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664A -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664A
KR20010046664A KR1019990050539A KR19990050539A KR20010046664A KR 20010046664 A KR20010046664 A KR 20010046664A KR 1019990050539 A KR1019990050539 A KR 1019990050539A KR 19990050539 A KR19990050539 A KR 19990050539A KR 20010046664 A KR20010046664 A KR 2001004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emergency call
volt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6664A/ko
Publication of KR2001004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와,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긴급 호 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한 제1배터리의 전압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원 스위칭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전원 스위칭 여부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제2배터리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선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CALL}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 호(emergency call)를 위한 전압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긴급 호 기능을 갖는다. 긴급 호는 일반적인 호들과는 다르게 순간적으로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전력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동일 영역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통화 품질에 악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잠재적인 긴급 상황을 생각한다면 꼭 필요한 기능이다. 하지만 이처럼 반드시 통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긴급 상황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의 배터리가 모두 소모된 상태라면 큰 낭패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긴급 호를 위한 전용 배터리 전압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와,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긴급 호 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한 제1배터리의 전압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원 스위칭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전원 스위칭 여부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제2배터리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선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와 긴급 호 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 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긴급 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검출한 제1배터리의 전압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3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2배터리를 단말기 전원으로 스위칭한 다음 긴급 호를 시도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주파(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수신하여 1차 중간주파수로 낮추거나 반대로 처리하여 송신하는 송수신부(105)와, 2차 중간주파수 처리 및 주파수 대역을 더 낮추어서 비트 열로 만드는 기저대역 처리부(107)와,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코덱(109)과,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1)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제장하는 메모리부(103)와,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111)와, 제1 혹은 제2배터리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선택기(113)와, 상기 전원선택기(113)를 거쳐 공급되는 제1 혹은 제2배터리중 하나를 직류/직류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115)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115)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몇 가지 전압으로 조정하는 전압조정기(voltage regulator)(117)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1)는 CDMA단말기인 경우 퀄컴사의 MSM(Mobile Station Modem)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MSM은 IS-95-A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처리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보코더, 각종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외부 키패드, 링거(ringer)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03)는 플래시메모리, 램, 이이피롬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실시간 운영체제와 단말기 호 처리 소프트웨어는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저장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상기 램에 불러와서 동작시킨다. 또한 NAM(Number Assignment Module) 변수 혹은 기타 저장용 데이터(예: 전화번호 및 이름, 단문메시지 등)는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상기 이이피롬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03단계에서 단말기에 제1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면 실시간 운영체제에 의해 주제어 작업(main control task)이 생성되고,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들이 초기화되며, 상기 주제어 작업 이외의 다른 모든 작업들이 생성 및 시작된다. 이후 송수신부(105)의 고주파 처리 부분을 초기화하고 파워 다운 및 리셋 등을 처리한 다음 시스템 결정 상태(system determination state)로 들어간다.
상기 시스템 결정 상태를 통하여 CDMA모드와 아날로그모드 중에서 서비스받을 모드가 결정되고 두 시스템중 서비스 받을 시스템이 결정된다. 일단 서비스 받을 시스템이 결정되면 단말기는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로 들어간다.
초기화 상태에서 단말기의 모드가 예를 들어 CDMA모드로 선택되면 단말기는 인접 시스템들중에서 가장 좋은 파일롯(pilot)신호를 잡아서 동기 채널을 획득하고 복조하여 얻은 시스템 시간과 롱 코드(long code) 상태를 통하여 그 시스템과 동기를 맞추고 유휴(idle) 상태로 들어간다. 단, 시스템 결정 상태와 초기 상태에서 반복하여 스캔해도 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을 획득하지 못하게 되면 단말기는 슬립(deep sleep)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긴급 호가 발생하면 단말기는 가장 마지막에 잡았던 시스템에서부터 아날로그 시스템, 히스토리(history) 시스템, 유용(available) 시스템 등의 순으로 스캔하여 적당한 시스템을 획득한 후, 곧바로 유휴상태, 접속상태 그리고 통화상태를 거쳐서 긴급 호를 성공시킨다. 그러나 단말기가 어떠한 시스템도 획득하지 못하여 슬립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긴급 호를 하고자 할 때 단말기의 배터리가 없다면 종래에는 기본 호는 물론이고 긴급 호도 성공시킬 수가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상황에서도 긴급 호를 성공시킬 수가 있다.
