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894A - 슬랫화된 시준기 및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슬랫화된 시준기 및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894A
KR20010042894A KR1020007011679A KR20007011679A KR20010042894A KR 20010042894 A KR20010042894 A KR 20010042894A KR 1020007011679 A KR1020007011679 A KR 1020007011679A KR 20007011679 A KR20007011679 A KR 20007011679A KR 20010042894 A KR20010042894 A KR 20010042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direction
photosensitive resin
collimating
transverse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로칸폴데니스
바우틸리어글렌데이비드
로렌즈티모씨주드
마를라트헨리루이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4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6Making 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Abstract

경화 복사의 공급원(30)과 조합하여, 작업 표면상에 배치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 방향(MD) 및 그에 수직인 횡기계 방향(CD)을 갖는 시준기가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시준기(10)는 복사 공급원과 상기 수지 사이에서 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서로 평행한 다수의 시준 요소(11)를 포함한다. 시준 요소(11)는 각각 작업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시준 요소들마다 그들 사이에 기계 방향 틈새(A) 및 횡기계 방향 틈새(B)을 갖는다. 기계 방향 틈새(A)이 횡기계 방향 틈새(B)보다 크도록 시준 요소와 기계 방향은 그들 사이에 예각을 갖는다. 이는 기계 방향에 비해 횡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시준을 보다 크게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랫화된 시준기 및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SLATTED COLLIMATOR}
일반적으로, 제지 공정은 수개의 단계를 포함한다. 제지 섬유의 수성 분산액은 소공성 부재[예: 포드리니어(Fourdrinier) 와이어]상에서 또는 트윈(twin) 와이어 페이퍼 기계상에서 미발달 웹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초기 탈수 및 섬유 재배열이 일어난다.
통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미발달 웹은 초기 탈수 이후에 공기 투과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건조 벨트로 전달된다. 상기 편향 부재는 공기가 차등 압력 하에서 그것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편향관을 갖는 패턴화된 수지 골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 골격은 직조된 보강 구조체와 연결되고 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미발달 웹의 제지 섬유는 편향관내로 편향되고, 이로부터 물이 제거되어 중간체 웹을 형성한다. 따라서, 생성된 중간체 웹은 수지 골격에 일치되는 웹의 부분이 압인될 수 있는 최종 건조 단계에서 건조되어 다중-영역 구조체를 형성한다.
보강 구조체 및 수지 골격을 포함하는 통기 건조 제지 벨트는 1985년 4월 30일자로 존슨(Joh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14,345 호; 1985년 7월 9일자로 트로칸(Trokh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28,239 호; 1985년 7월 16일자로 트로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 1987년 1월 20일자로 트로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37,859 호; 및 1994년 8월 2일자로 트로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들은 통기 건조 제지 벨트의 바람직한 구조를 제시할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이러한 벨트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제품, 예를 들어 상표명 바운티(Bounty) 페이퍼 타월 및 상표명 챠민 울트라(Charmin Ultra) 화장실용 티슈(이들은 둘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조되고 시판됨)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현재, 통기 건조 제지 벨트의 수지 골격은 목적하는 패턴에 따라 UV 복사(radiation)를 사용하여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1996년 5월 7일자로 트로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4,523 호는 상이한 광 투과 기법을 사용하여 제지 벨트를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벨트를 제조하기 위해, 액체 감광성 수지 피복물을 보강 구조체에 적용한다. 따라서, 불투명한 영역 및 투명한 영역이 예비 선택된 패턴을 한정하는 마스크(mask)가 상기 피복물과 복사 공급원(예: 자외선) 사이에 위치된다. 복사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마스크를 통한 UV 복사에 액체 감광성 수지 피복물을 노출시킴으로써 경화를 수행한다. 전형적으로, 경화 복사는 상기 공급원으로부터의 직접 복사, 및 횡기계 방향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일반적으로 타원형 및/또는 포물선형 등의 형태를 갖는 반사 표면으로부터의 반사 복사를 둘다 포함한다. 마스크의 투명한 영역을 통과하는 경화성 UV 복사는 노출된 영역의 수지를 경화시켜(즉, 응고시킴) 보강 구조체로부터 연장된 너클을 형성한다. 마스크의 불투명한 영역에 상응하는 노출되지 않은 영역은 경화되지 않은 상태(즉, 유체)로 남아있고 이는 후속적으로 제거된다.
상기 복사의 입사각은 제지 벨트의 편향관 벽에서 테이퍼(taper)의 존재 또는 부재에 대해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복사가 보다 평행할수록 보다 덜 테이퍼진(또는 보다 수직에 가까운) 편향관 벽을 생성시킨다. 상기 편향관들이 보다 수직인 경우, 제지 벨트는 보다 테이퍼진 벽을 갖는 제지 벨트에 비해 주어진 너클 범위에서 보다 큰 공기 투과성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경화 복사의 입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소망 영역 감광성 수지를 보다 우수하게 경화시키고 소망하는 테이퍼 각을 갖는 최종 제지 벨트의 벽을 얻을 수 있도록 경화 복사가 시준될 수 있다. 상기 복사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하나의 수단이 공제성 시준기이다. 사실상, 공제성 시준기는 목적하는 것 이외의 방향으로의 UV 복사 광선을 차단시키는 각도 분포 필터이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상기 미국 특허 제 5,514,523 호는 공제성 시준기를 이용한 제지 벨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공제성 시준기는, 경화 복사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일련의 채널을 포함하는 어두운 색의 무반사성, 바람직하게는 흑색의 구조체를 포함한다. 종래의 시준기의 채널은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 둘다에서 유사한 크기를 갖고,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 둘다에서 분리된이다.
