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039A - 안내장치형 방충창 - Google Patents

안내장치형 방충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039A
KR20010051039A KR1020000060599A KR20000060599A KR20010051039A KR 20010051039 A KR20010051039 A KR 20010051039A KR 1020000060599 A KR1020000060599 A KR 1020000060599A KR 20000060599 A KR20000060599 A KR 20000060599A KR 20010051039 A KR20010051039 A KR 2001005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sect repellent
rail
groove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영
Original Assignee
박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영 filed Critical 박기영
Publication of KR2001005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충창에 있어서 창틀(또는 문틀)재와 방충창부재에 안내장치를 조성하고, 표면재 위에서 방충창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무레일형 방충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방충창의 이탈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의 배수가 원할해 지고, 방충의 기능이 향상되므로 더욱 고급화된 방충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내장치형 방충창 {An anti-insect window with a guide system}
종래의 방충창은 방충창 상·하·좌·우 부재를 사각형으로 조립하고 사이에 방충망을 삽입하여 방충창을 조성하며, 방충창상부재(101)에 조성된 삽입홈(102)은 창틀(또는 문틀)상부재(103)의 레일(104)을 수용하고, 창틀(또는 문틀)하부재(105)의 레일(106)상에 방충창하부재(107)의 로울러(108)를 배열하여 레일(106)상에서 방충창이 개폐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창짝(또는 문짝)의 레일과 마찬가지로 배수구를 조성해 레일사이에서 빗물을 배수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충창은 단지 창틀(또는 문틀)에 삽입하여 설치하므로 강풍 및 인력에 의한 개폐시 이탈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레일(106)이 노출되어 있어 빗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를 조성해야 하고, 로울러(108)의 부재부분과 배수구에 의해 틈새가 발생 하므로 방충의 효과가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안내장치를 조성하므로서 방충창의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을 도모하고, 빗물의 외부안내를 수월히 하고, 노출된 레일구조에서 발생되었던 틈새를 막아 효과적인 방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부착이 되는 하향레일 구조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7은 부착이 되는 삽입홈의 구조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정면도 및 C-C선 단면도.
이하의 설명에서 방충창좌·우부재와 창틀(또는 문틀)좌·우부재는 각각 방충창상부재, 창틀(또는 문틀)상부재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방충창상부재와 창틀(또는 문틀)상부재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5는 도 1의 A-A선과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중요요소인 안내장치의 실시예로서,
안내장치의 구성요소인 하향레일(11)과 표면재(12)를 조성한 창틀(또는 문틀)하부재(1)와,
하부에서 연장된 연장부(13)에 슬라이딩부재홈(14)을 조성하고, 안내장치의 구성요소인 레일홈(15)이 조성된 슬라이딩부재(16)를 슬라이딩부재홈(14)에 설치하고, 로울러장치(17)를 설치한 방충창하부재(18)를 나타낸다.
슬라이딩부재(16)에 조성된 레일홈(15)이 하향레일(11)을 수용하고 슬라이딩되는 안내장치를 구성하기 때문에 방충창하부재(18)는 로울러장치(17)의 로울러가 창틀(또는 문틀)하부재(1)의 표면재(12)상에서 구동되어도 창틀(또는 문틀)하부재(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로울러의 높이가 조절되는 로울러장치(17)를 사용하여 방충창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로울러의 높이를 낮추면 레일홈(15)은 하향레일(11)로 부터 분리가 되므로 창틀(또는 문틀)로 부터 방충창의 분해가 가능해지고, 로울러의 높이를 높이면 레일홈(15)은 하향레일(11)을 수용하므로 창틀(또는 문틀)에 방충창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은 안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도에 따라 방충창하부재(2)의 연장부(21)에 하향레일(22)을 수용하는 레일홈(23)을 직접 조성하거나, 레일홈(24)과 하향레일(25)의 마찰면적을 줄이기 위해 하향레일(25)의 양측으로 레일홈(24)에 돌출부(26,26)을 조성할 수 있다.
이로서 별도의 슬라이딩부재(1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
도 4는 하향레일을 조립형으로 조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하향레일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창틀(또는 문틀)하부재의 경우는 지지재(31), 하향레일(32), 표면재(33)로 구성된 하향레일부재(34)의 지지재(31)를 창틀(또는 문틀)하부재에 나사(35)로 하여금 부착하여 방충창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방충창상부재와 창틀(또는 문틀)상부재의 개폐지지구조 실시예로서,
상부에 삽입부(41)를 조성하고 모헤어부재(42)를 설치한 방충창상부재(4)와, 삽입부(41)의 수용을 위한 삽입홈(43)과 삽입홈(43)내부의 양측에 모헤어부재(44)를 설치한 창틀(또는 문틀)상부재(45)를 나타낸다.
삽입홈(43)은 삽입부(41)를 수용하여 방충창의 개폐시 방충창상부재(4)를 지지한다.
삽입홈(43)에 설치된 모헤어부재(44)는 삽입부(41)와 삽입홈(43)사이의 틈새를 막고, 또한 방충창상부재(4)에 설치된 모헤어부재(42)는 창짝(또는 문짝)재와 방충창부재 사이의 틈새를 막아 효과적인 방충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부구조는 좌·우부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 삽입홈은 삽입부를 수용하여 방충창의 밀폐시 방충창좌·우부재를 창틀(또는 문틀)좌·우부재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상기의 개폐지지구조 또는 밀폐고정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도에 따라 상기한 개폐지지구조 또는 밀폐고정구조는, 양측 또는 일측에 모헤어부재(52)를 설치한 삽입부(51)와, 이와 부합되도록 조성된 삽입홈(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삽입홈을 조립형으로 조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삽입홈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창틀(또는 문틀)상·좌·우부재의 경우는 지지재(61)와 삽입홈(62)로 구성된 삽입홈부재(63)의 지지재(61)를 창틀(또는 문틀)상·좌·우부재에 나사(64)로 하여금 부착하여 방충창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창은 안내장치에 의해 표면재위에서 개폐되므로 이탈이 근본적으로 방지되고, 표면재 위에서 빗물이 외부로 수월히 안내되고, 노출된 레일구조에서 발생되었던 틈새를 막아 효과적인 방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로울러장치가 조성된 방충창하부재와, 표면재가 조성된 창틀(또는 문틀)하부재에 안내장치를 구성하고,
    창틀(또는 문틀)상·좌·우부재와 방충창상·좌·우부재에 개폐지지구조 또는 밀폐고정구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장치는,
    방충창하부재(18)의 연장부(13)에 슬라이딩부재홈(14)을 조성하여 레일홈(15)이 조성된 슬라이딩부재(16)를 설치하고, 이와 부합되도록 창틀(또는 문틀)하부재(1)에 하향레일(11)을 조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내장치는,
    방충창하부재(2)의 연장부(21)에 레일홈(23)을 조성하고, 이와 부합되도록 창틀(또는 문틀)하부재에 하향레일(22)를 조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향레일(25)의 양측으로 레일홈(24)에 돌출부(26,26)를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지지재(31), 하향레일(32), 표면재(33)로 구성된 하향레일부재(34)를 나사(35)로 창틀(또는 문틀)하부재에 부착하므로서 하향레일을 조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6. 청구항 1에 있어서 로울러장치는,
    높이가 조절되는 로울러장치(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지지구조 또는 밀폐고정구조는,
    방충창상·좌·우부재(4)에 삽입부(41)를 조성하고, 창틀(또는 문틀)상·좌·우부재(45)에 삽입홈(43)을 조성하고, 삽입홈(43) 내부의 양측에 모헤어부재(44)를 설치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지지구조 또는 밀폐고정구조는,
    방충창상·좌·우부재에 양측 또는 일측에 모헤어부재(52)를 설치한 삽입부(51)를 조성하고 , 이와 부합되도록 창틀(또는 문틀)상·좌·우부재에 삽입홈(53)을 조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지지재(61), 삽입홈(62)으로 구성된 삽입홈부재(63)를 나사(64)로 창틀(또는 문틀)상·좌·우부재에 부착하므로서 삽입홈을 조성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창짝(또는 문짝)부재측으로 모헤어부재(42)를 설치한 방충창상·좌·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형 방충창.
KR1020000060599A 1999-10-14 2000-10-14 안내장치형 방충창 KR20010051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495 1999-10-14
KR19990044495 1999-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039A true KR20010051039A (ko) 2001-06-25

