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322A -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322A
KR20000046322A KR1019980063002A KR19980063002A KR20000046322A KR 20000046322 A KR20000046322 A KR 20000046322A KR 1019980063002 A KR1019980063002 A KR 1019980063002A KR 19980063002 A KR19980063002 A KR 19980063002A KR 20000046322 A KR20000046322 A KR 2000004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cell
subscriber
data
atm
subscrib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417B1 (ko
Inventor
한성일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4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04B10/43Transceivers using a single component as both light source and receiver, e.g. using a photoemitter as a photo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ONU에 사용되어 ATM 셀 단위의 신호가 흐르는 ATM 셀 버스와 가입자 선로를 서로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ATM 셀 버스 접속부는 하향으로는 ATM 셀 버스로부터 해당 ATM 셀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향으로는 송신용 ATM 셀을 수신한 후 SRAM부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해당 셀 라우팅 헤더를 붙이고, GFC, VPI, 및 HEC 정보를 변경하여 ATM 셀 버스로 전송한다. 또한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하는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ATM 셀 버스로부터 수신되는 ATM 셀에 대한 루프백을 수행한다.
ATM 셀 처리부는 하향으로는 ATM 셀 버스 접속부로부터 ATM 셀을 받아 소정 규정에 따라 분해해서 출력하거나, 소정의 상향 데이터를 소정 규정에 따라 ATM 셀로 조립해서 출력하며, 선로 접속부는 가입자 선로로부터 가입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ATM 셀 처리부의 상향 데이터로 전송하고, ATM 셀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가입자 선로로 전송한다.
그리고, HDSL 접속부는 가입자 선로와 ATM 셀 처리부 사이를 접속하여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기능을 수행하며, 주 제어장치로부터의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An interface unit for subscriber lines in Fiber Loop Carrier-Cub systems)
본 발명은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Fiber Loop Carrier-Curb System:이하 FLC-C 시스템이라 한다.)의 광 종단장치(ONU: Optical Network Unit)에 장착되어, ATM 셀 버스와 가입자 선로 사이에서 ATM 셀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성 정보와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함에 따라, 데이터 정보를 통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의 물리매체로는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어 왔으나, 동축 케이블은 현재 급속히 수요가 확산되고 있는 고속 데이터 통신이나 영상 정보의 통신 등에 필요한 대역폭을 확보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광에 의한 통신 방법이 강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구간의 전 구간으로 광에 의한 통신망이 확장되고 있는데, 그 전 단계로서 아파트 단지와 같은 수요밀집형 장소에까지 광 케이블에 의한 광통신을 실현하는 장치가 FLC-C 시스템이다.
도 1은 FLC-C 시스템(100)에 관한 구성도로서, 홈-쇼핑, 게임, 영화 등 각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은 ATM 교환기 및 FLC-C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110:HDT)과 광 종단장치(120:ONU)를 통해서, 광가입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110:HDT)은 전화국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DS1 및 DS1E 신호와 광대역 교환망측에서 전달되는 ATM 기반의 광대역 신호를 접속하여, 동기식 디지털 계위로 통합-다중화한 후, 대국 장치인 광 종단장치(120:ONU)로 광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광 종단장치(120:ONU)는 아파트 단지와 같은 주거 밀집 지역의 분배소에 설치되어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110:HDT)에서 수신한 광신호로부터 각 가입자 신호를 서비스에 따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기능과 그 역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COTU(121:Clock and Optical Transceiver Unit)는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110:HDT)과 광 종단장치(120:ONU)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FLC-C 시스템(100)은 FTTC(Fiber To The Curb) 방식의 서비스 전송 플랫폼으로서, 가입자들에게 전화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110:HDT)에서 광 종단장치(120:ONU) 까지는 광선로를 통해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광 종단장치(120:ONU)에서 각각의 가입자들까지는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표준의 전화서비스와 디지털 서비스를 전달한다.
