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24A -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24A
KR20010044224A KR1020010002749A KR20010002749A KR20010044224A KR 20010044224 A KR20010044224 A KR 20010044224A KR 1020010002749 A KR1020010002749 A KR 1020010002749A KR 20010002749 A KR20010002749 A KR 20010002749A KR 20010044224 A KR20010044224 A KR 20010044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s
chitosan
weight
powder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478B1 (ko
Inventor
김관배
Original Assignee
김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배 filed Critical 김관배
Priority to KR10-2001-000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4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키토산, 및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서 한약재의 유효성분의 피부침투, 혈액순환촉진, 살균기능하여 신체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양말이나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 제거 및 살균을 제거할 수 있는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은, 한약재로부터 특정유효성분을 액상 및 분말상으로 제조하는 제1단계와; 수용성키토산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불용성 키토산분말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한약재 액상유효성분과 키토산수용액을 혼화한 용액에 양말을 침지시키고 자연 또는 히터가열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한약재분말상을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분쇄하고, 한약재의 농축분말과 키토산농축분말의 중량비 10%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75%정도로 묽게 혼화하여 제3단계에서 건조된 양말에 코팅하는 제4단계와; 상기 코팅된 양말을 히터를 이용하여 소결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소결된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자성체 중량비 25%와,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로 혼화하여 약 0.3-3mm 정도의 두께, 폭3-10mm 정도로 조성물을 돌기형태로 형성하는 제6단계와; 조성물 돌기에 열을 가하여 양말의 내표면에 접착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Anti virus stockings and mehtod for manufacturing the stockings}
본 발명은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키토산, 및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서 한약재의 유효성분의 피부침투, 혈액순환촉진, 살균기능하여 신체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양말이나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 제거 및 살균을 제거할 수 있는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되는 양말은 합성섬유 또는 면섬유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양말을 착용함으로써 발에서 나는 땀을 흡수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하루종일 양말을 신고 생활을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역기능이 발생된다. 다시말하면,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 하루종일 구두, 운동화등을 신고 생활하기 때문에 양말에 흡수된 땀이 양말이나 신발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에 의하여 무좀, 습진등과 같은 피부질환을 유발시키고 악취가 발생된다. 따라서 양말을 착용하는 것이 생활화된 상태에서 양말에 의한 피부질환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의 밑창에 통풍이 잘되는 구조를 형성하기도 하고, 양말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성분을 함유한 양말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양말의 냄새제거에 사용되는 성분은, 예를 들어 구리분말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화합물이다.
또한 땀에 의한 발냄새제거뿐만 아니라, 발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도록 자성을 띤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을 PVC등의 접착물을 이용하여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하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전통동양의학의 경락(經絡) 지식에 기초하여 양말에 형성되는 지압돌기들은 발에 분포된 경혈들을 자극하여 인체에 기를 유통시킴으로서 인체내부의 장기들의 활동에 도움을 주며, 이에 따라서 신체의 건강성을 유지한다.
양말에 지압용 돌기를 형성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양말의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것으로서는 일본공개실개소49-94895호, 및 국내공개 특허 제89-1258호를 비롯하여, 특허공고 제89-5198호에는 지압작용과 동시에 살균, 혈류촉진 및 악취중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돌기부분에 차아염소산나트륨, 자석화 분말, 동분을 함유한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또다른 기술로서, 상기의 기술을 바탕으로한 특허공고 제 89-5198호를 개량시켜 개발한 '건강을 돕는 양말의 제조방법 및 양말바닥 혼착층 구조로 공고된 특허공고 제 92-9406호'와 '피부자극용 한약 및 자석 함유물로 공고된 특허공고 제 94-8968호'가 양말바닥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특허공고 제 92-9406호는 양말바닥면에 침투시키는 혼합물내에 세라믹분말,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린산동 및 극미량의 노닐산바닐아미드, 멘톨, 산화아연을 혼합, 첨가하여 살균작용, 혈류촉진, 악취중화작용과 함께 응결력을 보강하는 고무와 자력을 갖도록 산화철을 함유시켜 양말바닥의 내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조직사이에 침투시켜 발바닥이 약한사람에게 중증없이 지압작용과 함께 살균, 혈류촉진, 악취중화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서 원적외선에 의한 혈류를 촉진시키기 위한 소량의 세라믹분말과 냄새제거와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린산동 등과 자성을 갖도록 산화철 그리고 접착을 위한 합성수지와 고무등을 혼화하여 양말바닥에 접착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의 농도가 너무 희박하여 소기의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곤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원적외선이나 자력은 장애물의 투과가 가능하나, 살균과 악취의 중화 내지 소멸에 있어 소재와 세균이 직접 접촉이되지 않게 되면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을 수 없게 되는데, 조성물에서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는 소재의 효과도 미약할 뿐만 아니라 농도가 희박하여 실질적으로 살균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피부자극용 한약 및 자석 함유물로 공고된 특허공고 제 94-8968호의 경우에도 일반 직조물이나 지류보다 상기와같이 주로 양말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약에 약한 자극과 자력에 의한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한약과 자석분을 바인더로 고형화한 것이다.
