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391A -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391A
KR20010043391A KR1020007012413A KR20007012413A KR20010043391A KR 20010043391 A KR20010043391 A KR 20010043391A KR 1020007012413 A KR1020007012413 A KR 1020007012413A KR 20007012413 A KR20007012413 A KR 20007012413A KR 20010043391 A KR20010043391 A KR 2001004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hannel
transmission
remote unit
supple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512B1 (ko
Inventor
케네쓰 에이. 펠릭스
조셉 린치우소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Publication of KR2001004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고속의 보충 데이타 채널(105)을 이용하여 원격 유닛(113)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중에, 모든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에 통신되었거나 전송 중의 인터럽션(interruption)에 의해 데이타 전송이 중단된다. 모든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으로 전송된 경우, 원격 유닛(113)은 전송된 마지막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응답 전에 보충 채널(105)을 드롭하고, 응답은 저속의 기본 채널(103)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인터럽션이 발생한 경우, 전송할 남아있는 데이타가 미리 결정된 크기보다 작으면, 기본 채널(103)을 이용하여 데이타 전송은 계속된다.

Description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통신 시스템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육상 이동 통신(land mobile radio), 셀룰라 무선전화(cellular radiotelephone), 개인 통신 시스템, 기타 통신 시스템 유형들을 포함하는 많은 유형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전송은 통신 자원(일반적으로 통신 채널로 불림)을 통해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 수행된다. 지금까지, 전송은 보통 음성 신호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속 데이타 신호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동작을 쉽게 하기 위해, 기존의 음성 통신 능력 위에 데이타 전송 능력을 오버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타 전송 동작이 음성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자원과 다른 인프라구조(infrastructre)를 사용하면서도, 음성 통신 시스템에 대해 근본적으로 투명(transparent)하게 된다.
투명한 데이타 전송 능력을 구비한 이러한 통신 시스템 중 현재 개발되고 있는 하나가 차세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Division Multiple-Access) 셀룰라 통신 시스템인데, 보통 cdma2000으로 불린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 내에서는 모든 원격 유닛(remote unit) 및 기지국(base station)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그러므로, 기지국과 원격 유닛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각각 개별의 원격 유닛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중 주파수 및 시간 오버래핑 코딩된 신호들(a multiplicity of frequency and time overlapping coded signals)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들 각각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로 동시에 전송되고, 다만 특정 인코딩(채널)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이나 원격 유닛 수신자에서 수신된 신호는 송신된 신호 각각의 복합 신호이고, 개별 신호는 디코딩 후에야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cdma2000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원격 유닛 데이타 전송은, 원격 유닛에 고속 데이타 채널[보충 채널(supplemental channel)로 불림]을 할당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보충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함으로써 일어난다. 더 구체적으로, 데이타 전송이 요구되면 즉시 원격 유닛에 공통 트래픽 채널[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이 할당되고, 원격 유닛은 보충 채널이 사용가능할 때까지 기본 채널 상에 남아 있는다. 보충 채널이 사용가능하게 되면, 보충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타 전송을 한다. 모든 데이타가 전송되고 나면, 모든 데이타가 전송되고 응답(acknowldege)되거나, 일정한 시간이 지나서 보충 채널이 드롭(drop)되고, 원격 유닛은 기본 채널을 통해 계속해서 통신한다. 만약 모든 데이타가 전송되지 않았거나 (수신 에러 때문에) 일부 데이타만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 보충 채널은 재접근되어 남아 있는 데이타가 전송되어야 한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가능한 보충 채널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충 채널을 신속하게 재접근할 수 있는 능력은, 사용가능한 보충 채널을 위해 경쟁하는 몇몇 원격 유닛에게만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일단 보충 채널이 드롭되면, 보충 채널 상의 계속되는 데이타 전송 또는 재전송은 보충 채널의 적절한 재접근 과정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또한 마지막 데이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이 수신될 때까지 보충 채널을 유지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더 빠른 데이타 전송과 더 효율적인 보충 채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광대역 셀룰라 통신 시스템(broad-b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기본 채널 회로(fundamental channel circuitry)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도 1의 보충 채널 회로(supplemental channel circuitry)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을 도시한 흐름도.
