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52A -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52A
KR20010044252A KR1020010003870A KR20010003870A KR20010044252A KR 20010044252 A KR20010044252 A KR 20010044252A KR 1020010003870 A KR1020010003870 A KR 1020010003870A KR 20010003870 A KR20010003870 A KR 20010003870A KR 20010044252 A KR20010044252 A KR 2001004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triac
un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추동
Original Assignee
김추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추동 filed Critical 김추동
Priority to KR102001000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252A/ko
Publication of KR2001004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소리나 일반적인 모든 소리에 대하여, 소리의 강약에 따라 램프의 밝기가 자동으로 변하도록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악 소리나 일반적인 소리에 반응하는 램프는 마이크로폰의 위치나 음향기기의 볼륨 크기에 따라서 램프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해결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미약한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저음,중음,고음부로 분리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 출력 신호에 대해서 피크 전압을 순간적으로 유지시켜주는 피크 검출부와; 사용자로 부터 소정의 입력을 받기위한 키패드부와; 상용 교류 전압의 제로 볼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로 볼트 검출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받아서 TRIAC의 게이트에 신호를 공급하는 TRIAC 드라이버와; 상기 TRIAC 드라이버로 부터 받은 게이트 신호를 이용해서 상용 교류 전원의 위상제어를 하는 TRIAC과; 상기 TRIAC의 스위칭에 의해서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와; 소리의 크기에 비례적인 개수로 점등하는 LED 표시부와; 시스템의 동작 상태및 기능을 표시하는 LCD 표시부와; 각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마이크로폰의 위치나 음향기기의 볼륨 크기에 무관하게 램프의 밝기 변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소리와 무관하게 키패드의 조작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램프 점멸 변화를 줄 수 있으며, LED 표시부와 LCD 표시부에 의해서 쉽게 시스템의 상태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 AUTOMATIC MUSIC LAMP SYSTEM}
본 발명은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리가 발생하는 지점으로 부터 마이크로폰의 위치나 음향기기 자체의 볼륨에 관계없이 소리의 강약에 따라서 램프의 밝기가 자동으로 변하고, 또한 소리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의 램프 점멸 변화를 줄 수 있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디오 신호에 반응하는 램프 회로는 마이크로폰이 없이 음향기기의 스피커 출력단자에서 전기적으로 분기해서 사용 되었다. 상기 방법은 음향기기의 스피커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과 일반적인 자연의 소리를 램프로 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폰을 사용한 장치가 나오기도 했지만,이 방법 역시 마이크로폰의 위치나 소리의 볼륨 변화가 일어 났을때 자동적으로 램프 밝기가 조정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음향기기 볼륨의 변화가 없는 동일한 노래에 대하여 음악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 바로 앞에 마이크로폰을 두었을 경우와 스피커에서 멀리 떨어져서 마이크로폰을 두었을 경우에, 램프의 밝기 변화는 마이크로폰이 스피커 바로 앞에 있을 때가 훨씬 크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면, 마이크로폰이 특정한 위치에 고정 되어있다고 가정하고,동일한 노래에 대해서 음향기기의 볼륨이 클 경우에는 램프의 밝은 부분에서만 약간의 밝기 변화가 있을 뿐이고, 볼륨이 작을 경우에는 램프의 약한 밝기 부분에서 조금의 변화가 있을 뿐이다.