상기 발명에서 자력과 약물의 약효 발휘하도록 고형조성물을 제조하여 이 조 성물로 인체의 피부 및 근육을 자극하여 질병의 치료와 건강을 증진하는 고형 조성물로 자석분과 인체의 질병치료용 또는 건강증진용 한약재와 세라믹, 동분 및 몰딩바인더로 구성하여 이에 외부로부터 자력을 주입하여 제조된다.
이 기술 역시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에 의한 혈류를 촉진시키기 위한 세라믹분 5-15%,과 질병치료를 위하여 당귀, 천궁, 청향, 환각향, 용의, 고맥반, 박하, 유근피, 해엽, 백지, 계피, 규석, 세신, 인삼,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율10-20%인 한약재와 살균과 냄새제거를 위한 미세동분5-15%, 그리고 자석분20-60%, 접착제로 몰딩바인더50-60%의 용량비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혼화하여 양말바닥에 접착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상기 조성물의 농도가 너무 희박하여 소기의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곤란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세라믹의 경우 소량으로 원적외선의 방출률이 그다지 높지 않으며, 혼화된 한약재도 접착제에 몰딩된 상태에서 원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미소한 양이 인체에 접촉으로 질병을 치유한다는 것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곤란할 수밖에 없으며, 동분 역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살균과 악취의 중화 내지 소멸에 있어 상기와 같이 미소한 항균 소재와 세균이 직접접촉이 되지 않게 되면 항균소재의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조성물에서 살균작용과 악취의 발생을 막는 소재의 농도가 희박하여 실질적으로 살균과 악취발생을 방지할수 없으며, 한약에 의한 질환치료 역시 미흡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양말들에서는 지압돌기가 주로 양말의 바닥면에 형성됨으로서 발바닥과의 마찰로 인하여 돌기의 파손율이 높아지고, 세탁시에도 파손이 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압효과와 함께 원적외선 발산 및 키토산에 의한 살균기능과 한약재의 유효성분침투특성을 가짐으로서 신체 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양말이나 신발에서 발생되는 악취 제거 및 살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말착용시 살균기능이 개선되어 세균에 의한 악취발생방지 및 피부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되며, 발바닥과의 마찰에 의한 파손 및 세탁시의 파손율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개선된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양말에 함유된 한약재성분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더피부를 통하여 인체에 흡수됨으로서 피부질환의 예방 및 건강증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체 및 키토산을 접착재와 혼화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이 형성되고, 원적외선발산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말의 바닥에 지압기능을 하도록 다수개의 자력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약재로부터 특정유효성분을 액상 및 분말상으로 제조하는 제1단계와, 수용성키토산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불용성 키토산분말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한약재 액상유효성분과 키토산수용액을 혼화한 용액에 양말을 침지시키고 자연 또는 히터가열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제3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한약재분말상을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분쇄하고, 한약재의 농축분말과 키토산농축분말의 중량비 10%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75%정도로 묽게 혼화하여 제3단계에서 건조된 양말에 코팅하는 제4단계와, 상기 코팅된 양말을 히터를 이용하여 소결시키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소결된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자성체 중량비 25%와,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로 혼화하여 약 0.3-3mm 정도의 두께, 폭3-10mm 정도로 조성물을 돌기형태로 형성하는 제6단계와, 조성물 돌기에 열을 가하여 양말의 내표면에 접착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돌기가 형성된 양말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돌기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말 2 : 지압돌기
2a: 돌기부 2b: 함몰부
3 : 섬유 4 : 피막층
5 : (원적외선방사) 조성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살균기능을 가진 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말의 원료가 되는 섬유재질에 한약재 및 키토산성분을 2중으로 형성하며, 특히 외각에 형성되는 한약재 및 키토산성분층을 코팅시킴으로서, 발바닥에 의한 충격 및 세탁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장시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돌기구조물을 형성한 항균양말 및 그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말로서, 양말(1)의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돌기(2)의 상세한 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돌기(2)들은 양말을 뒤집은 상태에서 바닥의 일부면 또는 양말의 전체면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전체면에 걸쳐서 형성된 경우에는 발바닥뿐만 아니라 발목 부분에도 효과가 있다.
