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677A -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677A
KR20010048677A KR1019990053460A KR19990053460A KR20010048677A KR 20010048677 A KR20010048677 A KR 20010048677A KR 1019990053460 A KR1019990053460 A KR 1019990053460A KR 19990053460 A KR19990053460 A KR 19990053460A KR 20010048677 A KR20010048677 A KR 20010048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utdoor
outdoor fan
heat exchang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714B1 (ko
Inventor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7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내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냉방운전을 행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팬에 의해 실외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실외온도에 따라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실외팬제어단계와, 상기 제1실외팬제어단계에서의 실외팬 제어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2실외팬제어단계로 이루어져, 실외온도에 의한 실외팬의 회전속도 제어중에 실내 및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에 따라 실외팬과 압축기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열교환기의 동결을 방지하므로 저온지역에서도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low-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방운전시 실외온도, 실외배관온도 및 실내배관온도에 따라 실외팬 및 압축기를 제어하여 열교환기의 동결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기(10) 및 실외기(20)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 또는 냉방운전된다.
상기 실외기(20)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30)와,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상기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흐름을 변환시키는 사방밸브(35)와, 냉방운전시 상기 압축기(3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각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4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냉각응축된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모세관(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0)에는 냉방운전시 상기 모세관(50)을 통과한 냉매를 실내팬(6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증발시키면서 저온저압의 완전 기체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냉방운전시에는 사방밸브(35)가 오프되어 도 1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냉매싸이클이 이루어지는데, 실외기(20)의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사방밸브(35)를 통해 실외열교환기(40)에 유입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강제냉각시켜 응축시키고, 상기 실외열교환기(40)에서 응축된 상온고압의 액냉매는 모세관(50)으로 유입된다.
상기 모세관(50)으로 유입된 상온고압의 액냉매는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냉매로 팽창되어 실내기(10)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60)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60)에서는 모세관(50)을 통해 감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6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 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운전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60)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30)로 유입되어 압축기(30)의 단열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냉매싸이클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냉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내팬(6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열교환기(60)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내열교환기(60)의 온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는데, 실내열교환기(60)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실내열교환기(60)에 동결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냉방운전시 실외온도를 감지하여 실외온도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기준온도(약, 22℃) 이상이면 실외팬(41)을 고속(예를들면, 750rpm)으로 운전하고, 제2기준온도(약, 20℃) 이하이면 실외팬(41)을 저속(예를들면, 450rpm)으로 운전하여 냉매의 과도한 냉각을 방지함으로서 실내열교환기(60)의 동결을 방지하는 저온제어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에 있어서는, 실외팬(4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기준온도를 정확히 설정해야 하는데, 제품의 용량, 충전냉매량, 실외온도 등 여러 가지의 조건에 맞게 기준온도를 정확히 설정하기가 어렵고, 이러한 조건들에 의하여 적절한 온도보다 기준온도가 조금만 낮게 설정되어도 실외팬(41)의 고속운전 기간이 길어져 냉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60)의 동결속도가 빨라지므로 실내기의 능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외온도에 의한 실외팬의 회전속도 제어중에 실내 및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에 따라 실외팬과 압축기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열교환기의 동결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특성 및 환경 조건에 적절한 최적의 기준온도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냉매의 과도한 냉각을 방지하므로 저온지역에서도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은,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내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냉방운전을 행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팬에 의해 실외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실외온도에 따라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실외팬제어단계와, 상기 제1실외팬제어단계에서의 실외팬 제어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2실외팬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
도 2는 종래 실외온도에 따른 실외팬의 저온제어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의 회로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외온도, 열교환기 온도에 따른 저온제어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외온도 대비 실외열교환기 기준온도값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외온도 대비 실외열교환기 기준온도값을 도시한 표,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20 : 실외기
