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619A -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619A
KR20010054619A KR1019990055500A KR19990055500A KR20010054619A KR 20010054619 A KR20010054619 A KR 20010054619A KR 1019990055500 A KR1019990055500 A KR 1019990055500A KR 19990055500 A KR19990055500 A KR 19990055500A KR 20010054619 A KR20010054619 A KR 20010054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ound signal
microphones
amplifi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락언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5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619A/ko
Publication of KR2001005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이 사용자의 음향을 수신하는 제1 마이크로폰과, 사용자의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주위에 설치된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받아서 각 음향 신호의 지연 시간을 보상하여 상기 2개의 음향 신호를 합산하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2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함과 동시에 주위의 소음원으로부터 상기 2 개의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MOBILE STATION HAVING TWO MICROPHONES}
본 발명은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2 개의 음향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고 음성신호는 확대시키는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이나 핸드폰과 같은 이동 단말의 하우징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이크로폰(40)만이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마이크로폰(40)에 사용자의 음성과 사용자 주위의 노이즈가 함께 입력되었다. 상기 마이크로폰(40)에 입력된 노이즈는 저대역 필터(6), 증폭기(8)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함께 제어 수단(42)에 입력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 수단(42)에서는 상기 음성 신호와 함께 노이즈가 포함된 음향 신호가 외부의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를 제거하고 음성 신호를 확대시킬 수 있는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음향을 수신하는 제1 마이크로폰과, 사용자의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주위에 설치된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받아서 각 음향 신호의 지연 시간을 보상하여 상기 2개의 음향 신호를 합산하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단말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의 블록도,
도 3은 두개의 음원과 두개의 마이크로폰 간의 거리 차로 생기는 음성 신호의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두개의 음원과 두개의 마이크로폰의 평면도,
도 4는 1개의 음원과 두개의 마이크로폰 간의 거리 차로 생기는 음성 신호의 지연 및 그 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a는 2개의 마이크로폰 중 하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어 수단에 먼저 도달된 음향 신호의 그래프,
도 4b는 2개의 마이크로폰 중 다른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어 수단에 나중에 도달된 음향 신호의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제1 마이크로폰 4: 제2 마이크로폰
12, 42: 제어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의 하우징 내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제1 마이크로폰(2)과 제2 마이크로폰(4)이 설치되어 있다.
저대역 필터(LPF, low pass filter, 6)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으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8)는 상기 저대역 필터(6)를 통과한 음향 신호를 증폭하도록 상기 저대역 필터(6)에 접속되어 있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 10)는 상기 증폭기(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향 신호를 디지탈 형태의 음향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증폭기(8)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수단(12)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측으로부터부터의 음향 신호와, 후술하는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측으로부터의 음향 신호의 시간 차이인 지연 시간을 보상하여 상기 2개의 음향 신호를 합산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기(DSP,digital sigal processor)이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저대역 필터(16)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으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에 포함된 고대역의 주파수를 가진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증폭기(18)는 상기 제2 저대역 필터(16)를 통과한 음향 신호를 증폭하도록 상기 제2 저대역 필터(16)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는 상기 제2 증폭기(1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향 신호를 디지탈 형태의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탈 형태의 음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12)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제2 증폭기(18)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두개의 음원과 두개의 마이크로폰과의 거리 차로 생기는 음성 신호의 지연을 설명하기 위한 두개의 음원과 두개의 마이크로폰의 평면도이다.
제1 음원(22)은 음성을 출력하는 사용자의 입이다.
제2 음원(24)은 사용자 주위의 소음을 발생하는 소음원이다.
상기 제1 음원(22)으로부터 제1 마이크로폰(2)까지의 거리(D1)와, 상기 제2 음원(24)으로부터 제2 마이크로폰(4)까지의 거리(D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차이(r)가 있다.
상기 차이(r)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마이크로폰(2) 및 제2 마이크로폰(4)으로부터 상기 저대역 필터(6)와 제2 저대역 필터(16), 증폭기(8)와 제2 증폭기(18),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와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를 통해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음향 신호의 입력 시간에 시간 차이(a)가 발생한다.
상기 시간 차이(a)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어 수단(12)은 상기 도 4a에 도시된 음향 신호를 상기 시간 차이(a)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지연시킨다.
다음에 상기 지연 시킨 음향 신호와 상기 도 4b에 도시된 음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12)은 합산한다.
그러면 상기 음향 신호는 2배로 증폭된다.
동시에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측의 회로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노이즈 성분과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측의 회로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노이즈 성분은 서로 간의 간섭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노이즈가 감소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노이즈(소음)를 발생하는 제2 음원(24)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2) 사이의 거리(L1)와, 상기 제2 음원(24) 및 상기 제2 마이크로폰(4) 사이의 거리(L2)에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으로부터 상기 저대역 필터(6), 증폭기(8)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를 통해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으로부터 상기 제2 저대역 필터(16), 제2 증폭기(18) 및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를 통해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노이즈 신호는 동일한 파형을 가지면서 진행 시간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이크로폰(2)측의 회로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노이즈 신호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측의 회로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12)에 입력된 노이즈 신호는 서로 간의 간섭에 의해 감소된다.
따라서 다음에 상기 제어 수단(12)으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송신 회로로 음향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음향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는 증폭되고, 상기 음향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는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2 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함과 동시에 주위의 소음원으로부터 상기 2 개의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노이즈는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사용자의 음향을 수신하는 제1 마이크로폰과,
    사용자의 음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주위에 설치된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와 상기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받아서 각 음향 신호의 지연 시간을 보상하여 상기 2개의 음향 신호를 합산하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KR1019990055500A 1999-12-07 1999-12-07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KR20010054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00A KR20010054619A (ko) 1999-12-07 1999-12-07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00A KR20010054619A (ko) 1999-12-07 1999-12-07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619A true KR20010054619A (ko) 2001-07-02

Family

ID=1962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500A KR20010054619A (ko) 1999-12-07 1999-12-07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456B1 (ko) * 2014-09-26 2016-0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력 디스크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456B1 (ko) * 2014-09-26 2016-0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력 디스크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0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ideton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682250B2 (en) Noise cancellation system
EP2924686A1 (en) Control Circuit for Active Noise Control and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CN100576866C (zh) 非线性回声消除器
JP2000278786A (ja) マイクロホン装置
JPH08223274A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20010054619A (ko) 2개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 단말
US7437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ing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inter-processing voice signal and audio signal
JPH1117778A (ja) 音声信号の処理回路
JPH08223275A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100350628B1 (ko) 주기성 잡음 제거장치
JPH0595550A (ja) 会議電話用騒音除去回路
JP2000353989A (ja) エコーキャンセラ
KR20020037570A (ko) 능동 잡음 감쇄장치를 갖는 헤드세트
KR100556870B1 (ko) 저음 부스트 회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868439B2 (ja) Gsm方式携帯電話装置
KR20040002047A (ko) 음성 신호의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01094479A (ja) 反響消去装置
JPH05284588A (ja) 音声入力装置及び送話装置
JPH09168195A (ja) ハウリング防止回路及び補聴器
JPH08149192A (ja) 携帯電話機
JPH1011901A (ja) ノイズキャンセル回路を備えた記録/再生装置
JPH05252253A (ja) 電話機
JPH11154892A (ja) 電話機
JPH03278800A (ja) 音声会議用マイクロホンスピー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