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754A -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754A
KR20010054754A KR1019990055709A KR19990055709A KR20010054754A KR 20010054754 A KR20010054754 A KR 20010054754A KR 1019990055709 A KR1019990055709 A KR 1019990055709A KR 19990055709 A KR19990055709 A KR 19990055709A KR 20010054754 A KR20010054754 A KR 2001005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lever
hinge
unit
bal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330B1 (ko
Inventor
최진오
Original Assignee
이충곤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곤, 삼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곤
Priority to KR101999005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3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16H2059/0269Ball joints or spherical bearings for supporting the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프트레버가 최소 2방향으로 작동 및 작동감을 주기 위하여 시프트 힌지부 (Shift Hinge)와 셀렉터 힌지부(Select Hinge)로 연결구성함에 있어, 시프트 힌지부(6)는 카바(4) 내부에 하나의 구형태를 갖고 또 수개의 절개홈(24)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볼샤프트(14)가 그 저부로부터 탄력있게 삽입되게 하고 셀렉터 힌지부(10)는 셀렉터레버(8)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34)내에 연결부(36)를 사이에 두고 수개의 절개홈(44)(45)에 의해 탄성을 갖는 원통부(40)와 곡면부(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역시 볼샤프트(19)가 탄력있게 삽입되게 하므로서 줄어든 부품수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 무효스트록과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shift lever of car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를 콘트롤 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Shift Lever) 및 셀렉터레버(Select Lever)를 연결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Shift Lever)는 최소 2방향으로의 작동 및 작동감이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조건은 시프트 힌지부(Shift Hinge)와 셀렉터 힌지부 (Select Hinge)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 생산되고 있는 차종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는 미국특허 제5,024,117호로서 이외에도 미국특허 제4,873,884호등 여러건을 예로 들수가 있으나 이들 모두는 시프트 힌지부와 셀렉터 힌지부로 인하여 생산성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모두 만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7은 미국특허 제5,024,117호로를 토대로 작성된 종래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서, 먼저 시프트힌지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반구형 리시빙 스페이스(Receiving Surface)를 갖는 브라켓(52) 상부의 받침부(54)와 리테이닝 스페이스(Retaining Surface)를 갖고 또 등간격의 절개홈(56)에 의해 방사형으로 탄성을 갖는 캡(58)의압착부(60)로 구성하여 볼샤프트(Ball Shaft)(62)의 안착 및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프트 힌지부는 시프트레버(64)의 볼샤프트(62)를 안착시켜 주기 위하여는 받침부(54)와 압착부(60)로 분리구성될 수 밖에 없어 부품수 및 조립공정의 추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리테이닝 스피스를 갖는 압착부(60)는 볼샤프트(62)와의 접촉시 절개홈(56)에 의해 갖는 자체 탄성력으로 시프트레버(64)의 작동을 원활히 하고 내구전 유격과 내구후 마모에 의한 유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압착부(60)의 두께가 두꺼워 탄성력을 제대로 갖출수가 없기 때문에 상하유격이 발생되거나 또는 볼샤프트(62)를 강제압착시켜 시프트레버(64)의 작동을 무겁게 하므로 시프트레버(64)의 작동력과 관계되는 약간의 저항감과 매끄러운 운동감을 얻기 어렵다.
