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603A -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603A
KR20110134603A KR1020100054257A KR20100054257A KR20110134603A KR 20110134603 A KR20110134603 A KR 20110134603A KR 1020100054257 A KR1020100054257 A KR 1020100054257A KR 20100054257 A KR20100054257 A KR 20100054257A KR 20110134603 A KR20110134603 A KR 2011013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dongle
signal
remote contro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성백훈
옥지성
정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0005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603A/ko
Publication of KR2011013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04M1/725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부착하는 형태의 동글(dongle)과 동글과 RF(Radio Frequency) 통신하는 적외선 발신기로 구성되는 적외선 발신 통합 리모트 콘트롤 기기에 관한 것이다. 동글과 적외선 발신기는 서로를 인식할 수 있는 고유식별 번호가 부여되며 통신이 이루어 질때 동글에서 고유식별 번호를 함께 송출하여 적외선 발신기에서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암호화 단계를 실행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cooperated with smart phone }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가전기기를 간편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통합리모컨 제어시스템은 각각의 기기에 맞는 제어신호를 미리 저장해둔 메모리 소자에서 불러내어 기기를 동작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TV, Audio, DVD 등의 A/V기기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최적화된 제어환경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은 작은 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갖추게 되므로 현재와는 차별화된 제어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새로운 제어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부착하는 형태의 동글(dongle)과 동글과 RF(Radio Frequency) 통신하는 적외선 발신기로 구성되는 적외선 발신 통합 리모트 콘트롤 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에 직접 부착하여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외선 제어신호를 보내는 기기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반대로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적외선 신호의 방향성의 문제로 인식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제어부와 적외선 신호가 발송되는 발신부를 분리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함으로써, 방향성에 대한 제약을 없앨 수 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동글에는 RF 변조 및 복조가 가능한 모듈과 적외선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로 구성되며, 스마트 폰의 CPU와의 통신을 위한 범용 비동기 송수신부 UART(Universal As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탑재한다. 이의 통신 규격으로는 RS232C, USB 등의 인터페이스 레벨에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기존의 PDA(Personal Data Assistant)나 휴대폰에 부착된 적외선 발신부를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해당 기기와 제어대상 기기의 지향성의 문제 및 제어 가능한 거리의 한계로 일반적 사용이 제한되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RF로 제어되는 동글과 이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중계기의 구성으로 이를 극복하려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의 신호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RF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보안모듈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부착하는 형태의 동글(dongle)과 동글과 RF(Radio Frequency) 통신하는 적외선 발신기로 구성되는 적외선 발신 통합 리모트 콘트롤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Infrared Rays)이란 전자파 중에서 가시광과 밀리파 사이에 있고 파장으로는 대략 0.7에서 수백까지의 범위에 있는 광원을 말한다. 최근에는 레이저의 발달에 따라 강력한 적외선 광원을 얻기도 한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의 하드웨어 특징으로는 IrDA 규격(버전 1.0, 1.1)에서 정의한 적외선 송신 모듈의 신호강도, 도달거리, 비트 에러율, 펄스 변조 등 규격을 만족시켜야 하며 광학적으로 각도 30도 범위의 발신 각도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IrDA하드웨어 규격으로는 Ir-SIR(9,600-1215,200bps), Ir-MIR(575,000-1,115,200bps), Ir-FIR(4.0Mbps)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송수신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적외선 데이터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적외선 수신 디코더로 전송하는 검출부와 기 저장된 검출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인코딩하여 발광 LED로 보내는 방출부로 구성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의 신호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외선 리모트 제어기에는 리더코드, 커스텀 코드, 데이터 코드가 있다. 리더(leader code)는 적외선 디코딩시 출력될 신호에 앞서 출력되는 예비 신호로서 제품을 준비 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스텀 코드(custom code)는 제어 대상의 제조업자 및 기기에 따른 고유 코드이며, 데이터 코드(data code)는 실제 제어명령과 데이터가 할당된다. 커스텀 코드나 데이터 코드는 16비트 정보를 담고 있는 코드로서 일정폭의 펄스의 on/off(high/low)로 0또는 1로 인식되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그 동안 주로 TV, DVD등의 음향, 영상 가전에 주로 적용되던 리모컨 시스템이 최근에는 양방향 TV,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면서 통합 리모컨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통합리모컨은 단동의 제품으로서 기기별 신호를 동시에 방출하는 형태로 오작동의 위험이 높고 새롭게 출시되는 전자기기의 제어에는 사용이 제한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스마트폰에 부착되는 RF/IrDA 수신 동글의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통상 FM방식의 27, 40, 72MHz의 영역과 430-440MHZ, 1.2GHz의 영역을 사용할 수 있으나 혼선의 우려를 고려하여 1.2GHz 대역의 RF영역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으로 RF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경우는 IrDA의 송수신 거리인 3-5미터의 한계를 극복하여20-30미터의 거리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지향성의 제약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RF의 코드에는 상기 IrDA의 리더코드 앞에 RF동글과 연결되는 IrDA 발송부의 고유번호를 추가하여 복조한다. IrDA 발신부에서는 RF신호를 수신, 디코딩이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한다.