종래의 공제성 시준기는 목적하는 방향으로 복사 광선을 배향시키는 것을 보조하지만,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전체 복사 에너지는 공제성 시준기에서의 복사 에너지 손실로 인해 감소된다. 기계 방향으로 시준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손실, 특히 경화 복사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제지 벨트가 제조 공정도중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시준은 경화 복사가 감광성 수지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하는 개구의 기계 방향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더욱이, 타원형 또는 포물선형의 일반적 형태의 반사 표면은 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적어도 반사된 부분을 충분히 높은 정도로 시준한다. 그러나, 횡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시준은 상기 개구의 횡기계 방향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없는데, 이는 개구의 횡기계 방향 치수가 구조화된 벨트의 폭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타원형 및 포물선형의 반사 표면은 횡기계 방향이 아니라 주로 기계 방향으로의 경화(반사된) 복사의 각도 분포를 변화시키도록 고안된다. 따라서, 경화 복사 출력 및 벨트 제조를 위한 전체 공정의 효율은, 횡기계 방향으로의 필요한 시준 수준을 유지시키면서 기계 방향으로의 복사를 시준하여 복사의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골격을 갖는 제지 벨트를 제조하기 위해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공제성 시준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시준기는 경화 에너지의 손실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기계 방향으로의의 경화 복사의 시준과 기계 방향으로의의 경화 복사의 시준을 분리시키도록 고안된 신규한 슬랫화된(slatted) 시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슬랫화된 시준기를 사용하여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공제성 슬랫화된 시준기는, 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공제성 시준을 감소시킴으로써 경화 에너지의 손실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횡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공제성 시준을 필요한 정도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공정에서, 폭을 갖는 수지 피복물 형태의 액체 감광성 수지는 기계 방향 및 그에 수직인 횡기계 방향을 갖는 작업 표면상에 지지된다. 경화 복사의 공급원은 주로 액체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파장 범위내의 복사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시준기는 경화 복사 공급원과 경화되는 감광성 수지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감광성 수지 피복물은 기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준기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서로 평행한 시준 요소, 또는 슬랫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준 요소마다 균일한 두께를 갖고, 이들은 모두 틀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내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시준 요소는 프레임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내에서 횡기계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서로 평행하고 횡기계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시준요소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평행하지 않고 또한/또는 횡기계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되지 않은 시준 요소를 고려한다.
상기 프레임은 감광성 수지를 예정된 패턴에 따라 경화시키도록 경화 복사가 감광성 수지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프레임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은 폭(횡기계 방향으로 측정됨) 및 길이(기계 방향으로 측정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영역의 폭은 경화된 수지 피복물의 폭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시준 요소는 이들이 각각 수지 피복물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개방 영역내에 배치된다. 시준 요소는 본원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내의 평면도에서의 하나의 예정된 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요소로서 정의되고, 실질적으로 경화 복사를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준 요소는 각각 그의 형태 및 위치를 수지 피복물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비교적 얇은 복사 불투과성 및 실질적으로 무반사성 시이트를 포함한다.
서로 인접한 2개의 시준 요소들마다 그들 사이에 기계 방향 틈새 및 횡기계 방향 틈새를 갖는다. 인접한 2개의 시준 요소들이 횡기계 방향으로 이격된 피치(pitch)는 횡기계 방향 틈새와 횡기계 방향에 대한 개개의 시준 요소의 두께의 투영(projection)(여기서, 투영은 시준 요소의 "횡기계 방향 두께"로서 본원에서 정의된다)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서로 인접한 2개의 시준 요소들간의 기계 방향 틈새는 동일한 서로 인접한 시준 요소들간의 횡기계 방향 틈새보다 더욱 크다. 시준 요소와 기계 방향은 그들 사이에서 45°미만의 예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시준 요소는 모두 기계 방향에 대해 동일한 각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이한 시준 요소가 그와 기계 방향 사이에 상이한 예각을 형성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시준 요소와 기계 방향 사이에 형성된 예각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4°,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 피복물이 벨트 제조 공정도중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수지 피복물의 폭에 걸쳐 분포된 상기 피복물의 모든 차등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들(differential machine-directional micro-regions)(즉, 기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등 마이크로 영역)이 동일한 양의 경화 복사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수지 피복물이 경화 복사하에서 기계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 경화되는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들은 각각 동일한 시간 동안 시준 요소에 의해 경화 복사로부터 차폐된다.
시준 요소는 각각 제 1 단부 및 그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단부는 프레임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은 상기 단부에 지지체를 제공함으로써 시준 요소를 지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준 요소는 하나의 시준 요소의 제 1 단부가 다른 시준 요소의 제 2 단부와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개방 영역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준 요소(들)와 기계 방향 사이에 형성된 예각, 개방 영역의 길이, 및 시준 요소가 횡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피치 사이의 상호 의존성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예각의 탄젠트는 피치에 정수를 곱하고 개방 영역의 길이로 나눈 값과 같다.
