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394A -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394A
KR20010047394A KR1019990051597A KR19990051597A KR20010047394A KR 20010047394 A KR20010047394 A KR 20010047394A KR 1019990051597 A KR1019990051597 A KR 1019990051597A KR 19990051597 A KR19990051597 A KR 19990051597A KR 20010047394 A KR20010047394 A KR 2001004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oice message
voice
datagram
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803B1 (ko
Inventor
진종현
김학규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8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간에 음성 메시지를 직접 송/수신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입력된 음성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Segment)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세그먼트에 헤더(Header)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헤더 정보가 부가된 각 세그먼트를 단문 메시지(SMS)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므로써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SMC로 접속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지며 부가되는 접속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Method for voice message ser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간에 음성 메시지를 직접 송/수신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상용화된 이동 단말기들은 문자 메시지의 직접 전송은 지원하지만 음성 메시지의 직접 전송은 지원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면, 시스템(기지국 및 교환국)은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Center, 이하 SMC로 약칭함)의 음성 사서함에 저장한 후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로 약칭함)의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음성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통지한다(S100, S101).
그러면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SMC에 접속하여 도착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다(S102).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전송한 문자 메시지는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다(S200). 이때 SMC는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게 새로운 문자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통지한다(S201).
그러면 수신측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다(S202).
이와 같이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및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SMS 메시지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3a는 종래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SMS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보인 전달 데이터(Bearer dat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도 3b에 보인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SMS 메시지는 메시지 형태 필드(Message type field)(300)와, 텔레 서비스 식별자 필드(Teleservice identifier field)(301)와, 발신 주소 필드(Origination address field)(302)와, 목적지 주소 필드(Destination address field)(303)와, 전달 데이터 필드(Bearer data field)(304)로 구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텔레 서비스 계층(Teleservice layer)에서 도 3a에 보인 전달 데이터 필드(304)는 메시지 식별자 필드(Message identifier field)(305)와,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 data field)(306)와, 응답 옵션 필드(Reply option field)(307)와, 콜백 번호 필드(Callback number field)(308)로 구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 3b에 보인 사용자 데이터 필드(306)는 메시지 인코딩 필드(Message Encoding field)(309)와, SMS 데이터가 삽입되는 CHARi 필드(310)로 구성되며, SMS 메시지는 메시지 인코딩 필드(309)와 CHARi 필드(310)로 구성된다.
한편,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SMS 메시지를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로 전송하며, 이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엑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 바이트 이하의 길이를 갖고,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56 바이트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음성 및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고려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음성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전송한 음성 메시지는 음성 사서함에 저장되고 수신측 이동 단말기에는 단지 통지만 가능하다. 따라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반드시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여 음성 메시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접속 비용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와는 달리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지 않아도 되지만 송신측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키 패드를 통해 문자열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간에 음성 메시지를 직접 송/수신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입력된 음성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Segment)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세그먼트에 헤더(Header)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헤더 정보가 부가된 각 세그먼트를 단문 메시지(SMS)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입력된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보코더와, 상기 보코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변환하는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 그램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입력받아 소정 크기를 갖는 세그먼트로 분할하거나 또는 SMS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각 세그먼트들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조립하는 메시지 조립/분할부와, 수신된 SMS 메시지로부터 음성 메시지에 대한 헤더 정보를 검출하는 음성 메시지 헤더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는 종래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SMS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3a에 보인 전달 데이터(Bearer dat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c는 도 3b에 보인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4a 보인 사용자 데이터의 헤더(Header)를 나타낸 도면.
도 4c는 SMS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송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메시지 처리부 510 : SMS 메시지 처리부
521 : 음성 메시지 헤더 검출부 522 : 메시지 조립/분할부
523 : 데이터 그램 저장부 524 :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
530 : 음성 입/출력 처리부 540 : 보코더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간에 SMS 메시지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직접 송/수신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서는 종래 SMS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에 음성 메시지를 위한 조립/분할 계층(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을 추가하므로써 일반적인 SMS 메시지보다 큰 길이를 갖는 음성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러한 조립/분할 계층에 따라 송신측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SMS 메시지로서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SMS 메시지로부터 전송된 다수개의 세그먼트를 검출한 후 이를 조립하여 음성을 재생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보인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분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c는 도 4b에 보인 사용자 데이터의 헤더(Heade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SMS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한 후 이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생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은 음성 메시지의 길이가 SMS 메시지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다수개의 사용자 데이터로 분할된다. 이때 첫 번째 사용자 데이터 즉, 제 1 사용자 데이터(401)에는 보코더 식별자 필드(Vocoder_ID field)(400)가 삽입된다. 여기서 첫 번째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삽입되는 보코더 식별자 필드(400)에는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하는데 사용된 보코더(Vocoder)의 식별 정보가 삽입된다.