Family

ID=1961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599A KR20010051039A (ko) 1999-10-14 2000-10-14 안내장치형 방충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103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350U (ko) * 1978-08-26 1980-03-04
JPS62160098U (ko) * 1986-03-31 1987-10-12
JPH0243399A (ja) * 1988-08-02 1990-02-13 Nec Corp 電気めっき槽
KR960005387U (ko) * 1994-07-04 1996-02-16 주식회사엘지화학 방충망 창짝구조
KR960023049U (ko) * 1994-12-30 1996-07-20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KR19990034438U (ko) * 1998-01-23 1999-08-25 성재갑 조립식 창틀(또는 문틀)을 사용하는 창(또는 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350U (ko) * 1978-08-26 1980-03-04
JPS62160098U (ko) * 1986-03-31 1987-10-12
JPH0243399A (ja) * 1988-08-02 1990-02-13 Nec Corp 電気めっき槽
KR960005387U (ko) * 1994-07-04 1996-02-16 주식회사엘지화학 방충망 창짝구조
KR960023049U (ko) * 1994-12-30 1996-07-20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KR19990034438U (ko) * 1998-01-23 1999-08-25 성재갑 조립식 창틀(또는 문틀)을 사용하는 창(또는 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936B1 (en) Window assembly having rolling window screen assembly
DK1061199T3 (da) Isoleringsramme for et ovenlysvindue
KR20010026968A (ko) 레일채움형 창호장치
US4125141A (en) Self draining frame structure
KR200183376Y1 (ko) 레일은폐형 창호(또는 문)장치
KR20160084170A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20010051039A (ko) 안내장치형 방충창
KR200417235Y1 (ko) 방충겸용 방범문
KR20170028541A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WO2022114435A1 (ko)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0439112B1 (ko) 레일은폐형 창호장치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102053957B1 (ko) 창호
FR2709783B1 (fr) Ensemble de caisson de volet roulant.
KR200258023Y1 (ko) 여닫이창
KR200160818Y1 (ko) 창문샷시용 방풍 가이드
KR200423687Y1 (ko) 차량용 방충망
KR200149988Y1 (ko) 해충침입 방지용 방충망
DE59814020D1 (de) Zweiflügelige Tür in Vollpanikausrüstung
KR200449147Y1 (ko)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JP3145400U (ja) 網戸
DK0723063T3 (da) Indretning til fastgørelse af et dørtrin til en blindramme for en udad-åbnende dør
KR200419365Y1 (ko) 방충망 설치에 사용되는 도어체크커버
KR20090116648A (ko)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JP2583256Y2 (ja) シャッター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