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960A - 잡음 신호 감소 방법, 서버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잡음 신호 감소 방법, 서버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960A
KR20010051960A KR1020000070669A KR20000070669A KR20010051960A KR 20010051960 A KR20010051960 A KR 20010051960A KR 1020000070669 A KR1020000070669 A KR 1020000070669A KR 20000070669 A KR20000070669 A KR 20000070669A KR 20010051960 A KR20010051960 A KR 2001005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reduction
func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트디알.한스
발케르미카엘
마우레르미카엘
Original Assignee
크리스티안 그레그와르
알까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티안 그레그와르, 알까뗄 filed Critical 크리스티안 그레그와르
Publication of KR2001005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향적으로 유용한 신호, 특히 인간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이용되는 TC 채널에서의 잡음 레벨(N)의 파워값이 연속적으로 측정 및/또는 평가되는 전기통신(TC) 시스템에서 잡음 신호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재 처리될 잡음 레벨(N)의 감소 정도는 현재 잡음 레벨(N)의 함수인 특정 함수 f(N)에 따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특정 상황에 일치하는 잡음 감소 정도는 간단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잡음 억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인체에 가능한 한 유쾌한 전체 청각 느낌을 줄 수 있고, 개인 기호에 따른 개별 요구에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점으로는 예를 들면 국제 교환 센터들 사이의 전화 채널 그룹의 경우, 채널마다 다를 수 있는 각각의 채널의 잡음 상황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f(N)은 전송될 유효 신호의 신호 레벨(S)과 잡음 레벨(N)의 파워값에 따른 함수 g(S/N)이다.

Description

잡음 신호 감소 방법, 서버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NOISE SUPPRESSION ADAPTED TO THE CURRENT NOISE LEVEL}
본 발명은 음향적으로 유용한 신호, 특히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원격 통신(TC) 시스템에서의 잡음 신호 - 현재 사용되는 TC 채널에서의 잡음 레벨 N의 파워값은 지속적으로 측정 및/또는 평가됨 - 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DE 42 29 912 A1에 개시되어 있다.
사람들간의 자연적인 통신 중에, 음성의 진폭은 청각 환경으로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원격 장소들간의 음성 통신에 있어서, 상대방들이 동일한 청각 환경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른 상대방의 장소의 청각 상태를 항상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조용한 청각 환경에서 다른 상대방이 낮은 진폭의 음성 신호를 발생하는 동안 상대방들 중 하나가 그의 청각 환경으로 인해 강제적으로 매우 크게 말하게 되는 경우 특히 강력해진 방식에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외에, 전자적으로 발생된 잡음이 또한 TC 채널에 발생되고 유용한 신호에 배경으로서 동시에 전송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된다. 그러므로, 전화중에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든 형태의 잡음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결국, 불필요한 배경 잡음(거리 잡음, 공장 잡음, 사무실 잡음, 매점 잡음, 항공기 잡음 등)과 같은 간섭 신호를 제거하거나 완전하게 억제하는 것이 유익하다.
공지된 잡음 감소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S. Gustafsson 및 P. Jax에 의한 "A new approach to noise reduction based on auditory masking effects" 명칭의 공보 (ITG-FACHTAGUNG[German Informatics Society Conference], 드레스덴(Dresden), 1998) 에 개시되어 있는 소위 "스펙트럼 감산법"이 있다. 이것은 청각 마스킹 임계치를 (예를 들어 MPEG 규격에 따라) 고려하는 스펙트럼 잡음 감소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단점은 상기 청각 마스킹 임계치의 평가 및 상기 방법과 연관된 모든 계산 동작의 실행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스펙트럼 감산법에서, 잡음은 음성 중단중에 먼저 측정되어 파워 스펙트럼 밀도 형태로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파워 스펙트럼 밀도는 푸리에 변환 방식으로 얻어진다. 음성이 발생되면, 저장된 잡음 스펙트럼은 현재의 교란된 음성 스펙트럼으로부터 "현재의 최적의 평가치"로서 감산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교란된 신호에 대한 잡음 감소를 얻기 위해 타임 도메인으로 재 전송된다.
스펙트럼 감산법의 또 다른 단점은 "음악적 톤"으로서 자체적으로 나타나는 에러가, 기본적으로 부정확한 스펙트럼 잡음 평가 및 후속 감산 처리 결과로서 출력 신호에 발생된다는 점이다.