한편 각 사용자 데이터 필드(401, 402, 403)는 SMS 메시지를 실어 나르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엑세스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 중 어느 채널을 이용하는 가에 따라 각각 길이가 달라지며 또한 SMS 헤더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진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에서 설명한 각 사용자 데이터 필드(401, 402, 403)에는 헤더 정보가 부가된다.
이러한 헤더 정보는 메시지 식별 정보(Message_ID)(404)와, 세그먼트 길이 정보(405)와, 세그먼트 번호 정보(Segment number)(406)와,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Datagram_ID)(407)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시지 식별 정보(404)는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 정보가 삽입되며, 세그먼트 길이 정보(405)에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총 길이에 대한 길이 정보가 삽입되며, 세그먼트 번호 정보(406)에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부터 분할된 각 세그먼트들을 구별할 수 있는 번호 정보가 삽입되고,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407)에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구별을 위한 식별 정보가 삽입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SMS 메시지는 메시지 인코딩 필드(407)와, CHARi 필드(408)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4b에서 설명한 각 사용자 데이터 필드(401, 402, 403)와 도 4b에서 설명한 헤더 정보는 CHARi 필드(408)에 삽입되어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은 먼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변환되고,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은 도 4c에 나타낸 헤더 정보가 부가된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도 4b와 같이 분할된 후 도 4d에 나타낸 SMS 메시지에 삽입되어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음성을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처리부(530)와, 음성 입/출력 처리부(53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보코더(Vocoder)(540)와, 입력된 음성을 분할하거나 또는 조립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부(520)와, 음성 메시지 처리부(520)로부터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출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SMS 메시지로 송신하는 SMS 메시지 처리부(510)와, 음성 및 문자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처리부(520)는 사용중인 보코더(540)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생성하는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524)와,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 그램 저장부(523)와, 데이터 그램 저장부(523)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SMS 메시지 크기에 따라 세그먼트로 분할하거나 또는 수신된 SMS 메시지로부터 동일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들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조립하는 메시지 조립/분할부(522)와, 수신된 SMS 메시지의 헤더를 체크하여 음성 메시지 여부를 판별하는 음성 메시지 헤더 검출부(52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송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음성 입/출력 처리부를 통해 보코더로 입력된다(S600). 보코더는 음성을 분석하고 압축하는 장치로서 입력된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출력한다(S601).
보코더를 통해 데이터로 인코딩되어 출력된 음성 메시지는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로 입력되고,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는 사용중인 보코더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보코더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음성 메시지에 부가함으로써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생성한다(S602). 그리고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데이터 그램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어 메시지 조립/분할부에서는 데이터 그램 저장부로부터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입력받아 SMS 메시지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수개의 세그먼트에 헤더 정보를 부가한다(S603). 이때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헤더 정보는 메시지 식별 정보, 세그먼트 길이 정보, 세그먼트 번호 정보 및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이다.
이와 같이 메시지 조립/분할부에서 헤더 정보가 부가된 다수개의 세그먼트들은 SMS 메시지 처리부로 입력되고, SMS 메시지 처리부는 입력된 다수개의 세그먼트들을 문자 메시지와 동일한 방식 즉, SMS 메시지로서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SMS 메시지 처리부는 SMS 메시지의 MSG_ENCODING type을 'Octet, unspecified(0000)'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므로써 송신측 이동 단말기에서 일반 문자 메시지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MS 메시지 처리부는 메시지 처리부를 통해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SMS 메시지의 MSG_ENCODING type이 'Octet unspecified(0000)'인지를 체크한다(S700). 이는 수신된 SMS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인지 또는 일반 문자 메시지인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수신된 SMS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일 경우, 음성 메시지 헤더 검출부에서는 수신된 SMS 메시지의 헤더 정보내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체크하여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인지를 판단한다(S701).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부터 분할된 세그먼트일 경우, 메시지 조립/분할부는 수신된 세그먼트의 헤더 정보내의 세그먼트 길이 정보에 검색하여 전체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길이를 체크하고 헤더 정보내의 세그먼트 번호 정보를 통해 수신된 세그먼트의 번호를 체크한다(S702).
한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음성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부터 분할된 세그먼트가 아닐 경우에는 메시지 처리부를 통해 처리한다.
이어, 메시지 조립/분할부는 수신된 세그먼트의 헤더 정보내의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를 체크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알아내고, 그에 따라 알아낸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에 수신된 세그먼트들을 조립한다(S703). 상기 단계(S700 ∼S704)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이 완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어 하나의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이 완성되면 헤더 정보내의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에 따라 데이터 그램 저장부에 완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저장한다(S705).
