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722B1 -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722B1
KR100491722B1 KR10-2002-0072245A KR20020072245A KR100491722B1 KR 100491722 B1 KR100491722 B1 KR 100491722B1 KR 20020072245 A KR20020072245 A KR 20020072245A KR 100491722 B1 KR100491722 B1 KR 10049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gateway
call
voice traffic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242A (ko
Inventor
여재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7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TN/PLMN의 회선 교환기와 같이 IP망에서 가입자 및 자원 관리, 호처리, 게이트웨이의 상태 제어, 신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호처리부, IP망과 회선망간의 음성 전송을 위해 상기 호처리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음성 트래픽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고, 톤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트렁크 게이트웨이, IP망과 회선망 간의 No.7신호의 전송을 위해 신호 변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를 호처리부와 PSTN/PLMN에 전송하는 시그널 게이트웨이, BSS의 신호 메시지를 호처리부에 전송하고, 음성 트래픽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호처리부의 요구에 상응하여 BSS의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무선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것으로서, 대용량의 MSC와 중계선 없이 IP망과 호처리부를 사용하여 음성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Traffic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대용량의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중계선 없이 IP(Internet Protocol)망과 호처리부를 사용하여 음성 트래픽을 전송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세계 어느 곳에서도 IP를 통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 인프라를 통해 유선망에서는 기존 회선 교환기와 트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지 않고 단지 인터넷과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해서 실시간 음성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는 VoIP(voice over IP [Internet Protocol])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다. 따라서, 더이상 회선 교환기를 통하지 않고도 유선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기존 유선망의 회선 교환 방식 교환기와 신호망을 증가하는 패킷 에디터 트래픽을 수용하고, 회선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하는 목적에서 차세대 올 아이피 망으로 구축하고자 하는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이 올 아이피 망 구축을 위해서는 유무선을 통합하여 각각의 망 요소를 효율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확보해야하며, 각각의 망 요소의 적절한 기능 분화 및 통합 관리, 프로토콜의 정의와 망 요소간의 기능 분담 및 인터페이스, 중계 기술 등이 총체적으로 결합되어야한다.
특히 IP를 기반으로 하여 유선망의 회선 교환 방식 교환기의 신호망을 현재 날로 증가하고 있는 패킷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면서 회선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올 IP망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위치 등록과 무선 구간의 호제어, 단말기의 유선 구간 음성 호 제어 및 음성 경로의 설정, 음성 안내와 톤 신호 등의 제공뿐만 아니라, 패킷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고 제어해야하며, 음성 및 패킷 데이터의 다중서비스 제어처리가 이루어져야하고, 올 아이피 망이 아닌 다른 네트워크와의 단말기 핸드오프와 로밍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이동 통신망에서도 IP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인 올 IP를 IP 멀티미디어 도메인과 기존 회선 교환망인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연동하기 위한 기존 도메인등으로 나눠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IP에서는 프로토콜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시한 프로토콜을 활용한다는 내용과 망의 개념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제안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의 MSC와 중계선 없이 IP망과 호처리부를 사용하여 음성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PSTN/PLMN의 회선 교환기와 같이 IP망에서 가입자 및 자원 관리, 호처리, 게이트웨이의 상태 제어, 신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호처리부, IP망과 회선망간의 음성 전송을 위해 상기 호처리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음성 트래픽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고, 톤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트렁크 게이트웨이, IP망과 회선망상의 No.7신호의 전송을 위해 신호 변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를 호처리부와 PSTN/PLMN에 전송하는 시그널 게이트웨이, BSS의 신호 메시지를 호처리부에 전송하고, 음성 트래픽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호처리부의 요구에 상응하여 BSS의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호처리부는 SS7을 이용하여 PSTN 데이터 트래픽의 혼잡을 무선이나 유선 디지털 광대역 네트워크로 옮기고, MGCP를 이용하여 회선 교환망에서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송 제어부,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제어하고, 호를 처리하는 호 관리부, 가입자의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회선망과의 정합을 수행하는 트렁크 정합부,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가입자에게 톤 데이터를 제공하는 톤 발생부, 상기 트렁크 정합부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트래픽의 압축을 수행하는 보코더, 상기 보코더에서 압축되어 전송된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상기 보코더를 거친 데이터를 IP 망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실시간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RTP 