언급된 참조 문헌에 개시된 것과 같은, 확장된 스펙트럼 신호 처리에 있어서, 잡음 및 음성에 대한 파워 스펙트럼 밀도는 스펙트럼 감산법의 보조로 먼저 평가된 것 자체이다. 이러한 서브스펙트럼을 알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MPEG 규격의 규칙의 보조로 인간의 귀에 대한 스펙트럼 청각 마스킹 임계치 RT(f)가 계산된다. 이러한 잡음 및 음성에 대한 마스킹 임계치 및 평가된 스펙트럼의 보조로, 음성 중 필수적인 스펙트럼 부분이 가능한 한 변경되지 않고 전송되고 잡음의 스펙트럼 부분이 가능한 한 많이 감소되도록 구성된 필터 전송 곡선 H(f)이 간단한 규칙에 따라 계산된다.
그 후, 이러한 교란된 원 음성 신호가, 교란된 신호에 대해 잡음 감소를 얻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필터만을 통해서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교란된 신호로/로부터 아무것도 가산 또는 감산되지 않으므로 평가시의 에러가 거의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점은 다시 계산이 너무 복잡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처음에 참조된 DE 42 29 912 A1에 개시된 압신기(compander) 방식에서는, 일정한 전송 함수에 따라 잡음 감소의 정도가 결정된다.
압신기는 본래 입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소정의 "통상의 음성 신호 레벨"(선택적으로는 정규 볼륨이라 칭함)을 갖는 음성 신호를 출력으로 전송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입력 신호가 갑자기 너무 커지게 되면, 예를 들어 화자(speaker)가 그의 마이크로폰에 너무 가까이 근접하게 되므로 다이내믹 압축기가 입력 볼륨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압신기의 현재 증폭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상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레벨로 출력 레벨을 제한한다, 이러한 특징의 결과, 압신기 시스템의 출력에서의 음성은 입력 볼륨이 얼마나 심하게 변동되는지와는 무관하게 대략 동일하게 크게 유지된다.
한편, 정규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신호가 압신기의 입력에 인가되면, 배경 잡음을 감쇠된 형태로만 가능한 한 멀리 전송하기 위해 이득을 저감시킴으로써 신호가 부가적으로 감쇠된다.
따라서, 압신기는 정규 레벨 이상인 음성 신호 레벨용의 압축기 및 정규 레벨 미만의 신호 레벨용의 신장기의 2가지 부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상황에 적합한 잠음 저감 정도가 가능한 한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결정되고 잡음 억제 시스템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앞서 개시된 특징을 갖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본 발명의 방법은 인간의 귀에 가능한 한 유쾌하고 개인의 기호에 따른 개별 요구에 적합할 수 있는 모든 청각 느낌을 간단한 수단으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현재 처리될 잡음 레벨 N의 감소 정도가 현재 잡음 레벨 N의 함수인 특정 함수 f(N)에 따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간단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잡음 감소 정도가, 현재 발생된 잡음의 파워값 N에 의해 자동으로 동시에 제어되며 전화 채널의 현재 잡음 값에 적응되고 소정의 정의된 방식으로 추적된다. 발생된 전체 신호의 주관적인 느낌이 함수 f(N)의 선택에 의해 적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장점은, 전화 채널 그룹의 경우, 예를 들어 국제 교환 센터들간에 물론 채널간에 매우 다른 각각의 개별 채널에서의 잡음 상태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각각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양호하게는, 특정 함수 f(N)가 전송될 유용한 신호의 신호 레벨 S에 대한 파워 값의 비 S/N에 좌우되는 함수 g(S/N)이고 또는 특정 함수 f(N)이 상기 비의 역수 N/S에 좌우되는 함수 g'(N/S)인 구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보다 간단한 실용을 위해, (S+N)/N 또는 (S+N)/S의 함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방법의 장점은 그룹의 전화 채널에서 상당히 변화하는 유용한 신호 레벨 S의 경우 잡음 감소에 대해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역수 N/S에 비례하는 잡음 감소의 제어의 경우, 수치 범위 0 〈 N/S 〈1가 양호하게는 잡음 감소를 제어하는데 양호하게는 관련되거나 관심있기 때문에, 함수 g'(N/S)가 예를 들어 특히 간단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16 비트의 일정한 컴퓨터 워드 랭쓰를 갖는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DSP)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a는 선형 근사인 함수 g(S/N)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대응 함수 g'(N/S)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비대칭 가우시안 곡선인 함수 g(S/N)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대응 함수 g'(N/S)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어된 신호 감소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N : 잡음 레벨
S : 신호 레 벨
청취 테스트는, S/N=0 dB인 경우, 음성의 자연스러움에 대한 전체 청각 느낌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잡음이 5 내지 10 dB, 양호하게는 6 내지 8 dB 사이의 값 f0또는 g0만큼 제한된 범위로만 감소될 정도로 음성이 이미 강하게 교란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신호대 잡음비 S/N 〈 0 dB인 보다 바람직하지 못한 값의 경우, 임의의 또 다른 잡음 감소가 전체 느낌을 손상시키기만 하기 때문에 값 f0또는 g0이 유지될 수 있다.