본 발명의 시준기는 경화 복사의 기계 방향 시준에 비해 보다 큰 횡기계 방향 시준을 제공한다.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으로 경화 복사의 차등 시준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준기는 기계 방향 시준과 횡기계 방향 시준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수지 골격을 포함하는 제지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수지 골격을 제조하기 위해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공제성(subtractive) 시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랫화된 시준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슬랫화된 시준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슬랫화된 시준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랫화된 시준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다수의 분리된 채널을 포함하는 종래의 공제성 시준기의 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다수의 분리된 채널을 포함하는 종래의 공제성 시준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시준기(10)는 제지 벨트 제조 공정에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지 벨트는 배경기술 부분에서 참고로 인용된 수개의 특허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감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지 벨트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공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수지 피복물 형태의 액체 감광성 수지(20)는 작업 표면(25)에 의해 지지된다. 작업 표면(25)은 실질적으로 평면 배열을 가질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대안적으로, 작업 표면(2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514,345 호, 제 5,098,522 호, 제 5,275,700 호 및 제 5,364,504 호는 보강 구조체 위에서 그것을 통해 감광성 수지를 주조하고 그 뒤 마스크를 통해 수지를 경화 복사에 노출시킴으로써 제지 벨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보강 구조체(26)는 원통모양의 작업 표면(25)을 갖는 드럼(24)을 포함하는 성형 유닛에 의해 지지된다. 드럼(24)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통상적인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드럼(24)의 작업 표면(25)은 차단 필름(27)으로 덮혀져 작업 표면(25)이 수지(20)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명한 영역 및 불투명한 영역을 갖는 마스크(28)가 수지 피복물(20)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마스크(28)의 투명한 영역에 상응하고 경화 복사로부터 차폐되지 않는 수지(20)의 부분만을 경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필름(27), 보강 구조체(26), 감광성 수지 피복물(20) 및 마스크(28)는 모두 기계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유닛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도면에서 MD로 표시됨)은 구조된 제지 벨트가 설비를 통과하는 흐름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횡기계 방향(도면에서 CD로 표시됨)은 기계 방향에 수직이고 구조된 벨트의 주된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기계 방향"으로 정의되는 요소(방향, 치수 등)는 기계 방향에 평행한 요소(방향, 치수 등)를 의미하고, "횡기계 방향"으로 본원에 정의되는 요소는 횡기계 방향에 평행한 요소(방향, 치수 등)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경화 복사의 공급원(30)은 주로 액체 감광성 수지(20)를 경화시키는 파장 범위내의 복사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임의의 적합한 복사 공급원, 예를 들어 수은 아크, 펄스된(pulsed) 크세논, 전극이 없는 램프 및 형광성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복사의 강도 및 그의 지속성은 노출된 범위에서 요구되는 경화도에 의존한다.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평행한 복사를 발생시키는 장치"라는 명칭으로 1997년 5월 14일자로 트로칸의 명의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799,852 호;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조절된 복사를 발생시키는 장치"라는 명칭으로 1997년 5월 19일자로 트로칸 등의 명의로 출원된 특허원 제 08/858,334 호; 및 그의 계속 출원으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조절된 복사를 발생시키는 장치"라는 명칭으로 1997년 10월 24일자로 트로칸 등의 명의로 출원된 상기 특허문헌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상기 특허 문헌들은 실질적으로 예정된 방향으로 경화 복사를 편향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경화 복사의 강도 및 그의 입사각은 구조화된 제지 벨트의 수지 골격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경화 복사의 "입사각"은 경화 복사 광선의 방향과 경화되는 수지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편향관을 갖는 제지 벨트가 구조되면, 상기 입사각은 편향관의 벽내에 정확한 테이퍼를 생성시키는데 중요하다. 편향관을 갖는 제지 벨트는 전술한 수개의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입사각은 편향관의 벽을 테이퍼지게 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것을 비롯하여제지 벨트의 경질 골격의 공기 투과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경화 복사의 시준 정도를 높게 하면 덜 테이퍼진(즉, 보다 "수직한") 벽을 갖는 편향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명백하다. 덜 테이퍼진 편향관 벽을 갖는 벨트는 보다 많이 테이퍼진 편향관 벽을 갖는 유사한 벨트에 비해 보다 높은 공기 투과성을 갖는다(단, 비교된 벨트의 다른 모든 프레임성은 동일함). 소정 편향관의 영역과 수지의 두께에서, 공기가 그것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전체 벨트의 영역은 비교적 덜 테이퍼진 벽을 갖는 편향관을 갖는 벨트에서 보다 크다.
산업적 규모의 벨트 제조 공정에서, 수지 피복물(20)은 도 1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기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계 방향으로 수지 피복물(20)이 이동하면 기계 방향으로의 가능한 경화 복사의 강도 편차가 고르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화 복사 강도의 균일화는 횡기계 방향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데, 이는 감광성 수지 피복물이 횡기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경화 복사가 감광성 수지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하는 개구(40)의 기계 방향 치수는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경화 복사를 기계 방향으로 시준할 수 있다. 더욱이, 복사 공급원(30)의 타원형 또는 포물선형의 반사 표면은 경화 복사의 적어도 반사된 부분을 시준하는 정도를 기계 방향으로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출원인은 공제성 시준기를 사용하여 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시준을 감소시키면 종래의 공제성 시준기를 사용하는 공정에 비해 에너지 절감 및/또는 경화 복사의 강도 손실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도 5 및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공제성 시준기는 일반적으로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 모두로의 복사에 노출되는 범위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고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 모두로 분리된 다수의 섹션(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시준기는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 모두로 비교적 동일하게 경화 복사를 시준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시준기(10)는 횡기계 방향 시준을 필요한 정도로 유지시키면서 경화 복사의 기계 방향 시준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2 및 도 3에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람직한 시준기(10)는 다수의 서로 평행한 시준 요소(11)를 지지하는 프레임(15)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준 요소"(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 복사를 흡수하도록 고안되고, 도 2, 도 3 및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내에서 특정한 예정된 방향으로 배향되는 분리된 요소를 지칭한다. 프레임(15)이 도 2 및 도 3에 직사각형 구조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바람직하다면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5)의 주된 기능은 시준 요소(11)를 제 위치에 지지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에서, 프레임(15)은 수지(20)를 예정된 패턴에 따라 경화시키도록 경화 복사가 감광성 수지(20)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을 한정한다. 프레임(15)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은 횡기계 방향 폭(W1) 및 기계 방향 거리(H)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폭(W1)은 수지 피복물(20)의 폭(W2)과 같거나(도시되지 않음) 그보다 크다(도 2 및 도 3).
