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831A -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831A
KR20010047831A KR1019990052215A KR19990052215A KR20010047831A KR 20010047831 A KR20010047831 A KR 20010047831A KR 1019990052215 A KR1019990052215 A KR 1019990052215A KR 19990052215 A KR19990052215 A KR 19990052215A KR 20010047831 A KR20010047831 A KR 2001004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infrared
mod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565B1 (ko
Inventor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5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모듈(Infrared Module)을 장착한 휴대폰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정보전송뿐만 아니라 적외선을 이용한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은 문자 키, 기능 키 또는 볼륨(Volume)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와, 제어대상 기기의 원격조정에 필요한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입력 모드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모드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지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 조정 모드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범용 입출력부(GPIO)와, 상기 범용 입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 기기에 적외선 원격조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수신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적외선 원격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 모듈(Infrared Module)을 장착한 휴대폰에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시켜 적외선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Infrared rays)이란 전자파 중에서 가시 광(Visible light)과 밀리 파(millimeter wave) 사이에 있고 파장으로는 대략 0.7㎛에서 수백㎛까지의 범위에 있는 빛을 말한다. 최근에는 레이저의 발달에 따라 강력한 적외선 광원을 얻고 있다. 파장 1㎛ 부근을 발광하는 반도체 레이저가 광통신에 쓰여지고 있다.
그 동안 주로 TV, VCR 등 가전제품의 리모컨에 채택 활용돼 오던 적외선 모듈이 최근에는 양방향 TV,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및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폰)등에 채택되는 등 활용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모듈을 각종 통신 및 디지털 기기에 내장하여 1 ∼ 2m 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해주는 적외선 송수신 모듈(Infrared Transceiver)이 차세대 이동 통신용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적외선데이터협회(Infrared Data Association ; 이하, IrDA라 약칭함)에서는 적외선 모듈이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폰)에 채택될 수 있도록 통신기기간 1m ∼ 2m의 송수신거리와 115.2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로 한 IrMC(Infrared Mobile Communication) 규격도 발표하는 등, 적외선 모듈 업체들이 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시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2000년 말경에는 데이터 전송속도 100Mbps가지 높일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돼 디지털 카메라,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폰) 및 산업용 전자 시스템 등의 각종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은 정보처리 상호 운용 및 대규모의 상품과 기기에서 점대점(Point-to-Point)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발신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고, 수신은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에서 한다.
이와 같은 적외선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선허가나 전파규제 등의 행정절차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IrDA의 하드웨어 특징으로는 IrDA 규격(버전1.0, 1.1)에서 규정한 적외선 송신 모듈의 신호강도, 도달거리, 비트 에러 율, 펄스 변조 등 규격을 만족시켜야 하며 광학적으로 각도 30°범위를 갖도록 설계되는데, IrDA의 하드웨어적인 규격으로서는 IR-SIR(9,600 ∼ 115,200bps), IR-MIR(575,000 ∼ 1,115,200bps) IR-FIR(4.0Mbps)등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적외선 송수신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 데이터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적외선 수신 디코더(2)로 전송하는 검출 수신부(1)와, 상기 검출 수신부(1)에서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디코딩한 후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3)로 전송하는 적외선 수신 디코더(2)와, 상기 적외선 수신 디코더(2)에서 전송된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CPU)와 인터페이싱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 UART)(3)와, 상기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3)에서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인코딩 한 후 출력 구동 발광 다이오드(5)로 전송하는 적외선 송신 인코더(4)와, 상기 적외선 송신 인코더(4)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출력 구동 발광 다이오드(5)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범용 비동기 송수신 장치의 데이터 프레임과 적외선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범용 비동기 송수신 장치(UART)의 데이터 프레임과 적외선 데이터 프레임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일반적으로 직렬(serial) 통신을 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 장치(UART)의 데이터 프레임과 적외선 데이터 프레임의 변환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범용 비동기 송수신 장치의 신호는 시작 비트(Start Bit)와 하나 또는 둘의 정지 비트(Stop Bit)로 시작과 끝을 표시하며 에러 검출용으로 패리티(parity) 비트를 추가하기도 한다.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 사이에는 7 또는 8개의 데이터 비트가 포함된다. 그리고, 적외선 데이터 프레임의 로직 0은 최소 간격이 1.6㎛이고, 최대 간격은 비트 사이클의 3/16을 갖는 펄스이다. 이와 같은 범용 비동기송수신 장치(UART)를 이용하여 휴대폰간 전기적 신호가 광학적 신호로 변환되어 송수신된다.
