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154A -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 Google Patents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154A
KR20010055154A KR1019990056249A KR19990056249A KR20010055154A KR 20010055154 A KR20010055154 A KR 20010055154A KR 1019990056249 A KR1019990056249 A KR 1019990056249A KR 19990056249 A KR19990056249 A KR 19990056249A KR 20010055154 A KR20010055154 A KR 2001005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vertical pitch
electron beam
aperture
sha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812B1 (ko
Inventor
고성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812B1/ko
Priority to JP2000374038A priority patent/JP3481912B2/ja
Priority to US09/731,845 priority patent/US6531812B2/en
Priority to CNB00120680XA priority patent/CN100336158C/zh
Publication of KR2001005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5Beam passing apertures, e.g. geometr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모아레(moire) 저감 및 휘도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새도우마스크의 브릿지 그림자(bridge shadow)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패널 글라스과(3), 상기 패널 글라스의 후방에 고정되며 일체로 형성된 네크부에는 형광체 측으로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이 봉입된 펀넬 글라스(4)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1)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2)와, 상기 패널 글라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색선별 역할을 수행하며 면상에 슬롯 타입의 어퍼처(7)가 형성된 새도우마스크(5)를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a)와 화면에 주사(scan)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와의 관계가,로 나타나고, 이때,,

Description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아레 저감 및 휘도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새도우마스크의 브릿지 그림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새도우마스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람이 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사람의 눈의 특성에 의해 소자의 품격이 달라지게 된다.
한편, 사람의 눈의 특성은 명암의 차이를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데, 이를 공간각주파수(angular spatial frequency)와 모듈레이션 뎁스(modulation depth)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람의 눈은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밝고 어두움의 차이가 작더라도 이를 분별할 수 있고, 다른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밝고 어두움의 차이가 크더라도 이를 분별할 수 없게 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와 마스크의 수직피치는 사람의 눈으로는 분별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전자빔의 수직피치와 마스크의 수직피치는 개별적으로는 사람에게 인지되지 않지만, 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파장이 길어져 사람의 눈에 인지되는 새로운 패턴이 만들어지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는 두 웨이브(wave)의 중첩에 의해서 새로운 주기와 진폭을 가지는 새로운 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이며, 이러한 중첩의 원리가 새도우마스크를 채용하고 편향요크에 의해 편향되어 화면을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칼라 음극선관 방식에서도 나타나는데, 이 현상을 모아레(moire)라고 한다.
한편, 화면에 나타나는 모아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미 결정된 주사방식을 고정시키고, 새도우마스크의 수직피치나 전자빔의 스폿(spot) 형상과 프로파일(profile)을 잘 설계하여야 하나, 전자빔은 여러 가지 특성과 맞물려 모아레 해소에 만족할 만한 특성을 갖도록 설계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설계자들은 새도우마스크를 개선하는데 집중하는데, 이를 분석, 설계하기 위하여 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모아레는 라스터 모아레(raster moire)로 화면에 가로 줄무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패널 글라스(3)(pannel glass)와, 상기 패널 글라스(3)의 배면에 프릿글라스에 의해 고정된 레일(도시는 생략함)에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자빔의 색선별 역할을 하도록 원형 또는 슬롯 형상의 어퍼처(7)(aperture)가 무수하게 형성된 새도우마스크(5)와, 상기 패널 글라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전자빔이 외부지자계나 누설자계에 의해 진로가 변경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마그네틱 실드(6)(magnetic shield)와, 상기 패널 글라스에 프릿글라스에 의해 고정되며 후방에 네크부가 일체로 형성된 펀넬 글라스(4)(funnel glass)과, 상기 펀넬 글라스(4)의 네크부에 봉입되어 R·G·B 3색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과,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2)(DY)등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 브라운관에 구비되는 각 요소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상기에서 전자총(1)은 전자를 생성시킬 수 있는 탄산염과 니켈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의 탄산염의 일에너지를 낮춰 전자의 방출이 잘 일어나도록 열에너지를 제공하는 히터와, 스크린에 포커싱될 때 빔스폿 사이즈(beam spot size)를 결정하는 G1전극과, 캐소드 근처에 구름 형태로 모여 있는 전자를 뽑아내기 위한 전압을 조정하는 G2전극과, 캐소드로부터 넓게 퍼져 나오는 한 다발의 전자빔을 프리-포커싱하는 프리-포커스 전극과, 스크린에 정확하게 포커싱 할 수 있게 하는 메인 렌즈 역할을 하는 집속전극과, 전자의 운동에너지를 크게하여 스크린을 밝게 발광시킬 수 있게 전자를 가속하는 가속전극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편향요크(2)는 R·G·B 3개의 전자빔을 수평으로 편향시키는 수평코일과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직코일, 그리고 상기 각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력의 효율을 높이고 밖으로 누설되지 않게 자계를 편향요크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페라이트 코아와, 코일로 맞추지 못한 3개의 전자빔의 컨버전스(convergence)를 세밀하게 맞추는 회로단자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패널 글라스(3)는, 튜브 내부가 진공에 가까운 10-7Torr의 압력을 가지므로 대기압에 견딜 수 있는 진공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일정값 이상의 두께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패널 글라스(3)의 내면에는 원하는 정보를 잘 표현할 수 있게 R·G·B 형광체와 BM(Black Matrix)이 도포되어 있으며, 형광체의 발광 효율을 높이는 한편 튜브 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막이 증착되어 있다.
