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270A -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270A
KR20010046270A KR1019990049976A KR19990049976A KR20010046270A KR 20010046270 A KR20010046270 A KR 20010046270A KR 1019990049976 A KR1019990049976 A KR 1019990049976A KR 19990049976 A KR19990049976 A KR 19990049976A KR 20010046270 A KR20010046270 A KR 20010046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trunk
voice data
data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민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6270A/ko
Publication of KR2001004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2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6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 H04M7/127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where the session control protocols comprise SIP and SS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제어 설정시 필요한 신호 데이터를 별도의 신호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 연동하여 E1/T1급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있었으나, 호 제어 설정을 위한 신호 방식으로 R2 또는 LAPD 신호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가입자들에게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과 같은 인텔리전트(Intelligent)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 연동하여 E1/T1급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제어 설정시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함에 따라 가입자들에게 인텔리전트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통화 링크와 신호 링크가 분리 운용되는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해당 신호 링크를 통해 호 설정을 위한 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어 통화중에도 많은 양의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안정된 링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nternet Telephony Gateway System For Providing No.7 Signaling}
본 발명은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제어 설정시 필요한 신호 데이터를 별도의 신호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폰(Internet Phone)이란 인터넷을 통한 PC(Personal Computer) 사용자 상호간의 실시간 음성 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저렴한 통신 요금으로 인해 그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통신 수단에 따라 PC 대 PC, PC 대 전화, 전화 대 전화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현재까지 PC 대 PC와 PC 대 전화 방식에 대해서는 많은 개발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PC 대 PC 방식은 해당 PC와 PC를 연결해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송수신하는 방식으로서, 양측이 같은 시간에 인터넷에 접속한 후, 상호간에 동일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이크를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압축하여 패킷화된 음성을 인터넷을 통해 상대측 PC로 보내면, 해당 PC는 패킷화된 음성을 복원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했는데, 이 경우 양측의 PC가 같은 시간에 인터넷에 접속해야 하고,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PC 대 전화 방식은 해당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인터넷을 접속한 후, 특정 지역에 설치된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nternet Telephony Gateway System)을 통해 공중통신망과 연동하여 전화를 이용하여 통신하게 하는 방식으로서, 이 경우 어느 한측은 공중통신망을 연동해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한편, 종래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에서 교환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해당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은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Ethernet)과 연동하게 되며, 해당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의 교환 시스템 가입자가 전화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해당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ITGS)은 연동된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의 호 제어 설정을 위한 신호(signaling) 방식으로 E1/T1급의 R2 또는 LAPD(Link Access Protocol for D-channel) 신호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해당 R2 신호 방식은 일명 ABCD 신호 방식으로 E1급의 경우 타임슬롯 16번으로 운용하는 방식이며, 해당 LAPD 신호 방식은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D 채널 프로토콜로서 시그널링 정보를 패킷화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 연동하여 E1/T1급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있었으나, 호 제어 설정을 위한 신호 방식으로 R2 또는 LAPD 신호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가입자들에게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과 같은 인텔리전트(Intelligent)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 연동하여 E1/T1급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제어 설정시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들에게 인텔리전트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통화 링크와 신호 링크가 분리 운용되는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신호 링크를 통해 호 설정을 위한 신호 데이터를 전달하여 통화중에도 많은 양의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된 링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교환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있어, 트렁크 보드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2에 있어, 음성 처리 보드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메인 프로세스 보드 30 : 트렁크 보드
31 : 음성 코드 변환부 32 : 스위칭&망동기부
33, 41 : CPU 모듈부 34, 43 : DRAM
35 : 트렁크 라인 36 : 시스템 클럭 생성부
37 : 시스템 버스 생성부 38, 48 : 부트 ROM
40 : 음성 처리 보드 42 : 제어 모듈부
44 : 보코더 모듈부 45 :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46 :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 47 :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부 운용자 터미널을 연결하여 각 보드 내부의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함과 동시에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각 보드의 인터넷 호 처리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스 보드와; 공중통신망과 신호 링크를 연결하여 No.7 신호 방식을 처리하며,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하이웨이에 실려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신호 데이터와 함께 공중통신망 또는 이더넷 측으로 송신하는 트렁크 보드와; 상기 트렁크 보드에 의해 추출된 PCM 음성 데이터를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하이웨이에 실어 상기 트렁크 보드로 전달하는 음성 처리 보드를 포함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 보드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이웨이에 실어 음성 처리 보드로 전달하고,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해서 상기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렁크 보드는, 공중통신망 또는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A-Low 