도 3은 종래 휴대폰간 정보 교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휴대폰(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간 정보 교환 형태는 휴대폰의 일측에 적외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시키고, 1m 거리 이내에서 상대 휴대폰의 송수신 모듈을 마주보게 한 후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4는 일반적인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의 신호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에 적용되는 신호 포맷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리더 코드(Leader Code)의 역할은 적외선 디코딩시 출력될 신호에 앞서 출력되는 예비 신호이다. 여기서, 리더 코드에는 처음 신호가 출력되는 노멀(Normal)(High:9ms, Low:4.5ms)과 이전 신호와 동일한 명령을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리피트(repeat)(High:9ms, Low:2.25ms)가 있다.
그리고 커스텀(custom) 코드는 제어 대상이나 제조업자(vendor)에 따른 고유 코드이고, 데이터 코드는 실제 제어 명령과 데이터가 할당된다. 커스텀 코드나 데이터 코드의 비트 정보는 일정한 폭(0.56ms)의 펄스가 있은 후, 로우(low) 상태의 주기(period)에 따라 0(1.125ms)과 1(2.25ms)로 구분된다.
또한, 커스텀 코드나 데이터 코드의 한 바이트(byte)의 주기는 고정되어 있어 0과 1의 개수는 각각 네 개씩 고정된다(이러한 신호 코드 포맷은 제어 대상이나 제조업자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은 휴대폰에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을 이용한 이동 통신뿐만 아니라, IrDA 방식의 데이터 통신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밖에도 휴대폰을 이용한 더욱 다양한 이용 방법이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적외선 모듈(Infrared Module)을 장착한 휴대폰에서 적외선을 이용한 정보전송뿐만 아니라 적외선을 이용한 원격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문자 키, 기능 키 또는 볼륨(Volume)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와,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조정에 필요한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입력 모드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모드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지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 조정 모드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범용 입출력부(GPIO)와, 상기 범용 입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 기기에 적외선 원격조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수신부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대상 기기의 원격조정에 필요한 키(Key)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구비한 휴대폰에서, 입력된 신호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신호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가 아니면 적외선 통신방식을 데이터 통신 모드인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이면 상기 원격조정 제어대상 기기의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원격조정 제어대상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을 이용한 가전제품 등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범용 비동기 송수신 장치의 데이터 프레임과 적외선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휴대폰간 정보 교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의 신호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에 나타낸 휴대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5에 나타낸 휴대폰의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 및 정보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메모리부 12 : 키 입력부
13 : 디스플레이부 14 : 제어부
15 : 주파수 변환부 16 : 송신부
17 : 스위치부 18 :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ART)
19 : 적외선 통신 변조부 및 복조부 20 : 적외선 송수신부
21 : 범용 입출력부(GPIO) 22 :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
31 :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32 : 텔레비전(TV)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은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적외선 리모트에 필요한 키(Key)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1)와, 문자 키, 기능 키 및 볼륨(Volume) 키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4)로 전달하는 키 입력부(12)와, 휴대폰에서의 다양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와, 상기 키 입력부(12)의 입력 모드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모드가 무선주파(RF)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 적외선 통신(IrDA)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지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14)와, 상기 제어부(14)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 경우에 따른 해당 원격 조정 주파수를 송신부(16)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15)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15)에서 출력된 주파수에 따른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16)와, 상기 송신부(16)의 출력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1, ANT2)를 선택하는 스위치부(17)와, 상기 제어부(14)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ART)(18)와, 상기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18)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조(encoding)하여 