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747A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747A
KR20010045747A KR1019990049172A KR19990049172A KR20010045747A KR 20010045747 A KR20010045747 A KR 20010045747A KR 1019990049172 A KR1019990049172 A KR 1019990049172A KR 19990049172 A KR19990049172 A KR 19990049172A KR 20010045747 A KR20010045747 A KR 20010045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ell
transmission mode
unit
asynchronous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영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4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5747A/ko
Publication of KR2001004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7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 신호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ATM 망과 E1 신호로 접속하는 선로 정합부, 선로 정합부의 각 포트에서 수신한 E1 신호로부터 ATM 셀을 추출하고, 송신용 ATM 셀을 E1 신호로 형성하여 선로 접속부로 보내주는 E1 프레임 처리부, 송신용 ATM 셀을 일시 저장하는 셀 저장부, 및 E1 프레임 처리부의 상태에 따라 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용 ATM 셀을 E1 프레임 처리부로 전달하는 셀 속도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E1급 신호로도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의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ADSL System)에 특히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E1 Interface Uint for 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s}
본 발명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 신호 정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동기 전송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망과 E1급 신호로 접속하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ADSL System: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에 사용되어, 가입자 측에서 전송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셀 단위의 신호들을 E1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망측으로 전송하거나, 그 역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망의 광대역화가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가입자 망의 광대역화에는 많은 시간과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FTTH(Fiber To The Home)가 일반화되기 이전까지 가장 경제적인 가입자 망의 광대역화 방안의 하나로 고려되고 있는 것이 ADSL 전송 기술이다.
도 1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를 통한 망 연결도로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155.52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동기식 수송모듈 신호(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1), 혹은 44.736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DS3 신호 등을 통해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과 접속한다.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200)와 가입자의 ADSL 모뎀(300)은 동축 케이블(310)로 연결되며, 비동기 전송모드 셀(ATM Cell) 단위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한편,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200)는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과 E1급 신호로 정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데, E1 신호를 통한 접속을 위해서는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과 접속하여 E1 신호와 비동기 전송모드 셀 단위 신호 사이에서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200)에 사용되어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에서 수신한 E1 신호로부터 각 가입자들에게 보낼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추출하고, 가입자들로부터 수신한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들을 E1 신호로 형성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으로 송신하는 장치인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 신호 정합장치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 신호 정합장치는 비동기 전송모드 망(ATM Network)과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E1 신호를 송수신하는 선로 정합부; 상기 선로 정합부의 각 포트에서 수신한 E1 신호로부터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추출하여 유토피아(UTOPIA)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기능과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입력받아 E1 신호로 형성하여 상기 선로 접속부로 보내주는 송신기능을 수행하는 E1 프레임 처리부;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일시 저장하는 셀 저장부; 및 상기 E1 프레임 처리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E1 프레임 처리부로 전달하는 셀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를 통한 망 연결도,
도 2는 본 발명의 E1 신호 정합장치가 사용되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의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 정합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비동기 전송모드(ATM) 망
200: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ADSL System)
210: E1 신호 정합장치 220: 메인보드
211: 선로 정합부 212: E1 프레임 처리부
213: 셀 저장부 214: 셀 속도 제어부
230: 가입자 정합장치 300: ADSL 모뎀
310: 동축 케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E1 신호 정합장치가 사용되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의 개요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 정합장치(210), 메인보드(220), 및 가입자 정합장치(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입자 정합장치(230)는 각 가입자 선로와 동축 케이블(310)을 통해 접속하여 가입자들의 ADSL 모뎀(300)과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주고 받는다.
메인보드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200)의 주 제어장치로서 사용되며, 각 가입자 정합장치(230)를 제어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해당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기능, 및 각 가입자 정합장치(230)로 수신되는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E1 신호 정합장치(2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1 신호 정합장치(210)의 구성도로서, 선로 정합부(211), E1 프레임 처리부(212), 셀 저장부(213), 및 셀 속도 제어부(214)로 이루어진다.
선로 정합부(211)는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과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E1급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E1 프레임 처리부(212)로부터 받은 E1 신호를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 측으로 송신하며, 비동기 전송모드 망(100) 측으로부터 E1 신호를 수신하여 E1 프레임 처리부(210)로 전해준다.
E1 프레임 처리부(212)는 선로 정합부(211)에서 받은 E1 신호로부터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추출하거나, 셀 속도 제어부(214)를 통해 받은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E1 프레임으로 형성한다.
즉, 수신시에는 선로 정합부(211)의 각 포트에서 수신한 E1 신호로부터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추출하여 유토피아(UTOPIA)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보드(220)로 출력하며, 메인보드는 이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해당 가입자 정합장치(230)로 전달한다.
송신시에는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속도 제어부(214)로부터 받은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E1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선로 접속부(211)의 해당 포트로 보내준다. 이 때, 비동기 전송모드 셀들은 채널과는 무관하게 전 채널에 걸쳐서 E1 프레임에 싣는다.