다수의 시준 요소(11)는 프레임(15)에 의해 형성된 개방 영역내에 배치된다. 시준 요소(11)는 각각 수지 피복물(20)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시준 요소(11)는 각각 대략 100℉ 내지 대략 500℉의 온도하에서 수지 피복물(20)의 표면에 대한 시준 요소의 수직성 및 그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비교적 얇은 복사 불투과성 시이트를 포함한다. 시준 요소(11)는 경화 복사에 의한 가열로 인해 가능한 열팽창을 수용하기 위해 편향되거나, 긴장되거나 또는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다. 시준 요소(11)는 긴장, 편향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프레임(15)의 치수를 지나 연장하고 또한 개방 영역의 치수를 지나 연장할 수 있음을 또한 인식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요소(11)는 복사 에너지의 최대 흡수를 위해 무반사성 흑색으로 채색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준 요소(11)는 프레임(15)에 의해 형성된 개방 영역내에서 횡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서로 이격된다. 시준 요소(11)는 각각 하나의 예정된 방향으로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2개의 인접한 시준 요소는 프레임(15)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내에서 서로 접하지 않는다. 시준 요소(11)는 각각 제 1 단부(12) 및 그에 대향한 제 2 단부(13)을 갖는다. 본원에서 정의된 제 1 단부(12)은 제 2 단부(13)에 대해 기계 방향으로 멀리 배치된다. 제 1 단부(12) 및 제 2 단부(13)은 프레임(15)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5)은 단부(12 및 13)에 지지체를 제공함으로써 시준 요소(11)를 지지한다. 바람직하다면, 시준 요소(11)는 개방 영역 및 프레임(15)을 지나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12 및 13)은 본원에서 경화 복사가 감광성 수지(20)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의 경계와 시준 요소(11)가 교차하는 기하학적 지점으로서 보다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준 요소(11)는 그의 제 1 단부(12)이 다른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13)과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는 방식으로 프레임(15)에 의해 형성된 개방 영역내에 배치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시준 요소(11)는 서로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된다. 2개의 서로 인접한 시준 요소(11)들마다 그들 사이에 기계 방향 틈새(A) 및 횡기계 방향 틈새(B)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 틈새"은 프레임(15)내에 2개의 인접한 시준 요소(11)들 사이에서 기계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를 의미한다. 용어 "횡기계 방향 틈새"은 프레임(15)내에 2개의 인접한 시준 요소(11)들 사이에서 횡기계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를 의미한다. 프레임(15)내에서 서로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된 시준 요소(11)를 포함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준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횡기계 방향 틈새(B)은 주어진 시준기(11)에 대해 일정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상이하게 이격되고 또한/또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지 않을 수 있는(도 4) 시준 요소(11)를 갖는 시준기(10)의 실시예를 고려한다. 서로 평행하지 않는 2개의 시준 요소들 사이의 횡기계 방향 틈새은, 2개의 인접한 평행하지 않는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들 사이에 형성된 제 1 거리(B12)와 이와 동일한 인접한 평행하지 않는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들 사이의 제 2 거리(B13)간의 계산된 평균값으로서 본원에 정의된다[도 4를 참조하면, 시준 요소들(11a 및 11b) 사이 및 시준 요소들 (11c 및 11d) 사이로서 제시됨].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5)내에 기계 방향 틈새(A)은 횡기계 방향 틈새(B)보다 크다. 시준 요소(11)와 기계 방향은 그들 사이에 45°미만의 예각(λ)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체는 기계 방향에 비해 횡기계 방향으로 보다 큰 경화 복사 시준을 제공한다. 기계 방향 및 횡기계 방향으로 경화 복사의 상이한 시준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준기(10)는 횡기계 방향 시준과 기계 방향 시준을 효과적으로 분리한다.