상기 예에서 처럼 종래의 오디오 신호에 반응하는 램프는 동일한 음악과 소리에 대해서 마이크로폰의 위치나 음향기기의 볼륨에 의해서 램프 밝기의 제약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지 소리의 변화에 의해서만 램프가 점멸할 뿐 소리에 무관하게 다양한 형태의 점멸 방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소리와 무관하게 다양한 형태의 점멸 방법을 제공할 경우 크리스마스 트리나 상점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점멸 효과를 나타내는 램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사용자에게 단지 소리의 강약을 램프의 밝기로만 알려줄 뿐 장치의 현재 상태 및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첫째, 마이크로폰의 위치나 음향기기 볼륨의 크기와 무관하게,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가 비교 분석하여 램프(22)의 밝기 변화를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램프(22)가 소리에만 반응하는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주기적인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LED 표시부(23)와 LCD 표시부(24)를 두어서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현재 상태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LED 표시부(23)는 현재 소리의 강약을 램프(22)의 밝기에 비례하는 LED 점등 개수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LED 표시부(23)는 소리 강약의 변화를 수직적인 레벨로 읽을 수 있기에 사용자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LCD 표시부(24)는 현재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의 선택된 기능과 각종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폰(10),증폭부(11),필터부(12),피크 검출부(13)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도 1의 키패드부(16)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1의 TRIAC 드라이버(20),TRIAC(21),램프(22)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1의 LED 표시부(23)를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7은 제로 볼트 검출부(19)와 A/D 변환의 타이밍을 나타낸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반 모드(30) 기능에서 A/D 변환값과 램프 출력 전압과의 관계를 예를 들어 설명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MIC: 마이크로폰 11: 증폭부 12: 필터부
13: 피크 검출부 14: 메모리 15, MPU: 마이크로프로세서부
16: 키패드부 17: 전원부 19: 제로 볼트 검출부
20: TRIAC 드라이버 21:TRIAC 22: 램프
23: LED 표시부 24: LCD 표시부
PT: 포토 TRIAC U2: LED 드라이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4)와;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0)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미약한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1)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저음,중음,고음부로 분리하는 필터부(12)와; 상기 필터부 출력 신호에 대해서 피크 전압을 순간적으로 유지시켜주는 피크 검출부(13)와; 사용자로 부터 소정의 입력을 받기위한 키패드부(16)와; 상용 교류 전압의 제로 볼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로 볼트 검출부(19)와;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받아서 TRIAC(21)의 게이트에 신호를 공급하는 TRIAC 드라이버(20)와; 상기 TRIAC 드라이버(20)로 부터 받은 게이트 신호를 이용해서 상용 교류 전원의 위상제어를 하는 TRIAC(21)과; 상기 TRIAC(21)의 스위칭에 의해서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22)와; 소리의 크기에 비례적인 개수로 점등하는 LED 표시부(23)와; 장치의 동작 상태및 기능을 표시하는 LCD 표시부(24)와; 각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A/D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필터부(12)의 구성을 3부분으로 하였기 때문에 LED 표시부(23)와 램프(22)의 개수가 각각 3개씩이 되었다. 만약 램프(22)의 개수와 LED 표시부(23)의 개수를 많게 하려면 중음 통과 필터의 개수와 피크 검출부(13),TRIAC 드라이버(20),TRIAC(21)의 개수를 증가 시키면 가능하다.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마이크로폰(10)을 통해서 들어온 미세한 신호는 증폭부(11)에서 큰 신호로 증폭된 후 필터부(12)로 보내어지는데, 필터부(12)는 저음만을 통과 시키는 필터인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와 중음을 통과 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와 고음만을 통과 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로 이루어진다. 저음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램프(22)의 저음 표시와 LED 표시부(23)의 저음 표시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중음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램프(22)의 중음 표시와 LED 표시부(23)의 중음 표시에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고음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램프(22)의 고음 표시와 LED 표시부(23)의 고음 표시에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폰(10),증폭부(11),필터부(12),피크 검출부(13)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외부로부터 소리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로폰(10)과; 이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서 OP 앰프(U1)를 사용한 증폭부(11)와; 저음 통과 필터(R5,C3)와 중음 통과 필터(R6,R7,C5,C6)와 고음 통과 필터(C8,R8)로 이루어진 필터부(12)와; 다이오드(D1~D3)와 콘덴서(C4,C7,C9)를 사용한 피크 검출부(13)로 구성 되어 있다. 필터링된 파형을 그대로 A/D 변환할 경우에는 파형의 피크치가 아닌 다른 부분에서도 A/D 변환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소리의 높이를 측정할 수 없다. 피크 검출부(13)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도 3은 도 1의 키패드부(16)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본 시스템의 기능을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SEL 키(S1)와, 선택된 기능의 상수값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UP 키(S2)와, 선택된 기능의 상수값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DOWN 키(S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스위치의 개수는 변화될 수도 있다. 스위치에 연결된 저항(R9~R11)은 풀업 저항으로서 스위치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에게 항상 안정적인 5V를 공급해서 논리적으로 1을 만들어준다. 만약 스위치의 입력이 있으면 논리적으로 0을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에게 공급한다.