한편, FLC-C 시스템(100)은 채널사용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패킷 방식 기반의 통신방법을 대신하여 ATM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므로, 광 종단장치(120:ONU)에는 ATM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FLC-C 시스템(100)과 가입자 선로(123) 사이를 서로 인터페이스 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FLC-C 시스템(100)의 광 종단장치(120:ONU)에 사용되어 ATM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FLC-C 시스템(100)과 가입자 선로(123)를 서로 인터페이스 시켜 주는 장치, 즉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는 소정의 ATM 셀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는 SRAM부; 하향으로는 상기 ATM 셀 버스로부터 해당 ATM 셀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향으로는 소정 송신용 ATM 셀을 수신한 후 상기 SRAM부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해당 셀 라우팅 헤더를 붙이고, 일반 흐름 제어(GFC), 가상 경로 식별자(VPI), 및 헤더 오류 검사(HEC)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ATM 셀 버스로 전송하며, 소정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하는 소정의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TM 셀 버스로부터 수신되는 ATM 셀을 상기 ATM 셀 버스로 되돌려보내는 ATM 셀 버스 접속부; 하향으로는 상기 ATM 셀 버스 접속부로부터 ATM 셀을 받아 소정 규정에 따라 분해해서 출력하거나, 소정의 상향 데이터를 소정 규정에 따라 ATM 셀로 조립해서 출력하는 ATM 셀 처리부; 소정 가입자 선로로부터 가입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ATM 셀 처리부의 상향 데이터로 전송하고, 상기 ATM 셀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선로로 전송하는 선로 접속부; 및 소정 가입자 선로와 상기 ATM 셀 처리부 사이를 접속하여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주 제어장치로부터 보내는 소정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ATM 셀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나 상기 가입자 선로 측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HDSL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선로 접속부는 상기 가입자 선로로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 규정에 따라 코드화 하거나 복호화 하는 기능, 소정 규정에 따라 LOS(Loss Of Signal) 상태를 검출하거나 해제하는 기능,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포함된 지터를 감쇄시키는 기능, 및 상기 주 제어장치로부터 보내는 소정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TM 셀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나 상기 가입자 선로 측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루프백을 수행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FLC-C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접속장치의 블록도,
도 3은 DS1 및 DS1E 신호의 AAL-1 매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FLC-C 시스템 110: HDT(Host Digital Terminal)
120: ONU(Optical Network Unit)
121: COTU(Clock and Optical Transceiver Unit)
122: 본 발명의 가입자 접속장치 123: 가입자 선로
125: ATM 셀 버스 130: 주 제어장치
210: SRAM부 220: ATM 셀 버스 접속부
230: ATM 셀 처리부 240: 선로 접속부
250: HDSL 접속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이하, 가입자 접속장치라 한다.)의 블록도로서, SRAM부(210), ATM 셀 버스 접속부(220), ATM 셀 처리부(230), 선로 접속부(240), 및 HDSL 접속부(250)로 이루어지며, 광 종단장치(120:ONU)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장치(130)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접속장치(122)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SRAM부(210)는 ATM 셀에 대한 소정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이며, ATM 셀 버스 접속부(220)는 ATM 셀 버스(125)와 인터페이스 하여 ATM 셀 단위의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ATM 셀 처리부(230)는 ATM 셀 버스 접속부(220)와 유토피아(UTOPIA) 레벨로 인터페이스 하여, ATM 셀에 대한 ATM 적응 계층 1(AAL-1:ATM Adaptation Layer-1)에서의 분해 및 조립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선로 접속부(240)와 HDSL 접속부(250)는 가입자 측과 연결되는 가입자 선로(123)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이제, 가입자 접속장치(122)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ATM 셀 버스 접속부(220)는 광 종단장치(120:ONU)의 ATM 셀 버스(125)와 인터페이스 하는데, 상향으로는 ATM 셀 처리부(230)에서 보내는 ATM 셀 형태의 신호를 수신하여,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에 따라 SRAM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셀 라우팅 헤더를 붙이고, 일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를 갱신한 후, 헤더 오류 검사(HEC) 정보를 변경하여 ATM 셀 버스(125)로 전송한다.
또한, 하향으로는 COTU(121)와 같은 상위 기능 유니트로부터 ATM 셀 버스(125)를 통하여 보내는 ATM 셀들 중에서 ATM 셀의 라우팅 헤더 값이 자신의 셀 버스 주소 값과 일치하는 경우, 이 ATM 셀을 받아들여서 ATM 셀 처리부(2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주 제어장치(130)로부터 보내는 소정의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ATM 셀 버스(125)로부터 수신되는 ATM 셀을 다시 ATM 셀 버스(125)로 돌려보냄으로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DS1 또는 DS1E 데이터의 AAL-1 매핑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ATM 셀 처리부(2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향(가입자 측으로부터 ATM 셀 버스로의 데이터 흐름)에서는 선로 접속부(240)로부터 DS1 혹은 DS1E 데이터가 입력되면, 매 376 비트(330:47 바이트) 마다 1 바이트의 AAL-1 프로토콜 헤더(310:Segmentation And Reassembly Header)를 삽입하고, 5 바이트의 ATM 셀 헤더(320)를 삽입함으로서, 입력되는 DS1/DS1E 신호를 ATM 셀로 조립한다.