시준 요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일 필요가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의 시준 요소(11c)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만곡된 시준 요소(11c)는 그의 제 1 단부(12)과 제 2 단부(13)을 연결하는 라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만곡된 시준 요소(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예각(λ)은 만곡된 시준 요소(11c)의 제 1 단부(12)과 제 2 단부(13)을 연결하는 라인과 기계 방향사이의 각(도 4에서 λc로 표시됨)으로서 본원에서 정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시준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 피복물(20)이 벨트 제조공정 도중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시준 요소(11)는 피복물(20)의 폭(W2)에 걸쳐 분포된 수지 피복물(20)의 마이크로 영역(즉,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이 모두 동일한 양의 경화 복사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예시하기 위해, 도 2 및 도 3a에서, 가상라인(L1)은 한 예로서 임의로 선택된 수지 피복물(20)의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을 나타내고, 가상라인(L2)은 다른 예로서 임의로 선택된 수지 피복물(20)의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을 나타낸다. 2개의 개별적인 마이크로 영역(L1 및 L2)은 서로 평행하고 횡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수지 피복물(20)이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라인들(L1 및 L2)은 각각 동일한 회수로 시준 요소(11)와 교차한다. 도 2에서, 라인(L1 및 L2)은 각각 요소(11)와 2회 교차하고, 도 3에서 라인(L1 및 L2)은 각각 요소(11)와 1회 교차한다. 수지 피복물(20)의 속도가 일정하고 시준 요소(11)가 모두 동일한 두께(h)(도 3)를 갖는 경우, 피복물(20)의 마이크로 영역(L1)은 마이크로 영역(L2)이 경화 복사로부터 차폐되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경화 복사로부터 차폐된다. 결과적으로, 수지 피복물(20)이 일정한 속도로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크로 영역(L1 및 L2)은 시준기(10)의 개방 영역내에서 동일한 양의 경화 복사를 수용한다. 유사하게, 수지 피복물(20)이 일정한 속도로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지 피복물(20)의 폭(W2)에 걸쳐 횡기계 방향으로 무한한 수의 차등 마이크로 영역들은 각각 그리고 그들마다 시준기(10)의 개방 영역내에서 동일한 양의 복사를 수용함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이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2에서,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은 횡기계 방향으로 이격된 두 번째 시준 요소(11)마다의 제 2 단부(13)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3에서,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는 횡기계 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13)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두가지의 배열들 사이의 차이를 보다 포괄적으로 예시하기 위해, 라인(L3)이 도 2 및 도 3 모두에 도시되어 있다. 라인(L3)은 그 단부(12 및 13)가 서로 기계 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분리된 시준 요소(11)의 2개의 대향하는 단부(12 및 13)를 서로 연결시키는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을 나타내는 기계 방향 "경계 라인"이다. 시준 요소(11)의 두께(h)는 프레임(15)의 전체 치수(W1 및 H)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라인(L3)은 요소(11)의 단부(12 및 13)와 요소(11)와 교차하는 경우, 라인(L1 및 L2)이 경화 복사로부터 차폐되기 때문에, 시준 요소(들)(11)의 동일한 결과적인 기계 방향 두께와 교차함으로써, 경화 복사로부터 바람직하게 차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영역을 통해 진행하는 임의의 기계 방향 라인은 시준 요소(11)의 동일한 결과적인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와 교차한다. 따라서, 수지 피복물(20)이 일정한 속도로 기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크로 영역(L1, L2 및 L3)에 의해 수용된 경화 복사의 결과적인 양은 수지 피복물(20)의 폭(W2)에 걸쳐 동일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준 요소(11)의 두께(h)는 횡기계 방향으로의 경화 복사의 동일한 분포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시준기(10)의 상승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3a는 시준 요소(들)(11)의 "결과적인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예시한다. 도 3a에서, 시준 요소(11)는 서로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는 기계 방향에 대한 시준 요소(11)의 두께(h) 투영, 즉 기계 방향으로 측정한 시준 요소(11)의 두께를 지칭한다. 유사하게, 용어 "투영된 횡기계 방향 두께"는 횡기계 방향에 대한 두께(h) 투영, 또는 횡기계 방향으로 측정한 시준 요소(11)의 두께를 지칭한다. 도 3a에서, 시준 요소는 각각 균일한 두께(h)를 갖고, 시준 요소(11)의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는 f로 표시되고, 시준 요소(11)의 투영된 횡기계 방향 두께는 g로 표시된다. 도 3a에서, 하나의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의 투영된 횡기계 방향 두께가 다른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13)의 투영된 횡기계 방향 두께와 정렬되도록,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는 인접한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13)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시준 요소(11)는 피치(P)= B+g가 되도록 서로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f)가 두께(h)를 사인λ로 나눈 값과 동일하고(f=h/sinλ), 투영된 횡기계 방향 두께(g)가 두께(h)를 코사인λ로 나눈 값과 동일함(g=h/cosλ)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3a에서, 라인(L4)은 기계 방향으로 2개의 인접한 시준 요소(11)와 교차하여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f)의 2개의 부분, 즉 시준 요소(11) 중 하나의 부분(f1)과 다른 시준 요소(11)의 부분(f2)을 한정하는 기계 방향 마이크로 영역을 나타낸다. 부분의 합(f1+f2)은 시준 요소(들)(11)의 결과적인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를 정의한다. 라인(L5)은 두께(h)를 갖는 단지 하나의 시준 요소(11)와 기계 방향으로 교차하는 기계 방향 영역을 나타낸다. 도 3a에서, 라인(L4) 및 라인(L5)은 각각 예를 들어 하나의 시준 요소(11)의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f)와 동일한 결과적인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와 교차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과적인 기계 방향 두께는 하나의 시준 요소(11)의 기계 방향 두께(f)와 동일하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생성된 기계 방향 두께가 하나의 시준 요소(11)의 기계 방향 두께(f)보다 작거나(도시되지 않음) 클(도 2)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결과적인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는 기계 방향 두께의 2배(2f)와 동일하다. 생성한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가 수지 피복물(20)의 폭(W2)에 걸쳐 상이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결과적인 투영된 기계 방향 두께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가 다른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13)와 정렬되지 않거나, 시준 요소(들)(11)가 불균일한 두께를 갖는 경우(이들 두가지 경우는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횡기계 방향에 걸쳐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은 인접한 시준 요소(11)의 제 2 단부(13)와 정렬되고, 각(λ), 개방 영역의 기계 방향 거리(H) 및 횡기계 방향 틈새(B) 사이의 상호 의존성은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tanλ=(B+g)/H
상기 식에서, "tanλ"는 각(λ)의 탄젠트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가 2번째 시준 요소(11)마다의 제 2 단부(13)와 정렬되는 경우, 각(λ), 개방 영역의 기계 방향 거리(H) 및 횡기계 방향 틈새(B) 사이의 상호 의존성은 하기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tanλ=2(B+g)/H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시준 요소(11)의 제 1 단부(12)가 3번째 시준 요소(11)마다의 제 2 단부(13)와 정렬되는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위와 동일한 상호 의존성이 하기 수학식 3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수학식 3]
tanλ=3(B+g)/H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λ), 개방 영역의 기계 방향 거리(H) 및 인접한 시준 요소들(11)간의 횡기계 방향 틈새(B) 사이의 상호 의존성은 하기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tanλ=n(B+g)/H
상기 식에서, n은 정수이다.
