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284A - 인-라인형 수상관용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인-라인형 수상관용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284A
KR20010051284A KR1020000063468A KR20000063468A KR20010051284A KR 20010051284 A KR20010051284 A KR 20010051284A KR 1020000063468 A KR1020000063468 A KR 1020000063468A KR 20000063468 A KR20000063468 A KR 20000063468A KR 20010051284 A KR20010051284 A KR 2001005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lens
focusing electrode
electrod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니시아끼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5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04N9/285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using quadrupole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4중극 렌즈에, 적어도 일정치의 제 1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집속전극,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동하는 제 2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집속전극, 및 상기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 사이에 제 1 포커스 전압과 제 2 포커스 전압 중 높은 전압에 따라 전자빔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중의 한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집속력을 발생시키는 4중극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4중극 렌즈의 수평방향의 렌즈와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를 센터 빔과 사이드 빔에서 수평방향 렌즈는 거의 동일한 강도로, 수직방향 렌즈는 렌즈강도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보정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전자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라인형 수상관용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ELECTR0N BEAM CORRECTING METHOD AND ELECTRON GUN FOR IN-LINE TYPE IMAGE RECEIVING TUBE}
본 발명은 고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1999년 10월 29 일자 출원된 일본 특원평 11-309360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하 참조된다.
컬러 음극선관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전자빔의 스폿 직경을 줄이고, 스크린상의 모든 곳에서 RGB 의 3 전자빔 (이하, 3 전자빔) 의 스폿을 화면 전영역에서 항상 1 점에 집중시켜야 하는데, 상기 2 개의 요구사항중 하나라도 열화되면, 해상도는 악화되어, 화질을 떨어뜨린다.
일반적인 컬러음극선관에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동일 평면내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3 개의 인-라인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3 전자빔 (RGB) 을, 도 7(a) 에 나타낸 핀-쿠션 (pin-cushion) 형태 수평편향 자계분포 (101V) 와 도 7(b) 에 나타낸 배럴 (barrel) 형태의 수직편향 자계분포의 편향자계 (101H) 를 조합함으로써, 화면의 임의의 점에 3 전자빔을 집중시키는, 인-라인 셀프-컨버젼스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인-라인 셀프-컨버젼스 방식은 많은 장점이 있는데, 즉, 3 전자빔을 집중시키는데 요구되는 전자회로와 조절장치가 적으면서도, 고 정밀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7(a), 7(b) 에 각각 나타낸 셀프-컨버젼스 편향자계 (101V, 101H) 를 통과할 때, 전자빔 (RGB) 은 그 자계왜곡의 영향을 받아, 편향을 받지 않는 화면중앙에서 원형인 전자빔이, 화면 주변부로 편향된 경우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방향의 방사상의 후광 (halo) (112) 을 수반한 길이방향의 빔코어 (111) 를 갖는 왜곡된 형태로 된다. 화면주변의 왜곡된 전자빔은 화면중앙에서의 원형태의 전자빔보다 그 더 큰 직경을 갖고, 더 큰 왜곡을 가지므로, 화면 주변부에서의 해상도를 현저히 열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화면주변에서의 전자빔 형태의 왜곡도를 상세하게 관찰하면, 수평방향 왜곡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포커스전압 (Vfh) 과 수직방향 왜곡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포커스전압 (Vfv) 의 차이가 있어, 양자의 포커스전압차가 △Vf=Vfh-Vfv 가 생긴다. 