평균 S/N의 경우에, 이러한 연구에 따라 더 큰 잡음 감소가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 최대치는 10 내지 15 dB의 범위에서 나타난다. 잡음 감소 값 fmax또는 gmax은 최대치가 20 내지 30 사이, 양호하게는 25 dB이다.
매우 양호한 잡음값 S/N 〉 40dB의 경우, 전송된 음성의 자연스러움이 가능한 한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오직 0 내지 3dB의 최소 감소가 설정될 수 있다.
N 또는 S(N)의 신속한 변화가 필터링에 의해 양호하게 평탄화될 수 있는 함수 f(N) 및 g(S/N)이 상술된 3개의 범위에 걸쳐 일정 방식으로 상호 관련되는 경우 음성의 톤 및 이해력이 특히 양호하다.
비교적 간단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으로 함수 f(N) 또는 g(S/N) 또는 g'(N/S)가 상술된 3개의 동작점들간에 특성의 수직 소자에 의해 근사된다(소자마다 선형 근사).
그러나, 보다 양호한 사운드 느낌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약간 보다 복잡한 다양한 방법에서는, 논의된 3개의 영역에서 연속 함수 f(N) 또는 g(S/N) 또는 g'(N/S)를 구현하는 데 다항식 함수가 사용되며, 이것은 비대칭 가우시안 함수의 형태가 된다.
특히 양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방법에서는 인체 가청 스펙트럼의 음성심리학적 평균값에 따라 청각 보상 방식으로 잡음 레벨 N이 감소되도록 함수 f(N) 또는 g(S/N) 또는 g'(N/S)이 선택된다. 이 경우, 순시 파워 값만으로부터뿐만 아니라 S 또는 N의 가중 스펙트럼 곡선으로부터 S 및/또는 N의 값이 결정되고, 큰 청각 보상 잡음 감소, 즉 음성심리학적으로 유쾌하게 들리는 잡음 감소는 이렇게 얻어진 함수의 평균에 의해 달성된다.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음향적으로 유쾌하게 들리는 잡음 감소의 척도가 없기 때문에, 모든 품질 평가는 평가 스케일(음성 코덱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을 얻기 위해 최적화된 통계적 방법에 의해 평가되는 광범위한 듣기 테스트에 좌우된다.
양호한 잡음 레벨 평가는, 잡음을 간섭만 할 뿐 혼합하지는 않고 실제적으로 자주 발생되는 음성의 스내치(snatch)가 음성 중단 간격에 존재하는 양호한 음성 중단 검출기를 필요로 한다.
효과적인 잡음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송될 신호의 파워 값이 지수 함수에 따라 음성 중단중에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미 실질적 잡음 감소를 달성한다. 음성 간격 중에, 잡음들은 음성 자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스크되므로, 전체적으로 거의 인식되지 않는다. 게다가, 음성 중단 동안의 잡음의 감소는 큰 잡음에 노출된 후 귀먹음 효과(deafness effect)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경우 듣기를 강조한다. 음성을 재개할 때, 귀는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고 보다 예리하게 들을 수 있다.
특히 양호하게는, 음성 중단 검출기에서 단기 출력 신호 sam(x)가 단기 레벨 평가기에 의해 입력 신호 x 로부터 형성되고 중기 출력 신호 mam(x)가 중기 레벨 평가기에 의해 입력 신호 x 로부터 형성되고 장기 출력 신호 lam(x)가 장기 레벨 평가기에 의해 입력 신호 x 로부터 형성되며, 3개의 출력 신호 sam(x), mam(x) 및 lam(x)는 입력 신호 x가 순수 잡음 신호인 경우 동등하게 크도록 적절한 이득 계수에 의해 조정되며, 여기서 sam(x)〈 mam(x) 〈 lam(x), 3개의 출력 신호 sam(x), mam(x) 및 lam(x)가 비교기에 의해 모니터되고, sam(x) 및 mam(x)가 초기에 각각 lam(x)보다 크게 되면 입력 신호(x)로서 음성 신호가 존재한다고 간주되고, sam(x) 및/또는 mam(x)가 lam(x)보다 다시 작아지면 음성 중단이 존재한다고 간주된다.