도 4는 상기 설명한 동작 방법 중 암호화된 고유번호를 식별하는 인식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암호화 및 고유번호 식별 단계로 인하여, 주변에 있는 같은 기종의 하드웨어가 원하지 않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으로 웹/3G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기기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자가 희망할 경우 동일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개시된 기술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기술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스마트 폰과 직접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RF 신호로 복조하여 송신하는 동글(dongle);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신호에 따른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글과 상기 적외선 발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동글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발신 장치는 상기 고유 번호를 식별하여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보안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글은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상기 명령을 430Mhz 이상 2.4 GHz 이하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적외선 발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적외선 발신 장치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변조 및 디코딩하여 상기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KR1020100054257A 2010-06-09 2010-06-09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KR20110134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257A KR20110134603A (ko) 2010-06-09 2010-06-09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257A KR20110134603A (ko) 2010-06-09 2010-06-09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03A true KR20110134603A (ko) 2011-12-15

Family

ID=4550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257A KR20110134603A (ko) 2010-06-09 2010-06-09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3138A1 (en) * 2011-05-25 2012-11-29 Remote Technologies Incorporated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KR101368755B1 (ko) * 2013-04-05 2014-02-28 (주)불스브로드밴드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3138A1 (en) * 2011-05-25 2012-11-29 Remote Technologies Incorporated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US8897897B2 (en) * 2011-05-25 2014-11-25 Remote Technologies, Inc.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US10075665B2 (en) 2011-05-25 2018-09-11 Remote Technologies, Inc. Companion control interface for smart devices
KR101368755B1 (ko) * 2013-04-05 2014-02-28 (주)불스브로드밴드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50695A1 (en) Method for detecting manipulation by a user of a device provided with a comunication tag,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20110153885A1 (en) Plug-in Peripheral Device for Enabling Smart Portable Device to be Universal Remote Control
WO2010110618A2 (ko) 백스캐터링 방식 rfid 통신 시스템
US2011022386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380131B2 (en) Frequency selec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microphone and a receiver
KR10173062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US20160119741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signal converter of the same
US20160050700A1 (en) First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actively pairing with second electronic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090207893A1 (en) Hf converter for mobile devices
CN101799971A (zh) 遥控方法以及遥控系统
KR20110134603A (ko) 스마트폰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리모컨 시스템
CN103888160A (zh) 高穿透性无线通信控制装置及其工作方法
EP34258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onfigurable radio front-end
WO2009117958A1 (en) Receiver module with dual mode capability
CN101419514B (zh) 一种无线鼠标通讯方法
US20060033636A1 (en) Controlling an infrared responsive device
KR20140000375U (ko) 백스캐터링 방식 가시광 통신 시스템
KR100386565B1 (ko) 원격조정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조정방법
CN106775005A (zh) 交互设备、激活方法及装置
CN201766643U (zh) 基于三网融合的自识别遥控手机
CN102446404A (zh) 短程无线信号延伸装置接收器、发射器及其方法
KR101709684B1 (ko) 아두이노와 푸쉬 스마트 버튼을 활용한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120075084A1 (en) Short-distance wireless signal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70079522A (ko)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무선 마우스
KR200304658Y1 (ko) 레이저 포인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