그리고, 네크부 내에는 전자총(1)이 삽입되어 봉지되고 네크부 외주면 상에는 편향요크(2)가 끼워지는 펀넬 글라스(4)의 내면에는 전자가 외부 전기장에 의한 힘을 받지 못하게 전도체인 흑연이 도포된다.
따라서, 튜브 내부는 완전한 도체 껍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전기장을 "0"으로 만들어주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새도우마스크(5)는 보통 마스크 수평피치(Vp)의 2배되는 크기로 주사되는 R·G·B 형광체 발광용 전자빔을 선별하여, 정확하게 화면의 정해진 위치에 랜딩(landing)될 수 있게 어퍼처(7)(aperture)를 형성시킨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마그네틱 실드(6)는 외부의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자빔의 경로가 쉽게 변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성체로 만들어져 튜브 내부로 들어가는 자계를 끌어 모아 실드를 타고 흘러 나가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평면 브라운관에서는, 전자빔이 순차적으로좌(左)에서 우(右)로, 상(上)에서 하(下)로 주사(scan)되는데, 수평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와 새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즉, 수직 배열의 피치)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물결 무늬가 나타나는 모아레(moire)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며, 이러한 모아레 현상은 화면의 질을 저하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새도우마스크(5) 설계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요소 - 즉, 해상도와 관계하는 어퍼처(7)의 수평피치(horizontal pitch)(Vp), 모아레 현상 및 휘도와 관계하는 어퍼처(7)의 수직피치(vertical pitch)(a), 퓨러티 여유도(purity margin)와 관계하는 슬롯 폭(slot width)(Sw), 새도우마스크(5)의 구조 강도와 휘도에 관계하는 브릿지 폭(bridge width)(Bw) - 를 고려하여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에 대한 최적의 설계치를 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모아레 식을 이용하여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에 대한 최적치를 산출하게 된다.
,
여기서,는 모아레 파장, Mm은 모아레 파장의 모듈레이션 뎁스(modulation depth), s는 수평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의 치수, a는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처 수직피치, w는 브릿지 폭(bridge width),는 전자빔의 수직 스폿 사이즈(gaussian 분포라고 가정함), n는 주사된 빔(scanned beam)을 푸리에 급수로 전개했을 때의 하모닉 지수(harmonic index number), m은 새도우마스크 어퍼처의 수직 배열을 푸리에 급수로 전개했을 때의 하모닉 지수를 말한다.
상기한 식에 의해 보통 640×480, 800×600, 1024×768, 1260×1024, 1600×1200 등의 해상도 모드를 사용하는 CDT(Colour Display Tube)에서는 17인치의 경우에 0.23∼0.32㎜, 19인치의 경우에 0.25∼0.33㎜, 21인치의 경우에 0.30∼0.37㎜ 정도의 마스크 수직피치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의 수직피치는 포커스 특성을 위한 전자총(1)의 스폿 사이즈(spot size)가 횡장형이어서 전자빔의 수직방향의 사이즈가 작아질 경우에도 모아레 현상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피치이다.