타임 신호의 상이한 평균 값을 형성하는 이러한 비교적 간단한 모드의 보조로, 매우 작은 계산의 복잡성만을 요구하는 매우 놀랄만큼 양호한 음성 중단 검출이 이미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이 개선되어 음성 중단 평가를 위해 상이한 입력 신호 x를 갖는 다양한 시나리오로 숙련된 신경망에 3개의 출력 신호 sam(x), mam(x) 및 lam(x)가 제공된다. 신경망은 다수의 입력 파라미터와 소망의 출력값 사이에 선형 및 비선형 관계를 이미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신경망이 충분한 수의 입력값 및 관련된 출력값에 먼저 숙련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경망은 다양한 간섭 잡음이 존재할 때 음성 중단 검출 시스템의 업무에 특히 적합하다.
양호하게는, 잡음 신호를 검출하고 감소시키는 것 외에, 에코 신호가 존재하는지가 또한 검출 및/또는 예측되어 관련 에코 신호가 억제 또는 감소된다. 전화 채널에 잡음 이외에 에코가 발생하는 경우, 보통 에코의 소정의 신호 지연 시간 τE 및 채널 내의 예측된 에코 커플링 ERL 및 신호 강도 ES에 기초하여 리턴 채널에 에코가 개시되었다는 것이 예측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지연을 가지고 도달되는 에코의 진폭이 전송된 음성 신호 및 그것의 순시 파워의 함수로서 평가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평가된 에코 신호가 소정의 단 시간 간격에 특정 임계값 thrs 이상인 경우, 이러한 에코가 부가된 신호는 예를 들어 상술된 지수 감소에 의해 단시간 동안에 에코 시스템에서의 실질적인 감소에 필요한 값까지 부가적으로 감쇠된다. 동일한 개념에서, 압신기 특성은 에코가 감쇠된 후 보다 높은 입력 볼륨의 방향으로 에코가 그것의 원 위치로 재복귀될 수 있는 경우 단시간 동안에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청각 보상 잡음 감소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에코 감소와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잡음 감소가 동작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발생되는 어떠한 에코도 방해없는 스피커에 도달될 수 없기 때문에 배경 잡음이 전화 채널에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잡음과 에코는 서로 별개로 발생하고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물리적 원인을 가지므로, 에코 감소 시스템으로부터 잡음 감소 시스템의 제어를 분리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잡음 및 에코 모두에 대한 신호 레벨의 감소를 표현하는 일반 감소 함수 R은 수학적으로 서술될 수 있다.
R (S, N, ES, τE, ERL, thrs) ∼ g(S/N)·d(ES, τE, ERL, thrs)
여기서, g(S/N)은 상술한 잡음 감소를 표시하고, d(...)는 평가된 에코 신호가 지정된 임계값(thrs)을 초과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추가 시작하는 에코 감소를 표시한다.
특징으로는 방법이 다양하다는 것으로, 에코 감소 기간 동안 인공 잡음 신호가 이용 가능한 신호에 추가된다.
상수 잡음 레벨을 고려하면, 잡음 감소는 유사하게 상수이다. 음성의 운율 형태로 추가로 긴박하게 시작하는 에코 감소 또한 음성 운율 형태의 잡음 감소(적어도 단 기간에는)를 의미한다. 이는 결국 자연스럽게 들리지 않는 펄스화된 배경 잡음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추가 에코 감소가 발생하는 동안 처리되는 신호에 대해 통상 배경 잡음의 크기 정도로 적절한 잡음 발생기의 합성 잡음을 추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청취자에게 가능한 일정한 배경 잡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잡음 발생기는 인공 잡음 신호가 심리적으로 유쾌한 음성(=편안한 잡음)로 느껴지는 음향 신호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합성 배경 잡음 대신에 미리 녹음된 진짜 배경 잡음 요소가 에코 간격 동안 적절한 길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추가된 잡음은 실질적으로는 이전 잡음과 전혀 상이하지 않아서, 청취자는 음향적인 변경과 같은 불편을 느낄 수 없다.