이상에서 기술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데이타 전송이 중단(stop)되면, 원격 유닛은 전송된 마지막 프레임(frame)의 수신을 응답하기 전에 보충 채널(supplemental channel)을 드롭(drop)하고, 응답(acknowledge)과 재전송(retransmission)은 저속의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보충 채널의 전송 중에 인터럽션(interruption)이 발생한 경우, 미리 결정된 크기 이하의 전송해야 할 데이타가 남아 있으면,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타 전송을 계속한다. 데이타 전송의 중단 후에 응답을 하는 경우, 원격 유닛이 어떠한 응답이나 재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보충 채널을 드롭하기 때문에, 보충 채널은 더 빨리 자유롭게 되어 다른 데이타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기본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눈에 띌만큼의 지연 없이도 에러 제어를 수행한다. 보충 채널을 이용할 때의 타임아웃 (또는 인터럽션)의 경우, 전송해야 할 적은 양의 데이타가 남아 있을 때 기본 채널로 데이타의 전송을 계속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보충 채널의 재접근에 의하여 남아 있는 데이타의 전송이 느려지지 않는다. 더욱이, 보충 채널은 더 빨리 자유롭게 되어 다른 데이타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boradband communication system)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을 포괄한다. 본 방법은 제2 채널과 제2 부호화 방식(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고, 데이타의 전송 중에 인터럽션(interruption)을 수신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데이타의 전송은 중단되고, 제1 채널에서 제1 부호화 방식으로 계속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다른 방법도 포괄한다. 본 방법은 제2 채널과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고, 언제 다수의 데이타가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데이타가 송신되고, 다수의 데이타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였을 때, 제2 채널과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데이타 전송은 중단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또 다른 방법도 포괄한다. 본 방법은 제2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타 전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제2 채널이 사용가능한지를 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2 채널이 사용가능하지 않으면, 데이타는 제1 채널과 제1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제2 채널이 사용가능하면, 제2 채널과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장치를 포괄한다. 본 장치는 고속 제2 채널 상에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충 채널 회로(supplemental channel circuitry), 상기 제2 채널 상에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으로의 데이타 전송을 중단(stop)하라는 지시(indication)를 출력하는 제어기(controller); 및 상기 고속 제2 채널 상의 상기 데이타 출력이 중단되었을 때 제1 채널 상에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상기 데이타를 출력하는 기본 채널 회로(fundamental channel circuitry)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격 유닛(remote unit)(113)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지국(100)은 제어기(controller)(101), 다수의 기본 채널 회로(fundamental channel circuits)(103), 하나 이상의 보충 채널 회로(supplemental channel cirucits)(105), 합산기(summer)(111), 및 변조기(modulator)(115)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원격 유닛(113)에 대해 다운링크 통신 신호(downlink communication signal)(117)를 통해 통신하고, 원격 유닛(113)은 기지국(100)에 대해 업링크 통신 신호(uplink communication signal)(119)를 통해 통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13)으로의/으로부터의 통신은 보충 채널 회로(105) 그리고/또는 기본 채널 회로(103)를 이용하여 일어날 수 있다. 특히, 기지국(100)과 원격 유닛(113)은 순방향의 전송과 역방향의 전송 모두에 대해 정의되어 있는 2 클라스(classes)의 채널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든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데이타 전송이 기지국(100)으로부터 원격 유닛(113)으로 일어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데이타 전송이 원격 유닛(113)으로부터 기지국(100)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본 채널은 기존의 CDMA 트래픽 채널(CDMA traffic channels)과 유사하며, 더 넓은 대역폭 상의 확산(spread)을 제외한 음성, 데이타 및 시그널링(signaling)에 사용된다. CDMA 트래픽 채널은 본원에 참조되어 포함되어 있는 "이중 모드 와이드밴드 스펙트럼 확산 셀룰라 시스템을 위한 이동국 기지국 호환 표준, 통신 산업 협회 인테리움 표준 95A, 워싱턴 디시, 1993년 7월(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s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s, 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 Interium Standard 95A, Washington, DC July 1993)"(IS-95A)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IS-95A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의 전송률(transmission rate)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게다가,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하나 이상의 기본 채널 회로(103)를 이용한 동시 전송)가 기본 채널 회로(103)를 이용하여 지원된다.
대조적으로, 보충 채널은 고속의 데이타 서비스(high data rate service)로 원격 유닛(113)에 통신하는데 이용되는데, 상기 보충 채널들의 데이타 전송률(data rate)은 전송에 앞서 미리 협상된다. 다수의 데이타 소스(data sources)가 상기 채널 상에 시간으로 멀티플렉싱된다. 더욱이, 상기 채널의 QOS(Quality of Service) [예를 들어, 프레임 에러율(FER: Frame Error Rate), 비트 에러율(BER: Bit Error Rate), 그리고/또는 전송 지연]는 기본 채널과 독립적으로 설정(set)되고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은 아래와 같이 일어난다. 원격 유닛(113)이 기본 채널이나 보충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100)과 활성적으로 통신하지 않는 시간 동안, 원격 유닛(113)은 중지 상태(suspended state)에 있으며, 기지국(100)에 의한 어떤 임박한 전송(pending transmission)의 알림(notification)이 있는지 활성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포워드 제어 채널(forward control channel) [IS-95A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모니터링한다. 특히, 페이징 채널 회로(보이지 않음)는 임박한 다운링크 전송(pending downlink transmission)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원격 유닛(113)에 보내는 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페이징 채널 회로는 IS-95A 섹션 7.1.3.4, 7.6.2와 섹션 7.7.2에 설명된 것과 같은 회로이다. 기지국(100)은 원격 유닛(113)으로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일어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고, 보충 채널 회로(105)가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통신에 사용가능한 보충 채널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보충 채널은 원격 유닛(113)으로의 전송에 사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보충 채널 회로(105)가 전송에 사용가능할 때까지 원격 유닛(113)은 큐(queue)에 놓여진다. 원격 유닛(113)이 큐에 놓여 있던지 아니던지, 원격 유닛(113)은 기본 채널에 할당되는 "콘트롤 홀드(control hold)" 상태에 놓여진다. 특히, 기지국(100)은 기본 채널과 보충 채널에 의해 이용되는 확산 코드(spreading codes)(Walsh 코드)와 보충 채널의 할당된 데이타 전송률을 원격 유닛(113)에게 알려준다. 게다가, IS-95A의 섹션 6.1.2와 6.6.3.1.1.1에 설명된 것과 같은 초기 전력 제어(initial power control)가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이 지점에서 일어난다.