만약 초기화 상태에서 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을 획득하면 단말기는 유휴상태로 들어간다. 유휴상태에서 단말기는 동기가 맞추어진 시스템의 페이징(paging) 시스템의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고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발호(origination) 요구가 있으면 단말기는 통화상태로 들어간다. 접속상태에서 단말기는 부가정보를 갱신하고 시스템에 등록하거나 사용자의 발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응답(ACK)을 처리한다.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발호 메시지의 응답을 수신하면 단말기는 통화 상태(traffic channel)로 들어간다. 상기 통화 상태에서 단말기는 통화 및 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통화의 종료와 더불어 해제 명령(release order)을 통화여 초기화 상태로 돌아간다.
다음 205단계 ∼ 215단계에 따르면, 긴급 호가 발생한 상황에서 주배터리가 모두 소모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긴급 호가 어느 전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지 알 수 있다.
205단계에서 단말기는 긴급 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긴급 호가 발생했으면 207단계에서 제1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209단계에서 상기 측정한 전압이 기준값 보다 큰지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긴급 호를 성공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배터리 용량이다. 그러므로 상기 측정된 제1배터리 전압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으면 211단계에서 전원선택기(113)를 제어하여 제2배터리 전원을 선택하도록 스위칭한 다음 215단계에서 상기 제2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면서 긴급 호를 시도한다. 반면에 상기 측정된 전압이 기준값 이상이면 213단계에서 제1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긴급 호를 시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배터리 전압은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주배터리이고, 제2배터리 전압은 긴급 호 전용 배터리이다.
전술한 205단계에서 긴급 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는 유휴 상태로 들어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소용량의 긴급 호 전용 배터리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 배터리가 모두 소모된 상태에서도 긴급 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와,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긴급 호 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검출한 제1배터리의 전압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원 스위칭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전원 스위칭 여부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제2배터리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원선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긴급 호를 성공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배터리 용량이고,
    상기 제어부는 긴급 호가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전압검출부가 검출한 제1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으면 전원을 상기 제2배터리로 스위칭 하도록 상기 전원선택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와 긴급 호 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긴급 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긴급 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검출한 제1배터리의 전압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3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2배터리를 단말기 전원으로 스위칭한 다음 긴급 호를 시도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배터리를 단말기 전원으로 하여 긴급 호를 시도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50539A 1999-11-15 1999-11-15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46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539A KR20010046664A (ko) 1999-11-15 1999-11-15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539A KR20010046664A (ko) 1999-11-15 1999-11-15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664A true KR20010046664A (ko) 2001-06-15

Family

ID=1962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539A KR20010046664A (ko) 1999-11-15 1999-11-15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66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356A (ko) * 1999-12-22 2001-07-04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백업회로
KR100664026B1 (ko) * 2004-12-17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엠지폰의 위치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788431B1 (ko) * 2006-10-10 2007-12-24 이병선 블랙박스 기능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356A (ko) * 1999-12-22 2001-07-04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백업회로
KR100664026B1 (ko) * 2004-12-17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엠지폰의 위치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788431B1 (ko) * 2006-10-10 2007-12-24 이병선 블랙박스 기능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950B1 (ko) 이동 무선 통신 방법,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장치 및 이동 무선 단말 장치
JP3722055B2 (ja) 携帯端末装置
US7174188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selecting method
US894808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644593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power management
US20020082010A1 (en) Wireless terminals and methods including power efficient intelligent roaming and scanning for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JP3050181B2 (ja) 移動体通信装置
RU2209516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в ждущем режиме и сотовый радиотелефон
KR970006877B1 (ko) 무선통신장치
KR20010046664A (ko) 긴급 호를 위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08066075A1 (fr)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et procédé de commande
JP2009206967A (ja) 携帯通信端末
KR20000041312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KR2001000394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 및 방법
US2005001450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5202835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65086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65087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41278A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30034452A (ko) 긴급 상황시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065090B2 (ja) 携帯通信端末
JP4813336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02834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65088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147889B2 (ja) 移動体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