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062A -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 설정치 도달을 표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 설정치 도달을 표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062A
KR20010050062A KR1020000046748A KR20000046748A KR20010050062A KR 20010050062 A KR20010050062 A KR 20010050062A KR 1020000046748 A KR1020000046748 A KR 1020000046748A KR 20000046748 A KR20000046748 A KR 20000046748A KR 20010050062 A KR20010050062 A KR 2001005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end wall
shaped
display elemen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샤이트
볼프강바르베트
Original Assignee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라스무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라스무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Publication of KR2001005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이 설정치에 도달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클램프는 클램프가 클램핑 스트립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향하는 제 1 및 제 2 원주방향의 단부들과, 제 1 원주방향의 단부로 부터 제 2 원주방향의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축방향 단부들을 구비한 C형의 클램프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방향 단부는 반경방향의 내측 모서리를 갖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벽을 갖는다. 클램핑 죠들이 제 1 및 제 2 원주방향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각각의 단부벽에 대하여 파단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파단가능한 표시요소는 단부벽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단가능한 표시요소는 클램프의 조임력이 설정치에 도달하고 클램프에서 클램핑되는 원통형의 물체로부터 단부벽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의 미리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게 될 때 파단된다.

Description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 설정치 도달을 표시하는 장치{DEVICE FOR INDICATING WHEN A SET VALUE OF A CLAMPING FORCE OF A TIGHTENABLE CLAMP IS REACHED}
본 발명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들에 제공된 클램핑 죠들을 가지며 축방향 단부들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벽들을 갖는 C-형상의 클램프 스트립으로 구성된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독일 특허 198 02 676 C1) 클램프들은 예를들어 축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사용되며, 클램핑 죠(clamping jaws)들이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스크류에 의해 연결되고, 그 클램핑 스크류는 미리 설정된 조임력을 적용하도록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조여진다. 그러나, 그러한 토크 렌치로 조절되는 토크는 모든 경우에 조임력의 설정치에 대하여 정밀하게 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스크류들에 그리스(grease)가 발라져 있거나 와셔가 제공되거나 또는 여러 형태의 코팅물을 가지는 경우에 클램프에 대하여 상이한 반경방향의 조임력이 나타나게 됨에 따라 예정된 것과 상이한 장착 및 조작 결과를 초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로서 사용하기 위한 클램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클램프의 축방향 단면도.
도 3은 서로 연결될 두 개의 파이프들의 단부들이 클램프에 삽입되어 있는, 도 1에 따른 클램프의 축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품 상세도.
도 5는 표시장치의 C-형상의 링의 외측으로 향한 축방향 단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C-형상의 링의 내측으로 향한 축방향 단부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선 Ⅶ-Ⅶ에 의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5의 선 Ⅸ-Ⅸ에 의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램프 스트립 2: 단부벽
4: 클램핑 죠 20: 원주방향 단부
22: 표시요소 23, 24, 26, 27: 다리부
25: 가로방향 부분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신뢰도와 정밀도로 클램프의 조임력의 설정치에 일치하게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표시장치는 단부벽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안착될 수 있는 클램프 스트립의 각 단부벽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단가능한 표시요소를 가지며, 클램프에 조여진 원통형의 물체로부터 단부벽의 내측 모서리의 미리 설정된 간격과 클램프의 조임력의 설정치에 도달함을 표시요소의 장착위치에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표시요소는 이용된 클램핑 스크류의 표면 상태와, 파이프들과 같은 클램핑되는 물체들의 허용가능한 직경에 관계없이 클램프의 조임력의 설정치에 도달함을 나타낸다. 표시요소의 파단은, 클램프를 장착하는 동안에 필요한 조임력에 도달하였음을 분형하게 알 수 있는 표시를 제공하게 되고, 더욱이 임의로 클램프에 제공되는 시일용 슬리브 또는 방음용 슬리브의 허용가능한 또는 요구되는 수준의 압축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표시요소는 사실상 U자형 부분과 그 U자형 부분의 두개의 다리부들중 하나에 반대쪽으로 배치되고 클램프에서 조여지는 원통형의 물체에 U자형 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다리부와 일직선으로 정렬된 지지용 다리부를 가지며, 단부벽이 U자형 부분의 두 개의 다리부들 사이??에서 맞물리고, 지지용 다리부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간격과 동일하게 선정되며, U자형 부분의 다리부들을 연결하는 가로방향의 부분은 표시요소의 장착위치에서 클램프의 조임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를 초과하는 파간 강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요소가 제공된 단부벽은, 지지용다리부를 갖는 표시요소가 클램핑되는 물체에서 지지되는 동안 클램프가 조여질 때 가로방향 부분에 대하여 가압되며, 그것은 가로방향 부분이 그의 파단 강도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조임력의 설정치에서 파단될 때까지이다.