30 : 압축기 40 : 실외열교환기
41 : 실외팬 60 : 실내열교환기
61 : 실내팬 104 : 온도감지수단
106 : 제어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싸이클도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상용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난방, 제습, 송풍 등)와 설정풍량, 설정온도(Ts),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를 입력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온도감지수단(104)은 실내온도(Tr), 실외온도(To), 실내 및 실외열교환기(60)(40)의 배관온도(Tp)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수단(106)은 냉방운전시 실외온도(To)에 따라 실외팬(41)의 회전속도를 2단(예를들어, HIGH, LOW)으로 제어하면서 실내 및 실외열교환기(60)(40)의 배관온도(Tp)에 따라 상기 실외팬(41)과 압축기(30)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저온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압축기구동수단(108)은 설정온도(Ts) 및 실내온도(Tr)의 비교결과에 따라 압축기(3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실내열교환기 온도(Tip)에 따라 압축기(30)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은 설정온도(Ts) 및 실내온도(Tr)의 비교결과에 따라 실외팬(41)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실외온도(To), 실외열교환기 온도(Top) 및 실내열교환기 온도(Tip)에 따라 실외팬(4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실외팬(41)을 구동시킨다.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2)은 실내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61)을 구동시키고, 사방밸브구동수단(114)은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매흐름을 변환시키도록 사방밸브(35)를 구동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을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7a 및 도 7b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상용교류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6)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06)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실내기의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된 키입력부 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운전/정지키를 누른다음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예를들면, 냉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량을 입력하면,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가 제어수단(106)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NO일 경우)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신호가 입력되면(YES일 경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실내팬(61)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실내팬모터구동수단(112)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를 설정 회전속도로 제어하여 실내팬(61)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61)이 구동되면, 실내공기가 실내기(10)내로 흡입되기 시작하는데, 이때에 실내기(10)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온도감지수단(104)에서 감지한다.
이어서, 스텝S4에서 제어수단(106)은 상기 온도감지수단(104)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가를 비교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지 않으면(NO일 경우) 실외기(20)의 운전동작을 대기하면서 스텝S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4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면(YES일 경우) 스텝S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압축기(3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08)에 출력함과 동시에 실외온도(To)에 따라 회전속도{실외온도가 22℃ 이상일 때는 고속(예를들면, 750rpm), 실외온도가 20℃ 이하일 때는 저속(예를들면, 450rpm)}를 조절하여 실외팬(41)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08)에서는 제어수단(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30)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에서는 제어수단(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실외팬(41)을 고속 또는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30)와 실외팬(41)이 구동되기 시작하면, 스텝S6에서는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사방밸브(35)를 통해 실외열교환기(40)에 유입되고, 실외열교환기(40)에서는 고속 또는 저속으로 회전하는 실외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냉매를 강제냉각 응축시키고, 실외열교환기(40)에서 응축된 냉매는 모세관(50)으로 유입된다.
상기 모세관(50)으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되어 실내열교환기(60)로 유입되고, 실내열교환기(60)에서는 냉매가 증발하여 기화할때 실내팬(6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냉방운전을 행하고, 실내열교환기(60)에서 냉각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30)로 유입되어 도 1의 실선화살표 방향에 따라 냉매싸이클을 반복하면서 실내냉방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실외온도(To)에 따라 실외팬(41)을 고속 또는 저속으로 제어하여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스텝S7에서는 실외열교환기(40)의 온도(Top)를 온도감지수단(104)에서 감지하고, 제어수단(106)은 실외온도(To) 1℃에 대한 실외열교환기(40)의 기준온도값(Toref)을 아래의 (1)식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산출한다.
Toref = 35℃ + (20℃-To)/2 ..... (1)
(여기에서, To는 실외온도, Toref는 35℃≤Toref≤48℃범위이다.)
상기와 같이, 실외열교환기 기준온도값(Toref)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실외온도(To)가 낮은 상태(저온지역)에서도 동일한 온도로 실외팬(41)을 제어할 경우 실외팬(41)이 고속으로 되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져 실외열교환기 온도(Top)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염려가 없는 지역에서는 기준온도값(Toref)을 고정된 특정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제어수단(106)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열교환기 온도(Top;이하, 실외배관온도라 한다)가 실외열교환기 기준온도값(Toref;이하, 실외배관기준온도라 한다) 이하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실외배관온도(Top)가 실외배관기준온도(Toref)이하이면(YES일 경우) 스텝S8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실외팬(41)의 회전속도를 한 단계 낮추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에 출력한다.