적외선 송수신부(20)로 전송하거나,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decoding)하여 상기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18)로 전송하는 적외선 변조부 및 복조부(19)와, 상기 제어부(14)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범용 입출력부(General Port Input Output ; GPIO)(21)와, 상기 범용 입출력부(21)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른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와, 상기 적외선 통신 변조부 및 복조부(19)와 상기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광학적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적외선 통신 변조부 및 복조부(19)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수신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는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시동을 온/오프하는데 사용되는 원격 시동 경보기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자동차 등의 원격 시동 경보기에는 도심에서 성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인 FM 방식과, 산간이나 지방에서 성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인 AM 방식이 있으며, 각종 통신 장애 등으로 다른 제품들간의 부작용을 없애고자 FM 447MHz와, AM 311MHz 주파수 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송수신거리는 AM의 경우에는 30m 정도이고, FM의 경우에는 60m 정도이다. 이와 같은 원격조정 모드의 경우에는 휴대폰(원격조정 데이터 송신기)과 원격조정 수신 장치(원격조정 제어부와 원격조정 데이터 수신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식별자(ID) 코드를 알아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그와 같은 문제는 원격 조정 장치의 제조회사(Vender)에서 제공하는 식별자 코드와 그에 따른 데이터를 휴대폰에 저장시키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를 통해 원격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와 관련된 차고문 제어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통신 방식(IrDA)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 경우에는 적외선 송수신부(20)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학 데이터를 적외선 송수신부(20)에서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적외선 통신(IrDA) 변조부 및 복조부(19)로 전송하면 적외선 통신 변조부 및 복조부(19)에서는 이를 디코딩하여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ART)(19)로 전송하거나,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19)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적외선 송수신부(20)로 전송하는 것으로 휴대폰간 또는 휴대폰과 컴퓨터(PC)간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또한 적외선 통신 방식(IrDA)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 경우에는 키 입력부(12)에서의 입력모드에 따라 제어부(14)에서 범용 입출력부(21)로 원격조정 모드인 것을 입력하면 적외선 송수신부(20)의 발광 다이오드를 적외선 제어기로 선택하여 전송될 제어 명령 및 데이터의 경로(Path)를 결정하고,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로 신호를 입력하는 범용 입출력부(GPIO)(21)를 선택한다. 이어서, 제어부(14)는 적외선 제어기(remote controller)의 제어모델과 제조업체(vender)에 따른 리더 코드(Leader Code),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데이터 코드의 포맷(Format)을 선택한다. 즉,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의 제어 모델과 제조업체에 따른 커스텀 및 데이터 코드 포맷과 이들의 신호 주기(signal period) 등 미리 작성된 포맷이 들어 있는 메모리부(11)에서 해당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어서, 메모리부(11)에서 읽어 들인 리더 코드(Leader Code)의 노멀(Normal) 및 리피트(Repeat) 그리고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및 데이터 코드의 하이(High), 로우(Low)에 해당하는 함수를 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유저(user)가 선택한 키 값(Key Value)에 대한 명령 코드를 선택하여 범용 입출력부(21)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를 적외선 송수신부(20)의 송신용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11)에 저장된 원격조정 모델로는 텔레비전(TV), 오디오 등의 가전(家電) 제품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용 입출력부(21)를 통해 키 입력부(12)에서 제어부(14)를 통해 원격조정 신호가 입력되면 송신 발광 다이오드(LED)를 선택하는 전송 모드 선택부(22a)와,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아닌 적외선 원격조정에 따른 출력 레벨을 높여 주는 출력 레벨 변환부(22b)로 구성된다. 즉,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IrDA 규격 버전 1.0의 경우 적용 거리가 1미터(meter) 정도인데 반해 실제로 가전 제품 등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5미터 이상의 적용 거리가 요구되므로 출력 레벨을 높여주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모트 제어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의 사용 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31)과 텔레비전(32)간의 원격조정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인 리모트 제어기(리모콘)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사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휴대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은 도 8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무선주파수(RF)를 이용하여 자동차와 차고 문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폰의 키 입력부(12)를 통해 임의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4)에서는 입력신호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11).