우선 본 발명의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에서는 인체에 필요한 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선별한다.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한약재로는 당귀, 천궁, 박하, 백지, 계피, 세신, 인삼 등이 있다. 인삼은 특히 직접 또는 끓여서 복용할 수 있으며,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는 성분이 포함됨은 널리 알려져 있다.
물론 특정목적을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효용을 가진 약재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좀에 유용한 한약재, 또는 기력회복등에 유용한 한약재등을 포함하는 특수목적의 양말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의 약재들은 약전에 따라서 처방에 따라 가감하거나 추가하여 에타놀에 침지시키거나, 또는 물에 넣고 끓여 유효성분을 액상으로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추출된 유효성분들을 분말상으로도 제조하여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한약재로부터 유효성분을 액상, 분말상으로 추출한 후에, 제2단계로서 키토산을 역시 액상 및 분말상으로 제조한다. 키토산의 액상 및 분말상 제조는 키토산의 수용성, 불용성에 따른 성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키토산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토산이란, 키틴으로부터 추출된 천연다당류를 의미한다. 키틴이란 가제, 게, 새우와 같은 갑각류와 풍뎅이, 매미, 메뚜기와 같은 곤충의 외피 버섯이나 미생물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천연다당류로서 이것으로부터 정제과정(탈아세틸과정)을 거쳐 키틴, 키토산, 그리고 키토 올리고당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갑각류중 특히 홍게 껍질(다리부분)을 원료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자연계에서 키틴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키틴질, 석회질, 단백질이 각각 1/3정도 함유되어 있고, 석회질과 단백질을 제거하여 순수한 키틴을 추출하고 이를 원료로 하여 정제 과정인 탈 아세틸공정을 거쳐서 키토산을 얻는다.
고분자 다당류인 키토산에 분해효소(라미소자임, 키토사나아제등)를 넣어 효소 반응을 시켜 저분자화 함으로써 극저분자인 키토산 올리고당을 얻는다. 셀룰로이즈(식물성 식이섬유)와 분자구조가 아주 유사한 동물성 식이섬유인 키틴, 키토산은 다른 식물성 식이섬유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질을 보유하면서 아주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키틴으로부터 탈 아세틸 과정을 거쳐 얻은 키토산은 아미노기(NH2+)를 갖게 됨으로서 음(-)이온을 가진 물질과 이온 결합을 한다. 용해가 어려운 키틴과 달리 아미노기를 가진 키토산은 비록 물이나 알칼리에는 용해되지 않지만 산에는 쉽게 용해되며, 극저분자인 키토산 올리고당은 물에도 쉽게 용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에 쉽게 흡수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수용성 키토산과 불용성 키토산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키토산은 콜레스테롤 조절기능을 가지므로 동맥경화, 심장병등 순환기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면역력증강기능을 가지므로 체내에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또한 살균, 항균작용을 가지므로 미생물의 세포막과 결합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을 한다. 또한 생체리듬 조절작용, 장내의 유용세균 증강기능, 중금속 및 방사선 물질 흡착, 배설, 및 세포의 재생촉진 및 노화방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키토산을 수용성 및 불용성으로 제조한 후에, 키토산용액과 한약재 액상추출물을 혼화한다. 이렇게 혼화된 수용액에 양말을 침지시켜서 한약재와 키토산을 투입시킨다. 침지된 양말은 자연건조 또는 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건조된 양말에는 한약재 추출물과 키토산이 함유되어서 성분을 외부로 투출시킨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제3단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3단계에서는 한약재 추출성분과 키토산성분은 섬유(3)에 스며들게 된다.