도 4는 도 1의 TRIAC 드라이버(20),TRIAC(21),램프(22)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상용 교류 전원의 각 반 사이클마다 TRIAC(21)의 턴온(turn on) 하는 위상을 제어해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용 교류 전원이 60Hz라고 가정한다면 초당 120번의 게이트 펄스가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로 부터 출력된다. 제 12저항(R12)은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에서 나오는 전류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진 저항이다. 포토 TRIAC(PT)은 교류 전원과 직류 전원을 절연하여 교류전원으로 부터 유입되는 잡음을 차단하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의 위상 제어 신호를 TRIAC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준다. 제 15저항(R15)과 제 10콘덴서(C10)는 TRIAC 양단의 과도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도 5는 도 1의 LED 표시부(23)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에서 받은 신호로 현재 소리의 크기에 해당하는 개수 만큼의 LED를 점등시키는데 사용된다. LED표시부(23)는 4bit 이진수를 입력 받아서 십진수로 바꾸어 출력하는 LED 드라이버(U2)와, 3부분의 LED 그룹을 선택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트랜지스터(TR1~TR3)와, LED의 전류 제한용으로 사용되는 저항(R16~R25)과, 트랜지스터(TR1~TR3)의 구동을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저항(R26~R28)으로 구성되어 있다. LED 드라이버(U2)에는 4bit의 신호가 입력되는데 이것들에 의해서 최대 16개의 LED를 구동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10개의 LED만을 사용하였다. LED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LED 드라이버의 입력에 이진수 0011,즉 십진수로 3이 입력 되었다면 출력에는 L1~L3, L11~L13, L21~L23에 해당하는 LED에게만 5V의 신호가 나가고 나머지 LED에는 0V가 나간다. 트랜지스터(TR1~TR3)에 공급되는 신호는 3개가 있는데 이것들은 각각 저음,중음,고음부로 나누어서 해당 LED그룹을 선택하는데 이용되어진다. 트랜지스터(TR1~TR3)에 의한 LED 그룹은 항상 켜져 있는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깜박거림, 즉 플리커(flicker)현상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주기적인 온 오프 상태를 반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1mS의 간격으로 제 1트랜지스터(TR1),제 2 트랜지스터(TR2),제 3트랜지스터(TR3)가 주기적으로 선택된 후 해당 소리 영역(중음,저음,고음)의 크기에 대한 값을 LED 드라이버(U2)로 보내 주게되면 그 값과 동일한 개수의 LED가 켜지게 된다. 만약 제 1트랜지스터(TR1)가 1mS동안 선택된 상태라면 나머지 두 개의 드랜지스터(TR2,TR3)는 선택되지 않는다. 만약 제 2트랜지스터(TR2)가 선택되었다면 나머지 트랜지스터(TR1,TR3) 역시 선택되지 않는다. 이렇게 짧은 시간동안 LED를 반복적으로 온 오프 시켜도 사용자는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MPU) 의 출력 포트(port)수를 절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한 플로우차트로서 키패드부(16)의 키 입력에 따른 기능과 상수값이 변화되는 절차를 나타내었다. SEL 키(S1)의 입력에 의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기능을 일반모드(30),자동모드(31),수동모드(32),모드1(33),모드2(34) 등으로 바꾸게 된다. 또한, 수동모드(32),모드1(33),모드2(34)에서는 UP 키(S2)와 DOWN 키(S2)에 의해서 각 모드의 상수값을 바꾸게 된다.
일반모드(30)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기술방식대로 마이크로폰(10)이 고정된 위치에서 자연 소리나 음악 소리의 크기에 따른 램프(22)의 밝기 변화를 자동 처리없이 그대로 표현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부(15)는 필터링된 신호를 A/D 변환해서 해당 크기에 비례적으로 TRIAC(21)에 게이트 신호를 내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리의 크기에 비례하여 램프(22)의 밝기가 변할뿐, 자동적인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램프(22)의 밝기 조절은 하지 않는다.
자동 모드(31)는 일정한 시간동안 들어오는 소리의 모든 데이터를 종합해서 어떤 기준 상한값과 기준 하한값을 정한 후 그 값들 사이에서 램프(22)가 최고로 밝아지거나 어두워지게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자동적으로 소리를 처리하게 되면 마이크로폰(10)의 위치나 음향기기의 볼륨에 무관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서 이미 정해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최적의 램프(22)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기능의 효과를 예로 들어보면, 아주 작은 음악 소리가 나올 경우 자동으로 소리의 크기와 램프의 밝기를 계산하여 현재 상태의 최고 소리의 크기에서 램프를 가장 밝게 하는것이 가능하다. 아주 높은 음악소리가 나올 경우에도 자동으로 소리의 크기와 램프의 밝기를 계산하여 현재 상태의 최고 소리 크기와 최소 소리 크기 사이에서 램프를 가장 적당하게 밝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향기기의 볼륨이 사용자에 의해서 가변 된다면 몇 초후 자동으로 새로운 데이터 값을 찾아서 현재 상태에 가장 적합한 램프 밝기를 출력하게 된다.