그리고 사용자가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요구하면(S706),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는 데이터 그램 저장부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한 해당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입력받아 송신시 사용된 보코더의 음성 인코딩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음성 인코딩 정보를 보코더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보코더는 제공된 음성 인코딩 정보에 따라 해당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디코딩하여 음성 출력 처리부를 통해 재생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간에 SMS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직접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SMC로 접속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지며 부가되는 접속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종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보코더를 사용하여 음성을 압축/복원하므로써 구현이 용이하며 하드웨어 재사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송신측 이동 단말기가 입력된 음성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소정 크기의 세그먼트(Segment)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세그먼트에 헤더(Header)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헤더 정보가 부가된 각 세그먼트를 단문 메시지(SMS)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보코더(Vocoder)가 상기 입력된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보코더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보코더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로 구성되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첫 번째 세그먼트에 사용된 보코더의 식별 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의 부가 단계에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 정보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크기를 알리기 위한 세그먼트 길이 정보와, 상기 분할된 세그먼트를 구별하기 위한 세그먼트 번호 정보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구별하기 위한 데이터 그램 식별 정보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5. (a) 단문 메시지(SMS)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가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가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일 경우, 상기 수신된 세그먼트를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조립하는 단계와,
    (d) 상기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이 완성될 때까지 상기 (a), (b), (c)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에 따라 완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저장하는 단계와,
    (f)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디코딩하여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의 특정 필드를 체크하여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가 음성 메시지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가 음성 메시지일 경우,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의 메시지 식별 필드를 체크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에 대한 세그먼트 인지를 체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조립 단계는,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의 세그먼트 길이 정보 필드를 체크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길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의 세그먼트 번호 필드를 체크하여 상기 수신된 세그먼트의 번호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SMS)의 데이터 그램 식별 필드를 체크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번호를 검출하는 제 3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 길이, 세그먼트의 번호 및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의 번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세그먼트를 동일 음성 메시지에 대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조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 방법.
  8. 입력된 음성을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보코더와,
    상기 보코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변환하는 보코더 판별/데이터 그램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 그램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을 입력받아 소정 크기를 갖는 세그먼트로 분할하거나 또는 SMS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각 세그먼트들을 음성 메시지 데이터 그램으로 조립하는 메시지 조립/분할부와,
    수신된 SMS 메시지로부터 음성 메시지에 대한 헤더 정보를 검출하는 음성 메시지 헤더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990051597A 1999-11-19 1999-11-19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35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97A KR100359803B1 (ko) 1999-11-19 1999-11-19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97A KR100359803B1 (ko) 1999-11-19 1999-11-19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394A true KR20010047394A (ko) 2001-06-15
KR100359803B1 KR100359803B1 (ko) 2002-11-07

Family

ID=1962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597A KR100359803B1 (ko) 1999-11-19 1999-11-19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8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213A (ko) * 2000-12-27 2002-07-05 구자홍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모드시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100487805B1 (ko) * 2002-08-19 2005-05-0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데이터망을 이용한 양방향 음성통화 및음성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6843B1 (ko) * 2004-03-09 2005-12-14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단음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25017B1 (ko) * 2000-12-1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284B1 (ko) 2008-09-03 2012-07-17 (주)엘지하우시스 클릭 합판마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474B1 (ko) * 1997-12-05 2000-12-15 조정남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9990057384A (ko) * 1997-12-29 1999-07-15 김영환 전압 다운컨버터의 안정화 회로
SE513373C2 (sv) * 1998-02-17 2000-09-04 Telia Ab Metod för överföring av kortmeddelanden i ett mobilt telekommunikationssystem
JPH11298957A (ja) * 1998-04-07 1999-10-29 Toshiba Corp 移動無線電話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17B1 (ko) * 2000-12-1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제공방법
KR20020053213A (ko) * 2000-12-27 2002-07-05 구자홍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모드시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100487805B1 (ko) * 2002-08-19 2005-05-0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데이터망을 이용한 양방향 음성통화 및음성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6843B1 (ko) * 2004-03-09 2005-12-14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단음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803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274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장문 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7953451B2 (en) Method of an apparatus for handling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7684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messages of different message services in a wireless device
US724315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s over the internet
US7142644B2 (en) Arrangement for converting telephone number formats for notification systems
US20070198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messages
US8965419B2 (en) System for interconnecting a remote server with a short message server centre (SMSC) via the internet
CN101360278A (zh) 一种即时消息收发的方法、系统和设备
US918553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onic mail messages
JP2011142635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の伝送のための方法
EP1500256A1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providing text telephone enhancement for voice, tone and sound-based network services
CN106817689B (zh) 一种高可靠性的数据订阅及发布方法及系统
KR100359803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0201733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incomplete addressing data sent to a communication device
KR100386571B1 (ko)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US20040137899A1 (en) TCAP/MAP network interconnection
KR10046188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사용한 단문 메시지서비스 방법
KR100956793B1 (ko) 메시지 상호 호환성을 제공하는 메시지 포맷 변경 방법 및그를 위한 메시지 서버
KR20050101924A (ko) 단말기의 지원 언어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57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US20070184856A1 (en) Choice-based short messaging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and devices therefor
KR100878748B1 (ko) 웹투폰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및 시스템
JP5243948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制御装置及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制御方法
KR101211000B1 (ko) 메시지 송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100995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보 메시지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