변형예로서, U자형 부분은 U자형 부분의 다른쪽 다리에 반대쪽으로 배치되고 원통형 물체에서 U자형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에 일치하는 길이를 갖고 다른 다리부와 일직선으로 정렬된 제 2의 지지용 다리부를 가지며, 단부벽은 U자형 부분의 두 개의 다리부들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것은, 표시요소의 지지용 다리부들이 축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그 자유단부들을 향해 테이퍼지는 것이다. 그때 원통형의 물체를 조이는 동안에 표시요소의 지지용다리부들의 테이퍼진 단부들에는 굽힘 모멘트 또는 횡방향 모멘트가 작용되며, 그 모멘트는 상기 지지용 다리부들을 펴지게 작용함으로써 가로방향 부분을 파단시키도록 작용하게 되어 매우 정밀하게 한정된 조임력의 설정치에 대하여 파단이 발생되게 한다.
표시요소의 U자형 부분의 다리부는, U자형 부분의 장착 위치에서 단부벽의 축방향 외측면에 배치되며 단부벽에 기대어져 안착되는 C자형 링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에 의해 클램프 제조업자가 클램프에 표시요소를 미리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조립위치에의 표시요소의 장착이 필요없게 된다. 조임력의 설정치에 도달하게 되면, 표시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파단부가 클램프에서 뿐만 아니라 C자형의 링에서도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조임력이 설정치에 도달함을 보다 분명하게 나타내는 표시가 된다.
더욱이, C자형 링에는 그의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돌출부들이 제공되며, 그 돌출부들은 C자형 링의 장착 위치에서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단부벽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모서리에 기대어져 안착된다. 이들 돌출부들은 표시요소를 고정시키는 작용에 더하여, 링과 함께 클램프의 운송중에 발생되는 힘에 의한 표시요소의 변위를 방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 힘이 평면상에 작용될 때 링이 그 평면상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링은 링의 장착위치에서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단부벽의 홀과 맞물리는 다른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단부들 사이의 틈새가 클램핑 죠들 사이의 틈새와 일치하게 하고 파이프상에서 클램프를 반경방향으로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파이프가 상기 두 틈새들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게 클램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회전 위치를 유지하도록 링의 회전을 방지한다.
더욱이, 단부벽의 내측에 U자형 부분이 장착된 위치에서 안착되는, 장표시요소의 U자형 부분의 다리부에는 단부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한 측부에 경사면이 제공되며, 상기 경사면은 다리부의 자유단부로 연장된다. 이것은 표시요소들이 제공되는 C자형의 링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표시요소가 각각의 단부벽에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연결될 또는 클램프될 원통형의 물체, 특히 파이프들의 직경이 보다 큰 경우 보다 큰 범위의 조임력의 설정치를 커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 개의 표시요소들이 클램프 축에 대하여 서로 직경방향으로 반대쪽에 장착되는 경우에, 표시요소상에서 조임력의 보다 균일한 분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클램프는 파이프 연결구로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클램프 스트립(1)은 강판을 불완전한 링으로 형성하도록 굽힌 것으로서 축방향 단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굽혀진 단부벽(2)을 가지며, 그 내경은 클램프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결될 (도 3의) 매끄러운 파이프(3)들의 직경 보다 크다. 클램프 스트립(1)은 원주방향으로 단절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서 틈새를 한정하는 클램핑 죠(4)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 죠(4)들은 클램프 스트립(1)의 외측부상에서 각기 둥근 볼트(5,6)들을 중심으로 굽혀진 클램프 스트립(1)의 루프(loop)로서 형성되며, 프로젝션 웰딩으로 연결된다. 상기 클램핑 죠(4)들의 루프 각각은 둥근 볼트(5,6)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된 2개의 슬로트들을 가진다. 상기 둥근 볼트(6)는 그것을 중심으로 굽혀진 루프의 슬로트들 각각의 영역에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횡방향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상기 둥근 볼트(5)는 다른 루프의 각 슬로트 영역에서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횡방향의 관통 구멍을 갖는다. 루프들의 슬로트들과 둥근 볼트(5,6)들의 횡방향 구멍들은 클램핑 볼트(9)가 끼워지며, 볼트의 헤드(10)는 육각형의 소켓부를 가지며 둥근 볼트(6)의 관통구멍을 확대시킨 막힌 구멍의 턱에 접촉하여 안착된다.