결과적으로, 각(λ)은 아크탄젠트 n(B+g)/H와 같다. 각(λ)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4°,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시준기(10)의 실시예가 바람직하지만, 프레임(15)내에서 시준 요소(11)의 다른 배열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준 요소(11)의 제 1 및 제 2 단부(12 및 13)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실시예는 기계 방향 시준과 횡기계 방향 시준을 분리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시준 요소(11)의 바람직한 두께가 프레임(15)에 의해 형성된 개방 영역의 치수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다면 기계 방향 시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이점을 제공하므로, 정렬되지 않은 단부(12 및 13)의 간섭으로 인한 경화 복사 강도의 가능한 변화가 수지(20)의 표면 전체에 걸친 경화 복사의 횡기계 방향 분포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정렬된 단부(12 및 13)을 갖는 시준 요소(11)를 포함하는 시준기(10)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횡기계 방향으로 이격된 3번째(4번째, 5번째 등) 시준 요소(11)마다와 정렬된 시준 요소(11)를 갖는 시준기(10)(도시되지 않음)를 쉽게 상상할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평면의 시준 요소(11)가 바람직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이 아닌 배열을 갖는 시준 요소가 시준기(10)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리된의 인접하지 않는 시준 요소(11) 이외에 다른 시준 요소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시준기(10)는 프레임(15)에 의해 한정된 개방 영역내에서 추가로 하나 이상의(예를 들어 횡기계 방향) 시준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다면, 이러한 추가의 시준 요소는 시준 요소(11)에 대한 중간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거나, 전체 시준기(10)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물론, 추가의 시준 요소 대신에, 예를 들어 횡기계 방향 와이어 또는 막대와 같은 중간 지지체의 다른 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필요시, 시준 요소(11)에 대해 특정 각(예: 직각)으로 배치되는 시준 요소(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시준 요소(11)이외에 다른 것이 시준기(10)에 사용되는 경우, 기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시준 요소들간의 기계 방향 거리는 횡기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시준 요소들간의 횡기계 방향 거리보다 더욱 커야만 본 발명에 따른 횡기계 방향으로 보다 큰 수준의 시준을 제공한다.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도 2, 3 및 3A에 도시된 시준기(10)의 주된 실시예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시준 요소(11)들이 그들 사이에서 상이하게 이격되고 또한/또는 시준 요소(11)와 기계 방향 사이에 형성된 상이한 예각(λ)을 갖는 시준기(10)의 실시예를 고려한다. 더욱이, 시준 요소(11)는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시준 요소(11)의 둘 이상의 상이한 형태, 즉 평면의 시준 요소(11a, 11b 및 11d)와 만곡된 시준 요소(11c)를 갖는 시준기(10)의 부분을 도시한다. 시준 요소(11a)들은 그들 사이에 횡기계 방향 틈새(Ba)을 갖고, 시준 요소(11b)들은 그들 사이에 횡기계 방향 틈새(Bb)을 갖고, 시준 요소(11c)들은 그들 사이에 횡기계 방향 틈새(Bc)을 가지며, 시준 요소(11d)들은 그들 사이에서 횡기계 방향 틈새(Bd)을 갖는다. 각(λa, λb, λc 및 λd)은 기계 방향과 각각의 시준 요소(11a, 11b, 11c 및 11d) 사이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각(λa, λb, λc 및 λd)은 동일하지 않다. 도 4에서, B12는 평행하지 않은 인접 시준 요소들의 제 1 단부(12)들 사이의 횡기계 방향 거리를 나타내고, B13은 이와 동일한 평행하지 않은 인접 시준 요소들의 제 2 단부(13)들 사이의 횡기계 방향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인접한 평행하지 않은 시준 요소 사이(즉, 11a와 11b 사이, 11c와 11d 사이)의 횡기계 방향 틈새는 거리(B12 및 B13)간의 계산된 평균값으로 본원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 방향 틈새(A)(예를 들어 도 4에서 Aa, Aab, Ab, Abc, Ac 및 Ad)은 각각 동일한 쌍의 시준 요소(11) 사이의 상응하는 횡기계 방향 거리(B)보다 크다. 상이하게 이격되고 또한/또는 평행하지 않은 시준 요소를 포함하는 시준기(10)를 사용하는 것이 상이한 기계 방향(종방향) 영역을 갖는 제지 벨트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Claims (10)

  1. 경화 복사의 공급원과 조합하여, 작업 표면상에 배치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 방향 및 그에 수직인 횡기계 방향을 갖는 시준기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도록 경화 복사가 그것을 통하여 감광성 수지에 도달할 수 있는 개방 영역내에서 횡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분리된 시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시준 요소는 각각 상기 작업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둘 이상의 서로 인접한 시준 요소들은 그들 사이에 기계 방향 틈새(A) 및 횡기계 방향 틈새(B)을 갖고, 기계 방향 틈새(A)이 횡기계 방향 틈새(B)보다 크고, 상기 시준 요소와 기계 방향이 그들 사이에 예각(λ)을 형성하되, 상기 예각(λ)은 1 내지 44°,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인 시준기.