즉,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은 제어수단(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팬(41)의 회전속도를 한 단계 낮추어(예를들어, 고속→저속, 저속→오프) 실외배관온도(Top)에 따른 저온제어를 행한다.
실외배관온도(Top)에 따른 저온제어중, 스텝S9에서 제어수단(106)은 실외팬(41)의 회전속도 절환 후 실외배관온도(Top)가 상승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배관저온해제온도(Top1;약, 50℃) 이상으로 상승하였는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9에서의 판별결과, 실외배관온도(Top)가 실외배관저온해제온도(Top1) 이상이면(YES일 경우) 스텝S1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실외배관온도(Top)에 따른 저온제어조건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팬(41)을 실외배관온도(Top)에 따른 저온제어 이전의 원래 회전속도(저속→고속, 오프→저속)으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외온도(To)에 따라 실외팬(41)을 고속 또는 저속으로 제어하여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스텝S11에서 제어수단(10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열교환기 온도(Tip;이하, 실내배관온도라 한다)가 기설정된 1차저온제어온도(Tip1;약, 0℃) 이하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1차저온제어온도(Tip1) 이하가 아니면(NO일 경우) 상기 스텝S7로 복귀하여 스텝S7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1차저온제어온도(Tip1) 이하이면(YES일 경우) 스텝S1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배관온도(Tip)가 1차저온제어온도(Tip1) 이하에서 소정시간(t1:약, 20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t1)이 경과하면(YES일 경우) 스텝S1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팬(41)을 정지(오프)시켜 실내배관온도(Tip)에 따른 1차 저온제어를 행한다.
실내배관온도(Tip)에 따른 1차 저온제어중, 스텝S14에서 제어수단(106)은 실외팬(41)의 오프 후 실내배관온도(Tip)가 상승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1차저온해제온도(Tip11;약, 4℃) 이상으로 상승하였는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4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1차저온해제온도(Tip11) 이상이면(YES일 경우) 스텝S1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실내배관온도(Tip)에 따른 1차 저온제어조건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10)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팬(41)을 1차 저온제어 이전의 원래 회전속도(저속→고속, 오프→저속)으로 복귀시키면서 상기 스텝S11로 복귀하여 스텝S11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4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1차저온해제온도(Tip11) 이상이 아니면(NO일 경우) 스텝S16에서 제어수단(106)은 실외팬(41)의 오프 후에도 실내배관온도(Tip)가 계속 낮아져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2차저온제어온도(Tip2;약, -4℃) 이하로 낮아졌는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6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2차저온제어온도(Tip2) 이하가 아니면(NO일 경우) 상기 스텝S14로 복귀하여 스텝S1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16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2차저온제어온도(Tip2) 이하이면(YES일 경우) 스텝S1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배관온도(Tip)가 2차저온제어온도(Tip2) 이하에서 소정시간(t1:약, 20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7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t1)이 경과하면(YES일 경우) 스텝S18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압축기구동수단(108)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30)를 정지(오프)시킴과 동시에 실내팬(61)을 미풍{설정 회전속도(예를들면, 700~1200rpm)→최저속(예를들면, 650rpm)}으로 절환시켜 실내배관온도(Tip)에 따른 2차 저온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실외온도(To)에 의한 실외팬(41)의 회전속도 제어중에, 실외배관온도(Top)와 실내배관온도(Tip) 가운데 저온제어 운전조건에 먼저 도달한 것을 기준으로 실외팬(41)과 압축기(30)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므로 실내열교환기(40)의 동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0) 오프중에는 3분 지연을 수행하는데, 스텝S19에서 제어수단(106)은 3분 지연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9에서의 판별결과, 3분 지연이 경과하면(YES일 경우) 스텝S2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3분 지연 후, 실내배관온도(Tip)가 상승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2차저온해제온도(Tip12;약, 6℃) 이상으로 상승하였는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0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2차저온해제온도(Tip22) 이상이면(YES일 경우) 스텝S21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실내배관온도(Tip)에 따른 2차 저온제어조건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1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면(YES일 경우) 스텝S2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6)은 저온제어조건이 해제되고 정상운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30)를 운전(온), 실외팬(41)을 저온제어 이전의 고속 또는 저속으로 구동, 실내팬(61)을 설정 회전속도로 복귀하여 정상운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스텝S6으로 복귀하여 스텝S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에 의하면, 실외온도에 의한 실외팬의 회전속도 제어중에 실내 및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에 따라 실외팬과 압축기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열교환기의 동결을 방지하고, 제품 특성 및 환경 조건에 적절한 최적의 기준온도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냉매의 과도한 냉각을 방지하므로 저온지역에서도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시킬 수 있어 운전영역을 넓힐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모세관 및 실내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켜 냉방운전을 행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팬에 의해 실외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실외온도에 따라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1실외팬제어단계와,