끝이 절단된 원추형의 링(12)의 반경방향 외측 모서리는 외주면 방향으로 단절되어 있으며 클램프 스트립(1)의 단부벽(2) 각각의 굽혀진 모서리의 내측에 대하여 안착된다. 링(12)들은 금속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링(1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들은 비교적 날카로운 모서리들을 가지거나 금속 스트립의 평면상에 톱니부가 제공된다. 각각의 링(12)의 단부(14)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클램프 스트립(1)의 내측에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시일용 슬리브(15)가 제공되며, 그 슬리브는 그 축방향 단부들 각각에서 반경방향 내특으로 돌출된 시일용 립(lip:16,17)들을 갖는다. 상기 시일용 립(16,17)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3)들이 파이프 연결구속으로 삽입되어 클램핑될 때, 파이프(3)들의 외부에 접촉하면서 안착된다. 두 개의 시일용 립(16)들 사이에는 금속의 판상 재료로 형성되는 링(18)이 시일용 슬리브(15)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안착된다. 상기 링(18)은 원주방향으로 단절되고 그 단부들이 원주방향으로 중첩된다. 상기 링(18)은 파이프 연결구가 조여질 때 시일용 슬리브(15)의 재료가 파이프(3)들의 단부들 사이에 밀려들어가지 않게 한다.
클램핑 죠(4)들 사이의 클램프 스트립(1)의 틈새는, 시일용 슬리브(15)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안착되며 클램프 스트립(1)의 단부(20)들이 중첩되는 연결부(1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9)는 스폿 용접에 의해 단부(20)들중 하나의 내측면에 접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프의 조임력(F)의 설정치와 시일용 슬리브(15)의 허용가능한 또는 요구되는 압축력이 설정치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내는 표시장치(21)가 상기 클램프에 제공된다. 상기 표시장치(21)는 클램프 스트립(1)의 단부벽(2) 각각에 대해 2개의 H-형의 표시요소(22)들을 갖는다. 상기 표시요소(22)는 두 개의 다리부(23,24)들과 그 다리부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부분(25)을 갖는 U-형상의 부분을 갖는다. 상기 표시요소(22)는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단부벽(2)은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표시요소(22)의 다리부(23,24)들 사이에서 여유를 갖고 맞물린다. 상기 표시요소(25)의 다리부(23,24)들을 연결하는 가로방향 부분(25)은, 표시요소(22)의 장착위치에 있어서 클램프 조임력(F)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를 지나치는 파단 강도를 갖는다.
각각의 표시요소(22)는 또한 2개의 지지용 다리부(26,27)들을 가지며, 그 다리부들은 도면에 도시된 장착위치에서 그 자유단부들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H형상에 대해 축방향 외측으로 각도 α, 거의 10°- 25°, 바람직하게는 15°-18°,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7°로 경사져 있다. 상기 지지용 다리부(26,27)들은 클램핑하기전에 파이프(3)들에서 클램프를 지지한다. 이들 지지용 다리부(26,27)들의 길이는, 클램프가 조여질 때 시일용 슬리브(15)의 허용가능한 또는 요구되는 압축과 클램프의 조임력의 설정치에 도달되는 미리 설정된 간격과 파이프(3)으로부터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들의 미리 설정된 간격이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단부벽(2)의 축방향 외측에서 표시요소(22)의 장착위치에 안착하게 되는 각각의 표시요소(22)의 다리부(23)는 클램프 스트립(1)의 단부벽에 대하여 안착되는 C자형의 링(28)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링(28)은 그 외주면에 분포된 돌출부(28)들을 가지며, 그 돌출부들은 링(28)의 장착위치에서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대하여 안착되고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링(28)은 장착위치에서 (도 2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홀(30) 속으로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돌출부(31)를 갖는다.