  2. 경화 복사의 공급원과 조합하여, 작업 표면상에 배치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 방향 및 그에 수직인 횡기계 방향을 갖는 시준기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도록 경화 복사가 그것을 통하여 감광성 수지에 도달할 수 있는 개방 영역내에서 횡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분리된 시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시준 요소는 각각 상기 작업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2개의 서로 인접한 시준 요소들마다 그들 사이에 기계 방향 틈새(A) 및 횡기계 방향 틈새(B)을 갖고, 기계 방향 틈새(A)이 횡기계 방향 틈새(B)보다 크고, 시준 요소와 기계 방향이 그들 사이에 45°미만의 예각(λ)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준 요소가 횡기계 방향으로의 서로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된 시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을 통과하는 임의의 기계 방향 라인이 상기 시준 요소의 동일한 결과적인 기계 방향 두께와 교차하는 시준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다수의 시준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준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 방향과 시준 요소 사이에 형성된 각(λ)이 아크탄젠트 nP/H(여기서, n은 정수임)인 시준기.
  6. 경화 복사의 공급원과 조합하여, 작업 표면상에 배치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 방향 및 그에 수직인 횡기계 방향을 갖는 시준기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도록 경화 복사가 상기 수지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을 한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개방 영역내에서 횡기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서로 평행한 시준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시준 요소는 각각 제 1 단부 및 그에 대향한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시준 요소는 하나의 시준 요소의 제 1 단부가 다른 시준 요소의 제 2 단부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개방 영역내에 배향되고, 상기 제 1 단부는 기계 방향으로 기계 방향 거리(H)만큼 제 2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준 요소가 횡기계 방향으로 피치(P)만큼 서로 이격되는 시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하나의 시준 요소의 제 1 단부가 인접한 시준 요소의 제 2 단부와 기계 방향으로 정렬되는 시준기.
  8.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기계 방향 및 그에 수직인 횡기계 방향을 갖는 작업 표면상에 배치된 액체 감광성 수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경화 복사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단계와,
    (c) 다수의 시준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와,
    (d) 경화 복사의 공급원과 감광성 수지의 중간에 시준 요소를 배치시키되, 상기 시준 요소가 액체 감광성 수지의 주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서로 인접한 2개의 시준 요소마다 그들 사이에 기계 방향 틈새 및 횡기계 방향 틈새를 갖고, 기계 방향 틈새가 횡기계 방향 틈새보다 크고, 각각의 시준 요소와 기계 방향이 그들 사이에 예각(λ)을 형성하되, 상기 예각(λ)이 1 내지 44°,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준 요소가 서로 평행하고 횡기계 방향으로 피치(P)만큼 동일하게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e) 다수의 시준 요소에 대해 감광성 수지를 기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f) 다수의 시준 요소에 대해 감광성 수지를 기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경화 복사의 공급원으로부터의 경화 복사에 의해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의 주된 평면을 통과하는 임의의 2개의 기계 방향 라인이 상기 경화 복사의 공급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경화 복사를 수용하는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기계 방향과 시준 요소 사이에 형성된 각(λ)이 아크탄젠트 nP/H(여기서, n은 정수임)인 방법.