또한, NTSC 방식과 PAL 방식등을 사용하는 CPT(Colour Picture Tube; 이하, "CPT"라고 함)에서는 대체로 1.5㎜ 이하의 마스크 수직피치를 사용한다.
즉, 21인치 CPT를 예로 들어, 위의 모아레 식을 이용하면, PAL방식의 경우 도 4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는 모듈레이션 뎁스가 큰 m = 1, n = 1 일 때와 m = 1, n = 2 일 때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이는 일본 특개평9-506497호에 기재된 수평으로 주사(scan)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에 대한 새도우마스크 어퍼처의 수직피치(a)의 비(比) 및, 한국 특허출원번호 98-30605호에 기재된 수평으로 주사(scan)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에 대한 새도우마스크 어퍼처의 수직피치(a)의 비(比)에서의 새도우마스크 어퍼처의 수직피치(a)가 모아레 현상을 회피하기 위한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처 수직피치 영역과 잘 일치함을 보여준다.
즉, 도 4의 그래프를 통해 일본 특개평9-506497호에 기재된 0.725 0.8 혹은 1.175 1.325 의 범위 및, 한국 특허출원번호 98-30605호에 기재된 0.37 의 범위에서의 수직피치 영역과 모아레 회피를 위한 수직피치 값의 영역이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의 새도우마스크 어퍼처의 수직피치는 평판 브라운관에 적용시 모아레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일본 특개평9-506497호의 경우, 0.715∼0.79(㎜) 정도의 수직피치를 사용하면 모아레 저감에 효과를 가져온다고 되어 있고, 한국 특허출원번호 98-30605호를 보면 1.55㎜ 이상의 수직피치를 사용하면 모아레 저감효과를 가져온다고 되어 있으며, 이는 도 4에 나타낸 그래프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특개평9-506497호의 경우에는 모아레는 저감시킬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특성인 휘도 향상에는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한국 특허출원번호 98-30605호는 휘도 향상과 더불어 모아레 저감 효과를 가져오기는 하지만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처 수직피치가 커지면서 사람의 눈에 인지되는 브릿지 그림자(bridge shadow)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브릿지는 수직 배열의 어퍼처(7) 사이의 영역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처 수직피치가 커질 경우, 이 부분이 그림자 형태로 화면에 나타나 사람의 눈에 인지되게 된다.
이때, 브릿지 그림자는 CTF(Contrast Threshold Function; 이하, "CTF"라고 함)와 브릿지의 공간주파수와 모듈레이션 뎁스로 평가되며, CTF에 관한 식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
여기서,이고,
이며,
이고,
이다.
한편, 또 다른 CTF에 관한식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있다.
여기서, D는 시청거리(viewing distance)이고,
이고,
이며,
이고,
이다.
그리고, 브릿지 그림자에 대한 공간 주파수와 모듈레이션 뎁스로의 표현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이고,이다.
한편, 상기 식들에 의해 구해진 M(,)와 CTF(,)로부터 산출된 M(,)/CTF(,)의 값이 1보다 크면 브릿지 그림자는 눈에 인지될 확률이 높고, 1보다 작으면 눈에 인지될 확률이 낮다고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새도우마스크(5)의 어퍼처 수직피치(a)를 설계할 때에는 모아레 및 휘도 증가를 염두에 둠과 더불어 M(,)/CTF(,)의 값이 1보다 작은 값이 되도록 하여 브릿지 그림자가 제어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처 수직피치 설계치를 최적화하여, 모아레 저감 및 휘도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새도우마스크의 브릿지 그림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새도우마스크 상에 형성된 어퍼처 구조도
도 3은 사람의 눈의 특성을 설명하는 각주파수와 콘트라스트 감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새도우마스크 수직피치와 파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21인치 CPT의 마스크 수직피치가 7㎜일 때의 M(,)와 CTF(,)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전자총 2:편향요크
3:패널 글라스 4:펀넬 글라스
5:새도우마스크 6:마그네틱 실드
7:어퍼처 a:어퍼처의 수직피치
Vp:어퍼처의 수평피치 Sw:어퍼처의 폭