전력 레벨이 적절하고, 보충 채널이 사용가능하게 되었을 때, 원격 유닛(113)은 액티브 상태(active state)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보충 채널을 이용한 통신(즉, 데이타 전송)이 일어난다. 특히, 원격 유닛(113)에 할당된 보충 채널 회로(105)는 합산기(111)에 전송될 데이타를 출력하는데, 합산기에서 이는 다른 채널 전송들과 합산된다. 이렇게 합산된 전송들은 변조기(115)에 의해서 QPSK 변조되고, 원격 유닛(113)에 다운링크 통신 신호(117)를 통해 전송된다.
보충 채널 상의 전송은 멈출(stop)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2가지 원인에 의해 멈춘다. 첫째, 모든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으로 통신되는 것이다. 이 경우, 원격 유닛(113)은 전송된 마지막 프레임의 응답을 수행한다. 특히, 수신된 패킨에 대해 응답(ACK)하고(하거나), 뒷 번호가 매겨진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에도 해당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가진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네거티브 응답(NAK: Negative Acknowledgement)을 제공함으로써 에러 제어(error control)를 수행한다. (만약 NAK 과정이 사용되면, 비록 프로토콜이 나머지 데이타 전송 중의 과정에만 NAK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마지막 패킷의 성공적인 수신은 응답되어야만 한다).
보충 채널에서 전송을 중지하는 두번째 원인은 보충 채널을 이용한 전송이 할당된 시간을 초과하기 (또는 단순히 인터럽트(interrupt)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데이타는 원격 유닛(113)으로 전송되도록 남아 있고, 원격 유닛(113)은 다시 계속된 데이타 전송을 기다리는(awaiting) 콘트롤 홀드(control hold) 상태에 놓여진다.
상기에서 언급된 첫번째 경우(모든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에 전송되는 경우)에, 원격 유닛(113)은 전송된 마지막 프레임의 수신을 응답하기 전에 보충 채널을 드롭하고, 응답(acknowledgement)은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두번째 경우(타임아웃(time-out)이나 인터럽션(interruption)이 일어난 경우)에, 미리 결정된 양보다 적은 전송할 데이타가 아직 남아 있으면 데이타 전송은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계속된다. 특히, 제어기(101)는 원격 유닛(113)에 전송할 데이타의 남아있는 크기를 결정하고, 만약 원격 유닛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 미리 결정된 크기보다 적은 데이타가 있으면, 전송은 기본 채널 상으로 계속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데이타의 전송은 보충 채널이 다시 사용가능하게 되었을 때 보충 채널 상으로 계속된다.
전송이 중단된 뒤에 응답하는 경우에, 원격 유닛(113)이 어떤 에러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보충 채널을 드롭하기 때문에, 보충 채널은 더 빨리 자유롭게 되어 다른 데이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에러 제어는 기본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어떤 눈에 띌만한 지연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보충 채널을 이용하는 타임아웃(또는 인터럽션)의 경우, 원격 유닛(113)은 전송할 데이타가 조금 남아 있으면 계속해서 기본 채널 상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 보충 채널을 접근함으로써 남아 있는 데이타의 전송이 느려지는 문제는 없다. 게다가, 보충 채널은 더 빨리 자유롭게 되어 다른 데이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기본 채널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본 채널 회로(fundamental channel circuitry)(103)는 채널 멀티플렉서(channel multiplexer)(201), 돌림형 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212), 심볼 리피터(symbol repeater)(215), 블록 인터리버(block interleaver)(216), 롱 코드 스크램블러(long code scrambler)(217), 및 직교 인코더(orthogonal encoder)(220)로 구성된다. 동작 중에, 신호(210)(트래픽 채널 데이타 비트(traffic channel data bits))는 특정한 비트율(bit rate) (예를 들어, 8.6 kbit/second)로 채널 멀티플렉서(201)에 의해 수신된다. 입력 트래픽 채널 데이타(input traffic channel data)(210) 비트는 전형적으로 보코더(vocoder)에 의해 데이타로 변환된 음성, 순수한 데이타, 또는 두가지 형태의 데이타가 결합된 형태를 포함한다. 채널 멀티플렉서(201)는 제2 트래픽(예를 들어 데이타) 그리고/또는 시그널링 트래픽(예를 들어, 제어 또는 사용자 메시지)을 트래픽 채널 데이타(210) 상에 멀티플렉싱하고, 멀티플렉스된 데이타를 9.6 kbit/sec로 돌림형 인코더(212)에 출력한다. 돌림형 인코더(212)는, 데이타 심볼로부터 데이타 비트로의 후속 최대 가능성 디코딩(subsequent maximum likelihood decoding)을 가능하게 하는 인코딩 알고리즘(예를 들어, 돌림형 또는 블록 코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고정된 인코딩 속도(encoding rate)로 입력 데이타 비트(input data bits)(210)를 데이타 심볼로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돌림형 인코더(212)는 (9.6 kbit/sec의 속도로 수신된) 입력 데이타 비트(210)를, 1 데이타 비트를 2 데이타 심볼로 하는 고정된 인코딩 속도(즉, 1/3 율)로 인코딩하고, 돌림형 인코더(212)는 28.8 ksymbol/sec의 속도로 데이타 심볼(data symbols)(214)을 출력한다.
