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902A - 전지의 외장재 - Google Patents

전지의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902A
KR20010045902A KR1019990049414A KR19990049414A KR20010045902A KR 20010045902 A KR20010045902 A KR 20010045902A KR 1019990049414 A KR1019990049414 A KR 1019990049414A KR 19990049414 A KR19990049414 A KR 19990049414A KR 20010045902 A KR20010045902 A KR 2001004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tter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9070B1 (ko
Inventor
장윤한
현오영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4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070B1/ko
Priority to US09/695,857 priority patent/US6455192B1/en
Publication of KR2001004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를 발생하는 전지 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전지의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이며, 상기 전지본체를 밀봉시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기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머층; 상기 폴리머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상기 전지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이며, 상기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외장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하부 케이스 가장자리 부분의 접합시 발생되는 전지 단락을 막아 외장재 실링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외장재 접합시 발생되는 미세 단락에 의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열융착온도, 압력, 시간 등의 공정조건에 무관하게 실링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지의 외장재{Material for battery case}
본 발명은 전지의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 본체를 밀봉하여 감싸서 전지의 외형을 이루는 전지의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리튬 2차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고체형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에서는 캐소드, 애노드 및 세퍼레이타를 적층시킴으로써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 본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지 본체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통로 역할을 하는 전극 단자가 연결되며, 전지 본체와 전극 단자의 일부는 절연성의 외장재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러한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외장재는 전지 본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에 열접착성 물질층이 형성되어 상호 접착됨으로써 그 내부를 밀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캐소드판, 애노드판 및 세퍼레이타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11)와, 상기 전극 조립체 (11)를 감싸서 밀봉하는 외장재 (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 (11)와 상기 전극 조립체(11)에서 형성된 전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전기적 통로역할을 하는 전극탭(14, 14')은 케이스 (12) 밖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 (12)는 외장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절연성 필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장재는 전지 본체 (20)에 대하여 최내각층으로서 열접착성 물질층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poly(ethylene-co-acrylic acid: EAA] (21) 상부에, (폴리에틸렌층)(polyethylene: PE) (22), 나일론층 (23), EAA층 (21') 및 알루미늄층 (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이 결과물 상부에 최외각층으로서 나일론층 (23')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PE층(22)은 마일라 기능 강화(절연효과 강화) 및 접착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EAA층 (21')은 전해액으로 인하여 외장재가 부푸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으며, 알루미늄층 (24)은 수분 침투 방지와 전해액 누출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나일론층 (23)은 외부층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층 성형가공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 (12)는, 전극탭 (14, 14')의 일부분만을 노출시킨 채 전극 조립체 (11)를 이 케이스 (12)내에 넣고 반을 접은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부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과 하부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열접착성 물질끼리 접착하도록 하여 전지를 밀봉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상부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과 하부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열융착과정에서 온도와 압력이 지나치게 높고 그 열융착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외장재 표면의 폴리머층(EAA층)이 녹아 전지 단자와의 단락을 발생시켜 전지 조립 수율이 떨어지고 이와 아울러 미세 단락인경우에는 전지의 성능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열융착시 전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의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의 외장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의 외장재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전극 조립체 12... 외장재
13, 13'... 연결탭 14, 14'... 전극탭
20, 30... 전지 본체 21, 21'...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층
22... 폴리에틸렌층 23, 23'... 나일론층
24... 알루미늄층 21, 2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22... 폴리머층 23... 폴리프로필렌층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발생하는 전지 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전지의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이며, 상기 전지 본체를 밀봉시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기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머층;
상기 폴리머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상기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이며, 상기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외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머층은 폴리사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실리콘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물질들이 내열성, 내산화성, 내화학성 등의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기 투과율이 낮아서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고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머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지용 외장재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의 외장재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지 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것으로 전지 본체 (30)에 대하여 최내각층으로 형성된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31)을 구비한다. 이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31)은 전지 본체를 둘러싸는 과정에서 상호 접촉되는 부위가 열접착되어 전지의 내부를 밀봉한다. 그리고 전지 본체 (30)에 대하여 최외각층인 폴리프로필렌층 (33)이 마련된다. 이 폴리프로필렌층 (33)은 외부로터의 내부층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전지의 외주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층 (33)은 고온용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 물질이 내열성이 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31) 상부에는 수분 침투 및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폴리머층 (32)이 형성되고 이 폴리머층 (32) 상부에는 이 폴리머층 (32)을 폴리프로필렌층 (33)과 접착시키기 위한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31')이 형성된다.
상기 폴리머층 (32)은 PTFE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실리콘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재질들이 내열성, 내산화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공기 투과율이 낮기 때문이다.
상술한 적층 구조를 갖는 외장재의 각 층별 두께는 다음과 같다.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21)의 두께는 10 내지 30㎛, 폴리머층(22) 의 두께는 10 내지 50㎛,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21')의 두께는 10 내지 30㎛, 폴리프로필렌층 (23)의 두께는 10 내지 20㎛이다. 여기에서 폴리머층 (22)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이 힘들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pouch의 두께가 두꺼워져 전지의 두께가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전지의 외장재는 그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특히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에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인 두께 2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두께 50㎛인 PTFE층, 두께 2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두께 15㎛인 폴리프로필렌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리튬 이온 전지의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인 두께 15㎛인 EAA층 상부에, 두께 15㎛인 PE층, 두께 25㎛인 나일론층, 두께 15㎛인 EAA층, 두께 50㎛인 알루미늄층 및 두께 25㎛인 나일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외장재를 하기 표 1의 조건에 따라 열융착하는 경우, 전지 조립 수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열융착조건 전지 조립 수율()
온도(℃) 압력(bar) 시간(sec)
실시예 160 3 2 100
170 3 3 100
180 3 4 100
비교예 160 3 2 87
170 3 3 70
180 3 4 63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는 열융착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열융착 소요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지 조립 수율이 매우 떨어졌다. 이는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인 EAA층이 녹아서 전지 단자와의 단락이 빈번하게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실시예는 열융착온도, 압력 및 시간에 관계없이 비교예의 경우와는 달리 전지 조립 수율이 100로 매우 우수하였다. 이는 실시예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외장재는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공기 투과율이 낮은 PTFE층으로 말미암아 전지 단락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가장자리 부분과 하부 케이스 가장자리 부분의 접합시 발생되는 전지 단락을 막아 외장재 실링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외장재 접합시 발생되는 미세 단락에 의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열융착온도, 압력, 시간 등의 공정조건에 무관하게 실링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전류를 발생하는 전지 본체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전지의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내각층이며, 상기 전지 본체를 밀봉시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기 제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머층;
    상기 폴리머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상기 전지 본체에 대하여 최외각층이며, 상기 제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상부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외장재.
  2. 재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이 폴리사불화에틸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실리콘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외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의 두께가 1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외장재.
KR10-1999-0049414A 1999-11-09 1999-11-09 전지의 외장재 KR10036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414A KR100369070B1 (ko) 1999-11-09 1999-11-09 전지의 외장재
US09/695,857 US6455192B1 (en) 1999-11-09 2000-10-26 Battery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414A KR100369070B1 (ko) 1999-11-09 1999-11-09 전지의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02A true KR20010045902A (ko) 2001-06-05
KR100369070B1 KR100369070B1 (ko) 2003-01-24