수동 모드(32)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UP 키(S2)나 DOWN 키(S3)에 의해서 현재 소리에 알맞는 상태의 램프(22)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현재 소리의 최고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이 값을 기초로 하여 램프(22)에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모드 1(33)과 모드 2(34)는 소리와는 무관하게 기존의 정해진 프로그램 형식대로 3개의 램프(22)를 자동으로 점멸하게 되어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UP 키(S2)나 DOWN 키(S3)를 이용해서 그 주기를 자유롭게 가변 시킬수 있다. 또 다른 다양한 방식의 램프(22) 점멸 형태를 원한다면 모드 3,모드 4 ,등등으로 여러 종류의 기능을 프로그램화 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로 볼트 검출부(19)와 A/D 변환의 타이밍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상용 교류 전압의 파형에 따른 제로 볼트 검출부(19)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었다. 제로 볼트 검출부(19)의 출력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로 들어가는데, 이 출력 신호의 변환 시점 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서는 필터부(12)로 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A/D 변환 하게 된다. 이렇게 A/D 변환된 값은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서 적당한 제어 처리를 거친후 TRIAC 드라이버(20), LED 표시부(23), LCD 표시부(24)로 결과값을 출력하게 된다.
제로 볼트 검출부(19)는 상용 교류전압의 0 V 시점을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TRIAC의 위상제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반 모드(30) 기능에서 A/D 변환값과 램프 출력 전압과의 관계를 예를 들어 설명한 파형도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서 TRIAC(21)으로 출력하는 신호의 타이밍을 잘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A/D 변환의 bit수를 8 bit로 가정한다. A/D 변환의 bit수는 증가 될 수도 있다. 만약 처음의 반주기(40)에서 처럼 A/D 변환값이 255 이었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반주기의 모든 구간에 걸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램프(22)는 완전히 점등하여 최고의 밝기를 유지한다. 또한 두번째 반주기(41)처럼 A/D 변환값이 128 이었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반주기의 절반 구간에 걸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램프(22)는 절반의 밝기로 점등을 하게 된다. 또한 세번째 반주기(42)처럼 A/D 변환값이 64 이었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반주기의 1/4 구간에 걸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램프(22)는 1/4의 밝기로 점등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네번째 반주기(43)처럼 A/D 변환값이 0 이었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부(15)는 반주기의 어떤 구간에도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램프(22)는 완전히 소등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마이크로폰(10)의 위치나 음향기기 볼륨의 크기와 무관하게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가 비교 분석하여 램프(20)의 밝기 변화를 자동으로 처리하는것이 가능하다.
둘째, 램프(22)가 단순히 소리에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주기적인 점멸이 가능하다.
셋째, LED 표시부(23)와 LCD 표시부(24)를 두어서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현재 상태와 정보를 제공한다.

Claims (9)

  1.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4)와;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0)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미약한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1)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저음,중음,고음부로 분리하는 필터부(12)와; 상기 필터부 출력 신호에 대해서 피크 전압을 순간적으로 유지시켜주는 피크 검출부(13)와; 사용자로 부터 소정의 입력을 받기위한 키패드부(14)와; 상용 교류 전압의 제로 볼트를 검출하기 위한 제로 볼트 검출부(19)와;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받아서 TRIAC(21)의 게이트에 신호를 공급하는 TRIAC 드라이버(20)와; 상기 TRIAC 드라이버(20)로부터 받은 게이트 신호를 이용해서 상용 교류 전원의 위상제어를 하는 TRIAC(21)과; 상기 TRIAC(21)의 스위칭에 의해서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22)와; 소리의 크기에 비례적인 개수로 점등하는 LED 표시부(23)와; 장치의 동작 상태및 기능을 표시하는 LCD 표시부(24)와; 각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A/D 변환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표시부(23)는 4bit 이진수를 입력 받아서 십진수로 바꾸어서 출력하는 LED 드라이버(U2)와; 3부분의 LED 그룹을 선택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트랜지스터(TR1~TR3)와; LED의 전류 제한용으로 사용되는 저항(R16~R25)과; 트랜지스터(TR1~TR3)의 구동을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저항(R26~R2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2)는 LED 표시부(23)나 램프(22)의 개수와 동일하게 저음,중음,고음부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16)는 일반 모드(30),자동 모드(31),수동 모드(32),모드1(33),모드2(34)의 상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SEL 키(S1)와; 선택된 상태의 상수값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UP 키(S2)와; 선택된 상태의 상수값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DOWN 키(S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30)는 소리의 크기에 비례하여 램프(22)의 밝기가 그대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31)는 