또는 μ-Law 방식을 상호 정합하기 위해 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코딩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코드 변환부와; 상기 공중통신망과 No.7 신호 링크로 연결되어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렁크 라인과; 음성 데이터와 신호 데이터 및 트렁크 보드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각 구성부의 운용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DRAM과; 음성 코딩 변환된 음성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정상 수신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DRAM에 저장하고, 상기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망 동기 신호를 상기 시스템 클럭 생성부로 전달하는 스위칭&망동기부와; 상기 스위칭&망동기부를 제어하여 DRAM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코드 변환부 및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음성 처리 보드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DRAM에 저장한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해서 상기 트렁크 라인을 통해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송수신하게 하는 CPU 모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망동기부로부터 전달되는 망 동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여 백 플레인을 통해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 및 음성 처리 보드 측에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 생성부와; 상기 CPU 모듈부의 제어에 따라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와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버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음성 처리 보드는,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와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헤더/테일 방식으로 DPRAM을 통해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 보드는, 보드 초기화를 위한 부트 프로그램과 보드 운용 관리를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트 ROM과; 작업 메모리로서 TCP/IP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이더넷과 연동하게 하며, 상기 이더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DRAM과; 백 플레인의 송/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트렁크 보드와 PCM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트렁크 보드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클럭을 전달하여 시스템 동기를 유지하게 하는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트렁크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소정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이더넷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더넷으로부터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상기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보코더 모듈부와; 상기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보코더 모듈부 및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와; 상기 제어 모듈부를 제어하여 DRAM에 저장된 압축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가 상기 보코더 모듈부에 의해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되어 상기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 및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트렁크 보드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보코더 모듈부를 제어하여 DRAM에 저장된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가 상기 백 플레인을 통해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로 전달되게 하는 CPU 모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코더 모듈부에 의해 생성된 보드 관리를 위한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내부의 DPRAM을 통해 교환하되,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에서 시스템 버스를 이용하여 백 플레인을 통해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교환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며, 해당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의 교환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과 연동하여 전화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 연동하여 E1/T1급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제어 설정시의 신호 방식으로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가입자들에게 인텔리전트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해당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통화 링크와 신호 링크가 분리 운용되고, 해당 신호 링크를 통해 호 설정을 위한 신호 데이터가 전달됨에 따라 통화중에도 많은 양의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안정된 링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스 보드(20)와, 트렁크 보드(30) 및 음성 처리 보드(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각 보드간에는 제어신호와 하이웨이 및 시스템 클럭과 시스템 버스로 연결된다.
해당 메인 프로세스 보드(20)는 외부 운용자 터미널을 연결하여 트렁크 보드(30) 및 음성 처리 보드(40)의 내부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함과 동시에 각 보드의 공통된 클럭인 시스템 클럭에 따라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트렁크 보드(30) 및 음성 처리 보드(40)의 인터넷 호 처리 등을 제어한다.
그리고, 해당 트렁크 보드(30)는 공중통신망과 신호 링크를 연결하여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을 처리하며,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순수한 PCM(Pulse Code Modulation) 음성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PCM 음성 데이터는 하이웨이에 실어 음성 처리 보드(40)로 전달하고,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해서 해당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송수신하되, 하이웨이에 실려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신호 데이터와 함께 공중통신망 또는 이더넷 측으로 송신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해당 트렁크 보드(30)는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코드 변환부(31)와, 스위칭&망동기부(3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모듈부(33)와, DRAM(34, 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트렁크 라인(35)과, 시스템 클럭 생성부(36)와, 시스템 버스 생성부(37) 및 부트 ROM(38, Boot 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해당 음성 코드 변환부(31)는 공중통신망 또는 이더넷의 교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A-Low 또는 μ-Law 방식을 상호 정합하기 위해 수신 하이웨이(RXHW)를 통해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코딩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해당 스위칭&망동기부(32)는 음성 코딩 변환된 PCM 음성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해서 DRAM(34)에 저장하고, 트렁크 라인(35)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망 동기 신호를 시스템 클럭 생성부(36)로 전달하여 시스템 클럭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CPU 모듈부(33)는 스위칭&망동기부(32)를 제어하여 DRAM(34)에 저장된 PCM 음성 데이터가 음성 코드 변환부(31) 및 송신 하이웨이(TXHW)를 통해 음성 처리 보드(40)로 전달되도록 하고, 해당 DRAM(34)에 저장한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해서 트렁크 라인(35)을 통해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송수신하도록 한다.