각각의 표시요소(22)의 다리부(24)는 단부벽(2)의 내측에 위치하며, 단부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경사면(32)을 갖는다(도 2 내지 4 및 도 9 참조). 이러한 경사면(32)은 다리부(24)의 자유단부로 연장된다.
표시장치(21)는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또는 취성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램프 스트립(1)속에 시일용 슬리브(15), 링(18) 및 링(12)들을 조립한 후에 클램프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링(28)들은 단부벽(2)에 대하여 각각의 단부벽(2)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어지며, 단부벽(2)의 각각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는 다리부(24)의 경사면(32)을 가로질러 활주하여 다리부(23,24)들 사이에 끼워진다. 클램프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표시장치의 (각도) 회전 위치에서, 링(28)들의 돌출부(31)들 각각은 단부벽(2)의 홀(30)들 각각에 맞물리게 된다. 다리부(23,24)들 사이의 홈에서 단부벽(2)의 맞물림으로 클램프의 링(28)들의 축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홀(30)들과 돌출부(31)들의 맞물림으로 클램프에 대한 링(28)들의 회전위치가 고정된다. 단부벽(2)속에 링(28)들을 삽입함으로써 돌출부(29)들이 동시에 단부벽(2)들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대하여 안착하게 되어 링(28)들이 반경방향의 평면에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클램프가 장착되는 경우, 파이프(3)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프속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클램핑 스크류(9)들이 조여져서 단부벽(2)들이 도 4에 따라 조임력(F)를 표시요소(22)의 가로방향 부분(25)에 작용하게 된다. 조임력(F)는 표시요소(22)들의 지지용 다리부(26,27)들에 분포되어 표시요소들의 모서리들이 파이프(3)의 외주면에 대하여 안착하게 된다. 지지용 다리부(26,27)들에 작용하는 조임력(F)과 반작용력으로 가로방향 부분(25)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며, 그 모멘트는 조임력이 가로방향 부분(25)의 파단 강도 또는 굽힘 강도의 합을 초과할 때 모든 표시요소(22)들의 가로방향 부분(25)의 파단을 초래하며, 상기 파단 강도는 조임력의 설정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로방향 부분(25)의 강도는 표시요소(22)의 수와 부합하는 조임력(F)의 부분에 해당한다. 이 결과 링(28)들은 클램프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조임력의 설정치가 도달함을 쉽게 알 수 있는 표시가 된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다음 클램핑 스크류(9)들은 조금 더 조여진다. 링(28)들이 클램프 스트립(1)과 다른 색상, 바람직하게는 반짝이거나 눈에 띄는 색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링들이 클램프와 쉽게 구별될 수 있게 한다. 표시링들이 클램프로부터 파단되면, 링들이 떨어져 나가지 않더라도 파이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지지용 다리부(26,27)들의 테이퍼진 단부가 각도 α로 경사짐으로써, 지지용 다리부(26,27)들이 각각의 파이프(3)들에서 가로방향 부분(25)의 중심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멀어지게 지지되어 조임중에 다리부들이 벌어지려는 경향을 나타내어 가로방향 부분(25)상에 큰 굽힘 모멘트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표시요소(22)의 가로방향 부분(25)들은 비교적 정밀하게 한정된 조임력(F)에서 파단되고, 지지용 다리부(26,27)들의 길이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파이프(3)와 단부벽(2)의 내측 반경방향 모서리들 사이의 미리 설정된 간격은 시일용 슬리브(15)의 허용가능한 또는 요구되는 압축력에 도달함을 확실히 나타내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각각의 링(28)에 오직 하나의 표시요소(22)만이 제공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특히 직경방향으로 반대쪽에 배치된 2개의 표시요소(22)들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표시요소(22)들의 가로방향 부분(25)의 파단 강도의 합에 해당하는 조임력의 설정치를 파이프(3)의 보다 큰 직경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또는 2개의 H형의 표시요소(22)들이 각각의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링(28)들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H형 표시요소(22)들을 연결하는 링(28)들은, 표시요소들이 클램프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쉽고 안전하게 미리 장착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다리부(23,24)들과 가로방향 부분(25)으로 이루어진 U형상의 부분은, 다리부(23)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지지용 다리부(26)가 해당 파이프(3)에 안착하도록 표시요소(22)의 다리부(27)를 제거할 수 있다.