KR1020007011679A 1998-04-23 1999-04-12 슬랫화된 시준기 및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 KR20010042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65,164 1998-04-23
US09/065,164 US6210644B1 (en) 1998-04-23 1998-04-23 Slatted collimator
PCT/IB1999/000647 WO1999055961A1 (en) 1998-04-23 1999-04-12 Slatted collim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894A true KR20010042894A (ko) 2001-05-25

Family

ID=2206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679A KR20010042894A (ko) 1998-04-23 1999-04-12 슬랫화된 시준기 및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210644B1 (ko)
EP (1) EP1073792B1 (ko)
JP (1) JP4536256B2 (ko)
KR (1) KR20010042894A (ko)
CN (1) CN1298464A (ko)
AU (1) AU748185B2 (ko)
BR (1) BR9909863A (ko)
CA (1) CA2328322C (ko)
DE (1) DE69902034T2 (ko)
ID (1) ID26794A (ko)
TW (1) TW451015B (ko)
WO (1) WO1999055961A1 (ko)
ZA (1) ZA2000052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98A (ko) * 2014-07-18 2016-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연료 감마스캐닝 시스템 테스트용 표준봉 제작을 위한 시준기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1812B2 (en) * 2002-06-05 2006-11-28 Mikro Systems,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castings
US7518136B2 (en) * 2001-12-17 2009-04-14 Tecomet,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cast computed tomography collimators
US7462852B2 (en) * 2001-12-17 2008-12-09 Tecomet,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cast collimators
US7410606B2 (en) 2001-06-05 2008-08-12 Appleby Michael P Method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devices and devices created thereby
US7785098B1 (en) 2001-06-05 2010-08-31 Mikro Systems, Inc. Systems for large area micro mechanical systems
US6874899B2 (en) * 2002-07-12 2005-04-05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rradiating a substrate
US6943930B2 (en) * 2002-09-12 2005-09-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optical film using an exposure source and reflecting surface
WO2004052974A2 (en) * 2002-12-09 2004-06-24 Tecomet, Inc. Densified particulate/binder composites
US6844913B2 (en) * 2003-04-24 2005-01-18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exposure apparatus for forming an alignment layer
JP4673676B2 (ja) * 2005-06-10 2011-04-2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US9315663B2 (en) * 2008-09-26 2016-04-19 Mikro Systems, Inc.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astings
US8141388B2 (en) 2010-05-26 2012-03-27 Corning Incorporated Radiation collimator for infrared heating and/or cooling of a moving glass sheet
US8601757B2 (en) * 2010-05-27 2013-12-10 Solatube International, Inc. Thermally insulating fenestration devices and methods
US8813824B2 (en) 2011-12-06 2014-08-26 Mikro Systems, Inc.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producing holes
EP3023084B1 (en) 2014-11-18 2020-06-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distribution material
US10517775B2 (en) 2014-11-18 2019-12-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tribution materials
US10765570B2 (en) 2014-11-18 2020-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tribution materials
US9816675B2 (en) 2015-03-18 2017-11-14 Solatube International, Inc. Daylight collectors with diffuse and direct light collection
EP3271524A4 (en) 2015-03-18 2018-11-21 Solatube International, Inc. Daylight collectors with diffuse and direct light collection
GB2543755B (en) * 2015-10-22 2020-04-29 Schlumberger Holdings Method for producing solid particles
WO2017156203A1 (en) 2016-03-11 2017-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three-dimensional substrate comprising a tissue lay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5820A (en) * 1963-12-26 1966-09-27 Joseph M Szarkowski Illuminating system
US3697758A (en) * 1971-04-13 1972-10-10 Melvin J Binks Pinhole detector with internal light shield assembly
US4363176A (en) 1981-04-10 1982-12-14 Polychrome Corporation Antibuckling apparatus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s
US5059283A (en) * 1990-04-12 1991-10-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solvent delivery of chemical compounds to papermaking belts
US5098522A (en) * 1990-06-29 1992-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textured casting surface
FR2751093B1 (fr) * 1996-07-09 1998-11-06 Lumpp Christian Dispositif emetteur/reflecteur de rayonnements electromagnetiques, appareil et procede mettant en oeuvre un tel dispositif
US5832362A (en) * 1997-02-13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parallel radiation for curing photosensitive resin
US5962860A (en) * 1997-05-19 1999-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led radiation for curing photosensitive resin
JP2002515094A (ja) * 1997-05-19 2002-05-2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セルロース系ウエブ、傾斜横断面構造を有する抄紙ベルトを使用するウエブの製造方法と装置および抄紙ベル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98A (ko) * 2014-07-18 2016-01-28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연료 감마스캐닝 시스템 테스트용 표준봉 제작을 위한 시준기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2034D1 (de) 2002-08-08
ID26794A (id) 2001-02-08
DE69902034T2 (de) 2003-01-30
TW451015B (en) 2001-08-21
CN1298464A (zh) 2001-06-06
CA2328322A1 (en) 1999-11-04
JP2002513101A (ja) 2002-05-08
WO1999055961A1 (en) 1999-11-04
CA2328322C (en) 2006-10-03
AU2952899A (en) 1999-11-16
EP1073792B1 (en) 2002-07-03
US6210644B1 (en) 2001-04-03
JP4536256B2 (ja) 2010-09-01
EP1073792A1 (en) 2001-02-07
ZA200005296B (en) 2002-01-02
AU748185B2 (en) 2002-05-30
US6258516B1 (en) 2001-07-10
BR9909863A (pt)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2894A (ko) 슬랫화된 시준기 및 감광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
JP3145115B2 (ja) 抄紙ベルトおよび示差光透過技術を使用する抄紙ベルト製造法
DE69817340T2 (d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kontrollierten strahlung für die aushärtung eines lichtempfindlichen harzes
US5260171A (en)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textured casting surface
EP0536281B1 (en)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textured casting surface
US5948210A (en) Cellulosic web,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ing papermaking belt having angl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belt
EP0536263B1 (en)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deformable casting surface
BR9612379A (pt) Sistema aperfeiçoado para fabricação de produtos de papel absorvente
EP096995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arallel radiation for curing photosensitive resin
WO1990003323A1 (en) Web center guiding apparatus
ATE550490T1 (de) Saugfähiger geprägter papierbogen, prägezylind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0435909B1 (en) An air-bearing center-guiding apparatus and method
MXPA00010278A (es) Colimador de tablillas
CA2290494C (en) Cellulosic web,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ing papermaking belt having angl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belt
US6106447A (en) Press jacket and roll with a press jacket of this kind
FI120251B (fi) Kone jatkuvan materiaaliradan valmistamiseksi
FI120004B (fi) Kuiturainakoneen, kuten paperi- tai kartonkikoneen, telan valmistusmenetelmä ja kuiturainakoneen, kuten paperi- tai kartonkikoneen te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