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76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761B1
KR100475761B1 KR10-2002-0062067A KR20020062067A KR100475761B1 KR 100475761 B1 KR100475761 B1 KR 100475761B1 KR 20020062067 A KR20020062067 A KR 20020062067A KR 100475761 B1 KR100475761 B1 KR 10047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incoming
incoming notification
mobile communication
notific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51A (ko
Inventor
박범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7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761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가 최종 착신 단말기에 정상적으로 착신되었는지 여부를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단문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로 정상적으로 착신되었음을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하지 못하고, 단지 단문 메시지의 정상적인 발신만을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실제로 단문 메시지가 착신 가입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는 경우 착신 통보 트리거에 따라 기저장해 놓은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센터까지의 단문 메시지 정상 전송을 통보할 뿐 아니라,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발신 가입자 입장에서 실제로 단문 메시지가 착신 가입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등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Notification Method For Terminating Response Of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가 최종 착신 단말기에 정상적으로 착신되었는지 여부를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음성 서비스 뿐 아니라 문자와 같은 비음성 분야의 서비스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로서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와 단문 메시지 센터(Short Message Center) 간의 문자 전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 전송은 페이징, 액세스,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며, 트래픽 채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트래픽 채널 자원을 확보한 후에 실제 단문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고, 그 사용 채널과 응답의 레벨에 따라 여러 종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페이징 채널과 계층 3 응답(Layer 3 Acknowledge)을 요구하는 시나리오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발신 가입자가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망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가입자 단문 메시지 발신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망을 통해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가입자 단문 메시지 착신 서비스로 구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문 메시지 발신 서비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전송한 단문 메시지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이하, '기지국 시스템'이라 칭함)(20)와 이동통신 교환기(30)를 거쳐 단문 메시지 센터(40)로 전송되는데, 이때 발신측 이동 단말기(10)는 액세스 채널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20)으로 전송하며, 기지국 시스템(20)은 ADDS 전송을 통해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기(30)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교환기(30)는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SMDPP(SMS Delivery Point To Point) 형태로 변환한 후에 단문 메시지 센터(4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측 이동 단말기(10)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센터(40)에 저장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 센터(40)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기(30)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교환기(30)는 기지국 시스템(20)을 통해 발신측 이동 단말기(10)로 단문 메시지 센터(40)의 단문 메시지 수신을 통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는 다시 이동통신 교환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데,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문 메시지 착신 서비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단문 메시지 센터(40)는 홈위치 등록기에 착신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은 후에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 가입자가 위치한 이동통신 교환기(30)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교환기(30)는 단문 메시지 센터(40)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20)을 통해 착신측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측 이동 단말기(10)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20)을 통해 이동통신 교환기(30)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교환기(30)는 단문 메시지 센터(40)로 착신측 이동 단말기(10)의 단문 메시지 착신을 통보하게 된다.
이때, 착신측 이동 단말기(10)가 휴지 상태에 있거나 음영 지역에 있어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 센터(40)로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이 통보되지 않고, 이 경우 단문 메시지 센터(40)는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기까지 일정시간 주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발신 서비스와 착신 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최초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문 메시지 수신 통보는 단문 메시지 센터까지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음을 통보하고 있을 뿐, 착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과를 통보받을 수는 없었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문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로 정상적으로 착신되었음을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하지 못하고, 단지 단문 메시지의 정상적인 발신만을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함에 따라 실제로 단문 메시지가 착신 가입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는 경우 착신 통보 트리거에 따라 기저장해 놓은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센터까지의 단문 메시지 정상 전송을 통보할 뿐 아니라,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발신 가입자 입장에서 실제로 단문 메시지가 착신 가입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등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저장하고 있는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착신 통보 요청 정보는, 단문 메시지를 실어 보내는 ADDS 사용자부 필드 내의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에 기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의 하위 2비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단문 메시지가 실린 ADDS 사용자 필드 내의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에 기록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체크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은, 상기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정보 트리거에 따라 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착신번으로 하는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발신 가입자가 전송한 단문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로 정상적으로 착신되었는지 여부를 해당되는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를 위해서는 단문 메시지 발신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함께 전송해야 하며,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는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착신 통보 요청 정보에 따라 착신 통보 트리거(trigger)를 아밍(arming)해야 한다.
이때, 착신 통보 요청 정보는 단문 메시지 내용을 실어 보내는 ADDS 사용자부 필드에 기록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ADDS 사용자부 필드에 포함되는 총 3바이트의 베어러 응답 옵션(Barer Reply Option) 필드에서 현재 예약된 값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마지막 2 비트에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한다.