링(28)에 의해 각각의 표시요소(22)를 연결하는 대신에, 일측이 개방된 C형의 링 형태로 된 표시요소가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C형의 링은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표시요소(22)의 것과 같은 반경방향 단면을 갖는다.
전술한 표시장치(21)는 파이프 연결구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대신에 건물벽에 파이프 또는 케이블과 같은 다른 원통형 물체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용 클램프는 시일용 슬리브 대신에 탄성의 방음용 슬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두가지 형태의 클램프에서 링(12)들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르게 구체화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클램프 스트립의 단부벽에 대하여 파단가능한 표시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조임력에 대하여 파단되도록 하여 클램프의 조임력의 설정치에 도달함을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되어 파이프와 같은 연결 요소들의 연결작업을 신뢰성 있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클램프가 클램핑 스트립(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향하는 제 1 및 제 2 원주방향의 단부(20)들과, 제 1 원주방향의 단부(20)로 부터 제 2 원주방향의 단부(20)까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축방향 단부들을 구비한 C형의 클램프 스트립(1)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방향 단부는 반경방향의 내측 모서리를 갖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벽(2)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는 제 1 및 제 2 원주방향의 단부(20)에 연결되는 클램핑 죠(4)를 더 포함하는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이 설정치에 도달함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각각의 단부벽(2)에 대하여 파단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요소(22)를 포함하며, 상기 파단가능한 표시요소(22)는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파단가능한 표시요소(22)는 클램프의 조임력(F)이 설정치에 도달하고 클램프에서 클램핑되는 원통형의 물체(3)로부터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의 미리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게 될 때 파단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표시요소(22)는 U자형의 부분(23,24,25)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의 부분은 제 1 다리부(23)와 제 2 다리부(24) 및 그 다리부들을 U자형의 부분에 연결하는 가로방향의 부분(25)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요소는 U자형의 부분의 제 1 다리부(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되고 제 1 다리부와 정렬된 제 1 지지용 다리부(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용 다리부(26)는 원통형의 물체(3)에 표시요소(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단부벽(2)들은 U자형의 제 1 및 제 2 다리부(23,24)들 사이에 수납되며, 상기 제 1 지지용 다리부(26)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가로방향의 부분(25)은 조임력(F)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 표시요소(22)의 장착상태를 초과하는 파단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23,24,25)은 그의 제 2 다리부(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되고 제 2 다리부(24)와 정렬된 제 2 지지용 다리부(27)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용 다리부(27)는 원통형의 물체(3)에 표시요소(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미리 설정된 간격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단부벽(2)은 U자형 부분의 제 1 및 제 2 다리부(23,24)들 사이에서 유동 간격을 갖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리부(26,27)들은 U자형 부분의 외측방향으로 그리고 제 1 및 제 2 다리부(23,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단부벽(2)에 대하여 안착하도록 클램프에 장착되는 C자형으 링(2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부벽(2)의 축방향 외측에 표시요소(22)의 장착위치에 배치되는 U자형의 제 1 다리부(23)는 C자형의 링(28)의 일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의 링(28)은, 플램프에서 C자형의 링(28)의 장착위치에서 클램프속으로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클램프의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제 1 돌출부(29)를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29)들이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 모서리에 대하여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의 링(28)은 클램프에서 C자형의 링(28)의 장착위치에서 단부벽(2)에 제공된 홀(3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2 돌출부(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클램프에서 U자형 부분의 장착위치에 배치된, U자형 부분의 제 2 다리부(24)는 단부벽(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제 2 다리부(24) 측면에 경사면(32)을 갖고, 상기 경사면(32)은 제 2 다리부(24)의 자유단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표시요소(22)는 단부벽(2)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2)의 일측에 제공된 2개의 표시요소(22)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반대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00046748A 1999-08-14 2000-08-12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 설정치 도달을 표시하는 장치 KR20010050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8606.4 1999-08-14