해당 DRAM(34)은 공중통신망 및 이더넷과 송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와 No.7 신호 방식에 사용되는 신호 데이터 및 해당 트렁크 보드(30)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트렁크 라인(35)과 스위칭&망동기부(32) 및 시스템 버스 생성부(37)의 운용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해당 트렁크 라인(35)은 공중통신망과 No.7 신호 링크로 연결되어 스위칭&망동기부(32)와의 신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해당 시스템 클럭 생성부(36)는 스위칭&망동기(32)로부터 제공되는 망 동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여 백 플레인(BP)을 통해 메인 프로세스 보드(20) 및 음성 처리 보드(40) 측에 제공하며, 해당 시스템 버스 생성부(37)는 CPU 모듈부(33)의 제어에 따라 메인 프로세스 보드(20)의 메시지 교환을 위한 시스템 버스를 생성하고, 해당 부트 ROM(38)은 트렁크 보드(30)의 초기화를 위한 부트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해당 음성 처리 보드(40)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입/출구로서 압축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이더넷과 연동하되, 트렁크 보드(30)에 의해 추출된 PCM 음성 데이터를 G.723.1 또는 G.729 권고안에 따라 소정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 측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인터넷으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본래의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하이웨이에 실어 해당 트렁크 보드(30)로 전달하며, 메인 프로세스 보드(20)와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헤더/테일(Header/Tail) 방식으로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해당 음성 처리 보드(40)는 첨부한 도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 모듈부(41)와, 제어 모듈부(42)와, DRAM(43)과, 보코더 모듈부(44)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45)와,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와,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47) 및 부트 ROM(48)을 포함한다.
해당 CPU 모듈부(41)는 제어 모듈부(42)를 제어하여 DRAM(43)에 저장된 압축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가 보코더 모듈부(44)에 의해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복원되어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 및 송신 하이웨이(TXHW)를 통해 트렁크 보드(30)로 전달되도록 하고, 보코더 모듈부(44)를 제어하여 해당 DRAM(43)에 저장된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45) 및 백 플레인(BP)을 통해 메인 프로세스 보드(20)로 전달되도록 한다.
해당 제어 모듈부(42)는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47)로부터 전달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보코더 모듈부(44) 및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고, 해당 DRAM(43)은 보드의 작업 메모리(Working Memory)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이더넷과 연동하게 하며, 해당 보드 초기화시 이더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해당 보코더 모듈부(44)는 CPU 모듈부(41)의 제어에 따라 트렁크 보드(30)로부터 전달되는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소정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이더넷의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이더넷으로부터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본래의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로 전달한다.