즉, 수직방향의 전자빔의 집속상태는 오버포커스되기 때문에, 비점수차에 의해 상하방향의 후광을 발생시킨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셀프-컨버젼스 편향자계에 의한 화면주변에서의 전자빔의 비점수차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하여, 각종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61-99249 호의 공보에서는, 도 9 에 도시된 전자총 (120) 과 같이, 제 1 집속전극 (100) 의 제 2 집속전극 (109) 측의 단면에 세로방향의 전자빔 통과 애퍼쳐 (passage aperture) (132) 를, 그리고, 제 2 집속전극 (122) 의 제 1 집속전극 (121) 측의 단면에는 가로방향의 전자빔 통과 애퍼쳐 (134) 이 설치되어, 제 1 집속전극 (100) 으로는 일정한 제 1 포커스전압 (Ec3S) 를 인가하고, 또한 제 2 집속전극 (109) 으로는 전자빔의 편향각도의 증가만큼 제 1 포커스 전압를 초과하여 증가하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 (Ec3D) 을 인가함으로써, 제 1 집속전극 (100) 과 제 2 집속전극 (109) 사이에 도 1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4중극 렌즈 (141) 를 형성하고, 전자빔 (RGB) 에 수직방향으로의 발산력을 인가하고, 수평방향으로의 집속력 (144) 을 인가하여, 셀프-컨버젼스 자계에 기인한 전자빔의 비점수차를 상쇄시킴으로서, 화면전체에서 일정한, 더욱이 작은 빔 스폿 직경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셀프-컨버젼스 자계로 인한 전자빔 왜곡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집속전극을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으로 분할하여, 4중극의 전극구성으로 되어, 제 1 집속전극으로 일정한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고, 제 2 집속전극으로는 전자빔의 편향각에 따라 증대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을 인가함으로 인해, 다이나믹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최근의 컬러 음극선관의 대화면화, 고해상도화, 광각도 편향화, 화면의 평면화 등에 따라, 화면주변에서의 RGB 의 각 전자빔 스폿의 형태가 다르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 원인은, RGB 의 전자빔이 편향자장중을 통과할 때의 각각의 빔이 받는 셀프 컨버젼스 자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화면우측으로 편향된 경우, 3 전자빔을 하나의 점으로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R 의 전자빔은 다른 것에 비해 강한 편향자계를 받을 것이 요구되며, 그 결과로서, 편향자계에 의한 R 전자총의 빔 스폿 형태의 왜곡이, 다른 것에 비해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화면좌측으로 편향된 경우는 상기한 현상과 반대로, B 의 전자빔은 다른 것에 비해 강하게 편항자계를 받을 것이 요구되어, 그 결과로서, 편향자계에 의한 B 전자총의 빔 스폿 형태의 왜곡이, 다른 것보다 크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R 및 B 빔의 스폿은 화면의 좌우측으로 필요한 비점수차 보정량이 다르다. 이러한 화면주변에서의 종래의 RGB 의 빔 스폿의 상태를 도 12 에 나타내었다. 상기 이유에 따라, RGB 각각 본래 필요한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을 도 13 에 도시하였으며, 통상 3 전자빔중 센터 (G) 의 전자빔 스폿의 형태가 최적이 되도록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의 설정을 행하기 때문에, 화면양단의 R, B 의 빔 스폿에 대해서는 최적의 다이나믹 포커스전압과는 떨어져, 이것에 의해 화면의 우측으로는 도 12 의 R 의 빔 스폿에 후광 (151) 이 생겨 해상도가 열화되며, 화면의 좌측으로는 B 의 빔 스폿에 후광 (152) 이 생겨 해상도가 열화되어, 화면 좌우측단부에서의 R, B 빔 스폿의 해상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특히, 고해상도화, 광각도 편향화, 평면화면의 최근의 컬러 디스플레이용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센터 (G) 의 최적 포커스전압과 양단 (R, B) 의 최적 다이나믹전압의 차이가 크게 되어, 상기 현상이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현행 19 인치형 광각도 편향 디스플레이용 모니터에 있어서 도 12 에 도시된 전자빔 (RGB) 이 얻어지는데 요구되는 다이나믹 포커스전압과, 형광체 스크린면의 우단부에서 R 의 빔 스폿의 상태가 도 12 에 도시된 G 의 빔 스폿의 상태와 동일하게 되는데 요구되는 포커스 전압과의 차이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50 V 까지 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라인 3 전자빔 방식의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총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 형광체 스크린면의 중앙으로부터 좌우측단에 걸쳐, 3 전자빔의 빔 스폿형상을 균일화하여 양호한 해상도가 얻어지는, 인-라인 3 전자빔 방식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자빔 보정방법과 이에 적합한 전자총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자빔 보정방법 및 전자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중극 렌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집속전극의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4중극 렌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4중극 렌즈 전위차와 가상물 점 이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 곡선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4중극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RGB 전자빔 각각에 본래 요구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을 나타낸 특성 곡선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화면상의 4분면에서의 빔 스폿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a 및 도 7b 는 종래 셀프-컨버젼스 방식의 편향 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 자장분포 및 수직편향 자장분포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8 은 종래 셀프-컨버젼스 방식의 편향 요크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의 스폿 왜곡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9 는 전자빔의 왜곡도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사시도.