판단결과(S11) 무선 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가 아니면 적외선 통신(IrDA)을 통한 정보전달 모드인데 이에 대하여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판단결과(S11) 무선 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이면 휴대폰의 출력모드를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로 전환한다(S12).
이어서 입력신호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 중에서 자동차 원격조정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13).
판단결과(S13) 자동차 원격조정 모드이면 자동차 원격 시동 신호 송신 및 제어를 한다(S14).
그러나, 판단결과(S13) 자동차 원격조정 모드가 아니면 차고 문 제어모드 인가를 판단한다(S15).
판단결과(S15) 차고 문 제어 모드가 아니면 자동차 원격조정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3)로 루프(loop)한다.
그러나 판단결과(S15) 차고 문 제어 모드이면 차고 문 제어모드를 진행한다(S16).
이어서, 차고 문 제어 모드가 차고 문 열림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17).
판단결과(S17) 차고 문 열림 모드이면 차고 문 열림 신호를 스위치부(17)를 통해 안테나로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차고 문 열림 신호가 차고 문으로 송신된다(S18).
그러나, 판단결과(S17) 차고 문 열림 모드가 아니면 차고 문 닫힘 신호를 스위치부(17)를 통해 안테나로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차고 문 닫힘 신호가 차고 문으로 송신된다(S19).
이어서, 자동차 원격 시동 신호 송신 및 제어 후 그리고, 차고 문 열림 또는 닫힘 모드 후에 무선 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 종료 키(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0).
판단결과(S20) 원격조정 모드 종료키가 입력되었으면 무선 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판단결과(S20) 원격조정 모드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자동차 원격 조정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3)로 루프(loop)한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휴대폰의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 및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한 원격조정 방법 및 데이터 통신 방법은 도 9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정보전달 모드(원격조정 또는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폰의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무선주파(RF)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가 아니면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한 정보전달 모드를 실행한다(S21).
이어서 키 입력부(12)에서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정보전달 모드 중에서도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를 선택할 것인지 적외선 통신(IrDA) 변조부 및 복조부(19)를 선택할 것인지를 제어부(14)에서 판단한다(S22).
판단결과 키 입력부(12)에서 입력된 신호가 적외선 원격조정 모드이면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를 통한 적외선 원격조정을 진행하게 되므로 우선 적외선 송수신부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선택한다(S23).
이어서 원격조정용 적외선 송신을 위한 범용 입출력부(GPIO)(21)를 선택하여 전송될 제어 명령 및 데이터의 경로를 결정하고 키 입력부(12)에서 발생된 신호가 제어부(13)를 통해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22)로 입력되도록 한다(S24).
그 다음 원격조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적외선 제어기(리모콘) 제어 모델 및 제조 업체에 따른 리더(Leader), 커스텀(Custom) 및 데이터 코드(Code)의 포맷(Format)을 선택한다(S25). 즉 제어부(14)에서 적외선 제어기(적외선 원격조정하고자 하는)의 제어 모델과 제조 업체에 따른 커스텀 및 데이터 코드 포맷과 이들의 신호 주기(period) 등 미리 작성된 포맷이 들어 있는 메모리부(11)에서 해당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어서 사용자(User)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선택한 키 값에 대한 명령 코드를 선택한다(S26).
그 다음 원격조정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출력 레벨을 변환한다(S27). 즉 원격조정하고자 하는 제품의 거리가 멀리 있는 경우에는 출력 레벨을 높인다.
그리고 출력 신호의 포맷에 해당되는 함수를 호출(Call)하여 범용 입출력부(21)를 통해 적외선 송수신부(20)로 출력한다(S28).
그러나, 판단결과 키 입력부(12)에서 입력된 신호가 적외선 통신(IrDA) 모드이면 적외선 통신(IrDA) 변조부 및 복조부(19)를 통한 정보 교환을 진행하게 되므로 우선 적외선 송수신부(20)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적외선 통신 모드로 선택한다(S30).