변환부,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정합부,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MGCP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회선망과의 정합을 수행하는 트렁크 정합부, 상기 트렁크 정합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상기 트렁크 정합부로부터 전송된 SS7 메시지를 처리하는 SS7 처리부,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SS7 메시지를 IP망에서 전송하기 위해 MTP2, 3을 SCTP, M3UA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정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BSS에 상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BSS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BSS 정합부, MSC와 BSS에서 A1인터페이스 구간의 메시지를 IP망으로 전송 및 역변환을 수행하는 신호 변환부,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RTP 변환부,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상응하여 호제어,자원관리를 수행하는 MGCP 처리부,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정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회선망을 통해서 전송된 MTP over No.7의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하고, 상기 IP 패킷 형태의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분석해서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BSS를 가지는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이 완료되면, IP 패킷 형태의 호설정 완료 메시지를 Mo.7의 MTP 형태로 변환하여 회선망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회선망에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 착신측이 응답할 경우,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MGCP를 이용하여 음성 트래픽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음성 트래픽을 IP 패킷으로 변환 및 역변환하여 사용자간 음성을 전송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이동망에서의 IP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렁크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그널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호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이동망에서의 IP망은 게이트웨이(100, 110, 120)와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호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회선망과 정합해서 No.7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그널 게이트웨이(110), 음성 트래픽 정합을 위한 트렁크 게이트웨이(100), BSS(Base Station System)(160)와 정합을 위한 무선 게이트웨이(12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100)는 PLMN/PSTN(150)의 64K PCM 음성 트래픽을 IP 패킷으로 변환 또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렁크 게이트웨이(100)는 트렁크 정합부(210), 톤발생부(220), 보코더(230), 스위치(240), RTP변환부(250), IP 정합부(260),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처리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정합부(210)는 PSTN/PLMN(150)와 같은 회선망과의 정합을 수행한다.
상기 톤 발생부(220)는 호처리부(130)로부터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가입자에게 링백톤/에러 톤등을 제공한다.
상기 보코더(230)는 상기 트렁크 정합부(210)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트래픽의 압축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240)는 상기 보코더(230)에서 압축되어 전송된 음성 트래픽을 RTP 변환부(250)에 전송한다.
상기 RTP 변환부(250)는 상기 보코더(230)를 거친 데이터를 IP 망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실시간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상기 IP 정합부(260)는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MGCP 처리부(270)는 호처리부(130)로부터 전송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110)는 회선망의 MTP(Multicast transport protocol) over No.7 을 IP 패킷으로 변환 또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그널 게이트웨이(110)는 트렁크 정합부(300), 스위치(310), SS7 처리부(320), 신호 변환부(330), IP 정합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정합부(300)는 PSTN/PLMN(150)와 같은 회선망과의 정합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310)는 상기 트렁크 정합부(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신호 변환부(330)에 전송한다.
상기 SS7 처리부(320)는 상기 트렁크 정합부(300)로부터 전송된 SS7 메시지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 변환부(330)는 상기 스위치(310)로부터 전송된 SS7(Signaling System 7) 메시지를 IP망에서 전송하기 위해 MTP2, 3을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M3UA(MTP3-User Adaptation Layer)로 변환한다.
상기 IP 정합부(340)는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12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게이트웨이(120)는 BSS 정합부(400), 신호 변환부(410), RTP 변환부(420), MGCP처리부(430), IP 정합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BSS 정합부(400)는 호처리부(130)로부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BSS(160)에 상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BSS(160)와의 연동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변환부(410)는 기존 MSC와 BSS(160)에서 A1인터페이스 구간의 메시지를 IP망으로 전송 및 역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RTP 변환부(420)는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MGCP 처리부(430)는 호처리부(13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상응하여 호제어 및 자원관리등을 수행한다.