해당 시스템 인터페이스부(45)는 보코더 모듈부(44)에 의해 생성된 보드 관리를 위한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와 같은 각종 메시지를 내부의 DPRAM(Dual Port RAM,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교환하되, 메인 프로세스 보드(20)에서 시스템 버스를 이용하여 백 플레인(BP)을 통해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해당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는 백 플레인(BP)의 송/수신 하이웨이(TXHW, RXHW)를 통해 트렁크 보드(30)와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해당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47)는 트렁크 보드(20)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클럭을 제어 모듈부(42)에 전달하여 시스템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해당 부트 ROM(48)는 음성 처리 보드(40)의 초기화를 위한 부트 프로그램과 CPU 모듈부(41)의 보드 운용 관리를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 처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트렁크 보드(30)의 트렁크 라인(35)을 통해 PCM 음성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가 스위칭&망동기부(32)로 수신되면, 해당 트렁크 보드(30)의 CPU 모듈부(33)는 스위칭&망동기부(32)를 제어하여 PCM 음성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PCM 음성 데이터는 음성 코드 변환부(31)를 통해 송신 하이웨이(TXHW)상에 실어 백 플레인(BP)을 통해 음성 처리 보드(40)로 전송하게 되고, 추출한 신호 데이터는 DRAM(34)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해당 DRAM(34)에 저장된 신호 데이터는 CPU 모듈부(33)에 의해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으로 생성되어 트렁크 라인(35)을 통해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한편, 해당 백 플레인(BP)을 통해 음성 처리 보드(40)로 전송된 PCM 음성 데이터는 해당 음성 처리 보드(40)의 수신 하이웨이(RXHW) 및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를 통해 보코더 모듈부(44)로 전달되어 G.723.1 또는 G.729 권고안에 따라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된 후, DRAM(43)에 저장된다.
그리고, 해당 보코더 모듈부(44)는 CPU 모듈부(41)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이 완료되었다는 인터럽트를 처리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CPU 모듈부(41)는 DRAM(43)에 저장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더넷 및 인터넷을 통해 착신 교환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반대로, 해당 인터넷 및 이더넷을 통해 음성 처리 보드(40)의 CPU 모듈부(41)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CPU 모듈부(41)는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보코더 모듈부(44)로 전달하여 본래의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보코더 모듈부(44)에 의해 변환된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는 제어 모듈부(42)의 제어에 따라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46)를 통해 송신 하이웨이(TXHW)에 실려 백 플레인(BP)을 통해 트렁크 보드(30)로 전송되고, 해당 트렁크 보드(30)로 전송된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는 수신 하이웨이(RXHW)를 통해 음성 코드 변환부(31)로 전달되어 음성 코딩된 후, 스위칭&망동기부(32)로 전달된다.
이에, 해당 트렁크 보드(30)의 CPU 모듈부(33)는 스위칭&망동기부(32)에 전달된 PCM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DRAM(34)에 저장된 신호 데이터와 함께 트렁크 라인(35)을 통해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제어 설정을 위한 신호 방식으로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함에 따라 E1/T1급의 R2 또는 LAPD 신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교환 시스템과 안정된 링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중통신망이나 이더넷과 연동하여 E1/T1급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제어 설정시 공통선 신호 방식인 No.7 신호 방식을 제공함에 따라 가입자들에게 인텔리전트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통화 링크와 신호 링크가 분리 운용되는 No.7 신호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해당 신호 링크를 통해 호 설정을 위한 신호 데이터가 전달되어 통화중에도 많은 양의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안정된 링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외부 운용자 터미널을 연결하여 각 보드 내부의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함과 동시에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각 보드의 인터넷 호 처리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스 보드와; 공중통신망과 신호 링크를 연결하여 No.7 신호 방식을 처리하며,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 및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하이웨이에 실려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신호 데이터와 함께 공중통신망 또는 이더넷 측으로 송신하는 트렁크 보드와; 상기 트렁크 보드에 의해 추출된 PCM 음성 데이터를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이더넷을 통해 인터넷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하이웨이에 실어 상기 트렁크 보드로 전달하는 음성 처리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보드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하이웨이에 실어 음성 처리 보드로 전달하고,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해서 상기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보드는, 공중통신망 또는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A-Low 또는 μ-Law 방식을 상호 정합하기 위해 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코딩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코드 변환부와; 상기 공중통신망과 No.7 신호 링크로 연결되어 신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렁크 라인과; 음성 데이터와 신호 데이터 및 트렁크 보드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각 구성부의 운용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DRAM과; 음성 코딩 변환된 음성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정상 수신 여부를 확인해서 상기 DRAM에 저장하고, 상기 트렁크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망 동기 신호를 상기 시스템 클럭 생성부로 전달하는 스위칭&망동기부와; 상기 스위칭&망동기부를 제어하여 DRAM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코드 변환부 및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음성 처리 보드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DRAM에 저장한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No.7 신호 방식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해서 상기 트렁크 라인을 통해 공중통신망의 교환 시스템과 송수신하게 하는 CPU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망동기부로부터 전달되는 망 동기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여 백 플레인을 통해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 및 음성 처리 보드 측에 제공하는 시스템 클럭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부의 제어에 따라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와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버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 보드는,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와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헤더/테일 방식으로 DPRAM을 통해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7. 