한편, 메인보드(220)에서의 비동기 전송모드 셀 처리는 E1 신호의 전송속도보다 매우 빠르게 이루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E1 프레임 처리부(212)에서의 E1 프레임 형성 및 선로 정합부(211)에서의 E1 신호 송출은 메인보드(220)에서의 셀 처리 속도보다 늦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메인보드(220)에서 E1 프레임 처리부(212)로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들을 전해줄 때 이 속도의 차이를 제어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구성요소가 셀 저장부(213)와 셀 속도 제어부(214)이다.
셀 저장부(213)는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셀 속도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저장하거나 출력한다.
셀 저장부(213)를 구성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피포(FIFO)를 이용하는 것인데, 피포에 저장된 비동기 전송모드 셀들은 피포에 입력된 순서대로 E1 프레임 처리부(212)로 보내진 후 E1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피포는 선로 정합부(211)의 포트 수대로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는데, 각 포트로 출력할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저장할 피포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피포는 1000 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피포를 이용한다.
셀 속도 제어부(214)는 셀 저장부(213)를 제어하여 메인보드(220)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셀들을 셀 저장부(213)에 저장하거나, E1 프레임 처리부(212)의 상태에 따라 셀 저장부(213)에 저장되어 있는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유토피아(UTOPIA) 인터페이스를 통해 E1 프레임 처리부(212)의 해당 포트로 전송한다.
즉, 현재 E1 프레임 처리부(212)가 이전에 받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셀들을 E1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있는 중이라면, 셀 저장부(213)에 있는 비동기 전송모드 셀의 전달을 중지하고 있다가 E1 프레임의 형성이 종료하면 셀 전달을 다시 수행한다.
여기서 E1 프레임 처리부(212)와 메인보드(220)의 사이, 메인보드(220)와 셀 속도 제어부(214)의 사이, 셀 속도 제어부(214)와 E1 프레임 처리부(212)의 사이에서는 유토피아 인터페이스(UTOPIA:the Universal Test & Operations PHY Interface for ATM)"를 통해 비동기 전송모드 셀(ATM Cell)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유토피아(UTOPIA)는 비동기 전송모드 셀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로서, ATM 계층과 물리계층을 접속하기 위하여 정한 표준 인터페이스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를 E1 급 신호로 비동기 전송모드 망과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E1급 신호로도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의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 특히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비동기 전송모드 망(ATM Network)과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E1 신호를 송수신하는 선로 정합부;
    상기 선로 정합부의 각 포트에서 수신한 E1 신호로부터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추출하여 유토피아(UTOPIA)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기능과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입력받아 E1 신호로 형성하여 상기 선로 접속부로 보내주는 송신기능을 수행하는 E1 프레임 처리부;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일시 저장하는 셀 저장부; 및
    상기 E1 프레임 처리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을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E1 프레임 처리부로 전달하는 셀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 신호 정합장치
KR1019990049172A 1999-11-08 1999-11-08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KR20010045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72A KR20010045747A (ko) 1999-11-08 1999-11-08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72A KR20010045747A (ko) 1999-11-08 1999-11-08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747A true KR20010045747A (ko) 2001-06-05

Family

ID=1961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72A KR20010045747A (ko) 1999-11-08 1999-11-08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5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30A (ko) * 2001-09-11 2003-03-19 한빛전자통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의에이티엠 선로 정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30A (ko) * 2001-09-11 2003-03-19 한빛전자통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의에이티엠 선로 정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9146B1 (ko) Atm 기반의 엑세스망에서의 기존망과의 연동장치
US7068657B2 (en) Facilitating inverse multiplexing over asynchronous transfer mode via communication links having disparate data transmission rates
CN100484123C (zh) 一种数字用户线接入复用设备和信号传输方法
KR20010045747A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e1신호 정합장치
US20020181441A1 (en) Facilitating inverse multiplexing over asynchronous transfer mode via communication links having disparate data transmission rates
JP2850957B2 (ja) 音声パケットatm中継転送方式
KR100241333B1 (ko)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4개의 t1/e1 프레임 릴레이연동장치
KR100194623B1 (ko) Atm 교환기의 stm-1 중계선 정합장치
KR970002713B1 (ko) 실시간 통신을 위한 링구조하의 atm셀 분기/결합 다중화기
KR10028400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US6389020B1 (en) Customer premise network equipment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single ring configuration
KR100372876B1 (ko) 에스티엠-4씨급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방법
KR0159364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 에이티엠 망 정합 장치
KR100233944B1 (ko) 가상경로 식별자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다중화 장치
KR100353866B1 (ko) 디지털가입자회선 가입자 다중화정합모듈의비동기전송모드 셀 다중화장치
KR100333713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스위치 정합 장치
KR0175578B1 (ko) 능동형 단방향 이중버스에서의 셀 릴레이 및 에드/드랍장치 및 방법
KR100237883B1 (ko) 비동기 전송방식(atm)의 효율적인 셀라우팅 방법 및 이를 위한 가상경로(vp) 크로스커넥터
KR100606341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장치에서의 포트번호설정방법
KR100372877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링크 확장 장치
KR20000046322A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접속장치
KR0139585B1 (ko) 단일링 구조하의 기가급 에이티엠 수신장치
KR100459165B1 (ko) Ατμ중계선 정합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정보 관리 장치및 방법
KR0154089B1 (ko) 입력 버퍼형 atm 사설망 교환기
KR20030019835A (ko) 셀버스를 이용한 에이티엠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