2012-07-0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提高液晶波前校正器响应速度的过渡灰度级驱动方法
CN102540531B (zh) * 2012-01-11 2014-05-2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提高液晶波前校正器响应速度的过渡灰度级驱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856B2 (en) Signal driving circu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3449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common voltage compens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33005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KR10130820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100377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dot inversion thereof
KR20020009900A (ko) 스윙 공통 전극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70121077A (ko) 액정표시장치
JP2007148369A (ja) 表示制御回路、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回路
CN111816137A (zh)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89078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14081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948462B2 (en) Method for driving LCD monitor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frame data during a plurality of frame durations
KR2007005933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8009418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9003A (ko) 공통전압 자동조절 액정표시장치
KR10067004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10055986A (ko) 응답시간이 짧은 액정표시소자 구동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329584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8019198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gradation voltage adjust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133881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4004955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8870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615769B1 (ko) 수평 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6470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35138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