데이타 심볼(data symbols)(214)은 리피터(215)에 의해 리피팅되어 인터리버(interleaver)(216)에 입력된다. 인터리버(216)는 입력 데이타 심볼(214)을 심볼 레벨에서 인터리빙한다. 인터리버(216)에서, 데이타 심볼(214)은 데이타 심볼(214)의 미리 결정된 크기 블록을 정의하는 매트릭스에 개별적으로 입력된다. 데이타 심볼(214)은 매트릭스 내의 장소에 입력되고, 매트릭스는 열 단위로(in a column by column manner)로 채워진다. 데이타 심볼(214)은 매트릭스 내의 장소로부터 개별적으로 출력되어, 매트릭스는 행 단위로(in a row by row manner) 비워진다. 일반적으로, 매트릭스는 행의 수와 열의 수가 동일한 정방형 매트릭스(square matrix)이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인터리빙되지 않은 입력 데이타 심볼 사이의 출력 인터리빙 거리(output interleaving distance)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매트릭스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인터리빙된 데이타 심볼(218)은, 데이타 심볼이 입력되었던 데이타 심볼 속도(data symbol rate)와 동일한 속도(즉, 28.8 ksymbol/sec)로 인터리버(216)에 의해 출력된다.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전송 블록 내에서 미리 결정된 심볼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타 심볼의 최대 숫자로부터, 매트릭스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타 심볼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크기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전송 블록의 미리 결정된 길이가 20 밀리 초(milliseconds)이면, 데이타 심볼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크기 28.8 ksymbol/sec에 20 밀리 초를 곱한 576 데이타 심볼이 되는데, 이는 18 X 32 매트릭스를 정의한다.
인터리브된 데이타 심볼(interleaved data symbols)(218)은 스크램블러(scrambler)(217)에 의해 뒤섞여서 직교 인코더(orthogonal encoder)(220)에 출력된다. 직교 인코더(220)는 인터리브되고 뒤섞인 각 데이타 심볼(218)에 직교 코드(orthogonal code)(예를 들어, 256진 왈시 코드(256-ary Walsh code))를 모듈로(modulo) 2 덧셈을 한다. 예를 들어, 256진 직교 인코딩(256-ary orthogonal encoding)에서, 인터리브되고 뒤섞인 데이타 심볼(218)은 각각 256 심볼 직교 코드와 익스클루시브 OR(exclusive OR) 연산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256 직교 코드들은, 왈시 코드가 매트릭스의 단일 행이거나 열인 256 X 256 하다마드 매트릭스(Hadamard matrix)로부터의 왈시 코드에 해당한다. 직교 인코더(220)는 입력 데이타 심볼(218)에 해당하는 왈시 코드를 고정된 심볼 속도 (예를 들어 28.8 ksymbol/second)로 반복해서 출력한다.
왈시 코드의 시퀀스(sequence of Walsh codes)(242)는 한 쌍의 짧은 (즉, 롱 코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짧은) 의사 랜덤 코드(pseudorandom codes)(224)에 의해 더 확산되어, I 채널(I-channel)과 Q 채널(Q-channel) 코드 확산 시퀀스(code spread sequence)(226)를 발생시킨다. I 채널과 Q 채널 코드 확산 시퀀스(226)는, 사인 곡선(sinusoids) 쌍의 전력 레벨 제어(power level control)를 구동(driving)함으로써, 사인 곡선의 구적 쌍(quadrature pair of sinusoids)을 2상 변조(bi-phase modulate)하는데 사용된다. 사인 곡선 출력 신호(sinusoids output signals)는 합산되고, (변조기(115)에 의해) QPSK 변조되고, 안테나(antenna)(120)에 의해 방사(radiate)되어 채널 데이타 비트(channel data bits)(210)의 전송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확산 시퀀스(spread sequences)(226)는 초당 3.6864 메가 칩(Mcps: Mega Chips per second)의 속도로 출력되고, 5 MHz 대역폭 내에 방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확산 시퀀스(226)는 다른 속도로 출력되고, 다른 대역폭 내에 방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IS-95A 전송 스킴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여기에서 확산 시퀀스(226)는 1.25 MHz 대역폭 내에서 1.2288 Mcps (트래픽 채널 칩 속도(traffic channel chip rate))로 출력된다. 각 데이타 심볼이 128 심볼 직교 코드에 의해 익스클루시브 OR(exclusive OR) 되기 때문에, 실제 입력 데이타 심볼 전송 속도(218 단계에서)는 19.2 Kcps이다(1/2 돌림형 인코더를 이용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보충 채널 회로(supplemental channel circuitry)(105)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보충 채널 회로(105)는 채널 멀티플렉서(channel multiplexer)(301), 돌림형 인코더(convolutional encoder)(312), 심볼 리피터(symbol repeater)(315), 블록 인터리버(block interleaver)(316), 및 직교 인코더(orthogonal encoder)(320)를 포함한다. 동작 중에 신호(310)(데이타)는 채널 멀티플렉서(301)에 의해 특정한 비트 속도(예를 들어, 152.4 kbit/sec)로 수신된다. 채널 멀티플렉서(301)는 제2 트래픽(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타)을 보충 채널 데이타 상에 멀티플렉스하고, 멀티플렉스된 데이타를 돌림형 인코더(312)에 153.6kb/s로 출력한다.