    상기 제1실외팬제어단계에서의 실외팬 제어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는 제2실외팬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외팬제어단계는 상기 실외온도에 의한 실외팬의 회전속도 제어중에 실외열교환기 온도가 실외배관기준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절환 또는 오프시켜 실외열교환기 온도에 따른 저온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외팬제어단계는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 절환에 의한 저온제어중에 실외열교환기 온도가 저온해제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실외팬을 저온제어 이전의 회전속도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배관기준온도는 실외온도 변화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변화정도를 설정한 가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외팬제어단계에서의 실외팬 제어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팬 및 압축기를 제어하는 실외팬/압축기제어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외팬제어단계에서의 실외팬 제어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 온도와 실내열교환기 온도 가운데 저온제어조건에 먼저 감지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실외팬과 압축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팬/압축기제어단계는 실외온도에 의한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 제어중에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1차저온제어온도 이하로 소정시간 경과하면 실외팬을 오프시켜 실내열교환기 온도에 따른 1차 저온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팬/압축기제어단계는 상기 실외팬의 오프에 의한 1차 저온제어중에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1차저온해제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실외팬을 저온제어 이전의 회전속도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팬/압축기제어단계는 상기 실외팬의 오프에 의한 1차 저온제어중에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2차저온제어온도 이하로 소정시간 경과하면 압축기를 오프시켜 실내열교환기 온도에 따른 2차 저온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팬/압축기제어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오프에 의한 2차 저온제어중에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2차저온해제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압축기를 운전시키면서 상기 실외팬을 저온제어 이전의 회전속도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KR1019990053460A 1999-11-29 1999-11-29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KR10034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460A KR100349714B1 (ko) 1999-11-29 1999-11-29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460A KR100349714B1 (ko) 1999-11-29 1999-11-29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677A true KR20010048677A (ko) 2001-06-15
KR100349714B1 KR100349714B1 (ko) 2002-08-22

Family

ID=1962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460A KR100349714B1 (ko) 1999-11-29 1999-11-29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003B1 (ko) * 2004-08-23 2006-03-3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냉방운전 제어 방법
KR100826932B1 (ko) * 2007-02-02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24022097A1 (zh) * 2022-07-28 2024-02-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多联机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器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0705A (zh) * 2019-04-01 2019-07-1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374B2 (ja) * 1993-03-04 2000-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年間冷房制御装置
KR19980028573A (ko) * 1996-10-23 1998-07-1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 동결 방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003B1 (ko) * 2004-08-23 2006-03-3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냉방운전 제어 방법
KR100826932B1 (ko) * 2007-02-02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24022097A1 (zh) * 2022-07-28 2024-02-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多联机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器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714B1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9614A (ko) 냉난방기의 파워 제습 운전방법
US6808119B2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dditional he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349714B1 (ko)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JP366875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00037566A (ko)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압축기 제어방법
KR100286555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표시장치및그방법
KR100286554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19990042964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37792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량 조절장치
KR10026169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6556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19990079086A (ko) 공기조화기의 절전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7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692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09732B1 (ko) 공기조화기의초기절전운전제어방법
KR100286552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0137887B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00581B1 (ko) 냉난방사이클의 제어방법
KR19990038363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18721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55144A (ko)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기의 결빙방지방법
KR100286553B1 (ko) 공기조화기의절전운전제어장치및그방법
KR20020096321A (ko)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
KR100244344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4084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