Bw:브릿지 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패널 글라스과, 상기 패널 글라스의 후방에 고정되며 일체로 형성된 네크부에는 형광체 측으로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봉입된 펀넬 글라스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와, 상기 패널 글라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색선별 역할을 수행하며 면상에 슬롯 타입의 어퍼처가 형성된 새도우마스크를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에 형성된 어퍼처의 수직피치(a)와 화면에 주사(scan)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와의 관계가,로 나타나고, 이때,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새도우 마스크 상에 형성된 어퍼처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사람의 눈의 특성을 설명하는 각주파수와 콘트라스트 감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새도우마스크의 어퍼처 수직피치와 파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21인치 CPT의 마스크 어퍼처의 수직피치가 7㎜일 때의 M(,)와 CTF(,)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패널 글라스(3)과, 상기 패널 글라스(3)의 후방에 고정되며 일체로 형성된 네크부에는 형광체 측으로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이 봉입된 펀넬 글라스(4)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1)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2)와, 상기 패널 글라스(3)의 내측에 고정되어 색선별 역할을 수행하며 면상에 슬롯 타입의 어퍼처(7)가 형성된 새도우마스크(5)를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a)와 화면에 주사(scan)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와의 관계가,로 나타나고, 이때,가 각각,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모아레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화면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와 새도우마스크(5)의 어퍼처(7)의 수직배열의 주기적인 성질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즉, 어떤 값의 강도(amplitude)와 주기적(periodic) 성질을 갖는 두 웨이브가 곱해지게 되면, 새로운 값의 강도와 새로운 주기를 갖는 웨이브가 생겨나게 된다.
이때 새도우마스크(5)의 역할은 일정한 수직피치로 주사되는 전자빔을 막거나 통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와 새도우마스크(5)의 수직피치의 디멘젼(dimension)이 비슷하여 디멘젼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엄청나게 커져 사람의 눈에 잘 인지되는 파장을 갖는 새로운 패턴을 만들게 되고,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와 새도우마스크(5)의 수직피치의 디멘젼(dimension)이 달라 디멘젼 차이가 상대적으로 커지면 상호작용이 작아져 원래의 자기 파장을 가지고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새도우마스크(5) 피치가 작게 되면 스크린의 휘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모아레를 저감시키려면 새도우마스크(5)의 어퍼처 수직피치(a)가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에 비해 현저히 커야 한다.
이렇게 되면, 화면상에 작은 파장으로 나타나는 것은 주사되는 전자빔이며, 크게 나타나는 것은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배열이다.
이때, 스캔되는 전자빔은 그 파장이 짧고 모듈레이션 뎁스가 사람의 눈이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큰 값을 갖지 못하므로 사람이 인지하기가 어려우며, 긴 파장으로 나타나는 새도우마스크 어퍼처의 수직 배열은 파장이 길어 사람의 눈에 보일 수 있으나, 모듈레이션 뎁스를 감안한다면 인지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또한 특정값 이상으로 새도우마스크(5)의 수직피치가 증가하면 사람의 눈에 쉽게 인지될 수 있는 파장이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이때의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는 그 자체값으로 존재하는 대신, 화면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에 대한 새도우마스크 어퍼처(7)의 수직피치(a)의 비(比)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비가 소정값의 범위() 내에 있어야 모아레 저감과 동시에 화면상에 나타나는 브릿지 그림자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의 값은 튜브의 화면 사이즈와 전자빔의 주사수에 따라 달라지나, 본 발명에 따르면 대략적으로,의 값을 갖게 되며 이때에는 브릿지 그림자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의 값의 범위는 튜브의 화면 크기와 주사선수에 따라 변화하는데, 화면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주사선수가 크면 클수록의 값은 커지게 된다.
한편, 브릿지 그림자에 대한 눈의 인지 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M(,)/CTF(,) 의 값이 1보다 크면 눈에 인지될 확률이 높고, 1보다 작으면 눈에 인지될 확률이 낮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1인치 CPT의 마스크 수직피치가 7㎜일 경우에는 새도우마스크(5)에 형성된 어퍼처(7)의 수직피치가 상기한 소정값의 범위를 만족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M(,)/CTF(,)의 값이 CTF 곡선 바로 아래 근처에 위치하므로 사람의 눈에 인지되는 확률이 낮다.