즉, ADDS 사용자부 필드는 첨부한 도면 도 5의 (가)와 같이, 단문 메시지 타입 필드(SMS_MSG_TYPE)와, 파라미터 식별자 필드(PARAMETER_ID)와, 파라미터 길이 필드(PARAMETER_LEN)와, 파라미터 데이터 필드(Parameter Data)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파라미터 데이터 필드는 도 5의 (나)와 같이 텔레서비스 식별자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정보, 발신측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 정보, 착신측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 정보, 베어러 응답 옵션 정보, 전송 실패 원인 코드 정보, 단문 메시지 정보 등을 각각의 필드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게 되는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는 총 3바이트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5의 (다)와 같이 첫번째 바이트에는 파라미터 식별자 정보를, 두번째 바이트에는 파라미터 길이 정보를, 그리고 마지막 세번째 바이트의 상위 6비트에는 베어러 응답 순서 정보를 각각 기록하여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는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마지막 세번째 바이트의 하위 2비트에 기록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는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착신 통보 요청 정보에 따라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앞에서 설명한 ADDS 사용자부 필드 내의 발신측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 필드에 기록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즉,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호 레지스터(Call Register)에 저장하며,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는 경우 착신 통보 트리거에 따라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인 착신 통보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화 한 후에 호 레지스터에 기저장된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발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한다.
한편,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동작을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는 주체 즉, 실질적인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를 수행하는 주체에 따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착신 통보 트리거를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에 아밍하는 경우 즉,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한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발신 가입자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 입력하게 되고,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착신 여부를 통보받기 위해서는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게 되는데(스텝 S61), 이때 단문 메시지 내용을 실어 보내는 ADDS 사용자부 필드에 포함되는 베어러 응답 옵션(Barer Reply Option) 필드 내의 마지막 2 비트에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발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이를 SMDPP 형태로 변환한 후에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착신 통보 요청 정보와 함께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게 된다(스텝 S62).
이후, 단문 메시지 센터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센터의 단문 메시지 수신을 통보하게 되고, 한편으로 홈위치 등록기에 단문 메시지의 착신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은 후에 해당되는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 가입자가 위치한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스텝 S63).
이에, 단문 메시지와 함께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단문 메시지 전송에 앞서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단문 메시지 내용이 실린 ADDS 사용자부 필드 내의 발신측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 필드에 기록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 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된다.
즉,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단문 메시지 내용이 실린 ADDS 사용자부 필드에 포함되는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를 체크하여 착신 통보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즉,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64),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처리 동작에 따라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동작만을 수행하게 되지만(스텝 S70),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된다(스텝 S65).
그리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고(스텝 S66), 이후에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7), 이를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을 통보하는 한편, 착신 통보 트리거에 따라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단문 메시지화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을 통보하게 된다.
즉,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착신 정보 트리거에 따라 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추출한 후에 해당되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착신번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를 나타내는 단문 메시지(즉,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스텝 S68).
그러면,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는 일반 단문 메시지 처리와 마찬가지로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게 되고,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해당되는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최초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을 통보하게 된다(스텝 S69).
둘째로, 착신 통보 트리거를 단문 메시지 센터에 아밍하는 경우 즉, 단문 메시지 센터를 통한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발신 가입자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자신의 이동 단말기에 입력하게 되고,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착신 여부를 통보받기 위해서는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내용을 실어 보내는 ADDS 사용자부 필드에 포함되는 베어러 응답 옵션(Barer Reply Option) 필드의 마지막 2 비트에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게 된다(스텝 S71).
그리고, 발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이를 SMDPP 형태로 변환한 후에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착신 통보 요청 정보와 함께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게 된다(스텝 S72).
이후, 단문 메시지 센터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센터의 단문 메시지 수신을 통보하게 되고, 한편으로 홈위치 등록기에 단문 메시지의 착신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은 후에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 가입자가 위치한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단문 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기에 앞서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단문 메시지 내용이 실린 ADDS 사용자부 필드 내의 발신측 어드레스 및 서브 어드레스 필드에 기록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된다.
즉, 단문 메시지 센터는 단문 메시지 내용이 실린 ADDS 사용자부 필드에 포함되는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를 체크하여 착신 통보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즉,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73),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처리 동작에 따라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동작만을 수행하게 되지만(스텝 S79),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된다(스텝 S74).
그리고,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고(스텝 S75),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 단말기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을 통보하게 된다.