하향(ATM 셀 버스로부터 가입자 측으로의 데이터 흐름)에서는 ATM 셀 버스 접속부(220)로부터 전해지는 53 바이트 단위의 ATM 셀에서 5 바이트의 ATM 셀 헤더(320)와 1 바이트의 AAL-1 프로토콜 헤더(310)를 제외한 47 바이트의 유료부하(330:376 비트)를 추출한 후, 선로 접속부(240)로 전송한다.
선로 접속부(240)는 가입자 측과 연결되는 가입자 선로(123)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며, 또한 신호 변환 기능, 클럭 및 데이터 복원기능, 신호 손실 상태(LOS:Loss Of Signal)의 선언/해제 기능, 루프백(Loopback) 기능, 지터 감쇄 기능, 및 신호 선택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신호 변환 기능으로서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 코드로 코드화하며, 클럭 및 데이터 복원 기능으로서 코드화 되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클럭과 데이터를 복구한다.
LOS 선언/해제 기능으로서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에서 일정 기간 논리값 '0'이 계속 수신되면 LOS로 판단하는 기능, 및 수신 데이터의 흐름에서 논리값 '0'이 아닌 펄스가 발견되면 LOS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루프백 처리 기능으로서는 주 제어장치(130)로부터 보내는 소정의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ATM 셀 처리부(2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ATM 셀 처리부(230)로 돌려보내거나, 가입자 선로(123)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가입자 선로(123)로 되돌려 보낸다. 그러므로, 이를 통하여 현재 동작하고 있는 가입자 접속장치(122)에 있어서 선로 접속부(240)까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지터(Jitter) 감쇄 기능으로서는 가입자 접속장치(122)가 수신과정에 있을 경우에는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포함된 지터를 감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신호 선택 기능은 가입자 접속장치(122)가 DS1E1(2.048Mbps) 신호와 DS1 (1.544Mbps) 신호 중, 어느 신호에 대하여 동작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HDSL 접속부(250)는 기존의 가입자 선로(전화선) 2회선을 이용하여 2Mbps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의 선로 부호 방식은 2B1Q(2 Binary, 1 Quaternary)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2B1Q는 4 레벨의 펄스크기변조(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코드이다. 이 때, 데이터 비트 스트림(bit stream)은 2 비트 그룹으로 그룹화 되어 4분(Quaternary) 심볼들로 변환되며, 두 개의 비트 중에서 첫 번째 비트는 사인(sign) 비트이고, 두 번째 비트는 크기 비트이다.
또한, 동기 워드(sync word)는 14 비트로 구성되며, 스터프(stuff) 비트들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 비트는 코딩되기 전에 혼화(scrambling)된다. 그 후에 전체 데이터들은 연속적인 쌍으로 그룹화 되고, 이어서 다음의 표 1과 같은 4분(Quaternary) 심볼로 변환된다.
첫째 비트(sign) 둘째 비트(크기) Quaternary symbol
1 0 +3
1 1 +1
0 1 -1
0 0 -3
그리고, 수신단에서는 그 역과정을 진행하는데, 각 4분 심볼은 비트 쌍으로 변환된 후, 역혼화되어 최종적으로 데이터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한편, 주 제어장치(130)에서 보내는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ATM 셀 처리부(2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ATM 셀 처리부(230)로 돌려보내거나, 가입자 선로(123)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가입자 선로(123)로 돌려보냄으로서 현재 동작하고 있는 가입자 접속장치(122)에 있어서 선로 접속부(240)까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접속장치(122)는 FLC-C 시스템(100)의 광 종단장치(120:ONU)에 사용되어 ATM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FLC-C 시스템(100)과 가입자 선로(123)를 서로 인터페이스 시켜줄 수 있으므로, FLC-C 시스템(100)의 가입자 망 구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광 종단장치(ONU)에 사용되어, 주 제어장치의 제어 하에 비동기 전송모드 셀(ATM 셀) 단위의 신호가 흐르는 소정 ATM 셀 버스와 가입자 선로를 서로 접속시켜 주는 장치에 있어서,
    ATM 셀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는 SRAM부;
    하향으로는 상기 ATM 셀 버스로부터 해당 ATM 셀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향으로는 송신용 ATM 셀을 수신한 후 상기 SRAM부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해당 셀 라우팅 헤더를 붙이고, 일반 흐름 제어(GFC), 가상 경로 식별자(VPI), 및 헤더 오류 검사(HEC)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ATM 셀 버스로 전송하며, 상기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하는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TM 셀 버스로부터 수신되는 ATM 셀을 상기 ATM 셀 버스로 되돌려보내는 ATM 셀 버스 접속부;
    하향으로는 상기 ATM 셀 버스 접속부로부터 ATM 셀을 받아 소정 규정에 따라 분해해서 출력하거나, 상향 데이터를 소정 규정에 따라 ATM 셀로 조립해서 출력하는 ATM 셀 처리부;
    가입자 선로로부터 가입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ATM 셀 처리부의 상향 데이터로 전송하고, 상기 ATM 셀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선로로 전송하는 선로 접속부; 및