이때 농축된 용액에 가열하여 양말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섭씨 40도 - 100도 정도로 가온하면서 침지시키게 되면 농축도를 높인 상태로 직조된 양말의 섬유(3)에 용액의 침투가 가능하게 된다.
제4단계는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분말과 키토산분말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먼저 한약재를 추출하여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최소 500매쉬 이상으로 분쇄한 한약재의 농축분말과 역시 최소 500매쉬 이상으로 분쇄한 키토산의 총중량을 중량비 10%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75%정도로 묽게 혼화한 다음 건조된 상태의 양말에 코팅 처리하여 한다. 코팅이 완료된 후에 제5단계로서 열을 가하여 소결시켜 피막층(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막층(4)은 한약재와 키토산을 포함한 상태로 보관과 세탁 착용 등에 의하여도 오랜시간 약효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양말의 한약 처리된 부위에 접착제와 농축분말을 묽게 혼화하여 처리한다. 이 때 용제가 증발되고 나면 한약재와 키토산의 농축분말 중량비 10%와 코팅제 중량비15%는 용제가 휘발하게 되면 한약재와 키토산의 중량비 30%와 코팅제 중량비70%가 되어 아주 얇은 상태로 코팅처리가 이루어지는데, 물에 녹지 않는 코팅제는 합성수지나 페인트계를 비롯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단계에서 형성된 피막층(4)은 제1 내지 제3단계에서 양말의 섬유(3)에 스며든 한약재와 키토산의 유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섬유의 유연성과 통기성 흡수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피막층(4)에 농축 한약의 분말을 통하여 통로가 형성되어 흡수와 배수가 이루어지며, 사용으로 인하여 서서히 농축 분말이 방출되면서 섬유에 침투되어 있던 약이 농축분말이 위치하던 구멍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양말의 수명이 다할때 까지 방출되는 것이다. 또한 섬유(3)에 침투되어 있던 한약재와 키토산도 서서히 방출되어서 약효 및 키토산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양말(1)의 코팅을 소결하여 피막층(4)을 형성한 후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양말(1)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제6단계를 수행한다.
원적외선 방사체로서는 맥반석 분말을 1,200℃에서 소성처리하여 미세입자로 분쇄하며 입자의 크기는 500메쉬(mesh)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맥반석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산화철 중량비 25%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정도로 혼화하여 프린트형태나 실크인쇄 등의 방법으로 약 0.3-3mm 정도의 두께, 폭3-10mm 정도로 자성체 조성물(5)을 돌기형태로 인쇄한 다음 열에 의하여 접착(제7단계)시키게 된다.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체는 천연옥을 비롯하여 제올라이트 등을 비롯하여 수 없이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으나 그 중에서 맥반석은 원석보다 미세분말 입자에서 인체에 가장 유익한 원적외선 파장을 방출하고 있으며, 이것을 인체에 흡수시키면 탁월한 온열작용(체내온도 1.2~1.5℃ 상승)과 조직활성 에너지로 작용하여 미세혈관을 확장하고 혈액순환촉진 및 신진대사의 조정 등 매우 유익한 효능을 얻게 된다.
여기서 접착제는 일반공지기술로 다양한 접착제와 접착시키는 기술들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맥반석은 원적외선 방사율과 투과성이 높고 반영구적이며, 혈액순환을 촉진과 겨울에는 보온성과 여름에는 청량감을 가지게 되고 항균, 항곰팡이,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 탈취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원적외선은 중간매체 없이 직접적이고 순간적인 복사에너지를 전달한다.
원적외선 파장의 진동수가 인체분자의 진동수와 거의 같은 범위에 있기 때문에 인체에 투과되면 분자내에서 공명현상이 일어나 그 진동이 활발해지고 그러한 진동의 대부분이 열로 변하며, 일부에너지는 '활성화 에너지'로 작용한다.