돌림형 인코더(312)는, 데이타 심볼로부터 데이타 비트로의 후속 최대 가능성 디코딩(subsequent maximum likelihood decoding)을 가능하게 하는 인코딩 알고리즘(예를 들어, 돌림형 또는 블록 코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고정된 인코딩 속도(encoding rate)로 입력 데이타 비트(input data bits)(310)를 데이타 심볼로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돌림형 인코더(312)는 (153.6 kbit/sec의 속도로 수신된) 입력 데이타 비트(310)를, 1 데이타 비트를 2 데이타 심볼로 하는 고정된 인코딩 속도(즉, 1/3 율)로 인코딩하고, 돌림형 인코더(312)는 460.8 kbit/sec의 속도로 데이타 심볼(data symbols)(314)을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데이타 심볼(data symbols)(314)은 인터리버(interleaver)(316)에 입력된다. 인터리버(316)는 입력 데이타 심볼(314)을 심볼 레벨에서 인터리빙한다. 인터리버(316)에서, 데이타 심볼(314)은 데이타 심볼(314)의 미리 결정된 크기 블록을 정의하는 매트릭스에 개별적으로 입력된다. 데이타 심볼(314)은 매트릭스 내의 장소에 입력되어, 매트릭스는 열 단위로(in a column by column manner)로 채워진다. 데이타 심볼(314)은 매트릭스 내의 장소로부터 개별적으로 출력되어, 매트릭스는 행 단위로(in a row by row manner) 비워진다. 일반적으로, 매트릭스는 행의 수와 열의 수가 동일한 정방형 매트릭스(square matrix)이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인터리빙되지 않은 입력 데이타 심볼 사이의 출력 인터리빙 거리(output interleaving distance)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매트릭스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인터리빙된 데이타 심볼(318)은, 데이타 심볼들이 입력되었던 데이타 심볼 속도(data symbol rate)와 동일한 속도(즉, 28.8 ksymbol/sec)로 인터리버(316)에 의해 출력된다. 미리 결정된 길이의 전송 블록 내에서 미리 결정된 심볼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타 심볼의 최대 숫자로부터, 매트릭스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타 심볼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크기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전송 블록의 미리 결정된 길이가 20 밀리 초(milliseconds)이면, 데이타 심볼들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크기는 9.216 ksymbols가 된다.
인터리브된 데이타 심볼(interleaved data symbols)(318)은 리피터(repeater)(315)에 의해 리피팅되어 직교 인코더(orthogonal encoder)(320)에 출력된다. 직교 인코더(320)는 인터리브되고 뒤섞인 각 데이타 심볼(318)에 직교 코드(orthogonal code)(예를 들어, 16진 왈시 코드(16-ary Walsh code))를 모듈로(modulo) 2 덧셈을 한다. 예를 들어, 16진 직교 인코딩(16-ary orthogonal encoding)에서, 인터리브되고 뒤섞인 데이타 심볼(318)은 각각 16 심볼 직교 코드와 익스클루시브 OR(exclusive OR) 연산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16 직교 코드들은, 왈시 코드가 매트릭스의 단일 행이거나 열인 16 X 16 하다마드 매트릭스(Hadamard matrix)로부터의 왈시 코드에 해당한다. 직교 인코더(320)는 입력 데이타 심볼(318)에 해당하는 왈시 코드 또는 그 역(inverse)을 고정된 심볼 속도 (예를 들어 460.8 ksymbol/second)로 반복해서 출력한다.
가중 왈시 코드의 시퀀스(sequence of weighted Walsh codes)(342)는 한 쌍의 짧은 (즉, 롱 코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짧은) 의사 랜덤 코드(pseudorandom codes)(324)에 의해 더 확산되어, I 채널(I-channel)과 Q 채널(Q-channel) 코드 확산 시퀀스(code spread sequence)(326)를 발생시킨다. I 채널과 Q 채널 코드 확산 시퀀스(326)는, 사인 곡선(sinusoids) 쌍의 전력 레벨 제어(power level control)를 구동(driving)함으로써, 사인 곡선의 구적 쌍(quadrature pair of sinusoids)을 2상 변조(bi-phase modulate)하는데 사용된다. 사인 곡선 출력 신호(sinusoids output signals)는 합산되고, (변조기(115)에 의해) QPSK 변조되고, 안테나(antenna)(120)에 의해 방사(radiate)되어 채널 데이타 비트(channel data bits)(310)의 전송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확산 시퀀스(spread sequences)(326)는 초당 3.6864 메가 칩(Mcps: Mega Chips per second)의 속도로 출력되고, 5 MHz 대역폭 내에 방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지국(100)으로부터 원격 유닛(113)으로의 데이타 전송은 제2(보충)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데이타 전송 방법과는 달리, 보충 채널을 통해 모든 데이타가 성공적으로 전송되기 전에 보충 채널이 드롭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타의 응답(acknowledgement)과 재전송(retransmission)은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더욱이, 타임아웃(time-out)이나 인터럽션(interruption)이 데이타 전송 중 발생하면, 보충 채널은 드롭되고 데이타 전송은 기본 채널 상으로 계속된다.