    상기 가입자 선로와 ATM 셀 처리부 사이를 접속하여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주 제어장치로부터 보내는 소정 루프백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ATM 셀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나 상기 가입자 선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루프백 기능을 수행하는 HDSL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접속부는 상기 가입자 선로로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 규정에 따라 코드화 하거나 복호화 하는 기능, 신호 손실(LOS: Loss Of Signal) 상태를 검출하거나 해제하는 기능, 입력되는 데이터들에 포함된 지터를 감쇄시키는 기능, 및
    상기 주 제어장치로부터 보내는 소정 루프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ATM 셀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나 상기 가입자 선로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루프백을 수행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KR1019980063002A 1998-12-31 1998-12-31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KR10028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02A KR100287417B1 (ko) 1998-12-31 1998-12-31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002A KR100287417B1 (ko) 1998-12-31 1998-12-31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322A true KR20000046322A (ko) 2000-07-25
KR100287417B1 KR100287417B1 (ko) 2001-04-16

Family

ID=1956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002A KR100287417B1 (ko) 1998-12-31 1998-12-31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4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718B1 (ko) * 1999-12-24 2002-05-13 오길록 비동기전송모드-광통신망에서의 광선로 종단장치
KR100453818B1 (ko) * 2002-06-05 2004-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tth 에서의 광 가입자 망 접속장치
KR100479258B1 (ko) * 2002-02-02 2005-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m-pon 디지틀방송 서비스를 위한 광종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718B1 (ko) * 1999-12-24 2002-05-13 오길록 비동기전송모드-광통신망에서의 광선로 종단장치
KR100479258B1 (ko) * 2002-02-02 2005-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m-pon 디지틀방송 서비스를 위한 광종단장치
KR100453818B1 (ko) * 2002-06-05 2004-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tth 에서의 광 가입자 망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7417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487B1 (en) Digital loop carrier remote terminal having integrated digital subscriber plug-in line cards for multiplexing of telephone and broadband signals
EP0886988B1 (en) System supporting variable bandwidth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access for wirelin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6229822B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cells
AU706140B2 (en) ATM switching system
US6198752B1 (en) ATM video telephone terminal interworking with ISDN
US6052371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administration and provisioning information over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KR100269146B1 (ko) Atm 기반의 엑세스망에서의 기존망과의 연동장치
KR100683990B1 (ko) 전기통신용 다중-서비스 회로
EP0978181A1 (en) Transmission of atm cells
US67184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number of addressable physical devices on a data bus
US6700903B1 (en) Upstream scrambler seeding system and method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287417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가입자 접속장치
EP101474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generate data cells and data cells receiving arrangement
KR10028400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KR100313861B1 (ko) 개선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adsl) 시스템
KR100219214B1 (ko) Atm 교환기에서 atm 셀과 스위치 정합장치
KR100290655B1 (ko) 대칭/비대칭형 서비스가 가능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및 그 송/수신 링크 유지관리방법
KR0153933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고정속도 서비스 연동을 위한 셀 조립/분해 장치
KR100287416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비동기 전송 모드 셀 구조 변환방법
KR0134433B1 (ko) 광대역종합통신망에 있어서 셀 헤더부의 셀 기준신호 복원방법
KR100284000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KR19990075871A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라인 시스템의 비동기 전송 모드핸들러의 셀 데이터 처리방법
KR20010063843A (ko) 수동형 광가입자망 슬레이브 정합 장치
KR19980054677A (ko) Atm 교환기에서 atm 셀 발생장치
KR19980054672A (ko) Atm 교환기에서 atm 계층 수신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