일정한 시간동안 들어오는 소리의 모든 데이터를 종합해서 기준 상한값과 기준 하한값을 정한 후 그 값들 사이에서 램프(22)가 최고로 밝아지거나 어두워지게하는 자동적인 제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모드(32)는 현재 소리의 최고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UP 키(S2)나 DOWN 키(S3)로 입력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부(15)는 이 값을 기초로 하여 램프(22)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1(33)과 모드2(34)는 현재 소리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기존의 정해진 프로그램 형식대로 3개의 램프(22)를 자동으로 점멸하게 되어있고, 여기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UP 키(S2)나 DOWN 키(S3)를 이용해서 그 점멸 주기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KR1020010003870A 2001-01-27 2001-01-27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KR20010044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870A KR20010044252A (ko) 2001-01-27 2001-01-27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870A KR20010044252A (ko) 2001-01-27 2001-01-27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789U Division KR200228634Y1 (ko) 2001-01-22 2001-01-22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2A true KR20010044252A (ko) 2001-06-05

Family

ID=1970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870A KR20010044252A (ko) 2001-01-27 2001-01-27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2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57B1 (ko) * 2006-03-20 2007-05-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압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KR100882461B1 (ko) * 2006-08-17 2009-02-06 노키아 코포레이션 광원 효과 편집기를 지닌 이동 통신 단말기
CN114435231A (zh) * 2022-01-26 2022-05-06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汽车车灯控制系统
KR102485377B1 (ko) * 2022-05-03 2023-01-06 주식회사 에스씨엘 스피커가 장착된 블루투스 펜던트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9002A (ko) * 1983-04-12 1984-12-20 표상기 음변환 자동램프 휘도 제어장치
KR930015972A (ko) * 1991-12-09 1993-07-24 김영광 다색 조명변환 제어장치
KR970048473U (ko) * 1995-12-21 1997-07-31 오디오 시스템에 구비되는 조명 제어 장치
JPH10241864A (ja) * 1997-02-24 1998-09-11 Hitachi Lighting Ltd 調光システム
KR19980083350A (ko) * 1997-05-13 1998-12-05 김남균 감성조명 오디오 시스템
KR20000024302A (ko) * 2000-02-03 2000-05-06 안무경 소리에 반응하는 램프의 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9002A (ko) * 1983-04-12 1984-12-20 표상기 음변환 자동램프 휘도 제어장치
KR930015972A (ko) * 1991-12-09 1993-07-24 김영광 다색 조명변환 제어장치
KR970048473U (ko) * 1995-12-21 1997-07-31 오디오 시스템에 구비되는 조명 제어 장치
JPH10241864A (ja) * 1997-02-24 1998-09-11 Hitachi Lighting Ltd 調光システム
KR19980083350A (ko) * 1997-05-13 1998-12-05 김남균 감성조명 오디오 시스템
KR20000024302A (ko) * 2000-02-03 2000-05-06 안무경 소리에 반응하는 램프의 제어회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57B1 (ko) * 2006-03-20 2007-05-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압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KR100882461B1 (ko) * 2006-08-17 2009-02-06 노키아 코포레이션 광원 효과 편집기를 지닌 이동 통신 단말기
CN114435231A (zh) * 2022-01-26 2022-05-06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汽车车灯控制系统
KR102485377B1 (ko) * 2022-05-03 2023-01-06 주식회사 에스씨엘 스피커가 장착된 블루투스 펜던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75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illumination with music
TW200614129A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nd display system
CN110996477B (zh) 空调灯控制方法、计算机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5210467A (en) Illumination control circuit using a photoreceptor built-in a remote control device
KR20010044252A (ko)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KR200228634Y1 (ko) 자동 뮤직 램프 시스템
KR101594036B1 (ko) 램프 연동 알람시계 및 그에 의한 램프 동작 제어 방법
US6329766B1 (en) Digital illumination adjusting circuit
JP2765308B2 (ja) 照明装置
JP3101466B2 (ja) 表示パネルバックライト調整装置
KR970048719A (ko) 액정 표시장치(lcd)의 화면 밝기 자동 조절장치
KR101021767B1 (ko) 스피커 음압에 따른 컬러 램프 점등 제어 장치
KR100380416B1 (ko) 광고용 형광등 점멸 시스템
KR200269118Y1 (ko) 간판등 제어장치
KR200301535Y1 (ko) 음성 인식 조명 장치
CN219659965U (zh) 具有智能遥控功能的照明灯
CN217335965U (zh) 一种智能音乐灯串
KR0131203Y1 (ko) 음장 모드 자동 콘트롤 회로
CN216057580U (zh) 亮度调节电路及驱动电路
KR100434692B1 (ko) 라이트 제어장치
KR100416879B1 (ko) 다색 조명등 제어장치
KR20070092479A (ko) 음향 감지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0573922B1 (ko) 카 오디오 시스템의 조명 장치
KR900009483Y1 (ko) 음의 높이 표시회로
KR200207155Y1 (ko) 광고용 형광등 점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