음향 마스킹을 위한 잡음 추가 및 잡음과 에코의 개별적 처리는 이들이 서로 정확히 일치되는 경우에 열악한 환경(에코 + 잡음)이라도 특히 음성을 알아 들을 수 있고 유쾌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지원하는 서버 유닛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 회로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현재, 신규한 사항 및 추가 기능이 현존하는 하드웨어 기반 상의 소프트웨어를 쉽게 변경함으로써 더 쉽게 이행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은 고성능 DSP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TC 터미널 또는 전화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이점이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상술한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수개의 조합의 형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제한적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반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 내지 2b에 도시된 모든 곡선에서, g 또는 g' 함수의 값은 각각 S/N 〈 0의 경우 즉, 극도로 고도의 잡음 배경의 경우에 대한 약 6dB의 잡음 감소의 일정값 (g0)으로 합쳐진다. S/N = 0으로부터 시작해서, 신호 대 잡음비 (S/N)는 증가되고, 잡음 감소가 증가되어 약 S/N ≒12dB에서 최대 gmax≒ 25dB에 달한다. S/N이 더욱 증가할수록, 저 배경 잡음의 경우에 송신된 유효 신호들 중에서 가능한 적은 조작을 맡도록 잡음 감소 정도는 0으로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도 3은 음성 펄스 검출기(SPD)를 포함하는 상술한 감소 함수 R(S, N, ES, τE, ERL, thrs)에 따른 잡음 및 에코 감소 구성의 동작 모드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상황에 적합한 잠음 저감 정도가 가능한 한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결정되며 인간의 귀에 가능한 한 유쾌하고 개인의 기호에 따른 개별 요구에 적합한 모든 청각 느낌을 간단한 수단으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9)

  1. 음향적으로 유용한 신호, 특히 인간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전기통신(TC) 시스템에서 잡음 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재 이용되는 TC 채널에서의 잡음 레벨(N)의 파워값을 연속적으로 측정 및/또는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재 처리될 잡음 레벨(N)의 감소 정도는 현재 잡음 레벨(N)의 함수인 특정 함수 f(N)에 따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함수 f(N)은 전송될 유용한 신호의 신호 레벨(S)의 파워값과 잡음 레벨(N)의 파워값의 비(S/N)에 좌우되는 함수 g(S/N)이거나, 상기 비의 역수인 N/S에 좌우되는 함수 g'(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f(N) 또는 g(S/N)은 상수값 f0〉 0 또는 g0〉 0에서 각각 1/N 〈〈 1 또는 S/N = 0 dB에서 시작하여 N 또는 S/N = 10 dB 내지 15dB 양호하게는 N 또는 S/N ≒12dB 범위에서 최대 fmax또는 gmax까지 증가되고, 그 후 각각 최소값 fmin또는 gmin, 양호하게는 0dB로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5dB ≤ f0, g0≤ 10dB, 양호하게는 6dB ≤ f0, g0≤8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20dB ≤ fmax, gmax≤30dB, 양호하게는 fmax, gmax≒25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수 f(N) 또는 g(S/N)의 적어도 엘리먼트, 양호하게는 모든 서브엘리먼트가 각각 N 또는 S/N에 따라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수 f(N) 또는 g(S/N)은 다항식으로 구성되고, 각각 N 또는 S/N에 따라 비대칭 가우시안 곡선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잡음 레벨(N)이 인체 가청 스펙트럼의 음성심리학적 평균값에 따라 청각적으로 보상되는 방식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함수 f(N) 또는 g(S/N) 각각 또는 g'(N/S)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 중단 검출기(SPD)는 잡음 레벨(N)을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신호의 파워값은 지수 함수에 따라 음성 중단 동안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중단 검출기(SPD)에서 단기 출력 신호 sam(x)는 단기 레벨 평가기에 의해 입력 신호(X)로부터 형성되며, 중기 출력 신호 mam(X)은 중기 레벨 평가기에 의해 형성되며, 장기 출력 신호 lam(X)는 장기 레벨 평가기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3개의 출력 신호 sam(X), mam(X) 및 lam(X)는 입력 신호 X가 순수 잡음 신호인 경우 거의 동일하게 크도록 적절한 이득 계수에 의해 조정되며, 여기서 sam(X) 〈 mam(X) 〈 lam(X)이고, 상기 3개의 출력 신호 sam(X), mam(X), lam(X)는 비교기에 의해 모니터되며, sam(X) 및 mam(X)이 각각 초기에 lam(X)보다 커지는 경우 입력 신호(X)로서 음성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sam(X) 및/또는 mam(X)이 lam(X)보다 작은 경우는 음성 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출력 신호 sam(X), mam(X) 및 lam(X)가 음성 중단 평가를 목적으로 상이한 입력 신호(X)를 갖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숙련된 신경 회로망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잡음 신호를 검출하고 감소시키는 것 외에 에코 신호의 존재가 검출 및/또는 예측되고 상기 에코 신호가 억제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잡음 신호의 감소 및 에코 신호의 감소는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공 잡음 신호가 에코 감소 간격 동안 유용한 신호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잡음 신호는 음성심리학적으로 유쾌하도록 느껴지는(편안한 잡음) 음향 신호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잡음 신호는 현재 TC 접속 동안 사전에 기록된 잡음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 신호 감소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지원하는 서버 유닛.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00070669A 1999-11-27 2000-11-25 잡음 신호 감소 방법, 서버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10051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7220A DE19957220A1 (de) 1999-11-27 1999-11-27 An den aktuellen Geräuschpegel adaptierte Geräuschunterdrückung