따라서, 새도우마스크(5)의 어퍼처 수직피치(a) 값이 본 발명에서 산출된 영역 범위 내에 속할 경우에는, 기존의 새도우마스크 어퍼처 수직피치와 비교했을 때 수직피치가 매우 커서 휘도 증가와 더불어 모아레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며, 브릿지 그림자가 인지가 불가능해져 디스플레이 장치의 품격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평면 브라운관의 새도우마스크에 형성되는 슬롯 타입의 어퍼처에 있어서, 어퍼처 중심간의 거리인 수직피치를 모아레 저감 및 휘도향상 그리고 브릿지 그림자 해소가 가능하도록 최적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새도우마스크의 수직피치와 주사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와의 상호작용을 약하게 만들어, 모아레를 저감시킴은 물론 및 휘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새도우마스크의 브릿지 그림자를 인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

  1. 내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패널 글라스과, 상기 패널 글라스의 후방에 고정되며 일체로 형성된 네크부에는 형광체 측으로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봉입된 펀넬 글라스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와, 상기 패널 글라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색선별 역할을 수행하며 면상에 슬롯 타입의 어퍼처가 형성된 새도우마스크를 구비한 평면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에 형성된 어퍼처의 수직피치(a)와 화면에 주사(scan)되는 전자빔의 수직피치(s)와의 관계가,로 나타나고, 이때,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19990056249A 1999-12-09 1999-12-09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33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49A KR100331812B1 (ko) 1999-12-09 1999-12-09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JP2000374038A JP3481912B2 (ja) 1999-12-09 2000-12-08 平面ブラウン管用シャドーマスク
US09/731,845 US6531812B2 (en) 1999-12-09 2000-12-08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CNB00120680XA CN100336158C (zh) 1999-12-09 2000-12-09 平面阴极射线管的荫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49A KR100331812B1 (ko) 1999-12-09 1999-12-09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154A true KR20010055154A (ko) 2001-07-04
KR100331812B1 KR100331812B1 (ko) 2002-04-09

Family

ID=1962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249A KR100331812B1 (ko) 1999-12-09 1999-12-09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31812B2 (ko)
JP (1) JP3481912B2 (ko)
KR (1) KR100331812B1 (ko)
CN (1) CN1003361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703B1 (ko) * 2000-01-28 2003-11-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모아레가 개선된 음극선관
KR100447650B1 (ko) * 2002-07-12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인장형 새도우 마스크
WO2005081280A1 (en) * 2004-01-23 2005-09-01 Thomson Licensing Crt having a low moire transformation function
JP5423240B2 (ja) * 2009-08-24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閃光放電管用電極及び閃光放電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18B1 (ko) * 1994-09-07 2002-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칼라음극선관및디스플레이장치
WO1996011490A1 (en) 1994-10-05 1996-04-18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cathode ray tube and display device
KR19980030605A (ko) 1996-10-30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시트쿠션의 무게감응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89138A (ja) 2001-07-10
CN1303117A (zh) 2001-07-11
CN100336158C (zh) 2007-09-05
JP3481912B2 (ja) 2003-12-22
US6531812B2 (en) 2003-03-11
KR100331812B1 (ko) 2002-04-09
US20010045795A1 (en)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939B1 (ko) 컬러음극선관
KR100331812B1 (ko) 평면 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CA1237464A (en) Electron gun having a two piece screen grid electrode means
US6617778B2 (en) Electron gun assembly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323977B1 (ko) 두개의음극선관을갖는음극수상관
US6509680B2 (en) Electron gu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n electron gun
US647995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62552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1449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596233B1 (ko) 컬러 음극선관
US20060125403A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electron gun with pre-focusing lens portion
KR100370070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46922B1 (ko) 음극선관
US20060202601A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KR10060724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20020015441A (ko) 칼라 음극선관과 이의 구동방법
KR100594648B1 (ko) 칼라음극선관의 선택표시장치
KR100337881B1 (ko) 지자계 차폐용 인너실드 조립체
KR20000045833A (ko) 평면 crt 구조
KR20020095857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40076117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13926A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구조
JPH1131464A (ja) カラー陰極線管の電子銃
KR20050090506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0017759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