도 10 은 종래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에서 인가되는 포커스 전압의 파형도.
도 11 은 종래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사용하여, 4중극 렌즈의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12 는 종래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사용하여, 화면의 4분면에서의 빔 스폿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 은 종래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사용하여, RGB 에 본래 요구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을 나타낸 특성 곡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센터 통과 애퍼쳐 (104G) 의 수평크기
b, b1, b2 : 사이드 통과 애퍼쳐 (104B, 104R) 의 수평크기
c : 센터 통과 애퍼쳐 (105G) 의 수직크기
d : 사이드 통과 애퍼쳐 (104B, 104R) 의 수직크기
101R, 101G, 101B : 음극 (빔 발생부)
101V, 101H : 셀프-컨버젼스 편향자계
102 : 제어전극 103 : 가속전극
111 : 빔 코어 112 : 후광
100 : 제 1 집속전극 109 : 제 2 집속전극
121 : 4중극 렌즈 122 : 주 렌즈
123 : 가로방향 전자빔 통과 애퍼쳐 124 : 세로방향 전자빔 통과 애퍼쳐
131 :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 141 : 4중극 렌즈
142 : 전자빔 143 : 발산력
144 : 집속력 151, 152 : 후광
104 : 제 1 집속전극
104B, 104G, 104R : 제 1 집속전극 전자빔 통과 애퍼쳐
104G1, 104G2, 104B1,104B2, 104R1, 104R2 : 돌기부
105G1, 105G2, 105B1,105B2, 105R1, 105R2 : 돌기부
105 : 제 2 집속전극
105B, 105G, 105R : 제 2 집속전극 전자빔 통과 애퍼쳐
106 : 최종 가속전극
21 : 수평방향 가상물 점 이동곡선
22 : 센터 빔 수직방향 가상물 점 이동곡선
23 : 센터 빔 수직방향 가상물 점 이동곡선
31, 32 : 후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빔 발생부, 및 상기 빔 발생부로부터의 방출되는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집속전극 및 가속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을 갖는 주 렌즈부을 구비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속전극에 인접하는 집속전극은 복수의 전극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집속전극은 그 내부에 적어도 일정치의 제 1 포커스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집속전극, 및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동하는 제 2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집속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과의 사이에, 제 1 포커스 전압과 제 2 포커스 전압 중 높은 것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전자빔을 집속하는 집속력을 발생시키는 4중극 렌즈가 제공되고; 또한
상기 4중극 렌즈의 수평방향의 렌즈와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가, 센터 빔과 사이드 빔에서 수평방향 렌즈는 거의 동일한 강도로 하고, 수직방향 렌즈는 렌즈 강도를 다르게 하도록 설정된 전자빔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 바람직한 실시방법으로, 인-라인형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으로서, 적어도 빔 발생부; 및 상기 빔 발생부로부터의 방출되는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집속전극 및 가속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을 갖는 주 렌즈부을 구비하는 전자총에 있어서;
가속전극에 인접하는 집속전극이 복수의 전극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집속전극은 그 내부에 적어도 일정치의 제 1 포커스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집속전극, 및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동하는 제 2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집속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과의 사이에, 제 1 포커스 전압과 제 2 포커스 전압 중 높은 것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전자빔의 집속력을 발생시키는 4중극 렌즈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4중극 렌즈의 수평방향의 렌즈와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를, 센터 빔과 사이드 빔에서 수평방향 렌즈는 거의 동일한 강도로 하고, 수직방향 렌즈는 렌즈 강도를 다르게 하도록 설정된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방법으로,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제 1 집속전극의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수평크기를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수평크기의 1.1 내지 1.7 배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방법으로,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제 1 집속전극의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좌우측 외주부(外周部)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한편, 제 2 집속전극의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상하측 외주부에도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방법으로,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제 1 집속전극의 통과 애퍼쳐의 좌우측 외주부에 돌기부를 형성함에 있어,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좌우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높이는, 튜브 축 방향으로,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좌우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높이보다 높게 하고;