흐름도의 시작은 단계(401)인데, 여기에서 원격 유닛(113)은 중지 상태(suspended state)에 있고, 기본 채널이나 보충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100)과 활성적으로 통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지국(100)에 의한 어떤 임박한 전송(pending transmission)의 알림(notification)이 있는지 활성적으로 포워드 제어 채널(forward control channel) (IS-95A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모니터링한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페이징 채널 회로(보이지 않음)는 임박한 다운링크 전송(pending downlink transmission)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원격 유닛(113)에 보내는 데 이용된다. 단계(403)에서 제어기(101)는 원격 유닛(113)으로 고속 데이타 전송이 일어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한다. 만약 단계(403)에서 제어기(101)가 고속 데이타 전송이 일어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403)로 돌아가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405)를 계속한다. 단계(405)에서 제어기(101)는 보충 채널 회로(105)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사용가능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407)를 계속한다. 단계(407)에서 만약 이미 완료되지 않았으면, 기지국(100)은 원격 유닛(113)에 임박한 데이타 전송(pending data transmission)(페이징 채널을 통해)을 알리고, 원격 유닛(113)에 제1 채널(기본 채널)을 할당하고 전력은 원격 유닛(113)을 제어한다. 그리고 나서 논리 흐름은 단계(405)로 되돌아 간다. 만약, 단계(405)에서 제어기(101)가 보충 채널 회로(105)가 사용가능하다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409)를 계속한다. 단계(409)에서 만약 이미 완료되지 않았으면, 기지국(100)은 원격 유닛(113)에 임박한 데이타 전송(페이징 채널을 통해)을 알리고, 원격 유닛(113)에 제1 채널(기본 채널)을 할당하고, 전력은 원격 유닛(113)을 제어한다.
단계(415)에서 제2 채널(보충 채널)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이 일어난다. 특히, 제2 직교 부호화 방식(2진(second-ary)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6진 부호화 방식(16-ary 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제1 대역폭 (5 MHz) 내에서 제1 전송 속도 (3.6864 Mcps)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타 전송이 시작된다. 단계(417)에서, 제어기(101)는 데이타의 마지막 프레임(패킷)이 원격 유닛(113)에 전송되었는지 결정하고, 만약 전송되었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421)로 계속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419)로 계속되는데, 단계(419)에서 제어기(101)는 데이타 전송을 중단(cease)시키는 타임아웃이나 인터럽션이 일어나는지 결정한다. 단계(421)에서, 보충 채널 상의 전송은 중단된다(즉, 채널이 드롭된다). 단계(423)에서 어떤 데이타의 재전송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지시하는, 전송된 마지막 프레임(전송된 다수의 데이타)의 응답이 원격 유닛(113)으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응답은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 유닛(113)에 의해 기지국(100)으로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논리 흐름은 단계(425)로 계속되고, 단계(425)에서 제어기(101)는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에 재전송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고, 만약 그러면, 논리 흐름은 단계(427)로 계속되고,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429)에서 끝난다. 단계(427)에서 제어기(101)는 기본 채널을 통해 원격 유닛(113)에 데이타를 전송한다(즉, 제1 직교 부호화 방식(1진(first-ary)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56진 부호화 방식(256-ary 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제1 대역폭(5 MHz) 내에서 제1 전송 속도(3.6864 Mcps)로 전송). 그리고 나서 논리 흐름은 단계(429)에서 종료한다.
단계(419)로 돌아가서, 만약 제어기(101)가 "타임아웃"이 발생했다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431)를 계속하여, 단계(431)에서 원격 유닛(113)에 전송될 남아있는 데이타의 크기를 결정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415)로 되돌아 간다. 다음으로, 단계(433)에서, 제어기(101)는 전송될 남아있는 데이타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예를 들어, 5 프레임)보다 더 큰지 결정하고, 만약 그러면 논리 흐름은 단계(405)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427)를 계속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대로, 기본 채널 상으로 데이타의 전송을 완료함으로써, 보충 채널이 더 빨리 자유롭게 되어 다른 데이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본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눈에 띌만한 지연 없이 에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충 채널 회로(105)가 사용가능하던지 아니던지,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에 전송될 필요가 있을 때는 언제나 데이타 전송이 일어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채널(보충 채널)이 사용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지고, 보충 채널이 사용가능하지 않으면 제1 채널(기본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타는 보충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논리 흐름은 단계(501)에서 시작하는데, 여기에서 원격 유닛(113)은 중지 상태(suspended state)에 있고, 기본 채널이나 보충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100)과 활성적으로 통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지국(100)에 의한 어떤 임박한 전송(pending transmission)의 알림(notification)이 있는지 활성적으로 포워드 제어 채널(forward control channel) (IS-95A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모니터링한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페이징 채널 회로(보이지 않음)는 임박한 다운링크 전송(pending downlink transmission)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원격 유닛(113)에 보내는 데 이용된다. 단계(503)에서 제어기(101)는 원격 유닛(113)으로 고속 데이타 전송이 일어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한다. 만약 단계(503)에서 제어기(101)가 고속 데이타 전송이 일어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503)로 돌아가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505)를 계속한다. 단계(505)에서 제어기(101)는 보충 채널 회로(105)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사용가능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507)를 계속한다. 단계(407)에서 만약 이미 완료되지 않았으면, 기지국(100)은 원격 유닛(113)에 임박한 데이타 전송(pending data transmission)(페이징 채널을 통해)을 알리고, 원격 유닛(113)에 제1 채널(기본 채널)을 할당하고 전력은 원격 유닛(113)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508)에서 제1 직교 부호화 방식(1진(first-ary)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56진(256-ary)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대역폭(5 MHz) 내에서 제1 전송 속도(3.6864 Mcps)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타 전송이 일어난다. 그리고 나서 논리 흐름은 단계(505)로 되돌아 간다. 만약, 단계(505)에서 보충 채널 회로(105)가 사용가능하다고 제어기(101)가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509)를 계속한다. 단계(509)에서 만약 이미 완료되지 않았으면, 기지국(100)은 원격 유닛(113)에 임박한 데이타 전송(페이징 채널을 통해)을 알리고, 원격 유닛(113)에 제1 채널(기본 채널)을 할당하고, 전력은 원격 유닛(113)을 제어한다.