또한 심달력이 있어 피하에 깊이 충분한 영향을 미쳐서 체내 작용을 활성화시켜서 피하심층의 온도 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 순환의 촉진, 몸 속의 노폐물 배출, 신진대사 촉진, 체액장애 일소 조직재생능력증가, 지각신경의 이상흥분억제, 자율신경 기능 조정효과 등의 의료적 효과도 발휘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전통 동양의학의 경락(經絡)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한 이 요법은 발바닥에 많은 경혈이 위치하고 있어 이 경혈에 자기력을 가하여 경락과 연결된 장기조직의 자극과 원활한 혈액순환으로 인체의 활성화시키므로 부작용이 없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자기는 효소를 활성화하며, 13000G의 자장을 가하면 소화효소인 트립신의 활동이 촉진되고, 4000G의 자장을 가하면 뇌신경세포의 정보전달에 밀접하게 관계되는 아세틸크린 에스에라제라는 효소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기는 음과 양, 두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자기는 진정효과를 나타내며 육체의 기능을 편안하게 유도하여 신진대사를 정상화시키는 반면, 양자기는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작용을 하고, 양자기에 오래 노출되면 신진대사가 방해를 받아 주위 조직이 산성화되고, 휴면중이던 세균들이 활성화되면서 여러가지 질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성체가 이방성이 형성되도록 자화 입력함에 있어, 착자기에 강한 DC전극을 가한 상태에서 자화처리를 하게 되면 전극의위치에 따라 상, 하로 일정한 방향의 자극을 띠게 되는데, 음자기측이 신체에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자력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자기로 부터 자성체를 자화시키는데, 자성체를 산화철을 사용할 경우 산화철 함량과 용적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산화철함량 25%, 직경 5mm, 높이 1.5mm의 상태에서 약 5.000가우스의 자력을 입력하였을 때 조성물이 띠고 있는 자력은 약 300가우스의 자력을 띠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산화철에서의 경우 자력이 미약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는 무방하나 치료용으로 보다 강한 자력을 띠게할 경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강한 자력을 띠는 희토류 원소인 세륨 Ce·사마륨 Sm과 코발트 Co 화합물(Ce Co6·Sm Co6·Sm2Co12)이나, 이트륨·코발트 화합물 YCo6 또는 네오디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십배의 자기력을 띠게 할수 있어 치료용으로 강력한 자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발에서 주로 발생되는 땀에는 지질(脂質)이나 단백질 등의 유기물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분비된 신선한 땀에는 냄새가 없으나 피부 표면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들 유기물이 피부의 정상세균층(正常細菌叢)에 의해 분해되어 불쾌한 냄새로 변한다.
즉, 발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주로 이 냄새에 기인하는데, 땀의 분비생성물로는 카프르산·카프로산·이소발레르산·부티르산 등의 저급지방산 및 메르캅탄·아민·암모니아 등으로 통기가 잘 되지 않는 상태에서 피부의 정상세균층에 의해서 분해되어 상당한 악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키토산 및 원적외선 발산물질의 살균, 항균 작용에 의하여 정상세균층이 제거되므로 악취발생이 감소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돌기(2)는 반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도 4에는 돌기(2)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에 돌출부(2a)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 함몰부(2b)가 형성된 변형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돌기(2)는 발바닥과의 접촉시에 종래 돌기보다 더욱 강한 자극을 줌으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또한 공기순환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와의 노출면적이 증가함으로서 키토산 또는 한약재로부터의 유익한 성분방출이 더욱 잘되는 효과가 있다.
돌기의 두께(H1) 및 폭(D1)은 약 0.3-3mm 정도의 두께, 폭3-1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양말(1)로 부터 한약의 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치료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농축된 한약재와 키토산이 함유된 섬유(3)의 위에 역시 농축된 한약분말과 키토산분말이 혼화하여 이루어진 피막층(4)을 형성하고, 투과력이 좋은 원적외선과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 조성물(5)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함으로서 유익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한약재로부터 특정유효성분을 액상 및 분말상으로 제조하는 제1단계와;
    수용성키토산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불용성 키토산분말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한약재 액상유효성분과 키토산수용액을 혼화한 용액에 양말을 침지시키고 자연 또는 히터가열에 의하여 건조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한약재분말상을 입자상태로 농축시켜 분쇄하고, 한약재의 농축분말과 키토산농축분말의 중량비 10%와, 코팅제 중량비15%와, 용제 중량비 75%정도로 묽게 혼화하여 제3단계에서 건조된 양말에 코팅하는 제4단계와;
    상기 코팅된 양말을 히터를 이용하여 소결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소결된 양말에 미세 분말상의 원적외선 방사체 중량비 25%와, 미세 분말상의 자성체 중량비 25%와, 합성수지 접착제 중량비 50%로 혼화하여 약 0.3-3mm 정도의 두께, 폭3-10mm 정도로 조성물을 돌기형태로 형성하는 제6단계와;
    조성물 돌기에 열을 가하여 양말의 내표면에 접착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양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발산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기(2)가 중앙에 돌출부(2a)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 함몰부(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양말 제조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항균양말.