제 2 집속전극의 통과 애퍼쳐의 상하측 외주부에 돌기부를 형성함에 있어,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상하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높이는, 튜브 축 방향으로,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상하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높이 보다 작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센터 빔과 사이드 빔의 스폿 형태가 형광체 스크린 표면상의 센터에서 주변부까지 전영역에서 균일하게 될 수 있어, 스크린 우측에서의 R 컬러 해상도의 왜곡과 스크린 좌측에서의 B 컬러 해상도의 왜곡을 방지하여, 스크린 전체에서 고화질을 갖는 음극선관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은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101B, 101G, 101R 은 각각 전자빔을 발생하는 전극으로서,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제어전극 (102), 가속전극 (103), 제 1 집속전극 (104), 및 제 2 집속전극 (!05) 를 통과하여, 최종가속전극 (106) 에 도달하며, 그 후, 표시면 (도시하지 않음) 에 도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음극 (101B, 101G, 101R), 제어전극 (102), 가속전극 (103) 으로 3 전극부 (110) 을 구성하고; 제 1 집속전극 (104) 과 제 2 집속전극 (105) 의 사이에는 셀프-콘버젼스 편향자장에 따르는 전자 빔의 비점수차 보정용의 4중극 렌즈 (121) 가 형성되며, 제 2 집속전극 (105) 과 최종 가속전극 (106) 의 사이에는 전자빔 집속을 위한 주 렌즈 (122)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집속전극 (104) 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 (Ec3S) 를, 제 2 집속전극 (105) 에는 편향각도의 증대에 따라 증대하는 다이나믹 전압 (Ec3D) 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제 1 집속전극 (104) 과 제 2 집속전극 (105) 으로 구성된 4중극 렌즈 (121) 를 형성하는 전자빔 통과 애퍼쳐 (passage aperture) 의 형상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집속전극 (104) 측의 애퍼쳐 직경의 수평크기는, 센터 통과 애퍼쳐 (104G) 의 수평크기를 a, 사이드 통과 애퍼쳐 (104B, 104R) 의 수평크기 (b1, b2) 를 b 로 하는 경우, a 〈 b 의 관계를 갖는 것이다. 구체적인 크기비를 나타내면, a : b = 1 :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 범위에 있어서, 넥 (neck) 직경 (φ) 29.1 mm 의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의 경우, 센터 빔과 사이드 빔의 피치는 약 5.6 mm 정도가 되며, 또한, 4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각 애퍼쳐의 크기는 수평, 수직 모두 3mm 이상으로 전자빔이 전극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어, 물리적 크기의 제한으로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이 수평크기는 최대 8 mm 정도까지이므로, 1 : 1.1 내지 2.7 의 설계범위가 얻어진다.
또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집속전극 (105) 의 제 1 집속전극 (104) 측 애퍼쳐 직경의 수직크기는, 센터 통과 애퍼쳐 (105G) 의 수직크기를 c, 사이드 통과 애퍼쳐 (104B, 104R) 의 수직 크기을 d 라 하는 경우, c 〉 d 의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인 크기비를 나타내면, c : d = 1 : 0.6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 범위에 있어서는, 전자총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직축방향으로 글라스 헤드 (glass head) 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물리적 크기의 제한으로 인한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수직크기는 최대 8 mm 정도가 한계가 되며, 각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수직크기는 상기 전자빔의 전극에서의 충돌을 고려하여 최대 3 mm 가 한계가 되므로, 1 : 0.9 내지 3.5 가 설계범위로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설계범위에 있어서, 센터 빔과 사이드 빔의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차는, 음극선관의 인치 사이즈, 편향각도에 대응하여 최적화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른 애퍼쳐 형태을 가지는 4중극 렌즈 (121) 를 구성함으로써, 센터 빔에서는 수평방향 렌즈를 강하게 하고 수직방향 렌즈를 약하게 하며, 사이드 빔에서는 수평방향 렌즈를 약하게 하고, 수직방향 렌즈를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방향 렌즈를 사이드 빔과 센터 빔에서 거의 동일한 강도로 설정함으로써, 수직방향의 렌즈 강도는 센터 빔에 비해서 사이드 빔을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4중극 렌즈의 효과를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4중극 렌즈의 전위차 (제 2 포커스 전압 (Ec3D) - 제 1 포커스 전압 (Ec3S)) 를 가로축으로 나타내고, 4중극 렌즈를 통과하는 빔의 가상물 점 이동량 (결상점 이동량과 동일한 의미를 가짐) 을 세로축으로 나타낸 특성도 이다.