또한 셀렉터 힌지부는 부싱(Bushing)(68)이 시프트레버(64)의 슬라이딩과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도록 하고 상기 부싱(68) 내부의 볼루버(Ball Rubber)(70)가 볼샤프트(72)의 구형표면과 부싱내경 그리고 부싱외경과 인서트(Insert) 내경의 무효스트록을 감소시켜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역시 셀렉터레버(74)에 고정되는 인서트(74) 이외에 부싱(68)과 볼루버(70)를 필요로 하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정의 추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제조시 부싱(68)의 내,외경과 인서트(76)의 내경은 정확한 치수가 요구되나 요구되는만큼 정밀한 치수로 제작하기가 어려워 치수불량으로 인한 무효스트록 및 노이즈가 발생되고, 이러한 무효스트록을 방지하기 위한 볼루버(70)는 제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며 시프트레버(14)로서 요구되는 작동력을 얻기 어려운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합성수지재 인서트(76)와 볼부싱(68)은 외적 조건변화로 인한 수축 및 팽창으로 정밀제작이 불가능함을 감안할 때 요구되는 정밀성으로 금형개발비만 추가소요될 뿐 치수불량으로 인한 무효스트록 및 노이즈가 발생되며 이러한 무효스트록을 방지하기 위한 볼루버(70)는 제역할을 다할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에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프트 힌지부와 셀렉터 힌지부를 각각 일체형의 단품으로 구성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오랜 사용에도 무효스트록 및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브라켓과의 연결수단을 갖는 합성수지재 카바 내측에 볼샤프트의 곡률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하나의 구형태로서 카바와의 연결부를 남겨두고 상하로 형성된 수개의 절개홈에 의해 탄성을 갖는 시프트 힌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시프트힌지부를 구성하고, 셀렉터레버에 연결고정되는 합성수지재 연결관 내에는 연결관과의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수개의 절개홈을 갖는 원통부와 곡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셀렉터 힌지부를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 시프트 힌지부는 내면이 구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그 상하에는 시프트레버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갖게 되며 수개의 절개홈에 의해 갖는 시프트힌지부의 탄성편 갯수는 그 두께나 또는 재질자체가 갖는 탄성력등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시프트힌지부를 구성하는 각 탄성편의 외면에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 상기 각 가이드가 카바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압입되게 하여 조립후 외력에 의한 시프트레버의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도 1 :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카바와 시프트힌지의 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카바와 시프트힌지의 저면도
도 5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셀렉터힌지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셀렉터힌지의 일부를 파절한 사시도
도 7 : 종래 발명의 단면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브라켓 (4)--카바
(6)--시프트 힌지부(Shift Hinge) (8)--셀렉터레버(Select Lever)
(10)--셀렉터 힌지부(Select Hinge) (12)--시프트레버(Shift Lever)
(14)--볼샤프트(Ball Shaft) (16)(18)--관통공
(19)--볼샤프트 (20)--작동공
(22)--연결부 (24)--절개홈
(26)--탄성편 (28)--가이드
(30)--통공 (34)--연결관
(36)--연결부 (40)--원통부
(42)--곡면부 (44)(45)--절개홈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브라켓(2) 상단에 고정되고 카바(4)와 일체로 제작되는 시프트 힌지부(Shift Hinge)(6)와, 셀렉터레버(Select Lever)(8)를 연결하는 셀렉터 힌지부(Select Hinge)(10)로 구성된다.
도 3은 카바와 일체로 된 시프트 힌지부를 도시한 단면구성도로서, 시프트힌지부(6)는 시프트레버(12)의 볼샤프트(14)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하나의 구형태로서 상하에 시프트레버(12)가 관통하는 관통공(16)(18)에 의해 일측 볼샤프트 (19)가 돌출될 수 있는 작동공(20)을 갖게 되며 카바(4)와는 그 상단에 빙둘러 형성된 연결부(22)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시프트 힌지부(6)는 상부연결부(22)를 남겨두고 수개의 절개홈(24)를 상하로 형성하여 수개의 탄성편(26)을 갖도록 하고, 상기 각 탄성편(26)의 외면에는 하향내측으로 경사진 가이드(28)를 형성하여 각 가이드(28)의 하단부가 카바(4) 저부로 일부돌출되게 하며 조립시 상기 가이드(28)가 위치하는 브라켓(2) 상면에는 통공(30)을 형성하여 가이드(28)가 상기 통공(30)에 압입되게 한다.
도 5는 셀렉터 힌지부를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셀렉터 힌지부(10)는 셀렉터레버(32)에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 연결관(34)내에 상기 연결관(34)의 내벽과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36)를 사이에 두고 볼샤프트(19)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부(40)와 곡면부(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역시 연결부(36)를 남겨두고 각각 수개의 절개홈(44)(4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46)은 구리스홈, (48)은 축봉이다.
본 발명은 카바(4)를 브라켓(2)에 조립고정하기 앞서 시프트 힌지부(6) 저부로부터 시프트레버(12)의 볼샤프트(14)를 강제삽입하게 되면 수개의 탄성편(26)이 벌어지면서 볼샤프트(14)가 시프트힌지부(6)내에 안착된다.
상기 시프트힌지부(6)에 안착된 볼샤프트(14)는 상기 볼샤프트(14)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시프트 힌지부(6)의 내경에 의해 적정탄성으로 볼샤프트(14)와 접하게 된다.