상기 IP 정합부(440)는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처리부(130)는 IP망에서 회선망의 MSC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호처리 기능 제공, 게이트웨이 제어 및 자원 관리, IP망에서의 신호 메시지 처리, 타 호처리부와의 연동,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처리부(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처리부(130)는 IP 망에서 회선망의 MSC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호처리기능, 게이트웨이 제어 및 자원 관리, IP망에서의 신호 메시지 처리, 타 호 처리부와의 연동, VLR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처리부(130)는 전송제어부(500), 호관리부(510), 서비스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 제어부(500)는 SS7를 이용하여 PSTN 데이터 트래픽의 혼잡을 무선이나 유선 디지털 광대역 네트웍으로 부담을 옮기고, MGCP를 이용하여 회선 교환망에서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전송 제어부(500)는 SIP를 이용하여 접속을 설정한다.
상기 호관리부(510)는 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520)는 가입자의 서비스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호처리부와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 이동망에서 사용하던 프로토콜외에 IP망에서 게이트웨이 제어 및 자원관리, 신호 처리를 위해 트렁크 게이트웨이(600)에는 MGCP/MEGACO가 적용되고, 시그널 게이트웨이(610)에는 SCTP/M3UA가 적용, 무선 게이트웨이(620)에는 MGCP, SCTP, M3UA, UDP(User Datagram Protocol), IP가 적용된다.
호 처리부(630)는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600), 시그널 게이트웨이(610), 무선 게이트웨이(620)에 적용된 프로토콜외에 다른 호 처리부와 연동하기 위해 SIP/SIP-T(session initiation protocol)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MGCP/MEGACO는 IP 망과 기존 PSTN/PLMN간의 회선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프로토콜이다.
상기 SCTP는 PSTN/PLMN의 No.7 프로토콜의 MTP2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SCTP는 IP망에서 데이터 연결상의 신호 메시지 전달 기능과 절차를 규정한다.
상기 M3UA는 PSTN/PLMN의 No.7 프로토콜의 MTP3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M3UA는 IP망에서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SIP는 호 처리부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BSS에서 PSTN/PLMN으로 호를 시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게이트웨이가 BSS로부터 호 설정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호처리부에 전송한다(S700).
그러면,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S702),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는 상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호처리부에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704).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로부터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S706),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상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호처리부에 자원할당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708).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로부터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시그널 게이트웨이에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710). 그러면,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IP 패킷 형태의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MTP over No.7 신호 방식의 형태로 변환하여(S712), PSTN/PLMN에 전송하고(S714), 상기 PSTN/PLMN는 상기 호설정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호를 설정한 후,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에 호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716). 그러면,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PSTN/PLMN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완료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S718), 호처리부에 전송한다(S720).
상기 호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호처리부는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링백톤 전송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S722),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상기 PSTN/PLMN로부터 톤 데이터가 수신되면(S724), 상기 수신된 톤 데이터를 IP 패킷화하여(S726), 무선 게이트웨이에 전송한다(S728).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는 상기 IP 패킷화된 톤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로 변환해서 BSS에 전송한다.
그런다음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가 상기 PSTN/PLMN로부터 착신측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S730),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착신측 응답 메시지를 상기 호처리부에 전송한다(S732). 그러면, 트렁크 게이트웨이와 무선 게이트웨이는 음성 트래픽을 IP 패킷으로 변환 및 역변환 기능을 수행해서 사용자간 음성 전달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PSTN/PLMN로부터 수신되는 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그널 게이트웨이가 PSTN/PLMN로부터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S800),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된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S802), 호처리부에 전송한다(S804). 이때,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IP 패킷으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 변환부를 통해서 MTP2, 3을 SCTP와 M3UA로 변환하며 상기 ISUP메시지는 변환없이 캡슐화 작업을 수행하여 IP망을 통해 상기 호처리부에 전송한다.