DE19938606A DE19938606C1 (de) 1999-08-14 1999-08-14 Vorrichtung zum Anzeigen des Erreichens des Sollwerts der Spannkraft einer spannbaren Sche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062A true KR20010050062A (ko) 2001-06-15

Family

ID=791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748A KR20010050062A (ko) 1999-08-14 2000-08-12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 설정치 도달을 표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53622B1 (ko)
EP (1) EP1077342A1 (ko)
JP (1) JP2001082418A (ko)
KR (1) KR20010050062A (ko)
DE (1) DE19938606C1 (ko)
NO (1) NO20004070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54B1 (ko) * 2007-10-01 2015-03-27 스트라우브 베르케 아게 상호 연결 가능한 튜브형 부품의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7236B2 (ja) * 2005-02-15 2012-07-25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ハウジング形管継手
DE102007010342B4 (de) * 2007-03-03 2019-10-02 Man Energy Solutions Se Rohrkupplung
CN102597591B (zh) 2009-12-14 2014-12-17 日本维多利克股份有限公司 卡箍式管接头
US8819899B2 (en) 2011-11-18 2014-09-02 Boguslaw J Fietkiewicz Band clamp installation markers
GB201318254D0 (en) * 2013-10-15 2013-11-27 Silixa Ltd Optical fiber ca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7904A5 (de) * 1985-06-17 1988-11-15 Immanuel Straub Rohrkupplung.
DE8521410U1 (de) * 1985-07-25 1985-09-05 Kirchhoff GmbH & Co, 5884 Halver Rohrschelle
US5528942A (en) * 1995-06-13 1996-06-25 Baratta; Francis I. Apparatus for maximizing critical buckling loads for compression testing
US5602341A (en) * 1996-05-07 1997-02-11 Chrysler Corporation Test fixture for spot welds
US5945607A (en) * 1997-06-12 1999-08-31 Mts Systems Corporation Test specimen holder
DE19802676C1 (de) * 1998-01-24 1999-05-06 Rasmussen Gmbh Spannbare Rohrkupp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54B1 (ko) * 2007-10-01 2015-03-27 스트라우브 베르케 아게 상호 연결 가능한 튜브형 부품의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82418A (ja) 2001-03-27
NO20004070L (no) 2001-02-15
EP1077342A1 (de) 2001-02-21
US6253622B1 (en) 2001-07-03
NO20004070D0 (no) 2000-08-14
DE19938606C1 (de) 200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974A (en) Pipe coupling
US6749232B2 (en) Pipe clamp, in particular, pipe coupling
US5681058A (en) Assembly for joining a pipe to a pipe fitting
CA2475691C (en) Pipe clamp
JP6514792B2 (ja) クランプバンドとプレポジショナとを備えるクランプ
KR102036516B1 (ko) 클립
ZA200203206B (en)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ular fitting to a pipe.
KR101954491B1 (ko) 플랜지의 결합부재용 풀림 확인 장치
KR20010050062A (ko) 조임가능한 클램프의 조임력 설정치 도달을 표시하는 장치
KR980008820U (ko) 합성수지 호오스 연결구
JP2004258040A (ja) 測定センサ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6607219B2 (en) Expansion type clamping band characterized by simplified design and ease of use
JP5030493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US4861474A (en) Fuel filter coupling
JPS6347590A (ja) 管継手
JP5197146B2 (ja) 離脱防止管継手
JP3531147B2 (ja) ユニオンナット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リング
US11320080B2 (en) Connection device
US20040208688A1 (en) Articulation sleeve for a clamp
JPH07260061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
JPS5842811A (ja) 締付連結装置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960006393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0076817A (ko) 압착식 관이음쇠의 접속방법
JPH10231966A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