4중극 렌즈의 전위차가 증가함에 따라, 수평방향의 가상물 점 이동곡선 (2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방향 이동량은 센터 빔, 사이드 빔에서 동일하게 되지만, 수직방향의 가상물 점 이동량은 센터 빔의 가상물 점 이동곡선 (22(G)) 에 비하여 사이드 빔의 가상물 점 이동곡선 (23(R,B)) 쪽이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의 렌즈강도를 센터 빔, 사이드 빔에서 다르게 함으로써, 가로방향의 결상점 이동량을 센터 빔과 사이드 빔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RGB 각각에 본래 필요로 하는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 (Ec3D) 의 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화면에서의 빔 스폿 형태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광 (31, 32) 현상이 경감되어, 해상도가 개선된다.
제 2 실시예
다음,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도 1 과 기본 구성은 동일하나, 상기 4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의 애퍼쳐 형태가 도 4a 및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 에서는 상기 4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집속전극 (104) 의 센터 빔 통과 애퍼쳐 (104G) 의 좌우의 외주부에 돌기부 (104G1, 104G2) 가 설치된 반면, 상기 제 2 집속전극 (105) 의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 (105R 및 105B) 의 상하의 외주부에 돌기부 (105R1, 105R2 및 105B1, 105B2)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b 에서는, 상기 4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집속전극 (104) 의 통과 애퍼쳐 (104R 및 104B) 의 좌우측의 외주부에 길이방향 돌기부 (104R1, 104R2 및 104B1, 104B2) 는, 센터 빔 통과 애퍼쳐 (104G) 의 좌우측의 각 돌기부 (104G1, 104G2) 의 튜브 축방향 높이가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 좌우측의 돌기부 높이 (104R1, 104R2, 104B1, 104B2) 보다도 높게 설치된 반면, 제 2 집속전극 (105) 의 센터 빔 통과 애퍼쳐 (105G) 및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 (105R, 105B) 의 상하의 외주부에는 돌기부 (105R1, 105R2, 및 105G1, 105G2, 및 105B1, 105B2) 는,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 (105B) 의 상하측의 돌기부 (105G1, 105G2) 의 튜브 축방향 높이가,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상하측의 돌기부 (105R1, 105R2, 105B1, 105B2) 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치된다. 이것이 청구항 5 의 4중극 렌즈의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센터 빔에서는 수평방향의 렌즈강도를 강하게 하고, 사이드 빔에서는 수직방향의 렌즈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져, 수평방향의 렌즈 강도를 동일한 강도로 설계하는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빔의 가상물 점 이동량 (22(G)) 을 사아드 빔의 가상물 점 이동량 (23(R,B)) 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균일한 빔 스폿 형상을 얻을 수 있어, 해상도가 개선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에서는 4중극 렌즈의 애퍼쳐 형태가 4각 혹은 돌기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원형, 타원형, 또는 4중극 렌즈의 수평방향의 렌즈와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를 센터 빔과 사이드 빔에서 수평방향 렌즈는 동일한 강도로 되고 수직방향 렌즈는 렌즈 강도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의하면, 형광체 스크린면의 중앙에서 주변부까지, 센터 빔, 사이드 빔의 스폿 형상을 균일화는 것이 가능하여, 화면의 우측에서 적색의 해상도가 열화되고 화면의 좌축에서는 청색의 해상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면 전체에서 고화질의 음극선관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빔 발생부; 및
    상기 빔 발생부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집속전극 및 가속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주 렌즈부을 구비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속전극에 인접하는 상기 집속전극은 복수의 전극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집속전극은 그 내부에 적어도 일정치의 제 1 포커스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집속전극, 및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동하는 제 2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집속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과의 사이에, 제 1 포커스 전압과 제 2 포커스 전압 중 높은 것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전자빔을 집속하는 집속력을 발생시키는 4중극 렌즈가 제공되고; 또한
    상기 4중극 렌즈의 수평방향의 렌즈와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가, 센터 빔과 사이드 빔에서 수평방향의 렌즈강도를 거의 동일한 강도로 하고, 수직방향의 렌즈 강도를 다르게 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을 보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형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을 보정하는 방법.