Family

ID=1961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414A KR100369070B1 (ko) 1999-11-09 1999-11-09 전지의 외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55192B1 (ko)
KR (1) KR1003690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99A2 (ko) * 2013-07-26 2015-01-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배터리
KR20150012853A (ko) *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이차 전지
KR20160135942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Ptfe계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7548B2 (en) * 2005-10-14 2008-12-23 Rosemount Tank Radar Ab Radar level gauge system and coupling
DE102008015965A1 (de) * 2008-03-20 2009-09-24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mit Foliendichtung
KR101089168B1 (ko) 2010-02-10 2011-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US8432696B2 (en) * 2010-12-01 2013-04-30 Apple Inc. Using a battery pack to facilitate thermal transf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515102B1 (ko) 2017-10-24 2023-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10077078A (zh) * 2019-05-28 2019-08-02 东旭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电池包装膜及其制备方法
CN110181920A (zh) * 2019-06-21 2019-08-30 常州斯威克光伏新材料有限公司 一种透明柔性电池封装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2037A1 (de) * 1986-12-19 1988-06-23 Shin Kobe Electric Machinery Dichte bleibatter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567456A (ja) * 1991-09-09 1993-03-19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88996A (ja) * 1996-04-23 1997-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
JPH10308198A (ja) * 1997-05-06 1998-11-17 Asahi Chem Ind Co Ltd 電池外装体用積層フィルム
JP3777584B2 (ja) * 1997-08-06 2006-05-2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扁平形電池
JPH1167166A (ja) * 1997-08-08 1999-03-09 Showa Alum Corp ポリマー電池用包材
JP3632062B2 (ja) * 1997-08-13 2005-03-23 株式会社リコー 薄型ポリマー電池
JP3583592B2 (ja) * 1997-09-25 2004-11-04 東芝電池株式会社 薄形二次電池
JP3859333B2 (ja) * 1997-12-10 2006-12-2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池及び製造方法
JPH11242953A (ja) * 1997-12-24 1999-09-07 Asahi Chem Ind Co Ltd 粗化電極端子を有する電池
US6048638A (en) * 1998-05-29 2000-04-11 Motorola, Inc. Flexible battery
JP4187870B2 (ja) * 1999-04-26 2008-11-26 株式会社東芝 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99A2 (ko) * 2013-07-26 2015-01-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배터리
KR20150012853A (ko) *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이차 전지
WO2015012599A3 (ko) * 2013-07-26 2015-03-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배터리
KR20160135942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Ptfe계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55192B1 (en) 2002-09-24
KR100369070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757B1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0523971B1 (ko) 리튬 파우치 셀을 내장한 리튬 전지 구조
CN100483835C (zh) 袋型锂二次电池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JP3430472B2 (ja) リチウム電池集成体
US6004693A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KR2004005412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1464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2136424A1 (en) Tab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369070B1 (ko) 전지의 외장재
KR100911004B1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이차전지
JPH10289698A (ja) 薄型密閉電池
KR20010048325A (ko) 전지의 외장재
KR100436714B1 (ko) 각형리튬이차전지
KR100530156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553741B1 (ko) 전지 외장재
JP3562129B2 (ja) 非水電解質電池用封入袋及びリード線
EP1039563B1 (en) A method for treating contact leads on electrochemical cells so as to achieve improved hermeticity and hermetically sealed electrochemical cells derived therefrom.
KR20040005242A (ko) 단락방지수단이 형성된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리튬이차전지
KR10055139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제조 방법
JP2000311666A (ja) 電気化学電池の接続リードを処理して気密性を向上させる方法ならびに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気密シール電気化学電池
KR10055139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522683B1 (ko) 리튬 2차전지
KR101450918B1 (ko) 전해액 밀봉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KR100898070B1 (ko) 리튬 2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