이어서 적외선 표준 규격을 통한 정보 교환을 한다(S31).
이어서 적외선 통신 모드 종료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적외선 통신 모드 종료 키가 입력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적외선 통신 모드에서 대기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적외선 모듈(IrDA)을 장착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적외선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나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 제어뿐 아니라 TV나 오디오 기기와 같은 가전제품에 대한 적외선 원격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문자 키, 기능 키 또는 볼륨(Volume)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와,
    제어대상 기기의 원격조정에 필요한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입력 모드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모드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지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 조정 모드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범용 입출력부(GPIO)와,
    상기 범용 입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 기기에 적외선 원격조정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와,
    상기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수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 조정 모드인 경우에 따른 해당 주파수를 송신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에서 출력된 주파수에 따른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출력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된 입력모드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모드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UART)와, 상기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여 적외선 송수신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적외선 변조부 및 복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통신 변조부 및 복조부와 상기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광학적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적외선 통신 변조부 및 복조부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리모트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에서 송신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하는 전송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출력 레벨 변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4. 제어대상 기기의 원격조정에 필요한 키(Key)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구비한 휴대폰에서,
    입력된 신호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신호가 무선주파를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가 아니면 적외선 통신방식을 데이터 통신 모드인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조정 모드이면 상기 원격조정 제어대상 기기의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대상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의 원격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키 데이터와 신호 포맷을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원격조정 제어대상 기기에 출력할 때 상기 원격조정 제어대상 기기의 거리에 따른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의 원격조정 방법.
KR10-1999-0052215A 1999-11-23 1999-11-23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KR10038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215A KR100386565B1 (ko) 1999-11-23 1999-11-23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215A KR100386565B1 (ko) 1999-11-23 1999-11-23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831A true KR20010047831A (ko) 2001-06-15
KR100386565B1 KR100386565B1 (ko) 2003-06-02

Family

ID=1962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215A KR100386565B1 (ko) 1999-11-23 1999-11-23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5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45A (ko) * 2002-07-13 2002-08-13 김정한 무선 키보드 기능을 장착한 휴대전화
KR20030039668A (ko) * 2001-11-14 2003-05-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6306B1 (ko) * 2002-07-09 2007-12-14 주식회사 아이케이테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23B1 (ko) 2022-03-22 2022-07-19 한상담 한지 질감을 갖는 친환경적 판상재 도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668A (ko) * 2001-11-14 2003-05-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6306B1 (ko) * 2002-07-09 2007-12-14 주식회사 아이케이테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0065445A (ko) * 2002-07-13 2002-08-13 김정한 무선 키보드 기능을 장착한 휴대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565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4111C (zh) 具有协调的主和副发射机的无线通信装置和方法
KR101366623B1 (ko) 알에프통신 모듈 및 알에프통신 시스템
RU25336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332467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1697248B (zh) 可学习型红外遥控装置和方法
US20090110405A1 (en)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terminals using optical wireless lin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1011785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abling Smart Portable Device to be Universal Remote Control
EP1345341B1 (en) Optical transceiver for data transfer and control applications
CN101719311A (zh) 一种计算机红外遥控方法
CN103812536A (zh) 蓝牙设备连接方法和蓝牙设备
US20020176138A1 (en) Infrared encoder/decoder having hardware and software data rate selection
CN101799971A (zh) 遥控方法以及遥控系统
US20090207893A1 (en) Hf converter for mobile devices
KR100386565B1 (ko)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WO200600113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1993008654A1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with selectable channel settings
KR100433897B1 (ko)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
KR100474718B1 (ko) 휴대무선단말기의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및 방법
CN202004838U (zh) 具有遥控功能的移动终端
JP2003174685A (ja) リモコン送信機及びこれを用いた送信システム
KR20110134603A (ko)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CN101729844A (zh) 无线数据传送方法与装置
CN116896417B (zh) 电源控制方法和网络设备
KR10060563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
JP532767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