제 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 보드는, 보드 초기화를 위한 부트 프로그램과 보드 운용 관리를 위한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트 ROM과; 작업 메모리로서 TCP/IP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이더넷과 연동하게 하며, 상기 이더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DRAM과; 백 플레인의 송/수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트렁크 보드와 PCM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트렁크 보드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클럭을 전달하여 시스템 동기를 유지하게 하는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트렁크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PCM 음성 데이터를 소정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압축하여 이더넷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더넷으로부터 수신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하여 상기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보코더 모듈부와; 상기 시스템 클럭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보코더 모듈부 및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와; 상기 제어 모듈부를 제어하여 DRAM에 저장된 압축된 패킷 형태의 음성 데이터가 상기 보코더 모듈부에 의해 PCM 음성 데이터로 복원되어 상기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 및 송신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트렁크 보드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보코더 모듈부를 제어하여 DRAM에 저장된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가 상기 백 플레인을 통해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로 전달되게 하는 CPU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 모듈부에 의해 생성된 보드 관리를 위한 보드 상태 및 제어 메시지를 내부의 DPRAM을 통해 교환하되, 상기 메인 프로세스 보드에서 시스템 버스를 이용하여 백 플레인을 통해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19990049976A 1999-11-11 1999-11-11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10046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76A KR20010046270A (ko) 1999-11-11 1999-11-11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76A KR20010046270A (ko) 1999-11-11 1999-11-11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70A true KR20010046270A (ko) 2001-06-15

Family

ID=1961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976A KR20010046270A (ko) 1999-11-11 1999-11-11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62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050B1 (ko) * 2001-12-24 2003-11-05 주식회사 케이티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및 미디어의 분리처리가 가능한 인터넷 음성통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음성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31197B1 (ko) * 2001-12-21 2004-05-12 주식회사 케이티 공통선 신호 방식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 및 그방법
KR100491722B1 (ko) * 2002-11-20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0341303C (zh) * 2001-08-24 2007-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多通道脉冲编码调制信号在以太网中传输的实现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1303C (zh) * 2001-08-24 2007-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多通道脉冲编码调制信号在以太网中传输的实现方法
KR100431197B1 (ko) * 2001-12-21 2004-05-12 주식회사 케이티 공통선 신호 방식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 및 그방법
KR100404050B1 (ko) * 2001-12-24 2003-11-05 주식회사 케이티 공통선 신호방식을 이용하여 신호 및 미디어의 분리처리가 가능한 인터넷 음성통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음성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91722B1 (ko) * 2002-11-20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0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data packets
KR20010072147A (ko) 전화 통신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US6839341B1 (en)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existing voice terminals
KR20000055024A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62069B1 (ko)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상태 관리 방법
KR100271960B1 (ko) 인터넷전화접속장치
US4809260A (en) Telephone exchange
KR20000005953A (ko) 시간슬롯교환네트워크를갖는디지털스위치들을통해인터넷트래픽스위칭
KR100272573B1 (ko) 전화교환장치
KR20010046270A (ko)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US67009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telephones on H.323 networks
US810287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erminal accommodation apparatus
KR100296399B1 (ko) 인터넷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394017B1 (ko)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9990083853A (ko) 음성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896187B2 (ja) 電話装置及び電話装置における通話レベル調整方法
US2002004454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telecommunications device to a packet-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US6912220B2 (en) ATM equipment
KR20020043287A (ko) 범용 게이트웨이
KR100259055B1 (ko) 사설 교환기의 인터넷 전화 접속 회로
KR960011706B1 (ko) Isdn 망에 접속가능한 디지탈 키폰 시스템
JPS61196653A (ja) 回線切換交換機にデータ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
JP3390324B2 (ja) Isdn回線交換用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100405596B1 (ko)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565182B1 (ko) 이종 네트워크간의 통신링크 확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