시프트레버(12)가 결합된 시프트힌지부(6)는 카바(4)를 이용하여 브라켓(2) 상단에 볼트로 고정하게 되면 시프트 힌지부(6)를 구성하는 각 탄성편(26)의 가이드(28)는 일부돌출된 그 하단부가 브라켓(2)의 통공(30)에 압입고정되므로 시프트레버(12)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볼샤프트(14)가 시프트힌지부(6)를 이탈할 우려가 없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셀렉터 힌지부(10)는 축봉(48)을 이용한 셀렉터레버(8)의 연결설치시 작동공(20)을 통하여 카바(4) 외측으로 돌출된 볼샤프트(19)를 원통부(40)를 통하여 깊숙히 삽입해 주게 되면 상기 원통부(40)와 곡면부(42)는 볼샤프트(19)와의 곡률차이로 인하여 적정탄성력으로 접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프트 힌지부(6)와 셀렉터 힌지부(10)가 각각 한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품수 및 조립공정이 절감되고 또 각각 볼샤프트(14)(19)를 약간의 힘으로 삽입해 주면 조립완료되므로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수가 있고, 또한 볼샤프트(14)(19)와는 곡률차이에 의해 갖는 적정탄성으로 접하게 되므로 시프트레버의 작동감을 주기 위해 요구되는 약간의 저항감과 매끄러운 운동감을 충분히 얻을수가 있고 또 오랜사용으로 인항 마모시에도 탄성을 유지할수가 있어 무효스트록 및 노이즈를 감소시켜 줄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시프트레버의 볼샤프트를 연결지지하는 시프트 힌지부와 셀렉터 힌지부를 갖는 자동차 변속기의 수동변속레버 지지장치에 있어서, 시프트 힌지부(6)는 브라켓(2)에 조립고정되는 카바(4) 내부에 하나의 구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연결부(22)를 남겨두고 수개의 절개홈(24)을 상하로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하며 그 내경은 볼샤프트(14)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갖도록 하고 셀렉터 힌지부(10)는 연결관(34)내에 그 내벽과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36)를 사이에 두고 볼샤프트(19)의 곡률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원통부(40)와 곡면부(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역시 연결부(36)를 남겨두고 수개의 절개홈(44)(4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의 수동변속레버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프트 힌지부(6)를 구성하는 각 탄성편(26) 외면에 가이드(28)를 형성하여 조립시 상기 가이드(28)가 브라켓(2) 상면의 통공(30)에 압입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의 수동변속레버 지지장치.
KR1019990055709A 1999-12-08 1999-12-08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KR10030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09A KR100309330B1 (ko) 1999-12-08 1999-12-08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09A KR100309330B1 (ko) 1999-12-08 1999-12-08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754A true KR20010054754A (ko) 2001-07-02
KR100309330B1 KR100309330B1 (ko) 2001-09-26

Family

ID=1962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09A KR100309330B1 (ko) 1999-12-08 1999-12-08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9925A (zh) * 2014-07-24 2014-11-19 孙亚男 一种自定位电动车变档装置
KR20200112347A (ko) 2019-03-22 2020-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KR20200118963A (ko) 2019-04-09 2020-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단 고정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KR20200120385A (ko) 2019-04-12 2020-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클러치시스템용 변속레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9925A (zh) * 2014-07-24 2014-11-19 孙亚男 一种自定位电动车变档装置
KR20200112347A (ko) 2019-03-22 2020-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KR20200118963A (ko) 2019-04-09 2020-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단 고정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KR20200120385A (ko) 2019-04-12 2020-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클러치시스템용 변속레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330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337B2 (en) Accelerator pedal module
US7296494B2 (en) Accelerator pedal module
WO2000077416A2 (en) Resilient member with deformed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367728A (en) Self-aligning bearing means
US5896778A (en) Operating lever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s for motor vehicles
US2824464A (en) Hinged pedal structure
CN101627216B (zh) 球节
JP5635271B2 (ja) ボージョイント用ベアリングシー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
KR20010054754A (ko)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US3788159A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WO2015056592A1 (ja) ボールシー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
DE4212346B4 (de) Kugelgelenk
EP0281397A2 (en) Pivot joint
WO2013169844A1 (en) Door handle assemblies reducing wobble
US5722298A (en) Arresting screw for vehicle transmissions
CN101983291A (zh) 无卡盘无轴衬的关节设计
CN210478662U (zh) 静音踏板结构
US5024117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hift lever for transmission
CN1986264A (zh) 操作杆系统
JPH0318740Y2 (ko)
CN209671589U (zh) 换挡指结构及换挡器
WO1997040278A1 (de) Gelenklag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11219481B (zh) 一种手动换挡机构总成
CN214661954U (zh) 一种用于电子换挡器的挡位销组件
CN107740858B (zh) 一种手动换挡器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