이때, 단문 메시지 센터는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76), 착신 통보 트리거에 따라 착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단문 메시지화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을 통보하게 된다.
즉,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은 단문 메시지 센터는 착신 정보 트리거에 따라 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추출한 후에 해당되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착신번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를 나타내는 단문 메시지(즉,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스텝 S77).
그러면,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최초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을 통보하게 된다(스텝 S78).
첨부한 도면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을 정리해 보면, 발신측 단말기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게 되면(스텝 S81),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는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고, 이때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는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스텝 S82),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처리 동작만을 수행하게 된다(스텝 S84).
하지만,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앞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스텝 S83), 최초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착신 여부를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 발신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한 후에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저장해 놓음으로써,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나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을 통보받는 경우 착신 통보 트리거에 따라 기저장해 놓은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센터까지의 단문 메시지 정상 전송을 통보할 뿐 아니라,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발신 가입자 입장에서 실제로 단문 메시지가 착신 가입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등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의 단문 메시지 최종 착신 여부를 발신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서비스를 부가적인 서비스로 개발할 수 있게 되고, 이 경우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차별 과금이 가능해 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문 메시지 발신 서비스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문 메시지 착신 서비스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가 기록되는 ADDS 사용자부 필드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한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센터를 통한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7)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단문 메시지와 함께 저장하고 있는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보 요청 정보는, 단문 메시지를 실어 보내는 ADDS 사용자부 필드 내의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에 기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의 하위 2비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단문 메시지가 실린 ADDS 사용자 필드 내의 베어러 응답 옵션 필드에 기록된 착신 통보 요청 정보를 체크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보 요청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착신 통보 트리거를 아밍하고,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의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호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착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 정보 트리거에 따라 호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단말기 MIN 정보를 착신번으로 하는 착신 통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2002-0062067A 2002-10-11 2002-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047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67A KR100475761B1 (ko) 2002-10-11 2002-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67A KR100475761B1 (ko) 2002-10-11 2002-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51A KR20040033151A (ko) 2004-04-21
KR100475761B1 true KR100475761B1 (ko) 2005-03-10

Family

ID=3733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67A KR100475761B1 (ko) 2002-10-11 2002-10-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34B1 (ko) * 2004-12-29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림 메시지 서비스 제어 방법
KR100622319B1 (ko) * 2005-02-24 2006-09-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읽음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65540B1 (ko) 2006-05-26 200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 메시지 전송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N103906016B (zh) * 2012-12-26 2018-0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和装置
KR20180000954U (ko) 2016-09-29 2018-04-06 정태영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479A (ko) * 1997-09-30 1999-04-15 유기범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KR20010070916A (ko) * 2001-06-20 2001-07-27 이상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10082442A (ko) * 2001-07-12 2001-08-30 이상철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10105652A (ko) * 2000-05-17 2001-11-29 김대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세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40009107A (ko) * 2002-07-22 2004-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479A (ko) * 1997-09-30 1999-04-15 유기범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KR20010105652A (ko) * 2000-05-17 2001-11-29 김대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세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10070916A (ko) * 2001-06-20 2001-07-27 이상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10082442A (ko) * 2001-07-12 2001-08-30 이상철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09107A (ko) * 2002-07-22 2004-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51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3546A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EP1338155B1 (en) Network-assisted automatic confirmation of short message service delivery
CA2314103C (en)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s with short message service over the packet channel
JP3885894B2 (ja) 無線電気通信システム内で簡易文字メッセージを搬送する方法、及びディジタル電気通信システム
JP4059348B2 (ja) 話中の加入者に対する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行うためのフロー制御方法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KR100617237B1 (ko) 단문 서비스(sm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이벤트 발생 방법
US81897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short voice message
US2014022102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7014029A (ja) 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移動局
JP2005333672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全形式のメッセージに対して同じプロトコルを使用してメッセージを配送する方法
AU6232798A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a command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tha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03030471A1 (en) Packetized voice messaging
US6980792B2 (en) Billing for repli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282902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4757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착신 통보 방법
KR100495369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멀티미디어 메시징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무선단말기
JP3811356B2 (ja) 無線通信における最大遠距離サービスペイロードサイズの指示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598965B1 (ko) 전화번호 변경시 자동 연결 및 번호 변경 안내를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4578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단말기 통화 중 단문메시지의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61196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 개선된 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5244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푸쉬 방법
KR100954284B1 (ko) 외부 연동 장비별로 독립된 재전송 규칙을 적용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4854A (ko) 특정 코드를 이용한 착신 확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