상기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호 처리부는 무선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806). 이때,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신호 변환부를 통해 분석 및 번호번역, HLR과의 연동을 통해 해당 단말기를 인지한 후,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BSS를 가지고 있는 무선 게이트웨이로 MGCP처리부와 신호 처리부를 통해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BSS로 자원 할당을 요구하여 자원 할당이 완료되면, 상기 호처리부에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808).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로부터 자원 할당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IS2001과 MGCP와 같은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810).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상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한 후,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처리부에 전송한다(S812).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로부터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에 호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S814),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IP 패킷 형태의 호설정 완료 메시지를 MTP over No.7 신호 방식으로 변환하여(S816), PSTN/PLMN에 전송한다(S818).
호처리부는 발신 회선망으로 링백톤을 전송하기 위해 트렁크 게이트웨이로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820).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상기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톤 데이터를 발생하여 PSTN/PLMN에 전송한다(S822).
그런다음 착신측이 응답할 경우, 무선 게이트웨이는 IS2001을 이용해서 호 처리부로 착신측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824), 상기 호처리부는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MGCP를 이용해서 각 게이트웨이의 음성 트래픽 전송 허락 메시지를 전송한다(S826).
또한, 상기 호처리부는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에 착신측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828),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착신측 응답 메시지를 상기 PSTN/PLMN에 전송한다(S830).
그러면, 트렁크 게이트웨이와 무선 게이트웨이는 음성 트래픽을 IP 패킷으로 변환 및 역변환하여 사용자간 음성 전달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의 MSC와 중계선 없이 IP망과 호처리부를 사용하여 음성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를 통해 기존 BSS와 PSTN/PLMN망의 변동없이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올 IP 표준에서 제시된 기존 MS 도메인을 적용시킬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이동망에서의 IP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렁크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그널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호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호처리부와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BSS에서 PSTN/PLMN으로 호를 시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PSTN/PLMN로부터 수신되는 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600 : 트렁크 게이트웨이 110, 610 : 시그널 게이트웨이
120, 620 : 무선 게이트웨이 130, 630 : 호처리부
140, 640 : HLR 150 : PSTN/PLMN
160 : BSS 210, 300 : 트렁크 정합부
220 : 톤 발생부 230 : 보코더
240, 310 : 스위치 250, 420 : RTP 변환부
260, 340, 440 : IP 정합부 270, 430 : MGCP 처리부
320 : SS7 처리부 330, 410 : 신호 변환부
400 : BSS 정합부 500 : 전송 제어부
510 : 호관리부 520 : 서비스 제어부

Claims (7)

  1. IP망에서 가입자 및 자원 관리, 호처리, 게이트웨이의 상태 제어, 신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호처리부;
    IP망과 회선망간의 정합을 통해 상기 호처리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음성 트래픽을 IP 패킷으로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고, 톤 데이터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트렁크 게이트웨이;
    IP망과 회선망 간의 접합을 통해 No.7신호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변환된 신호를 호처리부와 PSTN/PLMN에 전송하는 시그널 게이트웨이;및
    BSS의 신호 메시지를 호처리부에 전송, 음성 트래픽의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호처리부의 요구에 상응하여 BSS의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무선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회선망과의 정합을 수행하는 트렁크 정합부;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가입자에게 톤 데이터를 제공하는 톤 발생부; 상기 트렁크 정합부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트래픽의 압축을 수행하는 보코더; 상기 보코더에서 압축되어 전송된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상기 보코더를 거친 데이터를 IP 망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실시간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RTP 변환부;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정합부;및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MGCP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부는 SS7을 이용하여 PSTN 데이터 트래픽의 혼잡을 무선이나 유선 디지털 광대역 네트워크로 옮기고, MGCP를 이용하여 회선 교환망에서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송 제어부;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제어하고, 호를 처리하는 호 관리부;및
    가입자의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게이트웨이는 회선망과의 정합을 수행하는 트렁크 정합부;
    상기 트렁크 정합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위치;
    상기 트렁크 정합부로부터 전송된 SS7 메시지를 처리하는 SS7 처리부;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SS7 메시지를 IP망에서 전송하기 위해 MTP2, 3을 SCTP, M3UA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BSS에 상기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BSS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BSS 정합부;
    MSC와 BSS에서 A1인터페이스 구간의 메시지를 IP망으로 전송 및 역변환을 수행하는 신호 변환부;
    음성 트래픽을 실시간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RTP 변환부;
    상기 호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상응하여 호제어,자원관리를 수행하는 MGCP 처리부;및
    실제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처리 시스템.