KR10-2001-0002749A 2001-01-12 2001-01-12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1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749A KR100419478B1 (ko) 2001-01-12 2001-01-12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749A KR100419478B1 (ko) 2001-01-12 2001-01-12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24A true KR20010044224A (ko) 2001-06-05
KR100419478B1 KR100419478B1 (ko) 2004-02-21

Family

ID=1970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749A KR100419478B1 (ko) 2001-01-12 2001-01-12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4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336A (ko) * 2001-11-28 2003-06-02 김성실 키토산섬유 및 플로킹섬유층을 가지는 의복
KR100838497B1 (ko) * 2007-04-04 2008-06-25 임달웅 원적외선 방출 돌기부를 양측으로 갖는 양말
EP2901874A1 (en) * 2014-02-04 2015-08-05 Jie Gao Garment fabric
KR200496112Y1 (ko) * 2021-12-15 2022-11-04 주식회사 빅엔빅 기능성 양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2214B2 (en) * 2014-03-27 2016-09-27 Jie Gao Garment fabric
CN105559157B (zh) * 2016-01-25 2017-06-30 邱定武 一种治疗趾腱筋膜炎的袜底及其制备工艺
CN105661664B (zh) * 2016-01-25 2017-08-01 邱定武 一种治疗痛风的袜底及其制备草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7902A (ja) * 1991-10-18 1993-05-14 Momoki Nakagawa 靴下の滑り止め
JPH10292205A (ja) * 1997-04-10 1998-11-04 Kanemasu:Kk 靴 下
KR100288913B1 (ko) * 1998-10-27 2001-11-22 윤근수 내마모코팅층이구비된직조물및그제조방법
KR20010017989A (ko) * 1999-08-16 2001-03-05 원인호 방취 방균물의 조성및 양말 바닥의 기능적 구조
KR100340003B1 (ko) * 1999-12-17 2002-06-10 김광배 쑥성분이 함유된 항균섬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46801B1 (ko) * 2000-06-05 2002-07-27 김관배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336A (ko) * 2001-11-28 2003-06-02 김성실 키토산섬유 및 플로킹섬유층을 가지는 의복
KR100838497B1 (ko) * 2007-04-04 2008-06-25 임달웅 원적외선 방출 돌기부를 양측으로 갖는 양말
EP2901874A1 (en) * 2014-02-04 2015-08-05 Jie Gao Garment fabric
KR200496112Y1 (ko) * 2021-12-15 2022-11-04 주식회사 빅엔빅 기능성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478B1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332B1 (ko) 바이오 패드
KR100419478B1 (ko) 항균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302224A (zh) 纳米银负离子远红外防治风湿性关节炎元素织物内衣
CN106420485A (zh) 一种寡肽平肌修复粉
KR101656250B1 (ko) 토시
CN105708254B (zh) 功效性磁疗睡袋
KR101649450B1 (ko) 피부 상처 치료조성물
KR100346801B1 (ko) 항균기능을 갖는 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KR101894760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지면서 허브향을 발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패치
KR102160854B1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CN105520272B (zh) 防治脚癣的鞋垫
KR102218296B1 (ko) 항균 탈취 기능 강화 위생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7760B1 (ko) 원적외선 발산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스포츠 테이프
WO2011124085A1 (zh) 中药保健鞋垫
CN105029730A (zh) 一种灵香草天然芳香保健纺织文胸及其制作方法
KR200213939Y1 (ko) 원적외선 방사용 볼이 내장된 파스
CN109700876A (zh) 一种抗氧化的颗粒足贴药包及其制备方法
CN101317963B (zh) 一种治疗外伤及溃疡的中药及其制备方法
KR102488255B1 (ko) 건식 찜질용 효소 조성물
CN101108209A (zh) 一种治疗脚气病的中药
CN2649078Y (zh) 三效贴巴布膏剂
KR20040049369A (ko) 기능성을 갖는 안대
CN1256151C (zh) 麝香药线及其制备方法
KR200395030Y1 (ko) 게르마늄과 자석을 내장한 웰빙용 양발
CN1878560B (zh) 局部使用的含有Stryphnodendron提取物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