DE19957220.8 1999-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960A true KR20010051960A (ko) 2001-06-25

Family

ID=793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69A KR20010051960A (ko) 1999-11-27 2000-11-25 잡음 신호 감소 방법, 서버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04096A3 (ko)
JP (1) JP2001222299A (ko)
KR (1) KR20010051960A (ko)
DE (1) DE19957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1682A2 (en) * 2001-08-23 2004-05-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processing device
JP4395772B2 (ja) * 2005-06-17 2010-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イズ除去方法及び装置
WO2020047298A1 (en) 2018-08-30 2020-03-05 Dolby International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hancement of low-bitrate coded audi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4948A0 (en) * 1987-12-25 1988-06-30 D S P Group Israel Ltd Noise reduction system
DE4229912A1 (de) * 1992-09-08 1994-03-10 Sel Alcatel Ag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Übertragungseigenschaften einer elektroakustischen Anlage
US5533133A (en) * 1993-03-26 1996-07-02 Hughes Aircraft Company Noise suppression in digital voice communications systems
US5546459A (en) * 1993-11-01 1996-08-13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block size adaptation algorithm for noise-robust acoustic echo cancellation
JPH07193548A (ja) * 1993-12-25 1995-07-28 Sony Corp 雑音低減処理方法
DE19629132A1 (de) * 1996-07-19 1998-01-22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Verringerung von Störungen eines Sprachsignals
WO1999012155A1 (en) * 1997-09-30 1999-03-1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gain mod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voice communication
SE515674C2 (sv) * 1997-12-05 2001-09-24 Ericsson Telefon Ab L M Apparat och metod för brusreducering
DE19803235A1 (de) * 1998-01-28 1999-07-29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s Rauschverhaltens in einem Empfänger eines Datenübertragungs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4096A3 (de) 2003-01-08
DE19957220A1 (de) 2001-06-21
EP1104096A2 (de) 2001-05-30
JP2001222299A (ja)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1889B2 (en) Time-domain noise suppression
US5511128A (en) Dynamic intensity beamforming system for noise reduction in a binaural hearing aid
AU710394B2 (en) Hands-free communications method
EP1312162B1 (en) Voice enhancement system
JP3568922B2 (ja) エコー処理装置
US5365583A (en) Method for fail-safe operation in a speaker phone system
US6999920B1 (en) Exponential echo and noise reduction in silence intervals
US20050018862A1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a telephony interface apparatus
US20100150360A1 (en) Audio source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5058153A (en) Noise mitigation and mode switching in communications terminals such as telephones
US75396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signal processing using different gain factors for voiced and unvoiced phonemes
ES2948633T3 (es) Dispositivo de supresión de aullidos, método para el mismo y programa
CN110012378B (zh) 一种语音降噪的方法、耳塞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10005669A (ko) 디지털 보청기의 신호처리 방법
Weiss Use of an adaptive noise canceler as an input preprocessor for a hearing aid
KR20010051960A (ko) 잡음 신호 감소 방법, 서버 유닛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H1098346A (ja) 自動利得調整装置
EP05000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layback volume in a messaging system
US7123732B2 (en) Process to adapt the signal amplification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JP4317222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リンクの送話品質の測定
JPH09311696A (ja) 自動利得調整装置
CN113963699A (zh) 一种金融设备智能语音交互方法
JP2002050987A (ja) 干渉信号依存適応エコー抑制
US7023986B2 (en) Echo canceller in a communication system at a terminal
Patel Acoustic Feedback Cancellation and Dynamic Range Compression for Hearing Aids and Its Real-Time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