  3. 적어도 빔 발생부; 및
    상기 빔 발생부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집속전극 및 가속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주 렌즈부을 구비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가속전극에 인접하는 상기 집속전극은 복수의 전극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집속전극은 그 내부에 적어도 일정치의 제 1 포커스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집속전극, 및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동하는 제 2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집속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과의 사이에, 제 1 포커스 전압과 제 2 포커스 전압 중 높은 것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전자빔을 집속하는 집속력을 발생시키는 4중극 렌즈가 제공되고; 또한
    상기 4중극 렌즈의 수평방향의 렌즈와 수직방향의 렌즈의 강도가, 센터 빔과 사이드 빔으로 수평방향의 렌즈강도를 거의 동일한 강도로 하고, 수직방향의 렌즈 강도를 다르게 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형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집속전극의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수평크기는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수평크기의 약 1.1 내지 2.7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집속전극의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수직크기는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수직크기의 약 0.9 내지 0.3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4중극 렌즈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집속전극의 센터 빔 통과 애퍼쳐의 좌우 외주부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집속전극의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의 상하의 외주부에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4중극 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집속렌즈의 통과 애퍼쳐의 좌우의 외주부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센터 빔 통과 애퍼쳐 좌우의 돌기부의 튜브 축 방향 높이는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 좌우의 돌기부 높이보다 높으며;
    또한, 제 2 집속전극의 통과 애퍼쳐의 상하의 외주부에 돌기부가 설치되고, 센터 빔 통과 애퍼쳐 상하의 돌기부의 튜브 축 방향 높이는 사이드 빔 통과 애퍼쳐 상하의 돌기부 높이 보다도 낮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20000063468A 1999-10-29 2000-10-27 인-라인형 수상관용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 KR20010051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9360 1999-10-29
JP30936099A JP2001135257A (ja) 1999-10-29 1999-10-29 インライン型受像管用電子銃の電子ビ−ム補正方法及び電子銃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284A true KR20010051284A (ko) 2001-06-25

Family

ID=1799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468A KR20010051284A (ko) 1999-10-29 2000-10-27 인-라인형 수상관용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35257A (ko)
KR (1) KR2001005128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5257A (ja) 200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172450B1 (en) Election gun having specific focusing structure
US20010013760A1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electrostatic quadrupole lens exhibiting different intensities for electron beams
KR100270387B1 (ko) 컬러음극선관
JPS63143725A (ja) カラ−受像管用電子銃
KR97000159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11987A (ko) 컬러브라운관장치
US6456017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20000011965A (ko) 칼라음극선관
EP0856869B1 (en)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5325825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US6335597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10051284A (ko) 인-라인형 수상관용 전자총 및 전자빔 보정방법
US6469459B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5043625A (en) Spherical aberration-corrected inline electron gun
EP0778605A2 (en) An electron gun assembly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6486624B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373432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US7135813B2 (en) Color Braun tube apparatus with non-circular electron beam passage aperture
KR100646910B1 (ko) 음극선관장치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KR014285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662938B1 (ko) 음극선관장치
KR100383857B1 (ko) 컬러음극선관장치
US20020079820A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