단계(515)에서 제2 채널(보충 채널)을 이용한 데이타 전송이 일어난다. 특히, 제2 직교 부호화 방식(2진(second-ary)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6진(16-ary)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대역폭 (5 MHz) 내에서 제1 전송 속도 (3.6864 Mcps)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타 전송이 시작된다. 단계(517)에서, 제어기(101)는 데이타의 마지막 프레임(패킷)이 원격 유닛(113)에 전송되었는지 결정하고, 만약 전송되었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521)로 계속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519)로 계속되는데, 단계(519)에서 제어기(101)는 타임아웃이나 인터럽션이 일어나는지 결정한다. 단계(521)에서, 보충 채널 상의 전송은 중단된다(즉, 채널이 드롭된다). 단계(523)에서 어떤 데이타의 재전송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지시하는, 전송된 마지막 프레임의 응답이 원격 유닛(113)으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응답은 기본 채널을 이용하여 원격 유닛(113)에 의해 기지국(100)으로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논리 흐름은 단계(525)로 계속되고, 단계(525)에서 제어기(101)는 데이타가 원격 유닛(113)에 재전송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고, 만약 그러면, 논리 흐름은 단계(527)로 계속되고, 그렇지 않으면 논리 흐름은 단계(529)에서 끝난다. 단계(527)에서 제어기(101)는 기본 채널을 통해 원격 유닛(113)에 데이타를 전송한다(즉, 제1 직교 부호화 방식(1진(first-ary)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56진(256-ary)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대역폭(5 MHz) 내에서 제1 전송 속도(3.6864 Mcps)로 전송). 그리고 나서 논리 흐름은 단계(529)에서 종료한다.
단계(519)로 돌아가서, 만약 제어기(101)가 "타임아웃"이 발생했다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531)를 계속하여, 단계(531)에서 보충 채널 상의 전송은 중단되고 논리 흐름은 단계(508)로 되돌아 간다. 단계(508)에서 데이타 전송은 기본 채널을 통해서 계속된다. 만약 단계(519)에서 제어기(101)가 "타임아웃"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결정하면, 논리 흐름은 단계(515)로 되돌아 간다. 보충 채널이 사용가능하지 않을 때는 언제나 기본 채널 상으로 데이타 전송이 일어나기 때문에, 데이타를 전송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원격 유닛(113)에 전송될 데이타의 크기는 증가된다.
본 발명을 본원에서는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형태나 상세한 부분에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과 이러한 모든 변경들은 아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9)

  1.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2 채널과 제2 부호화 방식(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한 상기 데이타의 전송 중에 인터럽션(interrup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한 상기 데이타의 전송을 중단(cease)하는 단계; 및
    제1 채널과 제1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의 전송을 계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션을 수신한 후 전송할 데이타의 남아있는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할 데이타의 남아있는 상기 크기가 임계값 아래이면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의 전송을 계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과 2진 부호화 방식(second-ary 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과 제1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의 전송을 계속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과 1진 부호화 방식(first-ary 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션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채널이 언제 사용가능하게 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이 사용가능하게 되었을 때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의 전송을 계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는 각각
    저속 데이타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 및
    고속 데이타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방법.
  7.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고속 제2 채널 상에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충 채널 회로(supplemental channel circuitry);
    상기 제2 채널 상에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으로의 데이타 전송을 중단(stop)하라는 지시(indication)를 출력하는 제어기(controller); 및
    상기 고속 제2 채널 상의 상기 데이타 출력이 중단되었을 때 제1 채널 상에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상기 데이타를 출력하는 기본 채널 회로(fundamental channel circuitry)
    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채널 회로는 2진 부호화 방식(second-ary 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채널 회로는 1진 부호화 방식(first-ary encoding scheme)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 장치.