  6. 회선망을 통해서 전송된 MTP over No.7의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IP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IP 패킷 형태의 호설정 요구 메시지를 분석해서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BSS를 가지는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자원 할당이 완료되면, IP 패킷 형태의 호설정 완료 메시지를 No.7의 MTP 형태로 변환하여 회선망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회선망에 링백톤 재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및
    착신측이 응답할 경우,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에 MGCP를 이용하여 음성 트래픽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와 트렁크 게이트웨이는 음성 트래픽을 IP 패킷으로 변환 및 역변환하여 사용자간 음성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처리 방법.
KR10-2002-0072245A 2002-11-20 2002-11-20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9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45A KR100491722B1 (ko) 2002-11-20 2002-11-20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45A KR100491722B1 (ko) 2002-11-20 2002-11-20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42A KR20040044242A (ko) 2004-05-28
KR100491722B1 true KR100491722B1 (ko) 2005-05-27

Family

ID=3734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245A KR100491722B1 (ko) 2002-11-20 2002-11-20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270A (ko) * 1999-11-11 2001-06-15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10104828A (ko) * 2000-05-16 2001-11-28 이정태 에스아이피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분산형 호처리방식의인터넷 전화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20072460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패킷 음성 호 서비스 방법 및네트워크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270A (ko) * 1999-11-11 2001-06-15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포니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10104828A (ko) * 2000-05-16 2001-11-28 이정태 에스아이피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분산형 호처리방식의인터넷 전화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20072460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패킷 음성 호 서비스 방법 및네트워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42A (ko) 200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0133B1 (en) System and method of linking a wireless signaling protocol with a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in a packet-based network
US67954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telephony over a packet-switched network
US7675906B2 (en) Media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and signal conversion apparatus in said system
US7778243B2 (en) Method for DTMF transfer by RTP
CN101084659B (zh) 用于为移动订户提供专有语音呼叫服务的方法和系统以及用于其的无线软切换设备
EP1834452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ching and re-using bearer channels for voice-over-packet (vop) sessions involving wireless entities
RU2431239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канала-носителя в gsm-сети
KR20040086589A (ko) 네트워크 자원들의 최적화에 의해 최종 사용자로부터의요청시에 회의 오퍼레이션들을 위한 고속 네트워크sip/sdp 절차들
US20110181682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ling data in a network interface unit and in a control unit and corrsponding devices
CN101562667B (zh) 软交换架构下的编解码转换控制方法、媒体网关及系统
WO2000051369A1 (en) Adaptive signaling and mobility for wireless telephony
WO2001076276A2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tegrating cellular, packet-switched, and voice-over-ip infrastructures
US7058076B1 (en) Internet protocol (IP)-based wireless infrastructure network
EP2082606B1 (en) A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media gateways
US20040042409A1 (en) Method for defining the coding for usefu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different coding laws between at least two subscriber terminals
KR100491722B1 (ko)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트래픽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9349B1 (ko)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
JP2005531233A (ja) コネクション指向通信ネットワークの端末にコネクションレスデータ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内に位置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Bale Voice and Internet multimedia in UMTS networks
EP2179562B1 (en)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in multioperator environment
KR100880144B1 (ko)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이용한 유/무선 영상전화 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04039097A1 (fr) Procede de communication permettant d&#39;appeler sur le domaine a commutation de circuits de reseaux centraux du gsm/wcdma
KR100666956B1 (ko)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61480A (ko) 이기종 망에서의 화상전화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4697B1 (ko) Wcdma 기반 펨토셀과 구내 전화망을 연동시켜 호 처리하는 연동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