KR10-2000-7012413A 1998-05-08 1999-03-04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393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4,816 1998-05-08
US09/074,816 US5966384A (en) 1998-05-08 1998-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391A true KR20010043391A (ko) 2001-05-25
KR100393512B1 KR100393512B1 (ko) 2003-08-02

Family

ID=2212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413A KR100393512B1 (ko) 1998-05-08 1999-03-04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66384A (ko)
EP (1) EP1080544B1 (ko)
JP (1) JP4171840B2 (ko)
KR (1) KR100393512B1 (ko)
BR (1) BRPI9910263B1 (ko)
DE (1) DE69943390D1 (ko)
WO (1) WO1999059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7746D0 (en) * 2001-03-28 2001-05-16 Nokia Networks Oy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184426B2 (en) 2002-12-12 2007-0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urst pilot for a time division multiplex system
US9118387B2 (en) * 1997-11-03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Pilot reference transmiss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198468C2 (ru) * 1998-06-13 2003-02-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инхронизации состояний базовой и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в системе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US6104709A (en) * 1998-07-17 2000-08-15 Motorola, Inc. Channel assignment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US6320843B1 (en) * 1998-11-18 2001-11-20 Ericsson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ith standard and robust ser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6324395B1 (en) 1998-11-18 2001-11-27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igning spectral and non-spectral resource charg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6332006B1 (en) 1998-11-18 2001-12-18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penetration messa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6091759A (en) * 1998-11-24 2000-07-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ing and despreading data in a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6628945B1 (en) 1999-04-20 2003-09-30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high-penetration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6405039B1 (en) * 1999-04-20 2002-06-11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llocation of high-penetr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8064409B1 (en) 1999-08-25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ulti-carrier forward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426980B1 (en) * 1999-10-04 2002-07-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call
US6621804B1 (en) * 1999-10-07 2003-09-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favored supplemental channel transmission slots using transmission power measurements of a fundamental channel
KR100547851B1 (ko) * 1999-12-29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365624B1 (ko) * 2000-01-03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부가채널 프레임 옵셋할당장치 및 방법
US7010315B1 (en) * 2000-03-01 2006-03-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remote unit a channel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JP3424661B2 (ja) * 2000-06-27 2003-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の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体の通信方法
US7068683B1 (en) 2000-10-25 2006-06-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and low delay data transmissions
US6973098B1 (en) 2000-10-25 2005-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ata rate in a high rate packet dat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525387B1 (ko) * 2000-12-20 200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용량의 멀티캐스트 메시지 전송 방법
US7289567B2 (en) * 2001-04-30 2007-10-30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artial chase combining
US7158504B2 (en) * 2001-05-21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mod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forward and/or reverse 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US20030112821A1 (en) * 2001-12-14 2003-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a data transmission rate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GB2383491B (en) * 2001-12-20 2005-01-19 Motorola Inc Packet data re-transmission
US6842461B2 (en) * 2002-03-08 2005-01-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transmiss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29591A1 (en) * 2002-08-07 2004-02-1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high bandwidth traffic on a wireless network
TW200629652A (en) * 2003-11-24 2006-08-16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directional beam antenna in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7308264B2 (en) * 2004-02-05 2007-12-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identifying pre-candidate cells for a mobile unit operating with a switched beam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ystem
US7340254B2 (en) * 2004-02-05 2008-03-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opportunities for a mobile unit operating with a switched beam antenna in a CDMA system
US7324817B2 (en) * 2004-02-07 2008-01-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cells based on measurements performed using directional beams and an omni-directional beam pattern
US7756532B2 (en) * 2004-05-13 2010-07-13 Pontus Wallentin Re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radio access network and a mobile station
US7768961B2 (en) * 2005-05-03 2010-08-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y transmitting data
KR100749840B1 (ko) 2005-08-26 2007-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데이터를 끊어짐 없이 연속하여 재생하는 방법및 그 장치
US8014416B2 (en) * 2006-02-14 2011-09-06 Sibeam, Inc. HD physical lay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00042B2 (en) * 2006-04-21 2014-04-15 Alcatel Lucent Method to control the effects of out-of-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ellular system using backhaul transmission of decoded data and formats
JP2008054351A (ja) * 2007-10-25 2008-03-06 Hitachi Ltd 無線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バおよび基地局および端末
US8811200B2 (en) 2009-09-22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metrics to support adaptive station-depend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9185649B2 (en) * 2012-03-30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High-speed data channel avail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7903A (en) * 1981-05-22 1984-05-08 Ael Microtel, Ltd. Forward error correction using coding and redundant transmission
US5546420A (en) * 1994-04-29 1996-08-13 At&T Corp. Methods of and devices for enhancing communications that use spread spectrum technology by using variable code techniques
US5673259A (en) * 1995-05-17 1997-09-30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ommunications channel for data services
US5774680A (en) * 1995-12-11 1998-06-3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terfacing direct memory access devices to a non-ISA bus
SE9600578L (sv) * 1996-02-16 1997-03-10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 för kanaltilldelning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6173007B1 (en) * 1997-01-15 2001-01-09 Qualcomm Inc. High-data-rate supplemental channel for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946356A (en) * 1997-07-16 1999-08-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0251698B1 (ko) * 1997-07-25 2000-04-15 윤종용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5907582A (en) * 1997-08-11 1999-05-25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System for turbo-coded satellite digital audio broadcasting
US6377809B1 (en) * 1997-09-16 2002-04-2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 for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1840B2 (ja) 2008-10-29
DE69943390D1 (de) 2011-06-09
EP1080544B1 (en) 2011-04-27
BRPI9910263B1 (pt) 2016-10-25
JP2002515677A (ja) 2002-05-28
US5966384A (en) 1999-10-12
KR100393512B1 (ko) 2003-08-02
EP1080544A4 (en) 2005-03-16
EP1080544A1 (en) 2001-03-07
WO1999059257A1 (en) 1999-11-18
BR9910263A (pt) 2001-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512B1 (ko)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EP1223767B1 (en) Packet data transmission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EP0993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within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461706B1 (ko) 스펙트럼 확산 통신 시스템내에서의 데이터 전송
US6233231B1 (en) Data transmission within a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JP4616996B2 (ja) 拡散スペクトル通信システム内のデータ送信方法
US5793744A (en) Multichannel high-speed data transfer
KR200400279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20020073210A (ko) 무선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Roobol et al. A proposal for an RLC/MAC protocol for wideband CDMA capable of handling real time and non-real time services
JP2004040314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割り当て制御方法
KR2006011216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물리계층의 전송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장치
CA2312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messages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697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제어채널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